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721A -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 Google Patents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721A
KR20090130721A KR1020080056479A KR20080056479A KR20090130721A KR 20090130721 A KR20090130721 A KR 20090130721A KR 1020080056479 A KR1020080056479 A KR 1020080056479A KR 20080056479 A KR20080056479 A KR 20080056479A KR 20090130721 A KR20090130721 A KR 2009013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silicon
briquette
molten metal
weight
ing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존
Priority to KR102008005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0721A/ko
Publication of KR2009013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용탕을 승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전체 중량 중 실리콘 함량이 50 중량% 내지 75 중량%이며, 입경 크기가 0.1mm 내지 16mm 다수의 페로실리콘(Fe-Si) 조각 90 중량% 내지 95 중량%와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점결제만을 첨가하여 혼합시킨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 1 입경을 갖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브리케트를 제공한다.
제강, 용탕, 승온제, 페로실리콘

Description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Briquette for increasing temperature of the molten metal using the FeSi}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용탕의 승온을 위해 사용되는 브리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 페로실리콘을 재활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강산업에 사용되는 용탕 승온용 발열제는 주로 실리콘 함량이 약 75중량% 정도인 페로실리콘 괴 타입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괴(ingot) 타입의 페로실리콘은 철과 규소를 적당한 비율로 섞어 용융시킨 후, 불순물 정제 과정 및 냉각과정을 통해 주로 판 형태로 500mm(길이) × 1000mm(폭) × 50mm(높이)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고 있다.
한편, 용탕의 승용제로 사용하기 위해 전술한 크기를 갖는 상기 페로실리콘 원괴(original ingot)는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그 직경 또는 최대 큰 한 변 길이가 50mm - 1000mm 정도인 괴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50mm - 1000mm 정도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 괴를 용탕 내에 투입 시 그 용해속도가 느리고, 이로 인해 산화반응 속도가 지연되어 빠른 시간 내에 용탕의 온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페로실리콘 괴의 크기를 기존의 괴보다 작은 최대 큰 한변 길이가 10mm 이하인 파우더 타입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사용되는 원료의 입자가 작아져 제조 및 운반과정에서 분진 발생이 많아지게 되고, 운반 및 용탕 내로 투입되는 작업과정에서 분진 비산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저장용기에서의 엉킴 현상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분진 비산에 따른 환경오염 및 저장용기의 엉킴현상에 의한 작업성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파우더 타입의 페로실리콘에 카본분말을 배합하고 바인더를 첨가하여 적절한 크기로 압축 성형한 실리콘 카본계 브리케트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탕 승온용 실리콘 카본계 브리케트는 순수 페로실리콘의 성질을 유지하고 있지 않는 바, 제강용 용탕의 승온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있다. 그리고 용탕으로 투입전에는 일정한 크기의 브리케트를 이루고 있다고 하더라도 용탕이 승온되는 과정에서 브리케트는 용융되며, 이때 상기 카본 특성상 그 비중이 비교적 작아 용탕의 표면으로 부유하게 됨으로써 산화반응이 용탕의 표면에서만 발생하게 되므로 여전히 산화 발열량의 상당 부분이 용탕의 승온에 기여하지 않게 되어 더욱 용탕의 승온을 더디게 하고 있다.
