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58A -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위치 획득방법 - Google Patents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위치 획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58A
KR20100000358A KR1020080059825A KR20080059825A KR20100000358A KR 20100000358 A KR20100000358 A KR 20100000358A KR 1020080059825 A KR1020080059825 A KR 1020080059825A KR 20080059825 A KR20080059825 A KR 20080059825A KR 20100000358 A KR20100000358 A KR 20100000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orce
input device
touch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504B1 (ko
Inventor
김종호
박연규
김민석
최재혁
강대임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59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504B1/ko
Priority to PCT/KR2008/004896 priority patent/WO2009157614A1/en
Publication of KR2010000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예, 손가락 또는 일러스트 팁)를 사용하여 동작 또는 위치명령을 입력하는 터치입력장치(예,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에 있어서, 복수개의 힘센서가 구비된 센서부를 터치입력장치에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보호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힘센서의 센싱성능을 동일하게 하여 검출신호의 왜란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포인팅 오브젝트를 접촉시키는 접촉부; 접촉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작용힘에 대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힘센서가 기판에 구비된 센서부; 및 센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힘센서가 동일한 센싱성능을 갖도록 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및 이러한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작용힘의 위치와 세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서, 일체형,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작용힘, 세기, 위치

Description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 획득방법{Touch inputting apparatus integral sensors and method for acquiring location and intensity of force}
본 발명은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포인팅 오브젝트(예, 손가락 또는 일러스트 팁)를 사용하여 동작 또는 위치명령을 입력하는 터치입력장치(예,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에 있어서, 복수개의 힘센서가 구비된 센서부가 터치입력장치에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보호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힘센서의 센싱성능을 동일하게 하여 검출신호의 왜란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작용힘의 위치와 세기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다양한 애플레케이션에서 전자/기계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보다 자연스럽고, 사용이 용이하며, 정보 제공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에 대해 끊임없는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장치중 터치방식으로 동작 또는 위치명령을 인가하는 터치입력장치로는 은행에서의 입출금자동화기기, 개인휴대정보단말기, 휴대폰 등 각종 전자/통신 기기에서 사용되는 터치스크 린 또는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터치패드 등이 있다.
종래의 터치입력장치는 포인팅 오브젝트가 접촉한 위치만을 검출하고, 이러한 터치입력장치가 사용되는 전자/통신 기기는 커서의 위치변화 또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터치입력장치는 전자/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산업에서 점점 증대되는 접촉정보의 획득의 면에서 위치만을 검출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포인팅 오브젝트의 위치뿐만이 아니라,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작용힘의 세기에 대한 정보까지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그리하여 개발된 것으로, 포인팅 오브젝트에 의하여 터치입력장치에 소정의 작용힘이 인가되는 경우, 작용힘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를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 등에 부착하거나 힘센서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방식이 있다. 이 경우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화면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때, 양산의 면에서 양면테이프의 접착의 정도와 가공의 정도에 따라 센서의 부착의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작용힘의 세기를 감지함에 있어 신호의 왜곡을 발생시켜, 작용힘의 세기를 검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입력장치에 포함된 복수개의 힘센서의 센싱기능이 동일하게 발현가능하고, 작용힘의 위치와 세기를 획득함에 있어 오차가 최소화된 터치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위치뿐만 아니라 작용힘의 세기도 검출할 수 있는 터치입력장치와 작용힘의 위치 및 세기의 획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종래의 터치입력장치(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오브젝트의 접촉 위치를 획득하던 수단을 부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단가를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포인팅 오브젝트를 접촉시키는 접촉부;
접촉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작용힘에 대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힘센서가 기판에 구비된 센서부; 및
센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힘센서가 동일한 센싱성능을 갖도록 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힘센서는 기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와 센서부는 양면 테이프, UV 경화제 또는 열 접착 테이프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와 보호부는 제1접착층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 때, 제1접착층은 복수개의 힘센서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착층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홀에는 범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범프의 강성은 제1접착층의 강성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힘센서는 멤브레인 방식의 힘센서, 접촉저항방식의 힘센서 또는 정전용량방식의 힘센서일 수 있다.
