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817A - 플라스틱 마루발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마루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817A
KR20090132817A KR1020080058992A KR20080058992A KR20090132817A KR 20090132817 A KR20090132817 A KR 20090132817A KR 1020080058992 A KR1020080058992 A KR 1020080058992A KR 20080058992 A KR20080058992 A KR 20080058992A KR 20090132817 A KR20090132817 A KR 2009013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loorboard
present
foot
upp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학순
Original Assignee
곽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학순 filed Critical 곽학순
Priority to KR102008005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2817A/ko
Publication of KR2009013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마루발에 관한 것으로, 마루바닥 시공이 경제적이면서 용이하고, 바닥 충격 흡수 및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루발은, 플라스틱을 소재로하여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고정대; 및 하부에 상기 상부 고정대와 반대인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하부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대와 마루판이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부 고정대와 건물 바닥이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루발, 바닥, 충격, 진동, 나무바닥, 마루시공

Description

플라스틱 마루발{A plastic flooring foot}
본 발명은 마루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바닥 시공이 경제적이면서 용이하고, 바닥 충격 흡수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업시설의 무도장, 헬스클럽, 에어로빅장, 검도장 등의 체육관 및 학교 교실 바닥의 바닥재는 운동선수 또는 학생들의 안전을 위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와 나무로 된 마루판을 어긋나게 배치한 마루바닥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루바닥의 시공을 위하여, 마루판의 하부에 각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합판을 설치하여, 마루판과 합판을 못으로 고정하는 장선식 공법이 사용되었다.
장선식공법의 장점으로는, 건물바닥과 마루판이 뜬 바닥구조를 이루어 통기성을 확보하고 충격을 흡수하면서 마루판의 변형 즉 공사 하자가 적다.
그러나 장선식공법은 시공성과 경제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장선식 공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루판의 하부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물 바닥에 접착하는 접착식 공법이 제안되었다. 접착식 공법은 접착제에 의해 마루판을 건물 바닥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료되어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지만, 접착제에서 발생되는 환경 호르몬 문제, 바닥의 탄성 부족 등의 문제를 갖는다.
또 다른 기술로는, 마루판의 혀부와 홈부에만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하는 현가식 공법이 있다. 현가식 공법은 접착제의 사용량이 적지만 여전히 환경 호르몬 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으며, 바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충격음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와 마루판이 건물바닥과 떨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나무의 수축팽창에 따른 마루판 휨 현상을 해결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접착식공법 및 현가식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 고 또한, 장선식공법에서 나무각재와 합판을 제거하면서도 장점만을 도출한 것으로서, 마루바닥 시공이 경제적이면서 용이하고, 바닥 충격흡수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루발은, 마루판과 건물 바닥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고정대와 마루판이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고정대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 고정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루발의 위치 확인을 돕는 맞춤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루발에는 하부에 상기 상부 고정대와 반대인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하부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고정대와 건물 바닥이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바닥의 일측에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마루발을 접착하는 접착단계,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마루판과 마루발을 결합하는 제1결합단계 및,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마루판과 결합된 마루발을 건물 바닥과 결합하는 제2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마루발과 건물 바닥 및 마루발과 마루판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장선식공법의 장점인 통기성 확보를 위한 뜬 바닥구조와 동시에 건물바닥 및 마루판의 일체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바닥에 비닐시트를 도포함으로써 콘크리트 건조 중에 발생되는 수분이 마루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 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마루발)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루발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루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루발(100)은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상부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맞춤대(101)가 형성되어, 마루판에 마루발을 고정할 때 정확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마루발(100)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고정대(102)가 형성되어 결합 부재에 의해 마루판에 결합된다. 결합 부재는 스태플러의 일종인 소위 '타카'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마루발(100)의 하부에는 상부 고정대(102)와 반대인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하부 고정대(103)가 형성되어 결합 부재에 의해 건물 바닥에 결합된다. 맞춤대(101), 상부 고정대(102) 및 하부 고정대(103)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들을 통틀어 경질부(110)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고정대와 대응되도록 하부고정대가 포함되도록 하였으나, 하부고정대와 결합부재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루발이 건물 바닥이 결합되는 부분은 실리콘 등으로 접착하거나, 접착제 없이 상부에서 눌러지는 지지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질부(110)의 하부에는 연질부(120)가 결합된다. 연질부(120)의 바닥은 접착 부재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실리콘과 같은 접착 부재가 접착 부재 삽입홈(121)에 삽입되어 건물 바닥에 연질부(120)가 접착되도록 돕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경질부와 연질부를 나누어서 기재하였으나, 별도의 구분 없이 동등한 형태로 전체를 경질부 또는 중질부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공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루발을 이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1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2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3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4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단계, 건물 바닥(10)을 정리한다. 건물 바닥의 정리 작업은, 바닥의 돌출부위 제거 및 청소 작업이 포함될 수 있다. 정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측벽(11)으로부터 20mm 정도의 공간을 두고 비닐시트(14)를 깔아둔다. 비닐시트(14)는 콘크리트의 건조 중에 발생하는 수분이 마루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의 상태가 도2에 도시된다.
제2단계, 결합 부재(21)를 사용하여 마루판(30)의 양측에 마루발(100)을 먼저 고정한 뒤 결합 부재(22)를 사용하여 건물 바닥(10)의 일측에 고정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3에 도시된다.
제3단계, 결합 부재(21)를 사용하여 마루판(30)과 마루발(100) 하나를 결합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4에 도시된다.
제4단계, 결합 부재(22)를 사용하여 마루판(30)과 결합된 마루발(100)을 건물 바닥(10)과 결합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5에 도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루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1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2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3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방법의 제4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마루발 110: 경질부
120: 연질부

