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476A - 백라이트 모듈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476A
KR20090132476A KR1020080104433A KR20080104433A KR20090132476A KR 20090132476 A KR20090132476 A KR 20090132476A KR 1020080104433 A KR1020080104433 A KR 1020080104433A KR 20080104433 A KR20080104433 A KR 20080104433A KR 20090132476 A KR20090132476 A KR 2009013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secondary winding
transformer
voltage
voltag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이슝 리이
훙창 량
위쑈우 쪼우
Original Assignee
앰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앰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앰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3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 위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제어회로,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1차 권선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을 구비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에 설치되고,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한편,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전압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제어회로는 상기 전압변화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모듈{BACKLIGHT MODULE}
본 발명은 백라이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되는 전압의 이상(異常)을 보호하는 백라이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력전압의 보호(과전압에 대한 보호 및 부족전압에 대한 보호)는, 백라이트 모듈의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의 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구동장치는, 전원제어회로(11), 광원모듈(12), 변압기(T1),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11)는, 전원회로(110), 제어회로(111) 및 보호회로(112)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회로(110)는, 전원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변압기(T1)는,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구비한다.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전원회로(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2차 권선은, 상기 광원모듈(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변압기(T1)는, 상기 전원신호를 상기 광원모듈(12)의 구동에 적용하는 교류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는, 상기 변압기(T1)의 상기 2차 권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 직렬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콘덴서(C1) 및 제2 콘덴서(C2)는, 상기 변압기(T1)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의 전압을 분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보호회로(112)는, 상기 제1 콘덴서(C1)와 상기 제2 콘덴서(C2)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술한 분압상황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보호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회로(111)는, 상기 전원회로(110)와 상기 보호회로(112)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111)는, 상기 보호회로(112)로부터의 보호신호를 접수하는 한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회로(110)의 전압의 출력을 제어한다.
통상, 상기 제1 콘덴서(C1)는, 고전압 콘덴서 혹은 다층 회로기판 내에 설치된 표유 용량(Stray Capacity)형 콘덴서이다. 또, 상기 제1 콘덴서(C1)와 상기 제2 콘덴서(C2)가 분압회로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기 변압기(T1)로부터 출력하는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전원제어회로(11)로부터 출력하는 전압을 보호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전압 콘덴서는, 체적이 크기 때문에, 상기 회로기판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비용이 높은 결점이 있다. 상기 다층 회로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표유 용량형 콘덴서는, 다층구조(적어도 2층)로 형성된 회로기판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높은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전압을 보호하는 한편 비용이 낮은 백라이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회로기판 위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모듈에 있어서,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제어회로와,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1차 권선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을 구비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에 설치되고, 전자기유도(Electromagnetically Induced)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한편,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전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회로는 상기 전압변화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라이트 모듈은, 전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기유도방식으로 변압기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라이트 모듈은, 부품의 수량을 줄이고, 단층구조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을 저감할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2)의 회로도이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2)은, 변압기(21), 전압센서(22), 전원제어회로(23)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23)는 전원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변압기(21)는, 1차 권선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을 구비한다.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전원제어회로(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압센서(22)는, 상기 변압기(21)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압센서(22)는, 전자기유도방식으로 2차 권선의 고전압단의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한편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23)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23)는, 상기 전압센서(22)의 전압변화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신호출력을 조절한다.
이하, 상술한 전자기유도의 동작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2)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변압기(21)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에는 고전압 교류신호가 흐른다. 이 교류신호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000볼트 이상이다. 상기 고전압의 교류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 비교적 강한 전자기필드(Electromagnetic Field)가 발생함과 더불어, 유리(遊離)상태의 전자가 방출된다.
