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941A -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941A
KR20090130941A KR1020080056669A KR20080056669A KR20090130941A KR 20090130941 A KR20090130941 A KR 20090130941A KR 1020080056669 A KR1020080056669 A KR 1020080056669A KR 20080056669 A KR20080056669 A KR 20080056669A KR 20090130941 A KR20090130941 A KR 2009013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double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783B1 (ko
Inventor
김규원
최성환
윤현호
이상세
Original Assignee
(주)귀뚜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귀뚜라미 filed Critical (주)귀뚜라미
Priority to KR102008005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7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F28F3/14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by separating portions of a pair of joined sheets to form channels, e.g. by inf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의 내측과 외측에서 2중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교환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블럭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1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양측면에는 각각 제2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열교환 블럭 및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3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열교환 블럭의 내부에서 제2개방부와 제3개방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내측 열교환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는 적층된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일측에는 제1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유체가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경유한 다음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일러, 열교환기, 외측 열교환 블럭, 내측 열교환 블럭, 2중 블럭

Description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Boiler heat exchanger of double block and boiler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럭의 내측과 외측에서 2중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교환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블럭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Heat Exchanger)라 함은 서로 온도가 다른 가열 유체와 피가열 유체를 교차시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그외 공장 등과 같은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되어, 각종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열원과의 열교환을 통해 난방이나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된다.
이에, 열교환기는 열전달을 통한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적 당 열 흡수가 이루어지는 전열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최근에는 그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열교환용 관(pipe) 대신에 복수개의 플레 이트들을 서로 접합시켜 블럭 형상의 단위 열교환부 형성하고 이들 단위 열교환부들을 적층하여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645734호에서는,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상태로 플레이트들을 서로 접합하여 단위 열교환부(50)를 제작하고, 이러한 단위 열교환부(50)를 소정 간격으로 적층함으로써, 공급구 및 배출구(32, 34, 40, 42)를 통해 단위 열교환부 내부(50)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단위 열교환부 사이의 배기가스 유로(56)를 통과하는 연소가스(gas)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열교환기는 유체와 연소가스의 열교환이 적층된 단위 열교환부(50) 사이의 배기가스 유로(56)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즉, 단위 열교환부(50)에서의 열교환이 연소가스와 접하는 단위 열교환부(50)의 외측 표면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충분한 전열면적을 가질 수 없었다.
따라서, 열교환율을 극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충분한 전열면적의 확보가 필수적인 순간식 보일러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블럭의 내측과 외측에서 2중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교환율을 높일 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상과 같이 열교환율을 높이면서도 블럭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은, 제1유체가 내부를 통과해 흐를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1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양측면에는 각각 제2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블럭 형상의 외측 열교환 블럭 및 제2유체가 내부를 통과해 흐를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3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열교환 블럭의 내부에서 상기 제2개방부와 제3개방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블럭 형상의 내측 열교환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 또는 후면의 외측면에는 외부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소정 형상의 외측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열교환 블럭의 제2개방부는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면에는 내부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소정 형상의 내측 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내측 돌기는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내측 돌기들은 서로 대향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는, 적층된 복수개의 상기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일측에는 상기 제1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1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경유한 다음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적층된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은 상기 제2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된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각 열들간에는 상기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트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 일러 열교환기는 블럭의 내측과 외측에서 2중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교환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블럭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외측 열교환 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내측 열교환 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내측 열교환 블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록의 외부 몸체를 구성하는 블럭 형상의 외측 열교환 블럭(210) 및 상기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내부에 고정되며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록의 내부 몸체를 구성하는 블럭 형상의 내측 열교환 블럭(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외측 열교환 블럭(210)은, 제1유체가 내부를 통과해 흐를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1개방부(도 4의 212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제1개방부(21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양측면에는 각각 제2개방부(도 4의 213a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열교환 블럭(220)은 제2유체가 내부를 통과해 흐를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3개방부(도 5의 212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내부에서 제2개방부(213a)와 제3개방부(222)가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외측 열교환 블럭(2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일측의 제1개방부(212)를 통해 공급된 제1유체는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내측면과 내측 열교환 블럭(22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타측의 제1개방부(212)로 배출되고, 제2유체는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외측면(혹은, 전후면)에 형성된 외부 경로 및 내측 열교환 블럭(220)의 제3개방부(222)에 형성된 내부 경로를 통해 2중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유체가 외부 경로 및 내부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제2유체와 2중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열면적은 넓어지고 열교환율은 높아지게 된다.
