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513A -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 Google Patents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513A
KR20090128513A KR1020097022470A KR20097022470A KR20090128513A KR 20090128513 A KR20090128513 A KR 20090128513A KR 1020097022470 A KR1020097022470 A KR 1020097022470A KR 20097022470 A KR20097022470 A KR 20097022470A KR 20090128513 A KR20090128513 A KR 2009012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ent
pyridine
aminophenyl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모기
히사시 타지마
노리코 미시나
유스케 야마자키
신지 요네다
카츠히코 와타나베
준코 후지카와
미노루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6Antimala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Diabetes (AREA)
  • Vi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 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의 합성 연구 및 그 유도체의 약리 작용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76
상기 식에서 R1 R2는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등, R3은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릴옥시기, 카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OCONRaRb, -NRcRd 등, R4 및 R5는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등, Ra, Rb는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등, Rc 및 Rd는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등, X는 저급 알킬렌기, Y는 단일결합, 저급 알킬렌기, W1-W2는 N-C, C-N, l 및 m은 0, 1, 2 또는 3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NOVEL (2-AMINOPHENYL)PYRIDINECARBOXAMIDE DERIVATIVE HAVING UREA STRUCTURE}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동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 활성을 가지며,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진핵생물의 염색체 DNA는, 코어 히스톤 단백질인 히스톤 H2A, H2B, H3, H4 등에 감겨 뉴클레오솜이라 불리는 기본 구조를 취한다. 또한, 그 뉴클레오솜 구조가 집합함으로써 크로마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크로마틴 구조의 구성에는 히스톤의 번역 후 수식이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고, 그 번역 후 수식으로서, 아세틸화, 메틸화, 인산화, 유비퀴틴화 등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히스톤의 아세틸화는, 유전자의 전사 유도, 복제, 수복(repair)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히스톤의 아세틸화는, 히스톤 아세틸화 효소(이하, 「HAT」라고 함)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이하, 「HDAC」라고 함)에 의해 가역적으로 제어되어 있다.
이 HDAC를 저해하면, HAT에 의한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항진되고, 그것에 계 속되는 유전자의 전사 유도, 복제, 수복 등이 활성화되며, 세포 증식, 노화 등이 관여한다고 여겨지는 각종 질환, 예컨대, 암, 자기면역질환, 신경변성질환, 감염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가 가능해진다고 생각되고 있다(비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HDAC 저해제의 대표예로서, 세포 주기 정지 작용, 형질 전환 세포의 정상화 및 분화 작용 등을 갖는 부티르산(비특허 문헌 2), 세포 주기 정지 작용, 형태 분화 작용 등을 갖는 미생물의 대사산물인 트리코스타틴 A(비특허 문헌 3, 4, 5), 세포 증식 억제 작용을 갖는 미생물의 대사산물인 트라폭신(비특허 문헌 6, 7)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아릴렌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종양 세포 증식 저해제로서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특허 문헌 1 : 단백질 핵산 효소 Vol. 51. No. 14(2006)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7241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17532호 공보
비특허 문헌 2 : J. Biol. Chem., 254, 1716-1723(1979)
비특허 문헌 3 : Cancer Res., 47, 3688-3691(1987)
비특허 문헌 4 : Exp. Cell Res., 177, 122-131(1988)
비특허 문헌 5 : J. Biol. Chem., 265, 17174-17179(1990)
비특허 문헌 6 : J. Antibiotics, 43, 1524-1534(1990)
비특허 문헌 7 : J. Biol. Chem., 268, 22429-22435(1993)
특허 문헌 3 : 국제 공개 제2004/052838호 팜플렛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합성 연구 및 그 유도체의 약리 작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흥미로운 과제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화학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합성 연구를 행하여 다수의 신규 화합물을 창제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또한, 상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약리 작용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이 HDAC 저해 활성을 가지며,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 섬유주 세포(trabecular meshwork cell) 형태 변화 작용 및 안압 하강 작용을 가지며, 방수(房水)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하, 「본 발명 화합물」이라고 함)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의약 용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발명은,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 예컨대, 암, 자기면역질환, 염증성질환, 신경변성질환, 감염증, 조혈장애, 섬유증, 순환기 질환, 혈관신생이 관여하는 질환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에 관한 발명이며, 또한, 섬유주 세포 형태 변화 작용 및 안압 하강 작용을 갖기 때문에 방수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 예컨대, 녹내장, 고안압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에 관한 발명이다.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키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2
상기 식에서 R3은 히드록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 카르복 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OCONRaRb, -NRcRd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3
상기 식에서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히드록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6은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복소환기, 히드록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티오기, 포르밀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카르보닐기, 카르복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eRf를 나타내며;
R7은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히드록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 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Ra, Rb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c, Rd, Re 및 Rf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내고;
고리 A는 고리식 탄화수소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며;
고리 B는 질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X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 및 Z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단일 결합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1-W2가 N-C 또는 C-N을 나타내며;
l, m, n 및 o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0, 1, 2 또는 3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 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 화합물은 HDAC 저해 활성을 가지며,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며, 특히, 암, 자기면역질환, 염증성질환, 신경변성질환, 감염증, 조혈장애, 섬유증, 순환기 질환, 혈관신생이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되는 것으로서,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섬유주 세포 형태 변화 작용 및 안압 하강 작용을 갖기 때문에 방수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 예컨대, 녹내장, 고안압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에 관한 발명이기도 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되는 용어(원자, 기, 고리 등)의 정의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할로겐 원자」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저급 알킬기」란, 탄소 원자수가 1∼8개, 바람직하게는 1∼6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이소펜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케닐기」란, 탄소 원자수가 2∼8개, 바람직하게는 2∼6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비닐, 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헵테닐, 옥테닐, 이소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2-메틸-2-부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키닐기」란, 탄소 원자수가 2∼8개, 바람직하게는 2∼6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키닐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펜티닐, 헥시닐, 헵티닐, 옥티닐, 이소부티닐, 이소펜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시클로알킬기」란, 탄소 원자수가 3∼8개, 바람직하게는 3∼6개인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란, 탄소 원자수가 6∼14개인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2환식 또는 3환식의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수소 1원자를 제거한 잔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콕시기」란,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가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n-부톡시, n-펜톡시, n-헥실옥시, n-헵틸옥시, n-옥틸옥시, 이소프로폭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이소펜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란,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가 저급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시클로프로필옥시, 시클로부틸옥시, 시클로펜틸옥시, 시클로헥실옥시, 시클로헵틸옥시, 시클로옥틸옥시기를 들 수 있다.
