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3113A -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3113A
KR20090133113A KR1020097021478A KR20097021478A KR20090133113A KR 20090133113 A KR20090133113 A KR 20090133113A KR 1020097021478 A KR1020097021478 A KR 1020097021478A KR 20097021478 A KR20097021478 A KR 20097021478A KR 20090133113 A KR20090133113 A KR 20090133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tru
tokens
token
token bucke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133B1 (ko
Inventor
진 왕
모하매드 샘모어
피터 에스 왕
샹카 소마순다람
스테픈 이 테리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13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5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the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having a maximum bit rate or a bit rate guarant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token-bu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85Provisions for avoiding starvation of low priority que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업링크(UL) 고갈 회피 방법 및 장치는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현재 버퍼 상태 정보는 진화형 노드 B(eNB)에 보고된다.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이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을 포함하는 부여(grant)는 eNB로부터 수신된다.
업링크, 버퍼 상태, 진화형 노드 B(eNB),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 토큰, 부여(gtrant)

Description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PLINK STARVATION AVOIDANCE IN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본 출원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프로그램을 위한 노력들 중 하나는 새로운 LTE 설정과 구성에 새로운 기술, 새로운 구조 및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다. LTE 프로그램은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고, 레이턴시(latency)를 감소시키키고, 무선 자원을 더 잘 활용하여 더 빠른 사용자 경험, 더 풍부한 애플리케이션 및 더 적은 비용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착수된다.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와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목적은 개선된 시스템 용량과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 고데이터율, 저레이턴시, 패킷 최적화 시스템에 맞춰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선 네트워크 구조는 물론 무선 인터페이스의 발전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3GPP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를 이용하는 대신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와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가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 전송에 각각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LTE는 올 패킷 스위치드 서비스(all packet switched service)를 채용할 수 있는데, 이는 모든 음성 통화가 패킷 스위치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자원이 한정된 시나리오에서는 화상 회의와 같은 고 우선순위 서비스는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 할당된 것으로부터 가능한 많은 가용 무선 자원을 획득하려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NW)는 부여된 자원을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분배하는 방법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 우선순위 흐름이 가용 대역폭까지 스케일(scale)되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흐름과 같은 저 우선순위 흐름이 고갈될(starved) 수가 있다.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에서는 기존의 QoS(quality of service) 모델에 강화된 UL이 구축되었다. 이 모델에서는, 네트워크가 WTRU에 무선 자원을 부여하면, 이 WTRU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 제공하는 각 흐름에 대한 관련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쓸모가 있는 업링크 QoS 흐름이 어느 것인지를 선택하는 일을 담당한다. 이 방식에서 네트워크가 저 우선순위 흐름의 자원 고갈을 피하기 위해서는 고 우선순위 흐름과 동일한 우선순위의 흐름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WTRU는 본질적으로 이들 흐름을 함께 통합함으로써 각 흐름에 각 큐(queue)에 대한 동등한 전송 권리를 할당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2 (RAN 2)에는 UL 고갈 문제를 해결하는 2가지 제안이 있다. 하나는 NW 중심 해법이고 다른 하나는 WTRU 중심 해법이다. NW 중심 해법 의 특징은 NW가 WTRU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전송후 트래픽 폴리싱(post-transmission traffic policing)을 행한다는 것이다. WTRU에는 GBR(guaranteed bit rate), MBR(maximum bit rate) 및 PBR(prioritized bit rate)가 전송되어서는 않 된다.
WTRU 중심 해법은 전송전 트래픽 폴리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트래픽 폴리싱은 데이터가 공중을 통해 전송되기 전에 WTRU에 의해 수행되며, GBR, MBR 및 PBR 정보는 무선 베어러(RB) 설정 또는 변경 시에 WTRU에 전송될 수 있다. WTRU 중심 해법은 LTE에서 UL 고갈 회피를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많은 토큰 버킷(token buckets)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다. 도 1은 토큰 버킷 구성(100)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레이트(예컨대 토큰/섹션)에 따라서 각 버킷에 토큰이 부가된다. WTRU로부터 사이즈 X 토큰의 패킷을 스케쥴하고 보내기 위하여 WTRU는 이 패킷의 전송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충분한 토큰이 있는지를(예컨대 패킷 사이즈 ≤ 토큰 버킷 사이즈인 지를) 알기 위해 현재 토큰 버킷 사이즈를 체크하고, 만일 충분한 토큰이 있다면 WTRU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충분한 토큰이 없다면 WTRU는 그 시점에서는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충분한 수의 토큰이 모아진 다음에 그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WTRU 중심 해법이 LTE 시스템에서 UL 고갈 회피를 위해 이용될 때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BSR(buffer status reporting)과 설정된 MBR/GBR 간의 관계는 RAN2에서 처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절박한 부여 손실(grant loss) 문제가 일어 날 수 있다. 부여 손실이 생기면, 시그널링 오버헤드(overhead), 자원 할당 손실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여 손실은 WTRU가 어떤 부여를 수신해도 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부여 손실은 WTRU가 어떤 레이트로 부여를 수신할 것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WTRU가 특정 버퍼 레벨이 처리될 때에 이 버퍼 레벨이 설정된 MBR/총 MBR(aMBR)을 초과할지 여부를 미리 판단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래서 현재로서는 WTRU가 BSR을 보고할 때에 그 설정된 MBR/aMBR을 감안하는 메카니즘이 없다. 그 결과, WTRU가 특정 버퍼 레벨을 보고하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지만, WTRU가 이 버퍼 레벨을 처리하기 위해 UL 부여를 얻고 있는 때에는 이 버퍼 레벨이 그 설정된 MBR/aMBR을 넘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WTRU는 관련 SAE 베어러를 스케쥴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이 바로 "부여 손실"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이다. 부여 손실은 진화형 노드 B(eNB)가 BSR로 나타낸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여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LTE 시스템에서 UL 고갈 회피를 지원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업링크(UL) 고갈 회피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재 버퍼 상태 정보는 진화형 노드 B(eNB)에 보고된다.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이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을 포함하는 부여(grant)는 eNB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예시적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자세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토큰 버킷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
도 2는 복수의 WTRU와 eNB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
도 3은 도 2의 WTRU와 eNB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
도 4는 UL 고갈 회피 지원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다른 UL 고갈 회피 지원 방법의 흐름도.
