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246A - 방화 조립식 판넬 및 소화캡 - Google Patents

방화 조립식 판넬 및 소화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246A
KR20090132246A KR1020080058417A KR20080058417A KR20090132246A KR 20090132246 A KR20090132246 A KR 20090132246A KR 1020080058417 A KR1020080058417 A KR 1020080058417A KR 20080058417 A KR20080058417 A KR 20080058417A KR 20090132246 A KR20090132246 A KR 2009013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ap
styrofoam
prefabricated pane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2557B1 (ko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텍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텍
Priority to KR102008005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의 양쪽에 철판이 접착되고, 상기 철판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끼움부와 결합부를 형성시키는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판넬의 내부에 끼워진 스티로폼으로 화염이 전달되지 않게 차단하는 한편 조립식 판넬 사시에 설치되어 방수가 가능케 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화 조립식 판넬및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면적의 스티로폼의 양측에 철판을 접착시키되 서로 대향되는 쪽에 끼움부와 결합부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양측을 절곡하여 차단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차단부가 끼움부와 결합부에서 스티로폼이 노출되지 않게 덮어주게 함으로써 조립식 판넬이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조립식 판넬 사이에 소화캡을 씌우되 상기 소화캡에는 소방용 관창이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조립식, 판넬, 소방, 화재, 확산

Description

방화 조립식 판넬 및 소화캡 {Fire stop panel and cap}
본 발명은 스티로폼의 양쪽에 철판이 접착되고, 상기 철판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끼움부와 결합부를 형성시키는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판넬의 내부에 끼워진 스티로폼으로 화염이 전달되지 않게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화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 사이에 설치되어 스티로폼의 연소에 의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방수가 가능케 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차단용 소화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립식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조립식 판넬은 시공성, 경제성, 공기의 단축과 열효율에서 뛰어나 모든 사용자들이 즐겨 쓰는 건축자재의 대명사가 되고 있으나, 화재에는 매우 취약한 한계가 있었다.
즉 조립식 판넬(1)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티로폼(4)의 양측에 철판(2)(3)을 접착하여 제작하되 상기 철판(2)(3)은 대향되게 끼움부(5)와 결합부(6)가 형성되는 것으로, 조립식 판넬(1)(1')은 도 2와 같이 끼움부(5)가 결합부(6)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게 된다.
이 같이 조립식 판넬(1)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염은 철판(2)(3)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끼움부(5)와 결합부(6)에서 서로 노출되어 있는 스티로폼(4)을 통하여 급격히 확산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립식 판넬(1)은 철판(2)(3)의 내부에서 스티로폼(4)이 가려져 있는 특성상 화염의 발견 및 진화가 매우 어려워 화재에는 취약한 건축자재이다.
이러한 조립식 판넬(1)의 화재에 취약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국내에 특허등록 제10-0567407호로 등록시키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4)의 양쪽에 하나의 철판(3)을 접착시키되 상기 철판(3)의 중앙부는 결합부(6)의 내측으로 절곡하여 스티로폼(4)을 씌워줌으로써 결합부(6)에서 스티로폼(4)이 노출되지 않게 하고, 상기 철판(3)의 양측 선단으로 끼움부(5)를 형성시킴으로써 조립식 판넬(10)(10')의 조립 후 화재가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결합부(6)에서 화재 확산이 차단되어 화재가 스티로폼을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된 조립식 판넬(10)은 한 장의 철판(3)을 