또한, 기판은 연성회로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와 보호부는 유리 또는 아크릴의 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는 접촉부와 동일한 형태 또는 힘센서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의 타면에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동작명령에 따른 화면상태를 보여주는 화면표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와 화면표시부는 제2접착층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리고 제2접착층은 복수개의 힘센서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포인팅 오브젝트를 접촉시키는 접촉부; 접촉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전극부;를 포함하는 제1구조체;
보호부와; 보호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전극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제2구조체; 및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마주보도록 접촉부와 보호부를 결합시키는 제1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는 각각 접촉부와 보호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부와 보호부는 유리 또는 아크릴의 투명한 재질이다.
그리고, 제1접착층중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구비되는 위치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사이에는 에어갭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구조체의 일면에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동작명령에 따른 화면상태를 보여주는 화면표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구조체와 화면표시부는 제2접착층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착층은 양면 테이프 또는 고분자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접착층도 양면 테이프 또는 고분자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 획득방법은 복수개의 힘센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작용힘의 세기를 계산하는 단계;
복수개의 힘센서 각각의 모멘트의 합을 계산하여 작용힘의 모멘트를 계산하는 단계; 및
작용힘의 모멘트와 작용힘의 세기로부터 작용힘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검출신호는 상기 작용힘에 대한 반력일 수 있다.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힘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터치입력장치에 일체화시키고, 보호부를 형성하여 터치입력장치의 품질이 균일하고,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작용힘의 위치와 세기를 획득함에 있어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힘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터치입력장치에 일체화시켜 포함함으로써,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작용힘의 세기뿐만 아니라 작용힘의 위치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용힘이 인가된 위치를 복수개의 힘센서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종래의 터치입력장치(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팅 오브젝트의 접촉 위치를 획득하던 수단을 더 부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구성>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는 접촉부(110), 센서부(120), 보호부(140), 화면표시부(160) 등을 포함한다.
접촉부(110)는 사용자가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포인팅 오브젝트를 접촉시키는 부재이다. 본 발명인 터치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활용가능하고, 이 경우 사용자에게 소정의 화면을 제공하는 화면표시부(160)가 부가된다. 따라서, 접촉부(11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접촉부(110)의 일예로 유리 또는 아크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10)는 가요성 있는 재질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ITO막을 갖는 터치스크린의 경우, 접촉부(110)의 형태가 사각형에 국한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접촉부(110)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접촉부(110)의 일면에 위치하고, 양면 테이프, UV 경화제 또는 열 접착 테이프 등으로 접촉부(110)와 결합된다. 도 1은 접촉부(110)의 하부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센서부(120)는 기판(124)과 기판(124)에 포함된 복수개의 힘센서(122)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 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센서(122)는 기판(124)의 가장자리 둘레에 복수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힘센서(122)들은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1
)에 대한 신호를 검출한다. 힘센서(122)로는 멤브레인 방식을 갖는 힘센서와, 정전용량방식의 힘센서, 접촉저항 방식의 힘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힘센서(122)들이 구비되는 기판(124)으로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부(140)는 센서부(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2
)에 관한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힘센서(122)들의 센싱기능이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보호부(14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로 센서부(120)와 화면표시부(160)가 직접 폼 테이프 등으로 결합된다면, 제작상의 오차로 인하여 센서부(120)에 포함된 복수개의 힘센서는 결합정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결합의 정도 차이로 인하여,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3
