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280A -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280A
KR20090132280A KR1020080058476A KR20080058476A KR20090132280A KR 20090132280 A KR20090132280 A KR 20090132280A KR 1020080058476 A KR1020080058476 A KR 1020080058476A KR 20080058476 A KR20080058476 A KR 20080058476A KR 20090132280 A KR20090132280 A KR 2009013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light
acoustic signal
frequency
ligh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223B1 (ko
Inventor
임병옥
배준홍
정왕조
이종규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2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3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9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58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크(leak)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 검출 장치에 있어서, 대상체에 변조된 광을 조사(照射)하는 광원; 및 상기 광이 상기 대상체에 입사하여 발생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리크 검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화물창 내부의 리크를 검출할 수 있다.
리크, leak, 화물창, LNG

Description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of leak}
본 발명은 리크 검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화물창 내부에 리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극저온(약 -163℃)의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를 화물창 내에 저장하여 운반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에서는 극저온에 의한 선체의 취성 파괴등을 우려하여 특수구조로된 화물창이 설치된다.
그러나 해상에서 운용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또는 한곳에 정박되어 운용되는 부유식액화천연가스저장기화설비와 같은 해상구조물은 해상 상태 즉, 파도나 해풍에 의해 전체 구조물이 동요를 받는다. 또한, 이러한 구조물 자체의 동요에 의해서 액화천연가스가 함께 유동하게 된다. 이때, 유동하는 액화천연가스는 화물창 내부를 강타하는 경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화물창 내부의 리크를 검출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종래에는 암모니아나 헬륨을 이용하여 리크를 검출하였다.
암모니아법은 암모니아와 반응하는 도포제를 이용하여 리크로 의심되는 영역에 도포한 뒤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게 되면 리크가 있는 부분에서 색이 변함으로 리크의 유무를 알 수 있다. 이 방법의 경우 리크를 검출하는데 좋은 방법이나 암모니아 가스가 독성이며 인체에 유해함으로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점점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으나, 독성이므로 취급에 주의하여야 하며 검사법이 복잡하며 암모니아 가스가 탱크에 잔존할 가능성이 높다.
헬륨법은 불활성 가스인 헬륨을 주입하여 헬륨검출기로 리크로 의심되는 영역을 스캔하여 헬륨검출기의 헬륨과의 반응 유무로 리크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의 경우 리크를 검출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검사장비가 동원되어 검사하게 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헬륨검출기로 스캔하여 검출하는 방법이므로 검사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스캔 속도를 높이게 되면 자칫 리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헬륨검출기가 반응하기 전에 지나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특정이 어려울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가스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화물창 내부의 리크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창의 1차 방벽의 파괴없이 화물창 내부의 리크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대상체에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크(leak)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리크 검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음향 입력 유닛;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음향 입력 유닛;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음향 입력 유닛;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광의 주파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음향 입력 유닛;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거나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주파수가 광의 주파수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1차 방벽 및 2차 방벽이 형성된 화물창이며, 상기 1차 방벽 및 상기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에 가스가 주입되고, 상기 대상체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공간에 주입된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스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대상체에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 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크 검출 장치가 대상체의 리크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조된 광을 상기 대상체에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크 검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광의 주파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 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거나 상기 음향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광의 주파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가스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화물창 내부의 리크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창의 1차 방벽의 파괴없이 화물창 내부의 리크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음향법을 이용하여 화물창의 리크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흡수라인 특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의해 발생된 가스 라인의 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우선,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광음향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광음향법은 흡수매질에 일정한 주기로 변조된 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빛과 같은 주파수의 음향신호가 해당 매질에서 발생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즉, 광이 매질에 입사되면 분자들이 들뜬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분자들의 충돌에 의해 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열의 변화는 닫혀진 용기 안에서의 압력 변화를 유발하여 음파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어 음향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음향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광음향법에 있어서 매질에 의해 방출되는 음향신호의 세기는 입사되는 광의 세기와 비례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은 1차 방벽과 2차 방벽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에는 특정한 가스(예를 들어, 암모니아 가스)가 주입된다. 예를 들어, 화물창은 MARK III, KC-1, No.96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물창 내부는 금속 재질의 1차 방벽이 형성된다. 그리고, 1차 방벽의 바깥쪽에 트리플렉스(triplex)재질, 인바강(invar),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 재질의 2차 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에는 특정한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에 특정한 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1차 방벽에 리크(결함)가 존재하면, 해당 리크를 통해 주입된 가스가 화물창 내부로 세어 나오게 된다.