다음에 설명되는 기술 용어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은 사용자 장비(UE), 이동국,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 페이저,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컴퓨터,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 형태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설명되는 기술 용어 "기지국"은 노드-B, 사이트 컨트롤러,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 형태의 인터페이싱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복수의 WTRU(210)와 eNB(22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TRU(210)는 eNB(220)와 통신한다. 도 2에는 WTRU(210)와 기지국(220)의 예시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는 임의의 유무선 장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도 2의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WTRU(210)와 eNB(220)의 기능 블록 도(300)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WTRU(210)는 eNB(220)와 통신하며, 이 둘은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TRU(210)는 통상적인 WTRU에서 볼 수 있는 성분 이외에도 프로세서(215), 수신기(216), 송신기(217) 및 안테나(2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5)는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216)와 송신기(217)는 프로세서(215)와 통신한다. 안테나(218)는 수신기(216) 및 송신기(217)와 통신하여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eNB(220)는 통상적인 eNB에서 볼 수 있는 성분 이외에도 프로세서(225), 수신기(226), 송신기(227) 및 안테나(22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25)는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226)와 송신기(227)는 프로세서(225)와 통신한다. 안테나(228)는 수신기(226) 및 송신기(227)와 통신하여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UL 고갈 회피 지원 방법(400)의 흐름도이다. 단계(410)에서 WTRU(210)은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eNB(220)에 보고한다. 이 정보는 일부 또는 모든 R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여 손실을 방지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버퍼 점유(BO) 정보, PBR, GBR, MBR 및 eMBR 각각의 각 RB의 토큰 버킷 사이즈, WTRU에서의 토큰 누적 패턴, 전력 헤드룸(headro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O 정보는 하나의 RB, RB 그룹, 또는 모든 RB를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전력 헤드룸은 모든 RB를 위한 것이다. 토큰 사이즈와 토큰 누적 패턴은 RB에 대한 PBS, GBR, MBR 및 eMBR 각각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몇 개의 RB에 대한 토큰의 총수가 보고되고, 여러 가지 총계가 개별적으로 보고될 수 있다. 예컨대 GBS, MBR 및 eMBR에 대한 총 토큰은 서로 독립적으로 보고될 수 있다. 부여는 각 WTRU에 대한 것이므로 WTRU(210)이 활용할 수 있는 토큰의 총수는 부여를 스케쥴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보고 중에 WTRU(210)는 최대 토큰 버킷 사이즈에 대한 토큰의 비율을 보고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2) 비트를 이용하여 WTRU(210)이 최대 토큰 버킷 사이즈의 0 내지 1/4, 1/4 내지 1/2, 1/2 내지 3/4 또는 3/4 내지 100 퍼센트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두 개 비트는 0 토큰, 1/4 이하 토큰, 1/4 내지 1/2 토큰, 1/2 이상 토큰 등과 같은 불균일한 범위를 지원하도록 정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2 비트를 이용하여 균일 범위를 나타낸다면, 0 내지 1/4 범위에 대해서는 "00", 1/4 내지 1/2 범위에 대해서는 "01", 1/2 내지 3/4 범위에 대해서는 "10", 그리고 3/4 내지 100 퍼센트 범위에 대해서는 "11"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이외에도 임의의 비트 조합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범위를 나타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불균일 범위에 대해서는 유사한 규칙을 이용할 수 있다(예컨대 "00"은 0 토큰을 나타내고 "01"은 1/4 이하 토큰을 나타내고 하는 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WTRU(210)는 eNB(220)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WTRU(210)에 관한 정보량의 전부 또는 일부만을 eNB(220)에 보고한다. 따라서 eNB(220)는 WTRU의 상황을 알게 되고 부여 손실을 피하기 위해 올바른 부여 결정을 내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WTRU(210)는 각 RB, RB 그룹, 모든 RB, 고 우선순위 RB에만, 또는 그 조합에 보고할 수 있다. WTRU(210)는 그 버퍼 상태(예컨대 부여 요구)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킷(예컨대 최소 전송 블록(TB) 크기)을 전송하는데 충분한 토큰을 축적할 수 있는 목표 시간을 특정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eNB(220)는 그 표시된 시간에서 또는 그 후에 그 부여를 스케쥴할 수 있을 것이다. WTRU(210)는 RB 설정 또는 변경 프로세스 중에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전송 시구간(TTI) 마다 또는 몇 개의 TTI 마다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고할 수 있다.