)의 인가시 각각의 힘센서는 동일한 센싱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신호의 왜란이 발생한다. 즉, 더 강하게 결합된 힘센서(122)는 그렇지 못한 힘센서(122)에 비하여 민감성이 커지고 검출신호에 왜란의 발생정도가 심해질 수 있다. 보호부(140)는 복수개의 힘센서(122)의 결합의 정도를 동일하게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외부물질이나 자극으로부터 센서부(1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인 터치입력장치를 터치스크린 등에 활용가능한바, 보호부(140)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보호부(140)의 일예로 유리 또는 아크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40)의 하부는 평평하고 소정의 강성을 갖아, 터치입력장치가 사용되는 전자/통신 기기의 케이스에 결합이 용이하거나, 터치입력장치가 터치스크린에 활용되는 경우에 화면표시부(16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호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10)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힘센서(122)의 배열상태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센서부(120)와 보호부(140)는 제1접착층(132)에 의하여 결합되며, 제1접착층(132)은 기본적으로 접착제의 기능과 동시에 완충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접착층(132)의 일예로 양면 테이프(예, 폼 양면 테이프, 고분자 테이프), 실리콘,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접착층(132)은 센서부(120)의 복수개의 힘센서(122)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접착층(132)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홀에는 범프(134)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홀과 복수개의 범프(134)는 복수개의 힘센서(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범프(134)의 강성은 제1접착층(132)의 강성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범프(134)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을 감지하는 힘센서(122)들의 센싱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화면표시부(160)는 보호부(140)의 일면에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은 화면표시부(160)가 보호부(140)의 하부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화면표시부(160)는 사용자가 접촉부(110)를 통하여 입력한 위치 또는 동작명령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부재로서, 화면표시부(160)의 일예로 액정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액정패널은 LCD 패널, 전자잉크 패널, OLED 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부(140)와 화면표시부(160)는 제2접착층(152)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접착층(152)은 제1접착층(132)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힘센서(122)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양면 테이프(예, 폼 양면 테이프, 고분자 테이프), 실리콘,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는 제1구조체(210), 제2구조체(220), 제1접착층(232) 등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는 정전용량방식을 사용한다.
제1구조체(210)는 접촉부(212)와 접촉부(212)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전극부(214)로 구성된다. 접촉부(212)는 사용자가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포인팅 오브젝트를 접촉시키는 부재로, 터치입력장치가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경우, 화면표시부(250)가 더 부가되므로 접촉부(212)는 투명한 재질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재질로는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전극부(214)는 접촉부(212)의 일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제1전극부(214)는 저항성 잉크 또는 저항성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구조체(220)는 보호부(222)와 보호부(222)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전극부(224)로 구성된다. 제2전극부(224)는 보호부(222)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 만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제2전극부(224)는 저항성 잉크 또는 저항성 페이스트 등으로 구성가능하다. 제2전극부(224)와 제1전극부(214)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1구조체(210)와 제2구조체(220)가 접착된다. 따라서, 제2전극부(224)는 제1전극부(214)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보호부(222)의 실시예와 특징 등은 앞서 기재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앞서 기재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제1접착층(232)은 제1구조체(210)와 제2구조체(220)를 결합시킨다. 이 경우, 제1접착층(232)중 제1전극부(214)와 제2전극부(224)가 구비되는 위치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포인팅 오브젝트의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4
)에 대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1전극부(214)와 제2전극부(224) 상에는 제1접창층(232)이 구비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232)의 두께는 제1전극부(214)와 제2전극부(224)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부(214)와 제2전극부(224) 사이에 에어갭(G)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층(232)의 특성 및 예시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가능한바, 앞선 기재로 갈음한다.
화면표시부(250)는 제2구조체(220)의 일면에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착층(242)에 의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화면표시부(250)과 제2접착층(242)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가능한바, 앞선 기재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터치입력장치가 터치스크린에 사용가능하다. 이 경 우, 제1전극부(214)와 제2전극부(224)는 제1실시예의 경우처럼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작>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구성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접촉부(110), 센서부(120)와 보호부(140)를 접착시켜 연결하며,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터치스크린에 사용하는 경우 화면표시부(160)가 보호부(140)의 일면에 더 결합된다. 제1접착층(132)과 제2접착층(152)을 이용하여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제작함은 앞선 기재로 갈음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g와 도 7a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센서부(120)중 힘센서(122)가 접촉저항 방식의 힘센서인 경우와 정전용량 방식의 힘센서인 경우 센서부(120)의 세부 구성과 제작을 설명한다.