절곡하여 결합부의 내측에서 스티로폼(4)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관계로 한 장의 철판(3)을 연속하여 결합부(6)와 같이 절곡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끼움부(5)에서는 여전히 스티로폼(4)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조립식 판넬(10)의 내부에서 스티로폼(4)을 통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조립식 판넬(10)의 스티로폼(4)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스티로폼(4)에 직접 방수를 하여 화재를 진화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나, 조립식 판 넬(1)은 철판(2)(3)으로 씌워져 철판(2)(3)을 뚫거나 파손시켜야만 스티로폼(4)으로 직접 방수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조립식 판넬(10)의 할 수 있어 철판(2)(3)을 뚫는 작업이 쉽지 않고, 또한 철판(2)(3)을 뚫고 방수를 한다하여도 스티로폼(4)이 채워져 있어 방수가 한정된 부위에만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방수가 되지 않으므로, 정확히 화재가 진행되는 부위를 예측하여 뚫어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의 끼움부와 결합부에서 스티로폼이 노출되지 않게 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해 주도록 하는 것으로, 스티로폼의 양쪽에 접착되는 철판을 절곡하여 끼움부와 결합부를 가려주되 스티로폼의 양쪽에 접착되는 철판을 동일한 모양으로 쉽게 절곡하여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의 스티로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방화체를 삽입시킴으로써 스티로폼의 연소에 의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의 조립 과정에서 판넬과 판넬 사이에 소화캡이 끼워지게 하되 내부가 빈 공간을 갖도록 하는 한편 외측으로 소방용 관창이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여 화재발생시 구멍에 관창을 끼우고 방수를 하게 되면 물이 내부 공간을 통하여 전체적인 방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조립식 판넬의 스티로폼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면적의 스티로폼의 양측에 철판을 접착시키되 서로 대향되는 쪽에 끼움부와 결합부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양측을 절곡하여 차단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차단부가 끼움부와 결합부에서 스티로폼이 노출되지 않게 덮어주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립식 판넬의 결합 시 화재의 확산이 방지되는 동시에 철판의 절곡이 용이하고 스티로폼의 양쪽에 철판을 접착시키는 과정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티로폼 사이 또는 스티로폼의 상부 또한 하부에 사각 각관 형상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방화체를 삽입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시 방화체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면적의 스티로폼의 양측에 철판을 접착시키되 서로 대향되는 쪽에 끼움부와 결합부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을 조립함에 있어서, 조립식 판넬과 조립식 판넬 사이에 소화캡을 씌우되 상기 소화캡의 양쪽으로 조립식 판넬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소화캡에는 소방용 관창이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은 마감캡을 끼워 가려주게 하며, 상기 소화캡은 하측으로 철판의 절단면이 위치하여 방수가 진행될 때 철판의 절단면이 벌어지면서 하방으로 방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에 사용되는 스티로폼이 내장된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조립식 판넬의 끼움부와 결합부에서 스티로폼이 노출되지 않게 철판으로 막아주되 스티로폼의 양 쪽에 접착되는 철판의 절곡이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철판의 절곡이 용이하여 제작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스티로폼이 노출되지 않게 두 겹 이상 철판으로 가려주어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의 스티로폼 사이에 방화체를 삽입시킴으로써 화재가 방화체에 의해 확산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캡은 양쪽으로 각각 조립식 판넬이 결합되게 하되 내부 를 공간으로 형성하고 외측으로 구멍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구멍을 통한 방수가 이루어져 스티로폼의 화재시 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화재의 확산을 확실히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화캡을 이루는 철판은 하부에 절단면이 맞닿게 하여 내측 공간으로 방수가 