KR20100002063U - 선반 - Google Patents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063U
KR20100002063U KR2020080010978U KR20080010978U KR20100002063U KR 20100002063 U KR20100002063 U KR 20100002063U KR 2020080010978 U KR2020080010978 U KR 2020080010978U KR 20080010978 U KR20080010978 U KR 20080010978U KR 20100002063 U KR20100002063 U KR 20100002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resent
tool
lathe
slid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퉁 쉔
Original Assignee
쉬-퉁 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퉁 쉔 filed Critical 쉬-퉁 쉔
Priority to KR2020080010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063U/ko
Publication of KR20100002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30Turning-machines with two or more working-spindles, e.g. in fixed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9/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e.g. automatic multiple-spindle machines with spindles arranged in a drum carrier able to be moved into predetermined positions; Equipment therefor
    • B23B9/08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56Chucks with more than one set of g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신베드(1),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딩베이스(2)를 포함하며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슬라이딩베이스(2)의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공구대(3), 상기 두 개의 공구대에 각각 고정되는 선반공구(30), 상기 머신베드의 두 개의 마주하는 단부 말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 및 상기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의 정면에 구비되는 척(51)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의하면 종래의 선반에 의한 작업시간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작업재를 다른 컷팅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선반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은 종래기술에 의한 두 개의 선반을 이용하는 것보다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반, 머신베드, 슬라이딩베이스, 트랜스미션 박스, 척

Description

선반{LATHE}
본 고안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동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 보다 편리하고 설치에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술에 의한 선반은 일반적으로 머신베드(machine bed), 상기 머신베드 상부에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 공구대, 작업재를 고정하기 위한 머신베드의 단부에 고정된 척 및 작업재에서 컷팅을 수행하기 위해 척에 클램프된 선반공구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은 하나의 척만 제공하므로, 선반이 단일 작업재만 처리할 수 있으며, 작업재에 다른 종류의 컷팅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선반공구를 교환해야만 한다. 따라서 공구대에서 선반공구를 교환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작업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에 의하면, 사용자는 서로 다른 컷팅 작업에 이용되는 많은 선반을 구매하기 위한 터무니 없는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고, 일측 선 반에서 타측 선반으로 작업재를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아울러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두 세트의 공구대를 구비한 선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두 세트의 공구대는 종래 선반에서 다른 선반으로 작업재를 이동할 필요없이 동일한 선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에 의한 선반에 의하면 작업처리가 빨라지고, 선반에 있어서의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공간이 넓지 않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작업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의 대표적은 특징은 슬라이딩베이스의 중간부에 구비된 두 세트의 공구대라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다른 종류의 선반공구는 착탈과정과 이동과정 없이 다른 컷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시에 두 개의 공구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머신베드의 두 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트랜스미션 박스와 상기 두 개의 트랜스미션 박스의 전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척을 구비하고 있어서 작업에 있어서의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은 머신베드(1),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딩베이스(2)를 포함하는 구성 으로, 상기 슬라이딩베이스(2)의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공구대(3), 상기 두 개의 공구대에 각각 고정되는 선반공구(30), 상기 머신베드의 두 개의 마주하는 단부 말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 및 상기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의 정면에 구비되는 척(51)을 더 포함하는 구성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선반에 의하면 컷팅작업에서 종래의 선반에 의한 작업시간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작업재를 다른 컷팅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선반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은 종래기술에 의한 두 개의 선반을 이용하는 것보다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은 머신베드(1), 상기 머신베드(1)에 설치된 슬라이딩베이스(2), 전방, 후방,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가능하 며 서로 다른 선반공구(30)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슬라이딩베이스(2)의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공구대(3), 두 개의 트랜스미션 박스(4), 상기 두 개의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로부터 돌출한 스핀들, 상기 두 개의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로부터 연장한 로터리실린더(5), 상기 로터리실린더(5)에 구비되는 구동기어(50), 트랜스미션 기어(41)와 구동기어(50) 주변에서 연장된 타이밍벨트(42) 및 각 로터리 실린더(5)의 내측에 구비되는 척(51)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선반은 두 세트의 공구대에 고정된 두 개의 공구대에 고정된 두 개의 선반공구에 의한 작업에 있어서 필요한 시간을 보다 더 단축하기 위해 컷팅을 수행하는 동안 동시에 두 개의 작업재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척으로 구성된다.
도2 및 도3은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작업재(6)는 두 개의 척(51)에 각각 클램핑될 수 있고, 슬라이딩베이스(2)는 좌측으로 이동되며, 좌측공구대(3)에서 선반공구를 작업재(6)가 처리되는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좌측 트랜스미션 박스(4)는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좌측 로터리 실린더(5)를 회전하며, 또한 작업재(6)와 같이 좌측 척(51)을 회전하고 좌측 선반공구(31)는 좌측 척(51)에 구비된 작업재(6)를 컷팅하도록 한다.
상기 좌측 작업재(6)의 컷팅작업이 종료될 때, 슬라이딩 베이스(2)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공구대(3)의 선반공구(30)를 작업재(6)가 처리되는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우측 트랜스미션 박스(4)는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우측 척(51)과 같이 우측 로터리 실린더(5)를 회전하고, 또한 작업재(6)를 회전하여 또 다른 모드에서 작업이 이루어게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컷팅작업은 종래의 선반에 의한 작업시간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작업재를 다른 컷팅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선반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은 종래기술에 의한 두 개의 선반을 이용하는 것보다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딩 베이스로서 머신베드의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베이스의 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딩 베이스로서 머신베드의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Claims (1)