도체인 상기 전압센서(22)는, 상기 전자기필드에서 상기 교류신호를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유리상태의 전자를 흡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전압센서(22)는 상기 변압기(21)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3)의 사시도이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3)은, 회로기판(30)에 설치되고, 변압기(31), 전압센서(32), 전원제어회로(33)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33)는 전원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변압기(31)는, 1차 권선(311)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312)을 구비한다. 상기 1차 권선(311)은 상기 전원제어회로(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변압기(31)는, 적어도 하나의 예비(豫備)접속부(313)를 구비한다. 제조업자가 변압기를 제조할 때, 복수개의 접속부를 설치한다. 상기 복수개의 접속부에서, 대부분의 접속부는 변압기의 코일을 감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접속부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나머지 접속부는, 변압기의 매개 접속부의 전기적 평형을 유지하거나, 이후 손실되는 접속부의 교체에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예비접속부(313)는 상술한 나머지 접속부이다. 상기 예비접속부(313)의 상기 변압기(31) 측의 단부는 사용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한 타단부는 상기 회로기판(3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압센서(32)는, 상기 변압기(31)의 2차 권선(312)의 고전압단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압센서(32)는,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312)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한편,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33)로 전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압센서(32)는, 신호선으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신호선은, 상기 회로기판(30) 위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변압기(31)의 예비접속부(3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신호선은 상기 예비접속부(313)를 통해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변압기(31)의 2차 권선(312)의 고전 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33)는, 상술한 전압변화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이하, 상술한 전자기유도의 동작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3)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변압기(31)의 2차 권선(312)의 고전압단에는 고전압의 교류신호가 흐른다. 이 교류신호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000볼트 이상이다. 상기 고전압 교류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 비교적 강한 전자기필드가 발생함과 더불어, 유리상태의 전자가 방출된다.
상기 전압센서(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체로 형성된 상기 변압기(31)의 예비접속부(313)는, 상기 전자기필드에서 상기 교류신호를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유리상태의 전자를 흡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전압센서(32)는 상기 변압기(31)의 2차 권선(312)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4)의 사시도이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4)은, 회로기판(40)에 설치되고, 변압기(41), 전압센서(42), 전원제어회로(43)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43)는 전원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변압기(41)는, 1차 권선(411)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412)을 구비한다. 상기 1차 권선(411)은 상기 전원제어회로(4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압센서(42)는, 상기 변압기(41)의 2차 권선(412)의 고전압단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압센서(42)는,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412)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한편,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 로(43)로 전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압센서(42)는, 동박(銅箔)(421)과 신호선(422)을 구비한다. 상기 동박(421)은, 상기 변압기(41)의 2차 권선(412)측의 회로기판(40) 위에 설치되고,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412)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상기 신호선(422)은, 상기 회로기판(40) 위에 설치되고, 한쪽 끝단이 상기 동박(4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전원제어회로(4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신호선(422)은 상기 동박(421)이 측정한 2차 권선(412)의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43)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43)는, 상술한 전압변화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이하, 상술한 전자기유도의 동작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4)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변압기(41)의 2차 권선(412)의 고전압단에는 고전압 교류신호가 흐른다. 이 교류신호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000볼트 이상이다. 상기 고전압 교류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 비교적 강한 전자기필드가 발생함과 더불어, 유리상태의 전자가 방출된다.
도체인 상기 전압센서(42)의 동박(421)은, 상기 전자기필드에서 상기 교류신호를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유리상태의 전자를 흡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전압센서(42)는 상기 변압기(41)의 2차 권선(412)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4)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모듈의 구조는, 도 4의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모듈의 구조와 비슷하다. 다른 점은, 도 5의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모듈에 있어서, 전압센서(42)로 서 센스(Sense)신호선(423)을 채용하는 것이다. 상기 센스신호선(423)은, 회로기판(40) 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스신호선(423)의 한쪽 끝단은 상기 변압기(41)의 2차 권선(412)의 고전압단 측에 설치되어,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412)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상기 센스신호선(423)의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전원제어회로(4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43)에로 전송한다.
이하, 상술한 전자기유도의 동작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4)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변압기(41)의 2차 권선(412)의 고전압단에는 고전압 교류신호가 흐른다. 이 교류신호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000볼트 이상이다. 상기 고전압 교류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 비교적 강한 전자기필드가 발생함과 더불어, 유리상태의 전자가 방출된다.