「아릴옥시기」란,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가 아릴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페녹시, 나프톡시, 안트릴옥시, 페난트릴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킬티오기」란, 머캅토기의 수소 원자가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n-부틸티오, n-펜틸티 오, n-헥실티오, n-헵틸티오, n-옥틸티오, 이소프로필티오, 이소부틸티오, sec-부틸티오, tert-부틸티오, 이소펜틸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시클로알킬티오기」란, 머캅토기의 수소 원자가 저급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시클로프로필티오, 시클로부틸티오, 시클로펜틸티오, 시클로헥실티오, 시클로헵틸티오 또는 시클로옥틸티오기를 들 수 있다.
「아릴티오기」란, 머캅토기의 수소 원자가 아릴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페닐티오, 나프틸티오, 안트릴티오, 페난트릴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킬카르보닐기」란, 포르밀기의 수소 원자가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카르보닐, 에틸카르보닐, n-프로필카르보닐, n-부틸카르보닐, n-펜틸카르보닐, n-헥실카르보닐, n-헵틸카르보닐, n-옥틸카르보닐, 이소프로필카르보닐, 이소부틸카르보닐, sec-부틸카르보닐, tert-부틸카르보닐, 이소펜틸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란, 포르밀기의 수소 원자가 저급 알콕시기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n-프로폭시카르보닐, n-부톡시카르보닐, n-펜톡시카르보닐, n-헥실옥시카르보닐, n-헵틸옥시카르보닐, n-옥틸옥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이소펜톡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복소환」이란,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또는 2환식 또는 3환식의 축합 다환식 복소환을 나타낸다.
포화 단환식 복소환의 구체예로서, 질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아지리딘, 아제티딘, 피롤리딘, 피라졸리딘, 이미다졸리딘, 트리아졸리딘, 피페리딘, 헥사히드로피리다진, 헥사히드로피리미딘, 피페라진, 호모피페리딘, 호모피페라진 등을 들 수 있고,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1,4]디옥산, [1,2]디옥시란 등을 들 수 있으며,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테트라히드로티오펜,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 등을 들 수 있고, 질소 원자와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옥사졸리딘, 이소옥사졸리딘, 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질소 원자와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티아졸리딘, 이소티아졸리딘, 티오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포화 단환식 복소환은 벤젠고리 등과 축합하여 디히드로인돌, 디히드로인다졸, 디히드로벤조이미다졸, 테트라히드로퀴놀린,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테트라히드로신놀린, 테트라히드로프탈라진,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린, 테트라히드로퀴녹살린, 디히드로벤조푸란, 디히드로이소벤조푸란, 크로만, 이소크로만, 벤조[1,3]디옥솔, 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 디히드로벤조티오펜, 디히드로이소벤조티오펜, 티오크로만, 이소티오크로만, 디히드로벤조옥사졸, 디히드로벤조이소옥사졸, 디히드로벤조옥사진, 디히드로벤조티아졸, 디히드로벤조이소티아졸, 디히드로벤조티아진, 크산텐, 4a-카르바졸, 페리미딘 등의 2환식 또는 3환식의 축합 다환식 복소환을 형성하여도 좋다.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의 구체예로서, 질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피롤, 피롤, 디히드로피라졸, 피라졸, 디히드로이미다졸, 이미다졸, 디히드로트리 아졸, 트리아졸, 테트라히드로피리딘, 디히드로피리딘, 피리딘, 테트라히드로피리다진, 디히드로피리다진, 피리다진,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 디히드로피리미딘, 피리미딘, 테트라히드로피라진, 디히드로피라진, 피라진 등을 들 수 있고,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푸란, 푸란, 디히드로피란, 피란 등을 들 수 있으며,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티오펜, 티오펜, 디히드로티오피란, 티오란 등을 들 수 있고, 질소 원자와 산소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옥사졸, 옥사졸, 디히드로이소옥사졸, 이소옥사졸, 디히드로옥사진, 옥사진 등을 들 수 있으며, 질소 원자와 황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디히드로티아졸, 티아졸, 디히드로이소티아졸, 이소티아졸, 디히드로티아진, 티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은 벤젠고리 등과 축합하여 인돌, 인다졸, 벤조이미다졸, 벤조트리아졸, 디히드로퀴놀린, 퀴놀린, 디히드로이소퀴놀린, 이소퀴놀린, 페난트리딘, 디히드로신놀린, 신놀린, 디히드로프탈라진, 프탈라진, 디히드로퀴나졸린, 퀴나졸린, 디히드로퀴녹살린, 퀴녹살린, 벤조푸란, 이소벤조푸란, 크로멘, 이소크로멘, 벤조티오펜, 이소벤조티오펜, 티오크로멘, 이소티오크로멘, 벤조옥사졸, 벤조이소옥사졸, 벤조옥사진, 벤조티아졸, 테트라히드로벤조티아졸, 벤조이소티아졸, 벤조티아진, 페녹산틴, 카르바졸, β-카르볼린, 페난트리딘, 아크리딘, 페난트롤린, 페나진,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등의 2환식 또는 3환식의 축합 다환식 복소환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복소환에 있어서, 동일한 탄소 원자 상에 2개의 수소 원자를 갖는 복소환의 경우, 이들 수소 원자가 옥소기와 치환하여 2-피롤리돈, 4-피페리돈, 4-티아졸리돈, 피란-4-(4H)-온, 피라진-2-(3H)-온 등의 복소환식 케톤을 형성하여도 좋고, 이 복소환식 케톤도 본 발명의 복소환의 범위에 포함된다.
