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776U -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 Google Patents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776U
KR20100000776U KR2020080009407U KR20080009407U KR20100000776U KR 20100000776 U KR20100000776 U KR 20100000776U KR 2020080009407 U KR2020080009407 U KR 2020080009407U KR 20080009407 U KR20080009407 U KR 20080009407U KR 20100000776 U KR20100000776 U KR 20100000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dentification
hole
fee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606Y1 (ko
Inventor
양성원
Original Assignee
양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원 filed Critical 양성원
Priority to KR2020080009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60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7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식용 대형 용기의 용도를 구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세척제에 의해 부식되거나 소독시 변색될 염려가 없는 실리콘재질의 용도식별부재를 테두리에 스폿 용접되는 브라켓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은 중앙에 식별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이 식별돌부의 하부에 고정플랜지부가 형성된 용도 식별색을 갖는 실리콘재질의 용도식별부재; 상기 식별돌부가 통과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 주변에 상기 고정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의 양쪽에 용접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로 이루어져 상기 통공에 식별돌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의 용접부를 용기의 테두리부에 스폿 용접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용도 구분, 급식, 용기

Description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0mitted}
본 고안은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식실에서 사용하는 대형 소쿠리,다라이와 같이 각종 식자재를 담는 대형 용기의 테두리에 다양한 색상의 실리콘재 용도 구분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의 용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학교,회사 및 대형 요식업소와 같이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급식하는 곳에서는 다량의 식재료를 취급하기 때문에 위생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많은 양의 식재를 담는 소쿠리 및 다라이와 같은 급식용 대형 용기는 식재료의 종류별로 용도가 정해져 있으나 일반적인 급식용 대형 용기에는 용도를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당한 주의력을 발휘하지 않는 이상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하는 폐단이 있었다.
예를들면 급식용 대형 용기에 용도에 따른 표시가 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야채 전용 용기가 잔반을 처리하는데 사용 되어졌다가 다른 식재료를 담는데 사용되어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88407호에 서와 같이 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손잡이부의 상면에 구분홈을 형성하고 이 구분홈에 용도 구분용 도료를 착색하도록 한 고안을 제안한 바 있으나 이것은 세척제에 의해 부식되거나 소독시 열에 의해 색상이 변색될 뿐만 아니라 도료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을 있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세척제에 의해 부식될 염려가 없고, 용기를 소독시 열에 의해 색상이 변생될 염려가 없으며, 취급중 벗겨질 염려가 없는 용도구분 수단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용기의 제작을 고심한 결과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식용 대형 용기의 용도를 구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세척제에 의해 부식되거나 소독시 변색될 염려가 없는 실리콘재질의 용도식별부재를 테두리에 스폿 용접되는 브라켓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은 중앙에 식별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이 식별돌부의 하부에 고정플랜지부가 형성된 용도 식별색을 갖는 실리콘재질의 용도식별부재; 상기 식별돌부가 통과하는 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 주변에 상기 고정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의 양쪽에 용접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로 이루어져 상기 통공에 식별돌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의 용접부를 용기의 테두리부에 스폿 용접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용기의 용도를 구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실리콘재질의 용도식별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척제에 의해 부식되거나 소독시 열에 의해 변색될 염려가 없고, 실리콘재 용도식별부재가 얇은 두께의 금속 브라켓에 의해 식별돌부만이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용기를 사용시 불편을 초래할 염려가 없어 편리하며, 통공에 식별돌부를 끼운 상태에서 브라켓의 용접부를 용기의 테두리부에 스폿 용접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식별돌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이 식별돌부(11)의 하부에 고정플랜지부(12)가 형성된 용도 식별색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용도식별부재(10); 상기 식별돌부(11)가 통과하는 통공(2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21) 주변에 상기 고정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요입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22)의 양쪽에 용접부(23)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20);로 이루어져 상기 통공(21)에 식별돌부(11)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20)의 용접부(23)를 용기(30)의 테두리부(31)에 스폿 용접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도식별부재(10)는 용기(30)의 용도를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단색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용도식별부재(10)가 빨간색인 경우 수산물을 담아 사용하는 용도로, 청색일 경우에는 야채를 담아 사용하는 용도의 용기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도식별부재(10)는 고온에서 처리되어도 인체에 무해하고 변색되거나 세척재에 의해 부식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급식용 대형 용기에 사용하여도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용기(30)는 발청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며, 많은 양의 식자재를 담아야 하는 급식용이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에 비해 대형으로 소쿠리,다라이 등 식자재를 담는데 사용되는 모든 용기 용품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용도식별부재(10)의 식별돌부(11)를 고정 브라켓(20)의 하부에서 통공(21)에 끼우게 되면 요입부(22)에 고정 플랜지부(12)부가 들어가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20)을 용기(30)의 테두리부(31)에 놓은 상태에서 용접부(23)를 스폿 용접하여 고정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용도식별부재(10)는 테두리(31)에 두 곳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다라이 모양의 대형 급식 용기(30)에 본 고안을 적용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소쿠리 모양의 용기에 본 고안을 적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렇게 설치된 실리콘 재질의 용도식별부재(10)는 용도를 나타내는 색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보고 해당 용기(30)의 용도를 손쉽게 구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용도식별부재(10)는 색상 뿐만 아니라 모양에 있어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를 주어 용기(30)의 용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음은 물 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해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범위 내에서 당해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도식별부재 11 : 식별돌부
12 : 고정 플랜지부 20 : 고정브라켓
21 : 통공 22 : 요입부
23 : 용접부 30 : 용기
31 : 테두리부