예컨대, 열교환기가 수관 방식의 잠열 교환기라면, 제1유체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저온의 직수(혹은, 난방환수 등)이고, 제2유체는 연료가 버너에서 연소됨으로써 발생한 고온의 연소가스일 것이므로, 외측 열교환 블럭(210)과 내측 열교환 블럭(220) 사이를 관통하여 흐르는 직수가, 외측 경로 및 내측 경로를 통해 흐르는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할 수 있게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외측 열교환 블럭(210)은,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일방향의 양측면은 개방되고 또 다른 방향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면판(213)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용 전면판(211) 및 평판 형상의 외측용 후면판(2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외측용 전면판(211)과 외측용 후면판(215)이 블레이징 혹은 그외 다양한 기법을 통해 서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서로 마주보는 일방향의 양측면은 이미 개방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로서 제1유체가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하는 제1개방부(212)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방향의 양측 측면판(213)에는 소정 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제2개방부(213a)가 형성된다.
단, 상기 제2개방부(213a)는 내측 열교환 블럭(220)의 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슬롯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내측 열교환 블럭(220)이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슬롯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조 편리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며, 이때 이러한 슬롯은 내측 열교환 블럭(22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가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측 열교환 블럭(210)을 구성하는 외측용 전면판(211)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소정 형상의 외측 돌기(214)가 그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은 'V'자 형상의 외측 돌기(214)는 제2유체가 그 외측 돌기(214)들 사이의 유동 경로를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시간 동안 제1유체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 여기서는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외측용 전면판(211)에만 외측 돌기(2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일러 열교환기(100)를 구성하기 위해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을 복수개 적층시키면, 하나의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외측용 전면판(211)이 또 다른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외측용 후면판(215)과 접하게 되므로, 외측용 전면판(211)에만 외측 돌기(214)를 형성하여도 제1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외측용 전면판(211) 대신 외측용 후면판(215)에 이상과 같은 외측 돌기(214)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필요하다면 외측용 전면판(211)과 외측용 후면판(215)에 각각 외측 돌기(214)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내측 열교환 블럭(220)은,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일방향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면판이 형성되어 있고, 또 다른 방향의 양측면은 개방된 내측용 전면판(221) 및 평판 형상의 내측용 후면판(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내측용 전면판(221)과 내측용 후면판(224)이 블레이징 혹은 그외 다양한 기법을 통해 서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갖는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방향의 양측면은 이미 개방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로서 제2유체가 내측 열교환 블럭(2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하는 제3개방부(222)로 사용된다.
한편, 외측 열교환 블럭(210)을 구성하는 내측용 전면판(221)의 내측면과 내측용 후면판(224)의 내측면에는 각각 그 내부를 따라 흐르는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소정 형상의 내측 돌기(223, 225)가 해당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은 'V'자 형상의 내측 돌기(223, 225)는 제2유체가 외측 열교환 블럭(210) 내에서 그 내측 돌기(223, 225)들 사이의 유동 경로를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제1유체와의 열교환이 충분한 시간 동안 이루어지게 한다.
다만,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220)의 내측용 전면판(221)과 내측용 후면판(224)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내측 돌기(223, 225)들은 서로 맞닿아 접함에 따라 제2유체가 내측 돌기(223, 225)에 의해서만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도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열교환 블럭(220)의 내측용 전면판(221)과 내측용 후면판(224)에 각각 설치된 내측 돌기(223, 225)들은 서로 대향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제2유체의 유동을 더욱더 지연시키고 유동 경로를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블럭 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200)는, 각각 외측 열교환 블럭(210) 및 내측 열교환 블럭(22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제1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31)와, 제1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경유한 다음 배출되는 배출구(232) 및 제1유체가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집(233)을 구비한 하우징(2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은 복수개가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적층은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층에 각각 1열씩 총 2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보일러의 용량에 따라 적층수나 열수는 변경 가능하다.
물집(233)은,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이 상·하층에 각각 적층되어 있는 것과 대응하도록, 그 내부에 내접하여 설치된 수평 격벽에 의해 상·하층으로 구획되고, 또한 그 최외각(즉, 유입구(231) 또는 배출구(232)로부터 가장 먼 측)은 상·하층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획된 물집(233)은 외측 열교환 블럭(210)의 제1개방부(212)와 각각 연통하도록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제1유체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적층된 모든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양측에 각각 설치된 물집(233)은 일측 물집(233)과 타측 물집(233)의 내부에 내접하는 수직 격벽들이 양측에 번갈아 가며 설치된다.
그리고, 유입구(231)는 물집(233)의 상층 일측과 연통하여 설치되고, 배출구(232)는 물집(233)의 하층 일측과 연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된 제1유체가 상층에 적층된 각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순차 경유한 다음, 하층에 적층된 각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순차 경유한 후, 배출구(2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층에 적층된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제1열과 하층에 적층된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제2열 사이에는 요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랩부(23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트랩부(234)는 제2유체가 요홈 형상의 트랩부(234)에 일시 정체되었다가 다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여, 제1유체와의 열교환이 충분한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200)는, 제1유체가 상·하층에 각각 적층된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경유하는 동안,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경로 및 내측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제2유체와 2중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열면적은 넓어지고 열교환율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적층수나 그 적층된 열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도 있게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는 블럭의 내측과 외측에서 2중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교환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블럭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일러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외측 열교환 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내측 열교환 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내측 열교환 블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외측 열교환 블럭 211: 외측용 전면판
212: 제1개방부 213: 측면판
213a: 제2개방부 214: 외측 돌기
215: 외측면 후면판 220: 내측 열교환 블럭
221: 내측용 전면판 222: 제3개방부
223, 225: 내측 돌기 224: 내측용 후면판
230: 하우징 231: 유입구
232: 배출구 233: 물집
234: 트랩부