「질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이란, 상기 복소환 중, 질소 원자 및/또는 산소 원자를 1 또는 복수개,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을 나타낸다.
「복소환기」란, 복소환으로부터 수소 1원자를 제거한 잔기를 나타낸다.
「고리식 탄화수소」란, 탄소 원자수가 3∼10개인 포화 또는 불포화 단환식 탄화수소, 2환식 또는 3환식 탄화수소를 나타낸다.
포화 단고리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포화 2환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옥타히드로펜탈렌, 옥타히드로인덴, 데카히드로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포화 3환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비시클로[2.2.1]헵탄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단환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2환식 탄화수소의 구체예로서, 인단,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킬렌기」란, 탄소 원자수가 1∼8개, 바람직하게는 1∼6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메틸메틸렌, 에틸 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키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및/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렌기」란, 할로겐 원자,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옥소기, -ORp, -SRq, -CORr, -COORs, -CONRtRu 및 -NRVR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티오기」, 「저급 알킬카르보닐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및/또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복소환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및/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란,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옥소기, -ORp, -SRq, -CORr, -COORs, -CONRtRu 및 -NRvR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및/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p, Rq, Rr, Rs, Rt, Ru, Rv 및 RW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복수개의 기」란, 각각의 기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으며, 그 개수는 2 또는 3개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특히 2개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 원자나 할로겐 원자도 이 「기」의 개념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l」, 「m」, 「n」 및/또는 「o」가 2 또는 3을 나타내는 경우, 복수 존재하는 각 R4, R5,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l」, 「m」, 「n」 및/또는 「o」가 0을 나타내는 경우란, 각 R4, R5, R6 및/또는 R7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이들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HDAC 저해제」란, HDAC을 저해함으로써, 히스톤 등의 아세틸화를 항진시켜 의약적 작용을 발현시키는 의약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이란, HDAC 저해제로 치료 효과 및/또는 예방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질환을 말하고, 그 구체예로서, 암, 자기면역질환, 염증성질환, 신경변성질환, 감염증, 조혈장애, 섬유증, 순환기 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성백혈병, 만성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대 장암, 뇌종양, 두경부암, 유방암, 폐암, 식도암, 위암, 간암, 담낭암, 담관암, 췌장암, 췌도세포암, 신세포암, 부신피질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종양, 난소암, 자궁암, 융모암, 갑상선암, 악성 카르티노이드 종양, 피부암, 악성흑색종, 골육종, 연부조직육종, 신경아세포종, 빌름스종양, 망막아세포종 등의 암; 관절 류머티즘, 신염, 당뇨병,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인간 자기면역성 림프구 증식성 림프절증, 면역아세포 림프절증,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다발성경화증, 염증성장질환, 건선, 변형성관절증, 청년성 만성관절염, 이식편대숙주 거절반응, 천식, 알콜성 간염, 쉐그렌증후군, 강직성척추염, 막성 사구체신염, 추간판통,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각막염, 결막염, 포도막염, 가령 황반 변성, 당뇨병 망막증, 당뇨병 황반 부종 등의 자기면역질환 및/또는 염증성질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 무도병,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척수소뇌변성, 폴리글루타민병, 선조체 흑질 변성증, 진행성 핵상마비, 염전((捻轉) 디스토니아, 경성사경, 가족성 진전, 질 드 라 투렛 증후군(Gilles de Ia Tourettes syndrome), 미만성 루이소체병, 픽병, 뇌내출혈, 원발성 측삭경화증, 척수성 근위축증,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비후성 간질성 뉴로퍼지, 망막색소변성증, 유전성 시신경 위축증, 유전성 경성대마비, 진행성 실조증, 샤이-드레거 증후군 등의 신경변성질환; 진균감염(칸디다균 등), 세균감염, 바이러스감염(단순 헤르페스 포함함), 원충감염(말라리아 등), 톡소플라즈마증, 콕시듐증 등의 감염증; 빈혈, 겸상적혈구빈혈(sickle-cell anemia), 탈라세미아(thalassemia) 등의 조혈장애; 간섬유증, 낭포성 섬유증, 혈관섬유종 등의 섬유증; 심부전, 재협착, 동맥경화증, 심비대 등의 순환기 질환; 상기 암, 관절 류머티즘, 건선, 가령 황반 변성, 당뇨병 망막증 등의 혈관신생이 관여하는 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체적인 질환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HDAC에, 패밀리 및/또는 서브타입이 존재하는 경우, 그 패밀리 및/또는 서브타입도 본 발명의 HDAC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방수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이란, 방수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녹내장 또는 고안압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염」이란,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염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아세트산, 푸마르산, 말레산, 호박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글루코헵토산, 글루쿠론산, 테레프탈산, 메탄술폰산, 젖산, 마뇨산, 1,2-에탄디술폰산, 이세티온산, 락토비온산, 올레산, 파모산, 폴리갈락투론산, 스테아르산, 타닌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황산라우릴에스테르, 황산메틸, 나프탈렌술폰산, 술포살리실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 브롬화메틸, 요오드화메틸 등과의 4급 암모늄염, 브롬 이온, 염소 이온, 요오드 이온 등의 할로겐 이온과의 염,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과의 