도체인 상기 센스신호선(423)은, 상술한 전자기필드에서 상기 교류신호를 유도(감응)함과 동시에, 상기 유리상태의 전자를 흡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센스신호선(423)은 상기 변압기(41)의 2차 권선(412)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의 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4 : 백라이트 모듈
30, 40 : 회로기판
31, 41 : 변압기
311, 411 : 1차 권선
312, 412 : 2차 권선
313 : 예비접속부
22, 32, 42 : 전압센서
23, 33, 43 : 전원제어회로
421 : 동박
422 : 신호선
423 : 센스신호선

Claims (5)

  1. 회로기판 위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모듈로서,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제어회로,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1차 권선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을 구비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에 설치되고,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의 고전압단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한편,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전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회로는, 상기 전압변화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예비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비접속부의, 상기 변압기 측에 설치되어 있는 단부는 사용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타단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서로서 신호선을 채용하고,
    상기 신호선의 한쪽 단부는 예비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서는,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 측의 회로기판 위에 설치되고,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동박과, 한쪽 끝단이 상기 동박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한쪽 끝단이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동박이 측정한 상기 2차 권선의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에로 전송하는 신호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서로서 센스신호선이고, 회로기판 위에 설치되며 한쪽 끝단이 변압기의 2차 권선의 고전압단 측에 설치되어 전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2차 권선의 전압변화를 측정하고, 다른 한쪽 끝단이 전원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측정한 전압변화정보를 상기 전원제어회로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모듈.
KR1020080104433A 2008-06-20 2008-10-23 백라이트 모듈 KR20090132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067944.5 2008-06-20
CN2008100679445A CN101610619B (zh) 2008-06-20 2008-06-20 背光模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476A true KR20090132476A (ko) 2009-12-30

Family

ID=4143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433A KR20090132476A (ko) 2008-06-20 2008-10-23 백라이트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315472A1 (ko)
JP (1) JP5180025B2 (ko)
KR (1) KR20090132476A (ko)
CN (1) CN1016106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028A (ko) * 2015-11-19 2017-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677B1 (ko) * 2001-12-25 2007-03-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892584B1 (ko) * 2002-08-26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002321B1 (ko) * 2003-12-16 2010-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JP4716105B2 (ja) * 2005-11-14 2011-07-06 ミネベア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JP2007184244A (ja) * 2005-12-08 2007-07-19 Sony Corp 点灯駆動装置、光源装置、表示装置
JP2007180263A (ja) * 2005-12-28 2007-07-12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トランスおよびトランスを搭載した表示装置。
KR100782664B1 (ko) * 2006-11-29 2007-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유도 전압 검출 방식 보호 회로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US7554319B1 (en) * 2008-02-28 2009-06-30 Youling Li Circuits and methods for voltage sen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028A (ko) * 2015-11-19 2017-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0619A (zh) 2009-12-23
US20090315472A1 (en) 2009-12-24
JP5180025B2 (ja) 2013-04-10
JP2010003666A (ja) 2010-01-07
CN101610619B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0009B (zh) 半导体集成电路和包括半导体集成电路的驱动设备
US7294973B2 (en) Discharge tube lighting apparatus, light source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9030856B2 (en) High voltage inverter device and electrical leakage detector thereof
US6813316B2 (en) Array for the transmission of electrical energy or signals
US20070108921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TWI391029B (zh) 放電燈驅動系統
CN106487100B (zh) 线圈装置及无线电力传输装置
US20150263184A1 (en) Photocoupler
JP2009064568A (ja) 電圧異常検出回路を備えたdc/acインバータ基板
WO2017110049A1 (ja) 電池管理システム
KR20090132476A (ko) 백라이트 모듈
CN106471379B (zh) 感测流动通过电容器的电流
CN104126208A (zh) 带有电子构件的功率变压器
JP6152587B2 (ja) 電力変換装置
KR20050047485A (ko) 백 라이트 유닛
US11770024B2 (en) Mouse pad having multi-coil capable of a dynamically adjusted configuration
US7612974B2 (en) Backlight unit having protection circuit using induced voltage detection
US20070190890A1 (en) Lamp circuit of liquid crystal device backlight source
US20100213863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CN102843854B (zh) 用于压缩机外壳的印刷电路板
JP3158030U (ja) トランス及びトランス回路
US20090230877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KR102183319B1 (ko) 누설 전류 차단 및 온도 변화 감지 기능이 구비된 산업용 노이즈 필터
KR100952747B1 (ko) 페라이트코어의 유기전압을 이용한 인버터
JP2007048699A (ja) 放電管点灯用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