이루어질 때 수압에 의해 절단면이 하방으로 벌어지면서 물이 하부로 쏟아지게 함으로써 조립식 판넬의 스티로폼을 통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판넬과 소화캡에 관한 것으로, 먼저 조립식 판넬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 후 소화캡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갖는 스티로폼(4)의 양측에 철판(2)(3)을 접착하여 제작하되 양 측면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끼움부(5)와 결합부(6)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20)에 관한 것으로, 스티로폼(4)의 양측에 접착되는 철판(2)(3)의 상부는 ㄱ 자 형태의 차단부(2')(3')로 절곡하는 한편 하단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ㄱ 자형 차단부(2")(3")를 절곡시킨 후 상기 차단부(2')(2")(3')(3")가 형성된 철판(2)(3)을 스티로폼(4)의 양측에 접착시켜 끼움부(5)와 결합부(6)에서 스티로폼(4)이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두 장의 철판(2)(3)은 스티로폼(4)의 양쪽에 접착되는 것으로 그 형태는 동일하게 절곡하여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판(2)(3)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갖는 스티로폼(4)의 양측에 철판(2)(3)을 접착하여 제작하되 양 측면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끼움부(5)와 결합부(6)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스티로폼(4) 사이에 방화체(30)를 끼워주되 상기 방화체(30)는 사각 각관 형태를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방화체(30)는 포밍에 의해 제작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방화체(30)는 스티로폼(4)사이에 끼워져 스티로폼(4)의 연소가 방화체(30)에 의해 차단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측에 각각 차단부(2')(2")(3')(3")가 형성된 두 장의 철판(2)(3)을 스티로폼(4)의 양쪽에 접착시킴으로써 조립식 판넬(20)이 완성되는 것으로, 끼움부(5)와 결합부(6)에서는 철판(2)(3)에 형성된 차단부(2')(2")(3')(3")가 서로 겹치면서 접착되게 되어, 끼움부(5)와 결합부(6)에서 스티로폼(4)의 노출이 사전에 차단되고, 두 장 이상의 차단부(2')(2")(3')(3")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4)의 양쪽에 접착되는 철판(2)(3)이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절곡되고, 이를 스티로폼(4)의 양쪽에 접착시키되 차단부(2')(2")(3')(3")가 서로 겹치게 하면서 접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철판(2)(3)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철판(2)(3)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20)의 결합 시 끼움부(5)가 결합부(6)에 끼워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때 끼움부(5)와 결합부(6)에서는 스티로폼(4)이 각각 차단 부(2')(2")(3')(3")에 의해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스티로폼(4)의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기존과 같이 화재가 확산되지 못하고, 차단부(2')(2")(3')(3")에 의해 화재 확산이 차단되게 된다.
특히 화재가 확산되는 부위인 끼움부(5)와 결합부(6)에서 차단부(2')(2")(3')(3")가 두 장 이상이 겹치면서 스티로폼(4)의 화염을 차단하게 되므로, 화재의 확산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티로폼(4)사이에 방화체(30)를 끼우되 상기 방화체(30)는 공간이 형성되어 스티로폼(4)의 화재 발생시 방화체(30)에 의해 확산이 차단되게 되므로, 화재 확산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다음으로 소화캡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을 갖는 스티로폼(4)의 양측에 철판(2)(3)을 접착하여 제작하되 양 측면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끼움부(5)와 결합부(6)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1)이 양쪽에 결합되게 하는 한편 스티로폼(4)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측으로 조립식 판넬(1)의 결합부(6)에 끼워지는 돌기부(110)를 형성하고, 하측으로 조립식 판넬(1')의 끼움부(5)가 끼워지는 함몰부(120)를 형성하며, 내측으로는 일정 공간(130)을 형성하게 하되 일측으로 구멍(140)을 형성함으로써 소화캡(100)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소화캡(100)은 내측공간(130)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상측으로 돌기부(110)를 형성하는 한편 하측으로 함몰부(120)를 형성함으로써 각각 조립식 판넬(1)(1')의 결합부(6)와 끼움부(5)가 끼워져 조립되게 한다.