염, 철, 아연 등과의 금속염, 암모니아와의 염, 트리에틸렌디아민, 2-아미노에탄올, 2,2-이미노비스(에탄올), 1-데옥시-1-(메틸아미노)-2-D-소르비톨,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프로카인, N,N-비스(페닐메틸)-1,2-에탄디아민 등의 유기아민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에 기하 이성체 또는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들의 이성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 화합물에 프로톤 호변 이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호변 이성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 화합물에 결정 다형 및 결정 다형군(결정 다형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결정 다형체 및 결정 다형군(결정 다형 시스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여기서, 결정 다형군(결정 다형 시스템)이란, 이들 결정의 제조, 정출(晶出), 보존 등의 조건 및 상태(또한, 본 상태에는 제제화한 상태도 포함함)에 의해 결정형이 변화되는 경우의 각 단계에서의 개개의 결정형 및 그 과정 전체를 의미한다.
(a)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예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있어서, 각 기가 하기에 나타내는 기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a1) R1 및 R2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톡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티오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4
(a2) R3이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릴옥시기, 카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OCONRaRb, -NRcRd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5
(a3) R4 및 R5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히드록시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a4) R6이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 소환기,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아릴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저급 알킬티오기, 저급 시클로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포르밀기, 저급 알킬카르보닐기, 카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eRf를 나타내며; 및/또는
(a5) R7이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a6) Ra 및 Rb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a7) Rc, Rd, Re 및 Rf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a8) 고리 A가 환식 탄화수소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며; 및/또는
(a9) 고리 B가 질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및/또는
(a10) X가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a11) Y 및 Z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단일 결합, 저급 알킬렌기 또는 옥소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12) W1-W2가 N-C 또는 C-N을 나타내며; 및/또는
(a13) l, m, n 및 o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0, 1, 2 또는 3을 나타낸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 및 (a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각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b)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있어서, 각 기가 하기에 나타내는 기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b1) R1이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톡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티오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키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6
(b2) R2가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및/또는
(b3) R3이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OCONRaRb, -NRcRd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7
(b4) R6이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아릴기, 모르폴리노기,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아릴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티오기, 저급 알킬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eRf를 나타내며; 및/또는
(b5) R7이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b6) Ra 및 Rb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수소 원자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b7) Rc, Rd, Re 및 Rf가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b8) 고리 A가 환식 탄화수소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며; 및/또는
(b9) 고리 B가 질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및/또는
(b10) X 및 Y가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및/또는
(b11) Z가 단일 결합, 저급 알킬렌기 또는 옥소기로 치환된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및/또는
(b12) W1-W2가 C-N 또는 N-C를 나타내며; 및/또는
(b13) l 및 m이 0을 나타내고; 및/또는
(b14) o가 0 또는 1을 나타내며;
(b15) n이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 (b11), (b12), (b13), (b14) 및 (b1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각 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c) 고리 A의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의 고리를 들 수 있다.
고리 A가 벤젠, 인단, 티오펜, 벤조[1,3]디옥솔, 2,3-디히드로벤조푸란, 1H-벤조이미다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벤조티아졸, 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 또는 피리딘을 나타낸다.
또한, 그 고리 A를 가지며, 상기 (a), (b) 및/또는 하기 (d)의 조건을 충족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d) 고리 B의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하기의 고리를 들 수 있다.
고리 B가 피롤리딘 또는 모르폴린을 나타낸다.