  1. 머신베드(1),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딩베이스(2)를 포함하는 선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베이스(2)의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공구대(3), 상기 두 개의 공구대에 각각 고정되는 선반공구(30), 상기 머신베드의 두 개의 마주하는 단부 말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 및 상기 각각의 트랜스미션 박스(4)의 정면에 구비되는 척(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KR2020080010978U 2008-08-18 2008-08-18 선반 KR201000020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978U KR20100002063U (ko) 2008-08-18 2008-08-18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978U KR20100002063U (ko) 2008-08-18 2008-08-18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63U true KR20100002063U (ko) 2010-02-26

Family

ID=4419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978U KR20100002063U (ko) 2008-08-18 2008-08-18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0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0718B (zh) 木工工作台及多功能木工装置
ATE374089T1 (de) Bearbeitungsmaschine mit einem werkstückwechsler
WO2006037051A3 (en) Multi-shouldered fixed bobbin tools for simultaneous friction stir welding
EP1743736A3 (de) 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mit zumindest einer Bearbeitungseinheit und zwei Werkstücktransportvorrichtungen
KR20110120789A (ko) 2축 갱 타입 cnc 선반
ES2168182A1 (es) Ingleteadora perfeccionada.
WO2004067223A8 (de) Doppelspindel-werkzeugmaschine
ATE396959T1 (de) Glasbearbeitungsmaschine
CN204430333U (zh) 加工差速器壳体的专用机床
ATE253996T1 (de) Vorrichtung zum spanabhebenden bearbeiten von werkstücken
KR100928288B1 (ko) 개별이동형 절삭기를 갖는 복합 가공기
TWM515440U (zh) Cnc車銑綜合加工中心機
JP6144071B2 (ja) 縦型旋盤
CN201223945Y (zh) 车床
KR100925038B1 (ko) 테이블 및 프레임이 동시 이송되는 가공기
CN217992813U (zh) 一种五轴机床
KR20100002063U (ko) 선반
DE59907131D1 (de) Werkzeugmaschine mit horizontal angeordneter arbeitsspindel
US11648633B2 (en) Multi-purpose precision machine tool
CN210651124U (zh) 一种木工车铣复合机床
CN201807739U (zh) 一种换向器内孔车床
CN103921319A (zh) 新型木工镂铣机
CN203426494U (zh) 新型数控深孔钻床
CN104801740A (zh) 具有可枢转工作台的钻床
CN204221027U (zh) 立式双头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