Claims (1)

  1. 중앙에 식별돌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이 식별돌부(11)의 하부에 고정플랜지부(12)가 형성된 용도 식별색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용도식별부재(10); 상기 식별돌부(11)가 통과하는 통공(2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21) 주변에 상기 고정플랜지부(12)가 끼워지는 요입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22)의 양쪽에 용접부(23)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20);로 이루어져 상기 통공(21)에 식별돌부(11)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20)의 용접부(23)를 용기(30)의 테두리부(31)에 스폿 용접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KR2020080009407U 2008-07-15 2008-07-15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KR200448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407U KR200448606Y1 (ko) 2008-07-15 2008-07-15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407U KR200448606Y1 (ko) 2008-07-15 2008-07-15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76U true KR20100000776U (ko) 2010-01-25
KR200448606Y1 KR200448606Y1 (ko) 2010-05-03

Family

ID=4419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407U KR200448606Y1 (ko) 2008-07-15 2008-07-15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192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래들 및 래들 식별 번호 인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371Y1 (ko) 2000-05-25 2001-06-15 조준행 그릇 테두리 문양 형성구조
KR200288407Y1 (ko) 2002-06-20 2002-09-10 양성원 급식용 용기의 용도 구분구조
KR200392355Y1 (ko) 2005-05-09 2005-08-17 양성원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소쿠리
KR20100002437U (ko) * 2008-08-27 2010-03-09 주식회사 킹센스 식별핀을 갖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192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래들 및 래들 식별 번호 인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606Y1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5031A1 (en) Cooking Vessel Assembly and Lid for the Same
TWM596028U (zh) 氣炸鍋之雙層內鍋結構改良
US20070261568A1 (en) Triangular frying pan
CA2489633C (en) Food handling implement
US11517135B2 (en) Cookware assembly
US20150164268A1 (en) Combination Lid and Utensil Holder
JP2015527143A (ja) 容器に載置するキッチン用具、キッチン用具とさまざまな機能的ユニットとを備えたキッチン用具セット
KR200448606Y1 (ko)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JP2006204542A (ja) プラスチック製鍋
KR20090013115U (ko)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KR20090013114U (ko)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CN204798413U (zh) 蒸汽消毒装置和消毒器具
KR101356042B1 (ko) 돌솥 조립체
JP2011168311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1649960B1 (ko)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JP2012516741A (ja) 調理容器
KR101389697B1 (ko)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KR20170105835A (ko) 뜰채가 구비된 냄비
CN104906606A (zh) 蒸汽消毒装置和消毒器具
US20180044063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ubstance between containers
JP2010188110A (ja) 鍋の縁に装着ですることができる蓋と杓子
KR200217995Y1 (ko) 이동식 가마솥 조리장치
US20100050378A1 (en) Tilted up handle
KR200453883Y1 (ko) 결합이 용이한 조리기구
US950552A (en) Lid and cover for cooking utens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