WTRU(210)는 그 보고 또는 토큰 버킷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단계(410)) 사전에 정해진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이 보고를 트리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이벤트는 전술한 정보에 대한 값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그 이하인 이벤트를 포함한다. 예컨대 특정 RB 또는 RB들에 대한 토큰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이면 WTRU(210)는 보고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이 임계치는 RB 설정 시에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최대 토큰 버킷 사이즈의 바율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WTRU(210) 상태 정보(예컨대 버퍼 상태)는 WTRU(210)에 의해 슬라이딩 윈도우 상에서 평가되고 TTI 마다 또는 하나 이상의 TTI 후에 eNB(220)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eNB(220)는 WTRU(210)가 얼마나 많은 토큰을 축적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각 애플리케이션과 신호에 대응하는 각 버킷에 가중치가 주어진다. 동일 레이트로 패킷을 전부 전송하고 있는 여 러 개의 WTRU(210) 상에 복수의 RB가 있다 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 우선순위에 따라서 일부 WTRU(210)는 더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순위들은 NW로부터 시그널링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여러 개의 WTRU들(210) 간에 분배될 수 있다.
eNB(220)가 부여 할당을 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갖게 되면, eNB(220)는 그 부여 할당을 WTRU(210)에 시그널링한다(단계(430)). eNB(220)는 부여 할당을 무선 통신 시스템(200) 내의 개별적인 WTRU(210), WTRU(210) 그룹, 또는 모든 WTRU(210)에 시그널링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5는 다른 UL 고갈 회피 지원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단계(510)에서, WTRU(210)는 그 버퍼 상태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WTRU(210)는 그 버퍼 상태를 계산하여 평가하고, 이 평가에 기초하여 eNB(220)에 부여 요구를 전송한다(단계(520)).
이 부여 요구는 TTI 마다 또는 몇 개의 TTI 마다 전송되는 상대적 또는 절대적 요구일 수 있다. 상대적 부여 요구를 전송할지 아니면 절대적 부여 요구를 전송할지 여부와 WTRU로부터 그 부여를 얼마나 자주 전송해야 하는 지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RB 설정 또는 구성 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 부여 요구는 전에 이용된 값에 관계가 있으며, WTRU(210)이 이전 부여와 현재 부여로부터 실제 부여를 도출할 수 있도록 변경이 WTRU(210)에 시그널링된다. 절대적 부여에 대해서는 WTRU(210)이 이용해야 하는 값이 WTRU(210)이 어떤 파생값을 만들어낼 필요없이 표시된다.
부여 요구는 단일 비트 또는 복수 비트가 해피 비트(happy bit) 포맷으로 eNB(220)에 전송되는 "해피 비트"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단일 비트 부여 요구가 이용되면, 단일 비트는 모든 RB의 (예컨대 PBR, GBR, MBR, aMBR에 대한) WTRU 버퍼 점유 상태, WTRU 버퍼 점유 상태, 패킷 정보, 전력 헤드룸, 토큰 헤드룸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모든 속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대표해야 한다.
해피 비트는 하나의 RB에 대한 상태 또는 각 RB의 속성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슬라이딩 윈도우 상에서 평가될 수 있다. 해피 비트는 모든 RB, 고 우선순위 RB, 또는 그 조합을 나타낼 수 있으며, TTI 마다 또는 소정 수의 TTI 후에 eNB(220)에 보고될 수 있다. 해피 비트는 WTRU(210)이 원하는 부여 요구량을 나타낼 수도 있다.
부여 요구가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RB 또는 (예컨대 우선순위 등과 같은 유사한 특성을 가진) RB 그룹의 모든 속성을 대표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비트가 모든 RB의 하나의 속성(예컨대 토큰 헤드룸, BO 또는 전력 헤드룸)을 대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복수의 비트를 부여 요구에 대한 WTRU(210) 상태의 여러 가지 조합을 표시하는 인덱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 비트들은 WTRU(210)이 토큰, 전력 또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버퍼 상태 보고(BSR)는 부여 요구에 이용될 비트가 더 있는 경우에 WTRU(210)으로부터의 부여 요구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상태 표시 요구에 대한 여러 가지 부여를 반영하는 맵핑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인덱스를 보여준다.