(접촉저항 방식 힘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도 6a 내지 도 6g는 접촉저항방식의 힘센서가 구비되는 센서부(120)의 제작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센서부(120)는 기판(124)에 복수개의 힘센서(122)가 구비되도록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 둘레에 복수개의 힘센서(122)가 구비되도록 제작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302)의 일면에 금속층(304)을 증착시킨다. 필름층(302)은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에스터 필름 등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층(304)은 금속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성 페이스트의 일예로 실버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층(304)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저항성 잉크를 코팅하여 저항층(306)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층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필름층(302')에 금속층(304')을 증착시키되,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 이격된 금속층(304')에 저항성 잉크를 코팅하여 저항층(306')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층부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상층부와 하층부를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310)을 이용하여 센서부(120)를 구성한다. 이때 상층부의 저항층(306)과 하층부의 저항층(306') 사이에는 접착층(31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센서부(120)에는 저항층(306,306') 사이의 신호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선이 배선되어 있으며, 배선은 당업자의 범위에서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전용량 방식 힘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도 7a 내지 도 7d는 정전용량 방식 힘센서가 구비되는 센서부(120)의 세부구성과 제작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힘센서가 구비되는 센서부(1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조체를 접착시켜 제작한다. 구조체를 제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402)의 일면에 복수개의 전극층(404)을 형성한다. 필름층(402)은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에스터 필름 등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층(404)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2개의 구조체를 제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구조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06)를 형성한다. 스페이서는 전극층(404)이 형성되지 아니한 필름층(402) 상에 구비되며, 스페이서(406)로 양면 테이프 또는 각종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406)를 형성한 후,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406)를 형성하지 않은 나머지 구조체과 접착시킨다. 접착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한다. 이 때 각각의 구조체의 전극층(404)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극층(404)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접착물질이 구비되지 아니한다.
센서부(120)에는 전극층(404) 사이의 신호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선이 배선되어 있으며, 배선은 당업자의 범위에서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 획득방법>
이하에서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 획득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에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5
)이 인가된 경우, 각 힘센서(122)의 반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에 더 포함된 신호처리부(500)에서 담당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500)는 작용힘 계산부(510), 모멘트 계산부(520)와 위치 계산부(530)로 구성된다. 도 10에서, 좌표계의 0점은 신호처리부(500)에 미리 소정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n은 힘센서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10)의 임의의 위치(P)에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6
)이 인가되면(S100), 복수개의 힘센서(122) 각각에서는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7
)에 관한 검출신호가 발생한다(S200). 검출신호의 일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힘센서(122)에서의 반력(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8
)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힘센서(122)에서는
Figure 112008045384152-PAT00009
,…,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0
,…,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1
의 반력이 생긴다.
작용힘 계산부(520)에서는 각각의 힘센서(122)에서 검출된 검출신호, 즉 각각의 반력(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2
)에 기초하여 다음의 [수학식 1]의 관계를 이용하여,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3
)의 세기를 계산한다(S300).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4
이 후, 모멘트 계산부(520)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각각의 힘센서(122)의 위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5
)를 산출하고, 각각의 힘센서의 위치와 반력을 계산하여, 각각의 힘센서당 모멘트(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6
)의 합을 구한다. 각각의 힘센서당 모멘트(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7
)의 합이 작용힘의 모멘트(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8
)가 된다(S400). 즉, 작용힘의 모멘트(
Figure 112008045384152-PAT00019
)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0
마지막으로, 위치계산부(530)에서는 작용힘의 모멘트(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1
)와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2
)의 세기에 기초하여, 작용힘의 인가위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3
)를 다음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한다(S500).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힘센서(122)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5
)의 세기와 작용힘의 인가 위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6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용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하던 ITO 막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힘센서(122)가 4개 구비된 경우로서,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접촉부(110)와 센서부(120)중 복수개의 힘센서(122)만을 도시하였고,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7
)이 z축 방향으로 인가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1은 접촉부(110)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이다. 접촉부(110)의 세로길이를 a로 하고, 가로길이를 b로 한다.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작용힘(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8
)은 센서부(120)에 형성된 4개의 힘센서(122)에서의 검출신호(예, 반력)로 검출되어, 작용힘 계산부(510)에서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작용힘의 세기(
Figure 112008045384152-PAT00029
)를 계산한다. 작용힘의 세기(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0
)는 앞서 기재한 [수학식 1]의 관계에 기초하므로,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1
모멘트 계산부(520)는 앞서 살펴본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각 힘센서(122)에서의 모멘트(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2
)를 계산한다. 그 각 힘센서당 모멘트의 합은 다음의 [수학식 5]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3
이 후, 위치 계산부(520)에서는 작용힘의 세기와 작용힘의 모멘트에 기초하여 작용힘의 위치를 계산한다. 도 11의 경우, 작용힘의 위치는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4
이므로, 앞서 기재한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인가된 작용힘의 위치를 구하면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5
이고,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6
가 된다.