즉, 리크 검출 장치(110)는 대상체의 임의의 영역(즉, 광이 조사된 영역, "대상 영역"이라 칭함)에 광을 조사한 후 조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상체의 1차 방벽 및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에는 다양한 가스들이 주입될 수 있으나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주입된 가스가 암모니아 가스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가스는 각각의 고유 흡수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흡수 스펙트럼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암모니아 가스와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예를 들어, CO2)의 스펙트럼이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1차 방벽에 리크가 존재하는 경우, 주입된 가스가 리크를 통해 누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당 영역에 광을 조사하면, 조사된 광과 가스가 반응하여 음향신호가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해당 방출된 음향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리크 검출 장치(110)는 대상체의 리크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출 장치의 내부 기능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내부 기능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크 검출 장치(110)는 광원(410) 및 검출기(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410)은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光)을 생성하여 대상체에 출사한다. 여기서, 광원(410)은 특정 파장 성분 또는 그 성분을 포함하는 단색광을 발생하는 반도체 레이저, 발광다이오드, 가스 레이저 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410)은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리크 검출 장치(110)내의 제어 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 개시되어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 종료될 수 있다. 또한, 광원(410)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은 당해 광원(410)으로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류의 값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광원(410)으로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류를 변조주파수(f)의 속도로 변화시키면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 또한 변조주파수의 속도로 변화한다. 보다 상세하게, 광원(410)으로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류 값을 변조주파수(f)의 속도로 변화하게 되면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은 전압이나 전류 값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게 되므로,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와 동일한 속도(즉, 변조주파수(f)의 속도)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대상체에 주입되는 가스에 따라 광원(410)에서 출사되는 광도 상이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검출기(415)는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의해 발생된 음향신호를 측정하여 당해 대상체에 리크(leak)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1차 방벽의 임의의 부분(즉, 대상 영역)에 광을 조사하였다고 가정하자.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에 입사된 광은 대상체의 1차 방벽과 2차 방벽 내에 주입된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광이다. 이로 인해, 대상 부분에 리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과 주입된 가스의 반응으로 인해 음향신호가 방출된다. 여기서, 방출된 음향신호(즉, 대상체의 리크 존재로 인해 입사된 광과 주입된 가스의 반응으로 인해 방출된 음향신호)는 대상체에 입사된 광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다. 그리고, 방출된 음향신호의 세기는 광의 세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검출기(415)는 대상 부분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분석하 여 대상 부분의 리크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검출기(415)의 내부 기능 구성에 대한 블록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검출기(415)의 각 기능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415)는 음향 입력 유닛(510), A/D 변환 유닛(515) 및 신호처리 유닛(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향 입력 유닛(510)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동작 개시되어 대상체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향 입력 유닛(510)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 종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입력 유닛(510)은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A/D 변환 유닛(515)은 음향 입력 유닛(510)으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 유닛(520)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신호처리 유닛(520)에 A/D 변환 모듈이 포함된 경우 A/D 변환 유닛(515)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신호처리 유닛(520)은 입력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의 세기는 대상체에 입사된 광의 세기에 비례한다. 또한,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체에 조사된 광은 대상체에 주입된 가스와 반응하여 음향신호를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처리 유닛(520)은 음 향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신호처리 유닛(520)은 입력된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출사한 광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광음향 효과가 발생한 경우, 방출되는 음향신호의 주파수는 리크 검출 장치(110)를 통해 출사된 광의 주파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신호처리 유닛(520)은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광의 주파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동일하지 않으면, 신호처리 유닛(520)은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광의 주파수의 동일 여부 비교시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소정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동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신호처리 유닛(520)은 음향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모두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경우 주입된 가스와 조사된 광의 반응으로 인해 방출되는 음향신호의 세기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나타나거나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조사된 광의 주파수가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신호처리 유닛(520)은 음향신호의 세기와 음향신호의 주파수 및 광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출 장치가 광음향법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리크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리크 검출 장치(110)의 각각의 내부 기능 구성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리크 검출 장치(11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610에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대상체에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리크 검출 장치(110)에 의해 출사되는 광은 대상체에 주입된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광이다.
단계 615에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되는 음향신호를 측정한다.
단계 620에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대상체에 리크(leak)가 존재하는 경우, 입사된 광은 대상체에 주입된 가스와 반응하여 음향신호를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대상체에 리크(leak)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입사된 광은 가스와 반응하지 않으므로 음향신호를 방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음향신호의 세기는 입사된 광의 세기와 비례할 수 있다.
만일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미만이 아니면(즉, 임계값 이상이면), 단계 625에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미만이면, 단계 630에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리크 검출 장치(110)는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는 입사되는 광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측정된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출사한 광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리크 검출 장치(110)는 음향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모두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경우 주입된 가스와 조사된 광의 반응으로 인해 방출되는 음향신호의 세기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나타나거나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조사된 광의 주파수가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리크 검출 장치(110)는 음향신호의 세기와 음향신호의 주파수 및 광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리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음향법을 이용하여 화물창의 리크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흡수라인 특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의해 발생된 가스 라인의 특성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출 장치의 내부 기능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내부 기능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크 검출 장치가 광음향법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리크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광원
415: 검출기