표 1
부여 인덱스 표시
000 토큰 제한
001 전력 제한
010 데이터 제한
011 토큰 제한 및 전력 제한
100 토큰 제한 및 데이터 제한
101 전력 제한 및 데이터 제한
110 토큰, 전력 및 데이터 제한
111 변화 없음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인덱스 값은 WTRU(210)이 토큰 제한, 전력 제한, 데이터 제한 또는 이들의 조합인지를 나타낸다. 표 1은 예시적인 맵핑을 보여주지만 다른 맵핑도 이용될 수 있고 다른 제한이 보고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WTRU(210)는 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WTRU(210)에 주어진 TTI 수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eNB(220)는 WTRU(2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에 소정의 부여를 WTRU(210)에 시그널링한다(단계(530)).
UL 고갈 회피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원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시그널링이 필요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UL 고갈 회피를 지원하는 RRC 파라미터의 예를 보여주는데, 여기서는 타입이 정보 요소(IE)에 맵핑된다.
표 2
타입 새로운 IE 파라미터
명시적 또는 암시적 방식 결정 명시적 WTRU보고 또는 WTRU부여 요구 방법이 이용될 것인지 여부
토큰 버킷이 네가티브가 되도록 허용될 것인지 여부
명시적 WTRU 보고 보고가 하나의 RB, RB 그룹 또는 모든 RB를 위한 것인지 여부
주기적, 이벤트 트리거, 또는 이벤트 트리거 주기적 WTRU보고가 이용될 것인지 여부
이벤트 트리거 보고가 이용되는 경우, WTRU 보고를 트리거하는 임계치(들)를 특정
보고가 TTI 마다 또는 몇 개의 TTI마다 잇는지 여부
WTRU가 몇 개의 TTI마다 보고해야 하는 경우, TTI의 정확한 수를 특정
WTRU 부여 요구 절대 또는 상대 요구가 이용될 것인지 여부
WTRU 부여 요구 단일 또는 복수 해피 비트가 사용될 것인지 여부
주기적 보고가 이용되는 경우, 부여 보고 사이클을 특정
하나의 RB 또는 RB 그룹의 "해피 비트"가 보고딜 것인지 여부
WTRU 부여 요구 평가를 위한 윈도우 사이즈
시그널링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토큰 버킷이 네가티브가 되도록 허용될 것인지 여부이다. 이 부가적인 파라미터에 의해 토큰 버킷 구현은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WTRU(210)는 패킷을 전송하는데 풍분한 수의 토큰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를 원할 수 있는 반면에, 토큰 버킷의 다른 구현은 토큰의 수가 0 이상이기만 하면 WTRU(210)이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후자의 구현에서 토큰 버킷은 네가티브가 되도록 허용된다. 토큰 버킷 구현이 네가티브 토큰 버킷이 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는 부가적인 시그널링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WTRU(210)가 그 파라미터를 eNB(220)에 시그널링하거나 네트워크가 그 파라미터를 eNB(220)를 통해 WTRU(210)에 시그널링한다. 시그널링의 조합도 지원될 수 있다.
하기 표 3은 표기 2에 나타낸 파라미터 이외에 시그널링될 수 있는 토큰 버킷 파라미터의 예를 보여준다.
표 3
베어러 버킷 파라미터
GBR 베어러 1 GBR 토큰 버킷 GBR
GBR토큰버킷사이즈(GBRtbs)
GBR인터-토큰 도달 주기(GBRitap)
MBR 토큰 버킷 MBR
MBR토큰버킷사이즈(MBRtbs)
MBR인터-토큰 도달 주기(MBRitap)
GBR 베어러 2 GBR 토큰 버킷 GBR
GBR토큰버킷사이즈(GBRtbs)
GBR인터-토큰 도달 주기(GBRitap)
MBR 토큰 버킷 MBR
MBR토큰버킷사이즈(MBRtbs)
MBR인터-토큰 도달 주기(MBRitap)
비GBR 베어러 3 Min-BR 토큰 버킷 MinBR
MinBR토큰버킷사이즈(MinBRtbs)
MinBR인터-토큰 도달 주기(MinBRitap)
비GBR 베어러 4 Min-BR 토큰 버킷 MinBR
MinBR토큰버킷사이즈(MinBRtbs)
MinBR인터-토큰 도달 주기(MinBRitap)
aMBR
비GBR 베어러 aMBR 토큰 버킷 aMBR토큰버킷사이즈(aMBRtbs)
aMBR인터-토큰 도달 주기(aMBRitap)
많은 파라미터가 RB 설정 또는 변경 단계에서 RRC 메시지를 통해 시그널링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토큰 버킷 관련 파라미터는 준정적(semi-static)이고 모든 부여에서 갱신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토큰 버킷 관련 파라미터가 시그널링 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반드시 모든 부여에서 이들 파라미터(예컨대 버킷 사이즈, 인터-토큰 도달 시간 등)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파라미터는 RB 설정 시 초기에 또는 RB 변경 중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표 2 또는 표 3에 기재된 토큰 버킷 파라미터 중 어느 것이 갱신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 파라미터들만이 eNB(220)로부터 WTRU(210)로 시그널링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표 2와 표 3에 기재된 파라미터를 이용하면, WTRU(210)가 지원할 수 있는 인터-토큰 도달 시간의 "범위" 및/또는 "입도(granularity)"와 같은 WTRU(210)의 능력, WTRU(210)가 지원할 수 있는 최소 및/또는 최대 버킷 사이즈 등이 시그널링된다. 예컨대 이들 파라미터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RB 설정 또는 변경 단계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표 2와 표 3에서 정의된 파라미터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덱스가 붙은 각 토큰 버킷 관련 파라미터의 여러 가지 변형을 가진 각 RB에 대한 표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그러면 그 RB에 대한 각 토큰 관련 파라미터의 인덱스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하나의 RB에 대한 여러 가지 토큰 관련 파라미터 조합에 대해 인덱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RB 관련 토큰 파라미터에 대한 하나의 인텍스만이 시그널링된다. GBR 및 MBR 토큰 버킷과 같이 GBR 및 비GBR에 대한 파라미터는 시그널링을 위해 하나의 인덱스 표를 공유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표 내의 여러 가지 RB에 대한 여러 가지 토큰 관련 파라미터에 대해 인덱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GBR 또는 MBR에 대해 한 하나의 파라미터 세트만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파라미터는 표준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시그널링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덱스는 하나의 RB에 관련된 파라미터 또는 복수의 RB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WTRU(210)는 토큰 관련 파라미터를 로컬방식으로 저장하고 적당한 파라미터를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도 있다. 예컨대 WTRU(210)는 자신의 구현 종속 토큰 사이즈, 인터-토큰 도달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WTRU는 필요하다면 이들 파라미터를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에 통지할 수 있다. 일례에서 이 시그널링은 WTRU 능력 정보 보고 형태일 수 있다.