또한, 페로실리콘 괴 제조 시 발생된 잔여물은 이를 재 용융시켜 괴로 만드 는 원 재료를 이용한 것보다 더욱 큰 처리비용이 요구되므로 폐기 처리되므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나아가 자원의 낭비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특정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 괴 생산 시 발생한 일정 규격 미만인 그레인 또는 덩어리를 재활용하여 소정의 바인더만을 첨가하여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를 제작함으로써 용탕의 승온재로 이용되는 페로실리콘 괴의 대체품으로 이용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저감시키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폐기되는 폐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파우더 형태의 페로실리콘과 탄소분말을 섞어 제작한 브리케트의 효과적이지 않은 산화발열양의 소모에 의한 승온 시간 지연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용탕의 승온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브리케트는, 제강공정에서 용탕을 승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전체 중량 중 실리콘 함량이 50 중량% 내지 75 중량%이며, 입경 크기가 0.1mm 내지 16mm 다수의 페로실리콘(Fe-Si) 조각 90 중량% 내지 95 중량%와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점결제만을 첨가하여 혼합시킨 혼 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 1 입경을 갖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페로실리콘 조각은 서로 다른 그 실리콘 함량을 갖거나 또는 모두 동일한 실리콘 함량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 1 입경은 30mm 내지 100mm 인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라케트는 특정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 괴 생산 시 발생한 일정 규격 미만인 그레인 또는 덩어리를 재활용하여 소정의 바인더만을 첨가하여 제작함으로써 폐 자원을 재활용하게 되는 바,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폐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브리케트는 용탕의 승온재로 이용되는 페로실리콘 괴의 대체품으로 이용하게 되는 바, 용탕 승온용 발열제 나아가 제강 제품의 생산원가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페로실리콘과 바인더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가적인 물질이 섞이지 않아 실리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용탕의 승온을 가속화시키고, 용탕의 표면으로 부유되는 량이 적으므로 산화발열양의 공기중으로 소모를 최소화하여 용탕의 승온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크기의 브리케트를 이룸으로써 10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파우더 형태의 페로실리콘에 비하여 분진 발생이 거의 없고,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리콘은 알루미늄(Al) 단독 탈산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강에 첨가되는 원소이며, 산화 발열량이 높아 전로 및 전기로의 용탕 승온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강산업에서 용탕 승온재으로 실리콘을 첨가하고자 할 때에는 실리콘 함량이 약 50 중량% 이상이며, 최대의 한변 길이 또는 직경이 30mm 내지 100mm 정동의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Fe-Si) 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제강산업에 이용되는 페로실리콘은 실리콘의 원자재인 백규석과 철 또는 고철을 함께 전기로 또는 전로 등에 넣은 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특정 크기, 통상적으로 500mm(길이) × 1000mm(폭) × 50mm(높이)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판 형태로 성형한 다음, 이를 냉각시킴으로써 제작되어지고 있다. 이렇게 최초 제작된 페로실리콘은 페로실리콘 원괴(original ingot)라 하고, 이러한 페로실리콘 원괴(original ingot)는 또 다시 그 쓰임에 따라 특정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파쇄되어 사용되게 된다.
제강산업에 있어서 용탕 승온재로 이용되는 페로실리콘은 전술한 입경이 30mm 내지 100mm 정도의 크기를 갖는 괴 형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상 페로실리콘 괴로 명명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강산업에 이용되는 페로실리콘 괴는 실리콘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이며, 보통 실리콘 함량이 약 65중량%, 72 중량% 및 75 중량% 인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제강산업에서 용탕 승온재로 사용되는 페로실리콘 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500mm(길이) × 1000mm(폭) × 50mm(높이)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판 형태의 페로실리콘 원괴(original ingot)를 용탕 승온용 재료로써의 적정 크기인 그 입경이 30mm 내지 100mm가 되도록 파쇄하는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쇄공정 진행에 의해 규격 크기인 입경이 30mm 내지 100mm가 되는 페로실리콘 조각들은 선별작업을 거쳐 페로실리콘 괴로써 제품화되어 공급되고, 그 이하의 크기를 갖는 조각들 및 분진은 폐기 처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는 전술한 페로실리콘 원괴를 특정 크기를 갖는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괴로 제품화 하는 단계에서 나오게 되는 크기 규격 미달의 폐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을 이용하여 이에 점결제를 첨가하여 특정 크기로 브리케팅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폐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은 90 중량% 내지 95 중량%, 그리고 상기 점결제는 5 중량% 내지 10 중량%를 배합하여 브리케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폐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의 제조 단계별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에 이용되는 폐 페로실리콘은 통상적으로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괴의 제조 시 발생하는 폐 자제이므로 그 입경은 30mm 미만이 된다.