즉, 작용힘의 위치는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7
이고, 작용힘의 세기(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8
)는
Figure 112008045384152-PAT00039
가 된다.
< 변형예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이상에서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가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는 터치의 방식으로 동작 또는 위치명령을 입력하는 전자기기라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일예로 터치패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2실시예에서 접촉부와 보호부가 불투명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의 접촉부, 제2실시예에서의 제1,2접촉부의 폭이 좁다면 터치패드 방식의 스크롤 키로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작용힘의 위치 및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의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제2실시예의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경우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2실시예의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에도 신호처리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1실시예의 분리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1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의 제2실시에의 분리측면도,
도 6a 내지 도 6g는 접촉저항 방식의 힘센서들이 포함되는 경우의 센서부의 제작공정에 따른 상태도,
도 7a 내지 도 7d는 정전용량 방식의 힘센서들이 포함되는 경우의 센서부의 제작공정에 따른 상태도,
도 8은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 획득방법의 흐름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인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에 작용힘이 인가된 경우 각 센서의 반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2: 접촉부 120: 센서부
122: 힘센서 124: 기판
132, 232: 제1접착층 134: 범프
140, 222: 보호부 152, 242: 제2접착층
160, 250: 화면표시부 210: 제1구조체
214: 제1전극부 220: 제2구조체
224: 제2전극부 302, 302', 402: 필름층
304, 304', 404: 전극층 306, 306': 저항층
310: 접착층 406: 스페이서
500: 신호처리부 510: 작용힘 계산부
520: 모멘트 계산부 530: 위치 계산부

Claims (25)

  1. 사용자가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포인팅 오브젝트를 접촉시키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포인팅 오브젝트가 인가한 작용힘에 대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힘센서가 기판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힘센서가 동일한 센싱성능을 갖도록 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힘센서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센서부는 양면 테이프, UV 경화제 또는 열 접착 테이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보호부는 제1접착층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복수개의 힘센서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는 범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의 강성은 상기 제1접착층의 강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힘센서는 멤브레인 방식의 힘센서, 접촉저항방식의 힘센서 또는 정전용량방식의 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보호부는 유리 또는 아크릴의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접촉부와 동일한 형태 또는 상기 힘센서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타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동작명령에 따른 화면상태를 보여주는 화면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와 상기 화면표시부는 제2접착층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2접착층은 상기 복수개의 힘센서의 배열상태와 동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5. 사용자가 위치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포인팅 오브젝트를 접촉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전극부;를 포함하는 제1구조체;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제2구조체; 및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가 마주보도록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보호부를 결합시키는 제1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는 각각 접촉부와 보호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보호부는 유리 또는 아크릴의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중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구비되는 위치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 사이에는 에어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체의 일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동작명령에 따른 화면상태를 보여주는 화면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체와 상기 화면표시부는 제2접착층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22. 제 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양면 테이프 또는 고분자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23. 제 14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은 양면 테이프 또는 고분자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24. 복수개의 힘센서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작용힘의 세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힘센서 각각의 모멘트의 합을 계산하여 작용힘의 모멘트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작용힘의 모멘트와 상기 작용힘의 세기로부터 작용힘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 획득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작용힘에 대한 반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한 작용힘의 세기 및 위치 획득방법.