본 발명의 소화캡(100)은 내측공간(130)의 측면으로 구멍(140)을 형성하여 소방용 관창(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구멍(140)은 마감캡(150)을 끼워주어 외관상 구멍(140)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소화캡(100)은 하나의 벽면에 수 개의 조립식 판넬(1)(1')을 끼워 조립할 때 일정 간격으로 하나씩 끼워주게 되는 것으로, 조립식 판넬(1)(1')과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하여 외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화재 발생시 소화캡(100)의 위치를 빨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소화캡(100)의 구멍(140)에 끼워지는 마감캡(150)도 붉은 색으로 제작하여 외부에서 그 위치를 빠르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화캡(100)은 철판을 이용하여 절곡 성형되는 것으로, 철판의 절단면(100')이 하부의 함몰부(120) 내측에 서로 맞닿게 하여, 내측 공간(130)으로 강력한 수압의 물이 투입되는 경우 철판의 절단면(100')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립식 판넬(1)(1')을 결합시켜 건물의 벽체 등을 조립함에 있어서, 조립식 판넬(1)(1')의 끼움부(5)와 결합부(6)가 각각 끼워지게 결합시키되 일정 간격으로 소화캡(1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소화캡(100)의 돌기부(110)가 조립식 판넬(1)의 결합부(6)에 끼워지고, 소화캡(100)의 함몰부(120)에는 조립식 판넬(1')의 끼움부(5)가 끼워져 결합되게 한다.
이때 소화캡(100)의 구멍(140)이 소화전과 가까운 쪽을 향하게 함으로서 소화전에서 관창(200)을 가져와 구멍(140)에 끼운 후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화캡(100)은 벽면의 높이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중간 또는 상부에 하나를 설치하는 것이 스티로폼(4)의 화재를 진압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소화캡(100)은 조립식 판넬(1)(1')과 다른 색으로 도장하여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소화캡(100)의 구멍(140)을 막아주는 마감캡(150)도 색상을 달리하여 그 위치를 빨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마감캡(150)에는 걸림턱(160)을 형성하여 구멍(140)에 마감캡(150)이 씌워진 후 쉽게 빠지지 않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조립식 판넬(1)(1')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방용 관창(200)을 이용하여 강하게 마감캡(150)을 치거나 마감캡(150)을 제거하면 소화캡(10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140)이 노출되게 되고, 상기 구멍(140)으로 관창(200)을 넣고 방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소화캡(100)의 구멍(140)에 관창(200)이 끼워져 방수가 이루어지면 물은 소화캡(100)의 내측 공간(130)에 채워지게 되고, 이때 방수 압력에 의해 철판의 절단면(100')이 하부로 벌어지면서 내측공간(130)을 채우고 있는 물이 하부로 쏟아지게 된다.
따라서 소화캡(100)의 하부에 결합된 조립식 판넬(1')의 스티로폼(4)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캡(100)의 구멍(140)으로 방수를 하게 되면 간단히 화재가 진화되게 된다.
특히 조립식 판넬(1)(1')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보이지 않는 상태로 스티로 폼(4)의 화재가 발생한 경우 물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소화를 하게 되므로, 화재의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조립식 판넬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기존 조립식 판넬의 결합 전 상태 일부 사시도
도 3은 결합부의 스티로폼이 철판으로 씌워진 조립식 판넬의 일부 사시도
도 4는 결합부의 스티로폼이 철판으로 씌워진 조립식 판넬의 결합 전 상태도
도 5는 결합부의 스티로폼이 철판으로 씌워진 조립식 판넬의 결합 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 전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 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소화캡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결합 전 부분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결합 전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결합 후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방수 상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0,10',20,20' : 조립식 판넬 2,3 : 철판
2',2",3',3" : 차단부 4 : 스티로폼
5 : 끼움부 6 : 결합부
30 : 방화체
100 : 소화캡 110 : 돌기부
120 : 함몰부 130 : 내측공간
140 : 구멍 150 : 마감캡
200 : 관창

Claims (5)

  1. 일정 면적을 갖는 스티로폼(4)의 양측면에 철판(2)(3)을 접착시키되 측면의 대향되는 쪽으로 끼움부(5)와 결합부(6)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20)에 있어서,
    상기 철판(2)(3)의 상측에 차단부(2')(3')를 형성하여 끼움부(5)의 내측에서 서로 겹치면서 스티로폼(4)을 씌우고, 상기 철판(2)(3)의 하측에 차단부(2")(3")를 형성하여 삽입부(6)의 내측에서 서로 겹치면서 스티로폼(4)을 씌우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조립식 판넬.