Claims (9)

  1. 리크(leak)를 검출할 수 있는 리크 검출 장치에 있어서,
    대상체에 변조된 광을 조사(照射)하는 광원; 및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리크 검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음향 입력 유닛;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검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음향 입력 유닛;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광의 주파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 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검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음향 입력 유닛;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거나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광의 주파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리크 검출 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1차 방벽 및 2차 방벽이 형성된 화물창이며,
    상기 1차 방벽 및 상기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에 가스가 주입되고,
    상기 대상체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공간에 주입된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검출 장치.
  6. 리크 검출 장치가 대상체의 리크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변조된 광을 상기 대상체에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크 검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검출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광의 주파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검출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리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입사된 광에 상응하여 방출된 음향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음향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이거나 상기 음향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광의 주파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대상체에 리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검출 방법.
KR1020080058476A 2008-06-20 2008-06-20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97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76A KR100971223B1 (ko) 2008-06-20 2008-06-20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76A KR100971223B1 (ko) 2008-06-20 2008-06-20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80A true KR20090132280A (ko) 2009-12-30
KR100971223B1 KR100971223B1 (ko) 2010-07-20

Family

ID=4169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476A KR100971223B1 (ko) 2008-06-20 2008-06-20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2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134B1 (ko) * 2004-11-12 2006-11-15 학교법인단국대학 광음향효과를 사용한 광주파수 변이량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223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07B1 (ko) 누출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5161408A (en) Photo-acoustic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A27177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ensity
CN103091266B (zh) 具有报警功能的气体遥测方法
US202002491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tegrity of containers by optical measurement
EP32780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tegrity of containers by optical measurement
US202100483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tegrity of containers
JP2009174920A (ja) 光式可燃性ガス濃度検出方法及び光式可燃性ガス濃度検出装置
US7324192B2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examining sheet-like components for perforations
JP6071519B2 (ja) ガス漏洩検知システム
KR100971223B1 (ko)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US20060255278A1 (en) Gas Sensor Arrangement and Measuring Method for Improving Long-Term Stability
WO2018064821A1 (en) Distributed optical fiber gas sensor
KR100990095B1 (ko) 리크 검출 방법 및 장치
JPH0443934A (ja) 漏洩検出装置
JP4895184B2 (ja) 電子部品パッケージの気密検査方法と気密検査装置
Adefila et al. A compendium of CO 2 leakage detection and monitoring techniques in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pipelines
JP7364960B2 (ja) 光ファイバ装置、温度測定システム、および光ファイバ装置の製造方法
JP2010117302A (ja) 気体成分濃度測定装置と方法
JP2008014687A (ja) 漏れ光によるき裂貫通検出方法
Salmela Methods to test gas tightness of packages
GB2412430A (en) Hazardous gas detector
JP7115565B2 (ja) 温度測定構造および温度測定システム
KR20230056462A (ko) 열적외선 차폐막 성능검사장치
KR101513454B1 (ko) 발신과 수신일체용 다중채널형 초음파 누설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