Claims (3)

  1. 마루판과 건물 바닥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고정대와 마루판이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마루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대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 고정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루발의 위치 확인을 돕는 맞춤대;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마루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발에는
    하부에 상기 상부 고정대와 반대인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하부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고정대와 건물 바닥이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마루발.
KR1020080058992A 2008-06-23 2008-06-23 플라스틱 마루발 KR20090132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992A KR20090132817A (ko) 2008-06-23 2008-06-23 플라스틱 마루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992A KR20090132817A (ko) 2008-06-23 2008-06-23 플라스틱 마루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817A true KR20090132817A (ko) 2009-12-31

Family

ID=4169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992A KR20090132817A (ko) 2008-06-23 2008-06-23 플라스틱 마루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28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53U (ko) * 2016-03-18 2017-09-27 (주)쌔즈믄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53U (ko) * 2016-03-18 2017-09-27 (주)쌔즈믄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0200848D0 (sv) Golvskivor med dekorativa spår
JP6496831B2 (ja) 施工、撤去及び維持補修が容易な非接着式底密着型組立式床板及びこれを利用した床板の密着施工方法
ATE386852T1 (de) Verfahren zur installation von dämmplatten
JP4396535B2 (ja) 置敷床材及びこれを用いた床施工構造
KR20100078650A (ko) 체육관 마루판 지지구조물
KR20090132817A (ko) 플라스틱 마루발
KR100648453B1 (ko) 방음 ·방진 장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루구조
JP4662865B2 (ja) リフォーム用床材
JP2012180655A (ja) 床構造及び建物
JP5546401B2 (ja) 木造住宅上層階用床構造
JP5570932B2 (ja) 入隅部手摺下地構造
JP2001115631A (ja) 床仕上材の連結構造
JP7290853B2 (ja) 床下地材、床形成部材、床構造及び床構造の施工方法
JP5901204B2 (ja) 遮音床構造
KR100852201B1 (ko) 마루판 받침구 및 이를 이용한 마루구조
KR200476254Y1 (ko) 단열재
JP2006200347A (ja) 床遮音複合材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JP2006083587A (ja) 幅木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音床
JP2009270372A (ja) 二重床構造
KR100981921B1 (ko)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KR100659513B1 (ko) 층간 차음구조체
JP5220459B2 (ja) 床下地構造の際根太
JP2009046870A (ja) 床材の施工方法
JPH05401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