KR1020080059825A 2008-06-24 2008-06-24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KR10096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825A KR100969504B1 (ko) 2008-06-24 2008-06-24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PCT/KR2008/004896 WO2009157614A1 (en) 2008-06-24 2008-08-22 Touch inputting apparatus integral sensors and method for acquiring location and intensity of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825A KR100969504B1 (ko) 2008-06-24 2008-06-24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58A true KR20100000358A (ko) 2010-01-06
KR100969504B1 KR100969504B1 (ko) 2010-07-12

Family

ID=4144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825A KR100969504B1 (ko) 2008-06-24 2008-06-24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9504B1 (ko)
WO (1) WO200915761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225B1 (ko) * 2009-11-06 2012-04-1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0406B1 (ko) * 2011-05-24 2013-03-11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힘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KR101258897B1 (ko) * 2010-11-19 2013-04-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곡면형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
WO2013062817A1 (en) * 2011-10-25 2013-05-02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force sensing
US9213321B2 (en) 2011-09-19 2015-12-15 Hanwha Techwin Co., Ltd. Control System for rotating shaf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4907B2 (en) 2009-04-03 2015-05-05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capacitive force sens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US9057653B2 (en) 2010-05-11 2015-06-16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force sensing
US9557857B2 (en) 2011-04-26 2017-01-31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response
US9748952B2 (en) 2011-09-21 2017-08-29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integrated deformable electrode structure for force sensing
US9229592B2 (en) 2013-03-14 2016-01-05 Synaptics Incorporated Shear force detection using capacitive sensors
US9851827B2 (en) * 2014-05-28 2017-12-26 Corning Incorporated Touch-screen assembly with rigid interface between cover sheet and frame
KR20160068439A (ko) * 2014-12-05 201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터치 기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26861B2 (en) 2015-05-08 2018-11-13 Synaptics Incorporated Force sensor substrate
CN106406588A (zh) * 2015-07-27 2017-02-15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US10452211B2 (en) 2016-05-27 2019-10-22 Synaptics Incorporated Force sensor with uniform response in an axis
EP4062537A4 (en) * 2019-11-22 2023-11-29 Corning Incorporated LAMINATE WITH INTEGRATED FORCE SENSOR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5439A (ja) * 1983-06-06 1984-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座標入力装置
JPH0561592A (ja) * 1991-09-04 1993-03-12 Yamaha Corp タツチ入力装置
US20020149571A1 (en) * 2001-04-13 2002-10-17 Roberts Jerry B.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based touch input
US7176897B2 (en) * 2002-05-17 2007-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rection of memory effect errors in force-based touch panel system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225B1 (ko) * 2009-11-06 2012-04-1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58897B1 (ko) * 2010-11-19 2013-04-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곡면형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406B1 (ko) * 2011-05-24 2013-03-11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힘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US9213321B2 (en) 2011-09-19 2015-12-15 Hanwha Techwin Co., Ltd. Control System for rotating shaft
WO2013062817A1 (en) * 2011-10-25 2013-05-02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force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504B1 (ko) 2010-07-12
WO2009157614A1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504B1 (ko)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CN107145253B (zh) 力感测架构
US7538760B2 (en) Force imaging input device and system
CN105975137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0997107B1 (ko) 누름힘의 세기 및 작용위치 검출용 터치입력구조, 이를 이용한 터치입력장치 및 누름힘의 세기 및 작용위치 검출방법
TWI482055B (zh) 資訊輸入裝置及使用於資訊輸入裝置之壓力檢測單元
JP5493739B2 (ja) センサ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10088937B2 (en)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moment compensated bending sensor for load measurement on platform supported by bending beams
US8780074B2 (en) Dual-function transducer for a touch panel
KR101597861B1 (ko) 센서,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
EP2634553A1 (en) Temperature sensing device
US20090065267A1 (en) Input apparatus
US10831301B2 (en) Pressure detecting and information input device to amplify an output
WO201315485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ressure sensitive device interface
CN101836178A (zh) 包括压力传感器阵列的具有单触摸或多触摸能力的触摸屏幕或触摸垫及此类传感器的制作
EP2685358A1 (en) Pressure sensitive input device
KR20160053919A (ko) 센서 장치,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124225B1 (ko)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70177112A1 (en) Capacitive touch sensor with z-shaped electrode pattern
KR20190004679A (ko) 터치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00114283A (ko) 정전용량 방식의 힘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키와 터치패널
KR101748173B1 (ko) 터치 검출 장치
KR20110123377A (ko)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JP2012146125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