또한, 그 고리 B를 가지며, 상기 (a), (b) 및/또는 (c)의 조건을 충족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e)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하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디메틸아미노페닐)-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모르폴린-4-일)프로필)-3-페네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3,4-디플루오로페닐)-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4-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디에틸아미노페닐)-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3-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3-플루오로-4-메틸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4-플루오로-3-메틸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시아노페닐)-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벤조[1,3]디옥솔-5-일)-1-(3-히드록시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디메틸아미노페닐)-1-(2-에톡시카르보닐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1,3-벤조티아졸-2-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1H-벤조이미다졸-2-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1-벤조푸란-5-일)-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2-히드록시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페닐카르보닐메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1,3-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6-메톡시-1,3-벤조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6-플루오로-1,3-벤조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에틸아미노프로필)-3-(3,4-디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모르폴린-4-일)프로필)-3-(피리딘-3-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티오펜-3-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에틸아미노프로필)-3-(4-플루오로-3-니트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2-디메틸아미노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3-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3-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티오펜-3-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피리딘-3-일)-1-[3-(피롤리딘-1-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모르폴린-4-일)프로필)-3-(페닐카르보닐메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3-클로로페닐)-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플루오로페네틸)-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4-시아노페닐)-1-(3-히드록시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3-플루오로페닐)-1-[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3-메틸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4-(모르폴린-4-일)부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1,3-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2-메톡시페닐)-1-[4-(모르폴린-4-일)부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3-메틸페닐)-1-[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시클로펜틸-1-[5-(모르폴린-4-일)펜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본 발명 화합물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제조예] 항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합성 경로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Boc는 tert-부톡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하기의 식 중 R1, R2, R3, R4, R5에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등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을 범용되는 방법으로 보호, 탈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1) 본 발명 화합물 (I)은 합성 경로 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화합물 (I)은 화합물 (II)를 메탄올 등의 유기 용매 중,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등 의 산 존재 하, 0℃∼실온에서 30분간∼24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8
화합물 (IIa, R2=H)는 합성 경로 1-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것은, 화합물 (III)과 이소시아네이트(IV)를 염화메틸렌 등의 유기 용매 중, 0℃∼실온에서 30분간∼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09
화합물 (III)은 합성 경로 1-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것은, 술포네이트(V)와 아민(VI)을 0℃∼실온에서 30분간∼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0
화합물 (V)는 합성 경로 1-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것은, 화합물 (VII)과 염화메탄술포닐(VIII)을 염화메틸렌 등의 유기 용매 중,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 0℃∼실온에서 30분간∼3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1
화합물 (VIIa, Y=CH2)은 합성 경로 1-4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것은, 화합물 (IX)를 테트라히드로푸란(이하, 「THF」라고 함) 등의 유기 용매 중, 테트라히드로붕소화리튬 등의 환원제의 존재 하, 0℃∼실온에서 30분간∼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2
화합물 (IX)는 합성 경로 1-5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것은, 화합물 (X)과 화합물 (XI)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DMF」라고 함) 등의 유기 용매 중,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하, 「HATU」라고 함) 등의 축합제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 실온에서 1시간∼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3
화합물 (X)은 합성 경로 1-6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것은, 화합물 (XII)와 이탄산디-tert-부틸(XIII)을 THF 등의 유기 용매 중,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 존재 하, 실온에서 1시간∼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1-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4
2) 화합물 (II)는 합성 경로 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것은, 화합물 (III)과 아민(XIV)을 THF 등의 유기 용매 중,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등의 우레아화제 존재 하, 0℃∼60℃에서 30분간∼24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 경로 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5
본 발명 화합물의 약리 활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약리 시험」 항에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 화합물의 HDAC 저해 활성을 HDAC Fluorimetric Assay/Drug Discovery Kit(BIOMOL사 제조)를 이용하여 그 프로토콜에 따라 검토한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이 우수한 HDAC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 화합물은,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며, 특히, 암, 자기면역질환, 염증성질환, 신경변성질환, 감염증, 조혈장애, 섬유증, 순환기 질환, 혈관신생이 관여하는 질환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의 섬유주 세포에 대한 형태 변화 작용, 즉,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03, 1141-1150(1999)에 보고되어 있는 Cell Shape Index(이하, 「CSI」라고 함)를 지표로 한 평가계에 있어서, 본 발명 화합물의 섬유주 세포의 세포 형태 변화 작용을 검토한 결과, 본 발명 화합물에 우수한 섬유주 세포의 형태 변화 작용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수컷 일본 백색 토끼를 이용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실제 안압 하강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안방(前眼房) 내 투여에서의 안압 하강 작용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본 발명 화합물에 안압 하강 작용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 화합물은 섬유주 세포 형태 변화 작용 및 안압 하강 작용을 갖기 때문에 방수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 예컨대, 녹내장, 고안압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도 기대된다.
본 발명 화합물은 경구로도, 비경구로도 투여할 수 있다. 투여 제형으로서,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주사제, 점안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범용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등의 경구제는, 젖당, 만니톨,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輕質) 무수 규산,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 등의 부형제, 스 테아르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탈크 등의 활택제,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르산칼슘 등의 붕괴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마크로골, 실리콘수지 등의 코팅제, 파라옥시벤조산에틸, 벤질알코올 등의 안정화제, 감미료, 산미료, 향료 등의 교미 교취제 등을 필요에 따라 필요량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주사제, 점안제 등의 비경구제는, 염화나트륨, 농축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염화칼륨, 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등장화제, 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르산, 빙초산, 트로메타몰 등의 완충화제, 폴리소르베이트 80, 스테아르산폴리옥시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등의 계면활성제, 시트르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 염화벤제토늄,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벤조산나트륨, 클로로부탄올, 소르브산 등의 방부제, 염산, 시트르산, 인산, 빙초산,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pH 조정제, 벤질알코올 등의 무통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필요량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 화합물의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 방법 및 본 발명 화합물의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 화합물의 투여량은, 증상, 연령, 제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경구제로서는 통상 1일 당 0.01∼10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을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점안제는 통상 0.0001%∼10%(w/v), 바람직하게는 0.01%∼5%(w/v) 농도의 것을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예, 제제예 및 약리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의 예시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참고예 1
2-아미노페닐카르바민산 t-부틸에스테르(참고 화합물 1-1)
O-페닐렌디아민(22 g, 200 mmol)과 트리에틸아민(30 ㎖, 210 mmol)의 THF(150 ㎖) 용액에 이탄산디-t-부틸(44 g, 200 mmol)의 THF(50 ㎖) 용액을 적하하여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시켜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로 여과하여 취하고, 고체를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표기 참고 화합물 21 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또한, 여과액을 농축시켜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로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1 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6%).