Claims (9)

  1. 제1유체가 내부를 통과해 흐를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1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양측면에는 각각 제2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블럭 형상의 외측 열교환 블럭; 및
    제2유체가 내부를 통과해 흐를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제3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열교환 블럭의 내부에서 상기 제2개방부와 제3개방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블럭 형상의 내측 열교환 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 또는 후면의 외측면에는 외부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소정 형상의 외측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열교환 블럭의 제2개방부는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면에는 내부를 따라 흐르는 상기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소정 형상의 내측 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내측 돌기는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열교환 블럭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기 내측 돌기들은 서로 대향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7. 적층된 복수개의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일측에는 상기 제1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1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들을 경유한 다음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은 상기 제2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개의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의 각 열들간에는 상기 제2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트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블럭을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
KR1020080056669A 2008-06-17 2008-06-17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열교환기 KR10094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69A KR100943783B1 (ko) 2008-06-17 2008-06-17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69A KR100943783B1 (ko) 2008-06-17 2008-06-17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941A true KR20090130941A (ko) 2009-12-28
KR100943783B1 KR100943783B1 (ko) 2010-02-23

Family

ID=4169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669A KR100943783B1 (ko) 2008-06-17 2008-06-17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91B1 (ko) * 2012-01-30 2014-03-26 (주)귀뚜라미 열교환기
WO2015142003A1 (ko) * 2014-03-17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2324B2 (ja) * 1995-09-11 2005-08-10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4221260B2 (ja) 2003-08-29 2009-02-12 株式会社ティラド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2170A (ko) * 2003-10-01 2005-04-07 박왈서 구멍 많은 판 횡단형 열교환기
KR100666871B1 (ko) 2004-09-09 2007-01-10 노홍조 열교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91B1 (ko) * 2012-01-30 2014-03-26 (주)귀뚜라미 열교환기
WO2015142003A1 (ko) * 2014-03-17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US10126014B2 (en) 2014-03-17 2018-11-13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for condensing gas bo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783B1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6014B2 (en) Heat exchanger for condensing gas boiler
RU2650458C1 (ru)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пластинчатого типа
CN106104166B (zh) 热交换器
CN107923654A (zh) 热交换器
KR100943783B1 (ko) 보일러 열교환기용 2중 블럭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열교환기
JP6177459B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1220005A (zh) 板式热交换器以及热源机
JP7182395B2 (ja) 熱交換器
JP6991954B2 (ja) 気液分離構造を含む印刷基板型熱交換器および気液分離器
JP2010530054A (ja) 熱交換装置
EP3467422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JP2000337784A (ja) 三液用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101149983B1 (ko)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JP2009192140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100993035B1 (ko) 열교환기용 주름관 및 그를 포함한 열교환기
KR20120027582A (ko) 교차 형식의 세라믹 열교환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시스템
JP2000220971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102173011B1 (ko) 열교환기
JP2009204215A (ja) 蓄冷・蓄熱型熱交換器
JP7356024B2 (ja) 熱交換器及び温水装置
JP7382202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4082029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H0729411Y2 (ja) 熱交換器
JP2018091495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2022044083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