지금까지 특성과 요소들이 특정 조합으로 설명되었지만, 각 특성 또는 요소는 다른 특성과 요소없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특성과 요소와의 여러 가지 조합이나 다른 특성이나 요소가 없는 여러 가지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방법이나 플로우차트는 범용 컴퓨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로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장형 하드 디스크와 착탈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 자기 광 매체, CD-ROM 디스크와 같은 광 매체,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가 있다.
적당한 프로세서의 예로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회로, 기타 다른 형태의 집적 회로, 및/또는 상태 머신이 있다.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프로세서는 무선 송수신 장치(WTRU), 사용자 장비(UE), 단말기,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또는 임의의 호스트 컴퓨터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WTRU는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모듈, 비디오폰, 스피커폰, 진동 장치, 스피커, 마이크로폰, 텔레비젼 트랜시버, 핸즈 프리 헤드셋, 키보드, 블루투쓰(Bluetooth®) 모듈, 주파수 변조(FM) 라디오 장치, 액정 표시(LCD)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장치,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및/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UWB(Ultra Wide Band) 모듈과 같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모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서 구현된 업링크(UL) 고갈 회피 방법.
2. 실시예 1에 있어서,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3.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진화형 노드 B(eNB)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4.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eNB로부터 부여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여는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을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5.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현재 버퍼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R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6. 실시예 1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현재 버퍼 상태 정보가 복수의 R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7. 실시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RB에 대한 현재 토큰 버킷 사이즈에 기초한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8. 실시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토큰 버킷 사이즈는 GBR(guaranteed bit rate), MBR(maximum bit rate), 및/또는 PBR(prioritized bit rate) 중 어느 것에 대한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9. 실시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RB에 대한 총 토큰 수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0. 실시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1. 실시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에 있어서, 보고 트리거링은 소정 임계치 이하로 감소되는 RB에 대한 토큰 값을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2. 실시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현재 버퍼 상태 정보가 버퍼 점유(BO)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3. 실시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충분한 토큰이 축적되는 목표 시간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 갈 회피 방법.
14. 실시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버퍼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5. 실시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버퍼 상태의 평가에 기초하여 부여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6. 실시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버퍼 상태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7. 실시예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부여 요구가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8.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부여 요구가 복수의 비트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9. 실시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RB)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표시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0. 실시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부여 요구가 적어도 하나의 토큰 버킷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1. 실시예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토큰 버킷 내의 패킷 전송을 위한 토큰 값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2. 실시예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3. 실시예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된 패킷의 크기와 같은 토큰 버킷에서 토큰 값을 감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4. 실시예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토큰 버킷에서 토큰 값을 감산하는 단계는 토큰 수를 0 이하로 감소시키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5. 실시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토큰 버킷 내의 패킷 전송을 위한 최소 토큰 수를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6. 실시예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가 토큰 버킷 내의 토큰 수를 최소 토큰 수 이하로 감소시킬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7. 실시예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정 판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8. 실시예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 파라미터가 패킷 전송을 위한 최소 토큰 수가 0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9. 실시예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 파라미터가 최소 토큰 수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30. 실시예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WTRU.