[표 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6
참고예 2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메톡시카르보닐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2-1)
2-아미노페닐카르바민산 t-부틸에스테르(참고 화합물 1-1, 10 g, 50 mmol), 5-메톡시카르보닐피리딘-2-카르복실산(10 g, 55 mmol) 및 N-메틸모르폴린(11 ㎖, 100 mmol)의 DMF(100 ㎖) 용액에 HATU(21 g, 55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0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300 ㎖)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200 ㎖)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5 g을 담갈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79%).
[표 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7
참고예 3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히드록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3-1)
빙냉 하에서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메톡시카르보닐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2-1, 38 g, 100 mmol)의 THF(400 ㎖) 용액에 테트라히드로붕소화리튬(2.1 g, 100 mmol)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냉 하에서 물(200 ㎖), 1.0 M 염산(300 ㎖)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300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500 ㎖), 포화 식염수(400 ㎖)로 세정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20 ㎖), 헥산(30 ㎖)을 첨가하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8 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53%).
[표 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8
참고예 4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4-1)
빙냉 하에서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히드록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3-1, 16 g, 45 mmol)와 트리에틸아민(16 ㎖, 110 mmol)의 염화메틸렌(150 ㎖) 용액에 염화메탄술포닐(4.2 ㎖, 54 mmol)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40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500 ㎖)로 5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5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헥산(80 ㎖), 아세트산에틸(20 ㎖)을 첨가하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8 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4%).
[표 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19
참고예 5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5-1)
N,N-디메틸-1,3-프로판디아민(3.0 ㎖, 24 mmol)과 탄산칼륨(3.3 g, 24 mmol)의 DMF(40 ㎖) 현탁액에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4-1, 4.9 g, 12.0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중조수(100 ㎖)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100 ㎖)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100 ㎖)로 3회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로 정제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9 g을 황색 비정질로서 얻었다(수율 38%).
[표 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0
이하, 참고 화합물 4-1 및 시판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참고 화합물 5-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참고 화합물 5-2∼5-19를 얻었다. 또한, 참고 화합물 11-1 및 시판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참고 화합물 4-1 및 5-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참고 화합물 5-20을 얻었다.
[표 6-1]∼[표 6-6]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1
1H-NMR (500 MHz, DMSO-d6) δ0.92 (t, J = 7.0 Hz, 6H), 1.49 (s, 9H), 1.53 (m, 2H), 2.38-2.43 (m, 6H), 3.32 (m, 2H), 3.80 (s, 2H), 7.15 (td, J = 7.6, 1.4 Hz, 1H), 7.24-7.27 (m, 2H), 7.98 (dd, J = 7.9, 1.7 Hz, 1H), 8.01 (d, J = 7.6 Hz, 1H), 8.11 (d, J = 7.9 Hz, 1H), 8.57 (d, J = 1.7 Hz, 1H), 9.10 (br s, 1H), 10.46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2
1H-NMR (500 MHz, CDCl3) δ1.48 (s, 9H), 1.52 (s, 9H), 3.32 (s, 2H), 3.92 (s, 2H), 7.08 (br s, 1H), 7.18-7.24 (m, 2H), 7.60 (d, J = 6.1 Hz, 1H), 7.71 (d, J = 6.1 Hz, 1H), 7.91 (dd, J = 8.1, 1.7 Hz, 1H), 8.26 (dd, J = 8.1, 0.6 Hz, 1H), 8.56 (d, J = 1.7 Hz, 1H), 10.17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3
1H-NMR (400 MHz, CDCl3) δ1.52 (s, 9H), 1.77 (m, 2H), 2.91 (t, J = 5.9 Hz, 2H), 3.82 (t, J = 5.4 Hz, 2H), 3.91 (s, 2H), 7.08 (br s, 1H), 7.18-7.25 (m, 2H), 7.59 (d, J = 6.3 Hz, 1H), 7.71 (d, J = 6.3 Hz, 1H), 7.86 (dd, J = 8.1, 2.2 Hz, 1H), 8.27 (dd, J = 8.1, 0.6 Hz, 1H), 8.54 (d, J = 2.2 Hz, 1H), 10.17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2-에톡시카르보닐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4