이러한 크기를 갖는 폐 페로실리콘 조각 중 16mm 내지 30mm 정도의 입경을 갖는 것들은 점결제에 의해 뭉쳐져 고형화된 브리케트를 이룬다 하여도 외부의 충격에 의해 부서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양한 입경 크기를 갖는 폐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은 우선적으로 16mm 이하의 입경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 조각(102) 및 분진과, 그 이상의 입경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 조각(101)으로 분리하는 필터링하여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필터링 공정은 단순히 그 한변 길이가 16mm인 정사각형의 그물망(105)을 갖는 채(107)를 이용하여 상기 그물망(105)을 통과하는 것과 남게되는 것을 분리 채집시키는 것을 진행되며, 따라서 그 입경이 16mm를 초과하는 것과 그 이하인 것을 분리하게 된다.
다음, 상기 필터링되어 그 입경이 16mm를 초과하는 페로실리콘 조각(101)에 대해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쇄기(109)에 넣어 더욱 작은 크기 바람직하게는 그 입경이 0.1mm 내지 16mm 이하가 되도록 파쇄하는 파쇄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는 일례로 호퍼(hopper)(112)와 1쌍의 매끈한 표면을 갖는 파쇄롤(110(110a, 110b))과 콘베이어(114)로 구성된 파쇄기(109)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른 형태의 파쇄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파쇄기(109)에 투입된 그 입경이 16mm를 초과하는 페로실리콘 조각(101)은 그 16mm 보다 작은 이격간격을 가지며 서로 맞물리듯 회전하는 1쌍의 파 쇄롤(110(110a, 110b))을 통과하면서 파쇄되어 그 입경이 16mm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 조각(104)이 되어 상기 콘베이어(114) 상에 떨어지게 되며, 상기 콘베이어(114)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콘베이어(114) 끝단에 놓여진 박스 등 채집 수단(116) 내에 채적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및 파쇄공정을 진행한 후의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의 입경크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입경 크기(mm) 백분율(%)
8mm 이하 90%
16mm 이하 9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술한 필터링 공정 및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채적 수거된 페로실리콘 조각(104) 및 분진은 거의 모두 정확히는 98% 정도가 16mm 이하의 입경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그 입경이 8mm 이하인 폐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은 90% 정도가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로실리콘 조각(104) 또는 분진에 있어 최소 입경은 통상 0.1mm 정도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최초 수집된 30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폐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의 입경 크기는 필터링 시 상기 채(도 1a의 107)에 의해 걸러지게 되는 페로실리콘 조각의 입경을 더욱 작게하고, 파쇄 공정시에도 파쇄롤(110a, 110b)간의 이격간격을 16mm보다 작게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다음, 도 1c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그 입경이 16mm 이하 인 페로실리콘 조각(104)과 분진과, 이전 필터링 공정에서 이미 16mm 이하의 입경 크기를 갖도록 분리된 페로실리콘 조각(102, 이하 섞인 페로실리콘 조각을 105라 칭함) 및 분진과 점결제(115)를 다수의 회전날개(122)를 구비한 회전봉(124)을 구비한 교반장치(120)에 넣고 적정 속도로 적정시간 교반시킴으로써 상기 페로실리콘 조각(105) 및 분진과 점결제(115)가 잘 혼합되도록 한다. 실험적으로 상기 회전봉(124)의 회전속도는 일례로 100rpm 내지 150rpm의 범위에서, 3분 내지 8분정도 교반하였을 경우, 잘 혼합된 상태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상기 페로실리콘 조각(105) 및 분진과 혼합되는 상기 점결제(115)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계 점결제 및 무기계 점결제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제강 공정 진행 중 로 또는 전기로 내에서 산화에 의하여 대기 중으로 휘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점결제 예를들면 전분, 당밀, 아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브리케트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유리라 칭해지는 액상의 규산소다(Sodium silicate)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최종적으로 성형된 브리케트의 빠른 건조를 위해 특정 성분 예를들어 소량의 질산(HNO3)과 수산화나트륨(NaOH)을 포함하는 자체 발열 기능을 갖는 액상의 점결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이때 상기 그 입경이 16mm 이하인 페로실리콘 조각(105) 및 분진과 상기 점결제(115)의 혼합비에 있어서는, 상기 페로실리콘 조각(105) 및 분진이 90 중량% 내지 95% 중량%, 그리고 상기 점결제(115)가 5 중량%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결제(115)를 