  2. 일정 면적을 갖는 스티로폼(4)의 양측면에 철판(2)(3)을 접착시키되 측면의 대향되는 쪽으로 끼움부(5)와 결합부(6)를 형성시킨 조립식 판넬(20)에 있어서,
    상기 스티로폼(4) 사이에 사각 각관 형태를 갖는 방화체(30)를 삽입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조립식 판넬.
  3. 조립식 판넬(1)에 형성된 결합부(6)에 끼워지는 돌기부(11)가 상측으로 형성되는 한편 조립식 판넬(1')의 끼움부(5)가 끼워지는 함몰부(12)가 하측으로 형성되게 소화캡(100)을 제작하되 상기 소화캡(100)에는 내측공간(130)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소화캡(100)의 내측공간(130)에는 측방향으로 소방용 관창(200)이 끼워지는 구멍(140)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차단용 소화캡.
  4. 제3항에 있어서, 소화캡(100)은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하되 상기 철판의 절단면(100')이 함몰부(120)의 내측 중앙에서 서로 맞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차단용 소화캡.
  5. 제3항에 있어서, 소화캡(100)의 내측공간(130) 측면에 형성된 구멍(140)은 외측에서 마감캡(150)을 끼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차단용 소화캡.
KR1020080058417A 2008-06-20 2008-06-20 화재 차단용 소화캡 KR10098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17A KR100982557B1 (ko) 2008-06-20 2008-06-20 화재 차단용 소화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17A KR100982557B1 (ko) 2008-06-20 2008-06-20 화재 차단용 소화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46A true KR20090132246A (ko) 2009-12-30
KR100982557B1 KR100982557B1 (ko) 2010-09-16

Family

ID=4169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417A KR100982557B1 (ko) 2008-06-20 2008-06-20 화재 차단용 소화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3015A1 (en) * 2012-10-02 2014-04-10 Paerls Miihome Ip Pty Ltd A fire resistant build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594A (ja) 1997-12-26 1999-07-21 Nippon Light Metal Co Ltd 耐火屋根構造
KR200287680Y1 (ko) * 2002-03-19 2002-09-05 박성재 건축자재의 샌드위치판넬
KR100751234B1 (ko) * 2005-07-15 2007-08-23 오종철 황토패널의 구조
KR200420037Y1 (ko) 2006-04-11 2006-07-03 장재식 불의 차단막이 보드가 내장된 샌드위치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3015A1 (en) * 2012-10-02 2014-04-10 Paerls Miihome Ip Pty Ltd A fire resistant build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557B1 (ko)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369Y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US9797130B2 (en) Fire shield flashing system and method
KR102181203B1 (ko) 방화문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JP4907499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JP2013231344A (ja) パネル側端の排水構造
KR20090132246A (ko) 방화 조립식 판넬 및 소화캡
KR20110102566A (ko) 수로관 내장 장치(水路管內裝裝置)
JP6291438B2 (ja) 窓部連結構造の施工方法
KR101154038B1 (ko) 조립식 패널 방화시스템 및 소화캡
JP6817002B2 (ja) 軒天換気材
KR20140094985A (ko) 조립식 건축패널
CN215060119U (zh) 楼体内排水管道的防火圈结构
KR102175742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내벽용 단열패널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JP6745611B2 (ja) 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の止水構造
JP2016053257A (ja) 換気用通気部材
JP437580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外断熱建物の外壁構造、及び外壁の構築方法
JP2008223239A (ja) バルコニー構造及びバルコニーの排水仕切部材並びにその排水仕切部材を用いたバルコニー構造
JP6511252B2 (ja) 外壁パネル目地部耐火構造
RU2622277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сооружений
CN202509645U (zh) 装配式防火隔离带
JP7399445B2 (ja) 防水部材
KR200430159Y1 (ko) 석고보드 복합 판넬
KR101177065B1 (ko)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