1H-NMR (400 MHz, DMSO-d6) δ1.18 (t, J = 7.1 Hz, 3H), 1.49 (s, 9H), 2.45 (t, J = 6.7 Hz, 2H), 2.72 (m, 2H), 3.83 (s, 2H), 4.05 (q, J = 7.1 Hz, 2H), 7.15 (td, J = 7.5, 1.7 Hz, 1H), 7.24-7.27 (m, 2H), 7.98 (dd, J = 8.1, 1.7 Hz, 1H), 8.02 (d, J = 7.5 Hz, 1H), 8.12 (d, J = 8.1 Hz, 1H), 8.57 (d, J = 1.7 Hz, 1H), 9.11 (br s, 1H), 10.47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5
1H-NMR (400 MHz, CDCl3) δ1.51 (s, 9H), 2.83 (m, 2H), 3.70 (m, 2H), 3.93 (s, 2H), 7.14 (br s, 1H), 7.18-7.24 (m, 2H), 7.58 (d, J = 6.6 Hz, 1H), 7.72 (d, J = 6.1 Hz, 1H), 7.87 (dd, J = 8.1, 2.2 Hz, 1H), 8.24 (dd, J = 8.1, 0.7 Hz ,1H), 8.54 (dd, J = 2.2, 0.7 Hz, 1H), 10.18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6
1H-NMR (400 MHz, CDCl3) δ1.51 (s, 9H), 1.94 (s, 1H), 2.23 (s, 6H), 2.44 (t, J = 5.9 Hz, 2H), 2.66 (t, J = 5.9 Hz, 2H), 3.91 (s, 2H), 7.15 (br s, 1H), 7.16-7.22 (m, 2H), 7.58 (s, 1H), 7.70 (s, 1H), 7.89 (dd, J = 7.8, 2.1 Hz, 1H), 8.24 (d, J = 7.8 Hz, 1H), 8.55 (d, J = 2.1 Hz, 1H), 10.17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피롤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7
1H-NMR (500 MHz, CDCl3) δ1.52 (s, 9H), 1.72-1.80 (m, 6H), 2.48-2.55 (m, 6H), 2.70 (t, J = 6.9 Hz, 2H), 3.90 (s, 2H), 7.18-7.27 (m, 3H), 7.59 (br s, 1H), 7.71 (br s, 1H), 7.88 (dd, J = 7.9, 1.8 Hz, 1H), 8.25 (d, J = 7.9 Hz, 1H), 8.54 (d, J = 1.8 Hz, 1H), 10.17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2-t-부톡시카르보닐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9)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8
1H-NMR (500 MHz, CDCl3) δ1.46 (s, 9H), 1.52 (s, 9H), 2.46 (t, J = 6.4 Hz, 2H), 2.86 (t, J = 6.4 Hz, 2H), 3.92 (s, 2H), 7.09 (br s, 1H), 7.18-7.24 (m, 2H), 7.61 (d, J = 6.1 Hz, 1H), 7.70 (d, J = 6.1 Hz, 1H), 7.89 (dd, J = 7.9, 1.8 Hz, 1H), 8.26 (dd, J = 7.9, 0.6 Hz, 1H), 8.56 (d, J = 1.8 Hz, 1H), 10.16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29
1H-NMR (400 MHz, CDCl3) δ1.52 (s, 9H), 1.72 (m, 2H), 2.40-2.44 (m, 6H), 2.70 (t, J = 6.8 Hz, 2H), 3.70 (m, 4H), 3.91 (s, 2H), 7.11 (br s, 1H), 7.18-7.25 (m, 2H), 7.59 (br s, 1H), 7.71 (br s, 1H), 7.88 (dd, J = 8.1, 2.2 Hz, 1H), 8.26 (dd, J = 8.1, 0.7 Hz, 1H), 8.55 (dd, J = 2.2, 0.7 Hz, 1H), 10.17 (br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0
1H-NMR (400 MHz, CDCl3) δ1.52 (s, 9H), 2.29 (s, 3H), 2.46 (br s, 8H), 2.52 (t, J = 6.0 Hz, 2H), 2.71 (t, J = 6.0 Hz, 2H), 3.92 (s, 2H), 7.09 (br s, 1H), 7.17-7.25 (m, 2H), 7.60 (d, J = 7.3 Hz, 1H), 7.70 (d, J = 7.1 Hz, 1H), 7.89 (dd, J = 7.9, 2.2 Hz, 1H), 8.26 (d, J = 7.9 Hz, 1H), 8.55 (d, J = 2.2 Hz, 1H), 10.16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1
1H-NMR (400 MHz, CDCl3) δ1.52 (s, 9H), 1.72 (m, 2H), 2.28 (s, 3H), 2.43 (t, J = 6.9 Hz, 2H), 2.46 (br s, 8H), 2.69 (t, J = 6.9 Hz, 2H), 3.90 (s, 2H), 7.09 (br s, 1H), 7.17-7.25 (m, 2H), 7.60 (d, J = 6.6 Hz, 1H), 7.70 (d, J = 6.6 Hz, 1H), 7.88 (dd, J = 7.9, 2.0 Hz, 1H), 8.26 (d, J = 7.9 Hz, 1H), 8.55 (d, J = 2.0 Hz, 1H), 10.16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4-(피롤리딘-1-일)부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2
1H-NMR (500 MHz, CDCl3) δ1.52 (s, 9H), 1.55-1.65 (m, 4H), 1.80-1.86 (m, 4H), 2.54 (t, J = 7.4 Hz, 2H), 2.59-2.64 (m, 4H), 2.67 (t, J = 6.8 Hz, 2H), 3.90 (s, 2H), 7.13 (br s, 1H), 7.18-7.25 (m, 2H), 7.59 (d, J = 5.5 Hz, 1H), 7.71 (d, J = 6.1 Hz, 1H), 7.90 (dd, J = 7.9, 1.8 Hz, 1H), 8.25 (d, J = 7.9 Hz, 1H), 8.55 (d, J = 1.8 Hz, 1H), 10.17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3
1H-NMR (400 MHz, CDCl3) δ1.01 (t, J = 7.2 Hz, 6H), 1.52 (s, 9H), 2.52 (q, J = 7.2 Hz, 4H), 2.58 (t, J = 5.7 Hz, 2H), 2.68 (t, J = 5.7 Hz, 2H), 3.92 (s, 2H), 7.09 (br s, 1H), 7.18-7.23 (m, 2H), 7.60 (d, J = 6.6 Hz, 1H), 7.70 (d, J = 6.3 Hz, 1H), 7.89 (dd, J = 8.1, 2.2 Hz, 1H), 8.26 (dd, J = 8.1, 0.6 Hz, 1H), 8.56 (dd, J = 2.2, 0.6 Hz, 1H), 10.17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4-디메틸아미노부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4
1H-NMR (400 MHz, CDCl3) δ1.52 (s, 9H), 1.63-1.69 (m, 4H), 2.36 (s, 6H), 2.51 (m, 2H), 2.71 (t, J = 6.5 Hz, 2H), 3.94 (s, 2H), 7.10 (br s, 1H), 7.18-7.25 (m, 2H), 7.60 (m, 1H), 7.71 (m, 1H), 7.97 (dd, J = 7.9, 2.2 Hz, 1H), 8.27 (dd, J = 7.9, 1.1 Hz, 1H), 8.59 (d, J = 2.2, 1.1 Hz, 1H), 10.17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4-(모르폴린-4-일)부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5