5 중량%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너무 적은 수분에 의해 혼합이 잘 되지 않거나 또는 접착성질이 작아 브리케트가 완성된 후 강도가 낮아 조그만 외부 충격에 의해 부서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음,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6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페로실리콘 조각(도 1c의 105) 및 분진과 점결제(도 1c의 115)가 잘 혼합된 페로실리콘 혼합물(130)을 호퍼(hopper)(147)와, 상기 호퍼(hopper)(147)의 하부로 상기 페로실리콘 혼합물(130)을 특정 형태, 예를들어 구, 타원구, 다면체 형태를 갖는 오목부(140)를 가지며 서로 그 표면이 접촉하며 상기 오목부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압착롤(145(145a, 145b))과, 상기 한 쌍의 압착롤(145) 하부로 다수의 보조 롤(137)에 의해 그 상부에 위치한 물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35)를 포함하는 브리켓팅 장치(150)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브리켓팅 장치(150)의 호퍼(147)는 그 형태가 투입구와 배출구로 이루어지며 투입구는 넓은 면적으로 그리고 배출구는 상기 한 쌍의 압착롤(145)의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분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좁은 면적으로 가지며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페로실리콘 혼합물(130)이 상기 한 쌍의 압착롤(145)을 잘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브리켓팅 장치(150)의 호퍼(147)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페로실리콘 혼합물(130)은 상기 호퍼(147)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압착롤(145)의 중앙부로 낙하되며, 상기 한 쌍의 압착롤(145)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140)를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압착롤(145)이 서로 접촉하며 회전할 때 각각의 압착 롤(145a, 145b)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140)가 교합되며, 상기 각각의 오목부(140)를 채운 페로실리콘 혼합물(130)이 가압되게 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압착롤(145)의 접촉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오목부(140)가 교합함으로써 구, 타원구, 다면체, 원기둥 등의 형태로 성형된 페로실리콘 브리케트(132)는 그 자체 무게에 의해 그 하부에 위치한 콘베이어(135)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콘베이어(135)를 따라 이동하여 박스 등의 저장 수단(155) 내부로 안치된다.
이후, 상기 저장 수단(155)에 안치된 상태로 건조장치(미도시)를 통해 건조 공정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온에서 적정시간 방치함으로써 완전 건조 및 경화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132)를 완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132)는 그 입경이 30mm 내지 1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경 크기를 갖도록 완성된 폐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브리케트(132)는 포장과 운반이 용이하며, 용탕 등에 투입 시 비산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않고, 페로실리콘과 점결제만으로 사용했으므로 페로실리콘 자체의 화학적 성질을 그대로 유기하게 되는 바, 용탕의 승온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폐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브리케트는 페로실리콘 원괴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규격미달로 폐기처리되는 폐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을 이용한다. 따라서, 동일한 실리콘 함량을 갖는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만으로 이루어진 브리케트 예를들면 그 실리콘 함량이 65%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65, 72% 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72 또는 75%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75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는 일반적으로 용탕 승온에 이용되는 그 실리콘 함량이 각각 65%, 72%, 75%인 #65, #72 또는 #75 페로실리콘 괴와 거의 유사한 성분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의 브리케트는 폐 페로실리콘 수집단계에서 여러 종류의 실리콘 함량을 달리하는 페로실리콘 조각 및 분진이 채집될 수 있으므로 그 평균적인 실리콘 함량은 60% 이상이 되겠지만 실리콘 함량에 따라 규격화된 페로실리콘 65#, 72#, 75#과는 조금 차별되는 실리콘 함량을 갖는 예를들면 실리콘 함량이 일례로 68%, 70%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를 이룰 수도 있다. 이 경우, 용탕 승온에 사용되는 페로실리콘은 그 실리콘 함량이 60% 이상이면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게 되는 바 문제되지 않는다.