31. 실시예 1 내지 에 있어서,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WTRU.
32. 실시예 30 또는 31에 있어서,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WTRU.
33. 실시예 30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WTRU.
34. 실시예 30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WTRU.
35. 실시예 30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eNB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WTRU.
36. 실시예 30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eNB로부터 부여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여는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을 포함하는 WTRU.
37. 실시예 30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RB에 대한 정보를 버퍼 상태 정보에 포함하도록 구성된 WTRU.
38. 실시예 30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RB에 대한 정보를 버퍼 상태 정보에 포함하도록 구성된 WTRU.
39. 실시예 30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토큰 버킷 내의 패킷 전송을 위한 토큰 값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WTRU.
40. 실시예 30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된 패킷의 크기와 같은 토큰 버킷에서 토큰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WTRU.
41. 실시예 30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토큰 버킷에서 상기 토 큰 값을 감산하는 것은 토큰 수를 0 이하로 감소시키는 WTRU.
42. 실시예 30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정 임계치는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WTRU에 표시된 WTRU.
43. 실시예 30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 파라미터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된 WTRU.
44. 실시예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eNB.
45. 실시예 44에 있어서,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eNB.
46. 실시예 44 또는 45에 있어서,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eNB.
47. 실시예 44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eNB.
48. 실시예 44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WTRU로부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eNB.
49. 실시예 44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eNB.
50. 실시예 44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WTRU에 부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eNB.

Claims (29)

  1.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서 구현되는 업링크(UL) 고갈 회피(starvation avoidance) 방법에 있어서,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진화형 노드 B(eNB; evolved Node B)를 보고하며;
    상기 eNB로부터 소정 부여(grant)를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부여는 상기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을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bearer)(R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는 복수의 R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RB에 대한 현재 토큰 버킷(bucket) 사이즈에 기초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버킷 사이즈는 GBR(guaranteed bit rate), MBR(maximum bit rate), 및 PBR(prioritized bit rate)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RB에 대한 총 토큰 수를 보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를 트리거(trigger)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하는 것은 소정 임계치 이하로 감소되는 RB에 대한 토큰 값을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는 버퍼 점유(BO)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충분한 토큰이 축적되는 목표 시간을 보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1.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서 구현되는 업링크(UL) 고갈 회피 방법에 있어서,
    버퍼 상태를 평가하고;
    상기 버퍼 상태의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부여 요구를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를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 요구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 요구는 복수의 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RB)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표시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 요구는 적어도 하나의 토큰 버킷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17. 수신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통신하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진화형 노드 B(eNB)에 보고하고, 상기 eNB로부터 부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부여는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의 결정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RB)에 대한 정보를 상기 버퍼 상태 정보에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인, WTRU.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복수의 RB에 대한 정보를 상기 버퍼 상태 정보에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인, WTRU.
  20. 수신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통신하며,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으로부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WTRU가 축적할 수 있는 토큰 수를 결정 하고, 상기 WTRU에 소정 부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진화형 노드 B(eNB).
  21.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서 구현되는 업링크(UL) 고갈 회피 방법에 있어서,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토큰 버킷 내의 패킷 전송을 위한 토큰 값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된 패킷의 크기와 같은 토큰 버킷에서 토큰 값을 감산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버킷에서 상기 토큰 값을 감산하는 것은, 토큰 수를 0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3.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서 구현되는 업링크(UL) 고갈 회피 방법에 있어서,
    토큰 버킷 내의 패킷 전송을 위한 최소 토큰 수를 나타내는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상기 토큰 버킷 내의 토큰 수를 상기 최소 토큰 수 이하로 감소시킬 것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패킷 전송을 위한 상기 최소 토큰 수가 0 이하인 것으로 표시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최소 토큰 수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인, 업링크 고갈 회피 방법.
  26. 수신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통신하며, 현재 버퍼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토큰 버킷 내의 패킷 전송을 위한 토큰 값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된 패킷의 크기와 같은 토큰 버킷에서 토큰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버킷에서 상기 토큰 값을 감산하는 것은 토큰 수를 0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인, WTRU.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WTRU에 표시되는 것인, WTRU.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는 것인, WTRU.