표 2는 일반적인 65# 및 75# 페로실리콘 괴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65#의 성분 분석표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페로실리콘 괴 65#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65#
Si 67.42 65.94
S 0.02 0.03
P 0.05 0.03
C 1.5 0.89
Al 2.1 2.05
<표 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페로실리콘 괴와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는 실리콘 함량에 있어 거의 차이가 없으며, 그 외의 성분 또한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페로실리콘 브리케트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페로실리콘 원괴에서 일반적으로 용탕 승온재로 사용되는 그 입경이 30mm 내지 100mm 인 페로실리콘 괴로 제품화 하는 과정에 나온 폐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것을 일례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페로실리콘 원괴나 또는 페로실리콘 괴를 다단계의 파쇄공정을 진행하여 0.1mm 내지 16mm 정도의 입경을 갖도록 한 후, 점결제만을 혼합하여 브리케팅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페로실리콘 브리케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폐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의 제조 단계별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 : 페로실리콘 혼합물 132 :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135 : 콘베이어 137 : 보조 롤
140 : 오목부 145(145a, 145b) : 한 쌍의 압착롤
147 : 호퍼 150 : 브리켓팅 장치
155 : 저장 수단

Claims (4)

  1. 제강공정에서 용탕을 승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전체 중량 중 실리콘 함량이 50 중량% 내지 75 중량%이며, 입경 크기가 0.1mm 내지 16mm 다수의 페로실리콘(Fe-Si) 조각 90 중량% 내지 95 중량%와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점결제만을 첨가하여 혼합시킨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 1 입경을 갖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페로실리콘 조각은 서로 다른 그 실리콘 함량을 갖는 것이 특징인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페로실리콘 조각은 모두 동일한 실리콘 함량을 갖는 것이 특징인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4. 상기 제 1 입경은 30mm 내지 100mm 인 용탕 승온용 페로실리콘 브리케트.
KR1020080056479A 2008-06-16 2008-06-16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KR20090130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79A KR20090130721A (ko) 2008-06-16 2008-06-16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79A KR20090130721A (ko) 2008-06-16 2008-06-16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21A true KR20090130721A (ko) 2009-12-24

Family

ID=4169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479A KR20090130721A (ko) 2008-06-16 2008-06-16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07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62A1 (ko) * 2012-07-02 2014-01-09 주식회사 포스코 브리켓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62A1 (ko) * 2012-07-02 2014-01-09 주식회사 포스코 브리켓 제조장치
KR101405485B1 (ko) * 2012-07-02 2014-06-11 주식회사 포스코 브리켓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45802B (en) Method of producing a metallized briquette
JP2010523817A (ja) 粉鉄を利用した鉄ブロック製造装置及び方法
CA3021829C (en) Oxide ore smelting method
KR101197493B1 (ko) 저품위 실리콘 카바이드를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5875523B2 (ja) 珪砂造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02908A (ja) ブリ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33019B1 (ko)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9052141A (ja) 電気炉ダストの還元処理方法
US20230203607A1 (en) Biomass Direct Reduced Iron
JP2002146444A (ja) 製鉄原料の塊成化物製造方法
JP2840592B2 (ja) 冶金目的用添加剤としてのシリコン含有残渣を包含してなる団鉱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30721A (ko) 페로실리콘을 이용한 용탕 승온용 브리케트
KR101185362B1 (ko) 제강공정 부산물을 이용한 브리켓 제조방법
JP5365044B2 (ja)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Bizhanov et al. Experience with the use of extrusion briquettes (brex) to make ferrosilicomanganese
CN113549715B (zh) 一种铁水粒化的系统
JPS6081294A (ja) 製鋼炉用コークス団鉱の製造方法
KR101909193B1 (ko) 탈산제 제조 장치 및 그에 의한 탈산제 제조 방법
KR20190105366A (ko) 알루미늄 탈산제 브리켓 제조 장치
JP4130952B2 (ja) 製錬原料の処理方法
JP5842843B2 (ja) フェロ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3688929B2 (ja) 金属加工屑を原料とする塊成化物の保管方法
KR101018251B1 (ko) 제철부산물을 이용한 제철원료용 단광 및 그 제조방법
JP2007211271A (ja) 炭材内装塊成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961856A1 (en) Iron and niobium containing agglome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