KR1020097021478A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132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74107P 2007-03-14 2007-03-14
US60/894,741 2007-03-14
PCT/US2008/003240 WO2008112233A2 (en) 2007-03-14 2008-03-12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plink starvation avoidance in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724A Division KR101372184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3113A true KR20090133113A (ko) 2009-12-31
KR101132133B1 KR101132133B1 (ko) 2012-07-04

Family

ID=3970889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128A KR101507677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0097021478A KR101132133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0097024724A KR101372184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0137006366A KR101372210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0147005794A KR20140048317A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128A KR101507677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724A KR101372184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0137006366A KR101372210B1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0147005794A KR20140048317A (ko) 2007-03-14 2008-03-12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8385196B2 (ko)
EP (2) EP2135406A2 (ko)
JP (5) JP4806077B2 (ko)
KR (5) KR101507677B1 (ko)
CN (2) CN101636984A (ko)
AR (1) AR065743A1 (ko)
AU (1) AU2008226860A1 (ko)
BR (1) BRPI0808234A2 (ko)
CA (1) CA2680784C (ko)
MX (1) MX2009009801A (ko)
MY (1) MY151416A (ko)
RU (1) RU2432698C2 (ko)
TW (2) TWI528848B (ko)
WO (1) WO20081122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77B1 (ko) * 2007-03-14 2015-03-3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JP5052258B2 (ja) * 2007-08-15 2012-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GB2452698B (en) * 2007-08-20 2010-02-24 Ipwireles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04916A1 (en) * 2007-09-26 2009-04-23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ignalling of buffer status information
US8064382B2 (en) * 2007-09-28 2011-11-22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22293B1 (ko) * 2007-10-05 2014-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률 조정 방법 및 장치
MX2010004970A (es) * 2007-11-05 2010-07-30 Nokia Siemens Networks Oy Sistema y metodo de gestion de informes de estado de memoria temporal.
TWI392261B (zh) * 2007-12-13 2013-04-01 Innovative Sonic Ltd 無線資源分配的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US9167594B2 (en) * 2008-09-22 2015-10-20 Htc Corpo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of a trigger mechanism of buffer status report and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41934B2 (en) * 2008-11-11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UE QoS/UL packet build in LTE
US8693316B2 (en) * 2009-02-10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resource negotiation and allocation over a wireless interface
CN102984752B (zh) * 2009-03-04 2016-09-0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状态报告发送方法及移动终端
CN101827398B (zh) * 2009-03-05 2012-10-0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无线承载状态发送方法及装置
CN102742320B (zh) * 2009-03-20 2016-04-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上行链路的主动队列管理
US20100271990A1 (en) * 2009-04-24 2010-10-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buffer status reports with packet discarding
CN101951643B (zh) * 2009-09-03 2014-04-23 开曼群岛威睿电通股份有限公司 通信接入程序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10261747A1 (en) 2010-04-02 2011-10-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via a relay node
US8483058B2 (en) 2010-08-17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policing
US20120127864A1 (en) * 2010-11-22 2012-05-24 Avaya Inc. Performing policing operations in packet time
JP5772380B2 (ja) * 2011-08-11 2015-09-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5803418B2 (ja) * 2011-08-18 2015-11-0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ES2429663B1 (es) * 2012-02-28 2015-04-13 Telefónica, S.A. Método y sistema para planificar el enlace descendente en redes de evolución a largo plazo (lte) basándose en calidad de servicio (qos)
US20140370835A1 (en) * 2013-06-14 2014-12-18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Establishment during Reception of Public Warning System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CN110933686B (zh) * 2013-07-17 2023-01-17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EP3249968B1 (en) 2013-09-26 2019-10-23 Fujitsu Connected Technologies Limite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US20150172066A1 (en) * 2013-12-13 2015-06-18 Qualcomm Incorporated Practical implementation aspects of unicast fetch for http streaming over embms
CN104754750B (zh) * 2013-12-31 2018-10-19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和装置
TWI538425B (zh) 2014-04-14 2016-06-11 微晶片科技公司 藍牙介面的資料傳輸系統及傳輸方法
CN106576257B (zh) 2014-08-30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参数调整方法和基站设备
CN106257958B (zh) * 2015-06-30 2019-10-1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消息接收方法及其装置
US10420128B2 (en) * 2016-11-11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ata transf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mix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CN108235346B (zh) * 2016-12-22 2021-03-16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在lte系统中监测不活动ue的方法和装置
JP6409170B2 (ja) * 2017-04-06 2018-10-24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基地局、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835655B (zh) * 2020-07-13 2022-06-28 北京轻网科技有限公司 共享带宽限速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4979A (en) 1995-01-13 1997-08-05 Qualcomm Incorporated Cell site demodulation architecture for a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FI100155B (fi) * 1995-11-09 1997-09-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Liikenteen mittaus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5819177A (en) 1996-03-20 1998-10-06 Dynamic Telecommunications, Inc. Fixed wireless terminals with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W317058B (en) * 1996-04-23 1997-10-01 Ibm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a wireless access to an atm network
US6469991B1 (en) * 1997-10-14 2002-10-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overload control in a multiple access system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6115390A (en) 1997-10-14 2000-09-05 Lucent Technologies, Inc. Bandwidth reservation and collision resolution method for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networks where remote hosts send reservation requests to a base station for randomly chosen minislots
US6192032B1 (en) * 1998-01-02 2001-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te attenu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ducing low priority video frame packets transmitted over a network
US6385461B1 (en) * 1998-11-16 2002-05-07 Ericsson Inc. User group indication and status change in radiocommunications systems
JP2000183880A (ja) 1998-12-17 2000-06-30 Fujitsu Ltd パケット流量監視装置
EP1033846A1 (en) * 1999-03-01 2000-09-06 Alcatel Process for controlling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977930B1 (en) * 2000-02-14 2005-12-20 Cisco Technology, Inc. Pipelined packet switching and queuing architecture
US6801500B1 (en) * 2000-05-18 2004-10-0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erved rates to multiple flows on a network interface
US8032653B1 (en) * 2000-09-08 2011-10-04 Juniper Networks, Inc. Guaranteed bandwidth sharing in a traffic shaping system
US6950395B1 (en) * 2000-12-31 2005-09-2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token bucket metering or policing system with a delayed filling scheme
KR20030057648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동기전송모드 레이어의 폴리싱 장치 및 그 방법
US7349342B2 (en) * 2003-03-17 2008-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ffic metering in data networks
US7349338B2 (en) 2003-04-15 2008-03-25 Lucent Technologies Inc Scheduler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734805B2 (en) * 2003-04-15 2010-06-08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713442B1 (ko) 2004-02-1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을 통한 스케쥴링 정보의 전송방법
US8583156B2 (en) 2004-04-30 2013-11-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mount-of-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control-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1728338A4 (en) * 2004-05-06 201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 RECEIVING TRANSMIT STATUS AND HAZARD CONDI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ACKAGE SERVICE IN UPWARD DIRECTION
KR100678184B1 (ko) 2004-05-19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의 스케줄링방법 및 장치
KR20060077521A (ko) * 2004-12-30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110961B9 (en) * 2005-04-01 2012-01-04 Panasonic Corporation "Happy Bit" set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653396B2 (en) * 2005-08-15 2010-01-26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assigning uplink and/or downlink capacities based on available capacity
KR101019002B1 (ko) * 2005-10-26 2011-03-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자원 이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에 대한 최소레이트 보증
FR2895616A1 (fr) * 2005-12-27 2007-06-29 France Telecom Mecanisme auto-adaptatif de gestion de flux dans un reseau partage a acces multiple
KR101132132B1 (ko) * 2007-03-08 2012-04-0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페이징 부하의 균형 및 추적 영역 업데이트의 할당
KR101507677B1 (ko) * 2007-03-14 2015-03-3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US8072953B2 (en) * 2007-04-24 2011-12-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ome Node-B identification and access restriction
US8670394B2 (en) * 2007-08-14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quests
TWI392261B (zh) * 2007-12-13 2013-04-01 Innovative Sonic Ltd 無線資源分配的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US8441934B2 (en) * 2008-11-11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UE QoS/UL packet build in L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80784C (en) 2013-12-10
CN103746936A (zh) 2014-04-23
JP2012178872A (ja) 2012-09-13
TWI483591B (zh) 2015-05-01
KR101372184B1 (ko) 2014-03-14
US20140185448A1 (en) 2014-07-03
JP4806077B2 (ja) 2011-11-02
KR101507677B1 (ko) 2015-03-31
AU2008226860A1 (en) 2008-09-18
TWI528848B (zh) 2016-04-01
US20080225725A1 (en) 2008-09-18
KR20100017412A (ko) 2010-02-16
TW200841757A (en) 2008-10-16
KR20140048317A (ko) 2014-04-23
AR065743A1 (es) 2009-06-24
CN101636984A (zh) 2010-01-27
RU2432698C2 (ru) 2011-10-27
KR20130133085A (ko) 2013-12-05
MX2009009801A (es) 2009-10-12
RU2009137923A (ru) 2011-04-20
US8385196B2 (en) 2013-02-26
WO2008112233A2 (en) 2008-09-18
KR20130042016A (ko) 2013-04-25
TW201206226A (en) 2012-02-01
WO2008112233A3 (en) 2008-11-13
MY151416A (en) 2014-05-30
JP2012005141A (ja) 2012-01-05
US9398524B2 (en) 2016-07-19
EP2135406A2 (en) 2009-12-23
US20150230163A1 (en) 2015-08-13
KR101132133B1 (ko) 2012-07-04
JP2014233082A (ja) 2014-12-11
US20130170355A1 (en) 2013-07-04
US8699334B2 (en) 2014-04-15
EP2479944A1 (en) 2012-07-25
JP2010521874A (ja) 2010-06-24
US9042231B2 (en) 2015-05-26
KR101372210B1 (ko) 2014-03-07
CA2680784A1 (en) 2008-09-18
EP2479944B1 (en) 2019-11-27
JP5592435B2 (ja) 2014-09-17
BRPI0808234A2 (pt) 2014-07-22
JP2016201827A (ja) 2016-12-01
CN103746936B (zh)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133B1 (ko) 롱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고갈 회피 지원 방법 및 장치
IL200892A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PREVIOUS QUALITY RELATIONSHIP WITH A SATELLITE IN A DEVELOPING LONG TERM SYSTEM
US8923271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347784B (zh) 一种资源调度方法以及无线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CN111356172B (zh) 通信方法、装置、终端、网络设备及存储介质
JP5480237B2 (ja) 通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無線局
JP5480236B2 (ja) 通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無線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