1H-NMR (500 MHz, CDCl3) δ1.52 (s, 9H), 1.54-1.60 (m, 4H), 2.35 (t, J = 7.0 Hz, 2H), 2.43 (br s, 4H), 2.66 (t, J = 6.7 Hz, 2H), 3.71 (t, J = 4.7 Hz, 4H), 3.91 (s, 2H), 7.08 (br s, 1H), 7.18-7.24 (m, 2H), 7.60 (d, J = 6.3 Hz, 1H), 7.70 (d, J = 6.3 Hz, 1H), 7.89 (dd, J = 7.9, 2.1 Hz, 1H), 8.26 (d, J = 7.9 Hz, 1H), 8.56 (d, J = 1.5 Hz, 1H), 10.16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5-디메틸아미노펜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6
1H-NMR (400 MHz, CDCl3) δ1.38 (m, 2H), 1.52 (s, 9H), 1.52-1.59 (m, 4H), 2.31 (s, 6H), 2.37 (t, J = 7.6 Hz, 2H), 2.65 (t, J = 7.1 Hz, 2H), 3.90 (s, 2H), 7.11 (br s, 1H), 7.17-7.24 (m, 2H), 7.60 (d, J = 5.8 Hz, 1H), 7.70 (d, J = 5.8 Hz, 1H), 7.89 (dd, J = 7.9, 2.1 Hz, 1H), 8.26 (dd, J = 7.9, 0.7 Hz, 1H), 8.56 (dd, J = 2.1, 0.7 Hz, 1H), 10.17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7
1H-NMR (500 MHz, CDCl3) δ0.91 (d, J = 6.4 Hz, 3H), 1.21 (m, 2H), 1.35 (m, 1H), 1.52 (s, 9H), 1.62 (m, 2H), 1.73 (m, 2H), 1.89 (m, 2H), 2.39 (t, J = 7.3 Hz, 2H), 2.68 (t, J = 6.7 Hz, 2H), 2.90 (d, J = 11.6 Hz, 2H), 3.90 (s, 2H), 7.10 (br s, 1H), 7.18-7.24 (m, 2H), 7.61 (d, J = 6.1 Hz, 1H), 7.70 (d, J = 6.4 Hz, 1H), 7.88 (dd, J = 7.9, 2.1 Hz, 1H), 8.26 (d, J = 7.9 Hz, 1H), 8.55 (d, J = 2.1 Hz, 1H), 10.16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5-(모르폴린-4-일)펜틸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19)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8
1H-NMR (400 MHz, CDCl3) δ1.36 (m, 2H), 1.47-1.56 (m, 4H), 1.52 (s, 9H), 2.33 (t, J = 7.5 Hz, 2H), 2.43 (br s, 4H), 2.64 (t, J = 7.1 Hz, 2H), 3.71 (t, J = 4.8 Hz, 4H), 3.90 (s, 2H), 7.09 (br s, 1H), 7.18-7.25 (m, 2H), 7.60 (d, J = 6.6 Hz, 1H), 7.71 (d, J = 6.3 Hz, 1H), 7.88 (dd, J = 8.1, 2.2 Hz, 1H), 8.26 (d, J = 8.1 Hz, 1H), 8.55 (d, J = 2.2 Hz, 1H), 10.17 (s, 1H)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6-(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아미드 (참고 화합물 No.5-2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39
1H-NMR (400 MHz, CDCl3) δ1.52 (s, 9H), 2.23 (s, 6H), 2.35 (t, J = 6.2 Hz, 2H), 2.76 (m, 2H), 4.01 (s, 2H), 7.02 (s, 1H), 7.18 (td, J = 7.8, 1.5 Hz, 1H), 7.22-7.25 (m, 2H), 7.44 (d, J = 8.2 Hz, 1H), 7.82 (d, J = 7.8 Hz, 1H), 8.20 (dd, J = 8.2, 2.1 Hz, 1H), 9.12 (d, J = 2.1 Hz, 1H), 9.51 (s, 1H)
참고예 6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페네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6-1)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5-1, 27 ㎎, 0.060 mmol)의 염화메틸렌(1.0 ㎖) 용액에 페네틸이소시아네이트(15 ㎕, 0.11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로 정제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32 ㎎을 무색 비정질로서 얻었다(수율 88%).
[표 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0
이하, 참고 화합물 5-1∼5-20, 시판 화합물 및 기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참고 화합물 6-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참고 화합물 6-2∼6-141을 얻었다.
[표 8-1]∼[표 8-4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49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59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69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79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89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0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1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2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3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4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5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6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7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8
Figure 112009065763325-PCT0009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0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1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0
참고예 7
5-[3-(1,3-벤조티아졸-2-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7-1)
빙냉 하에서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98 ㎎, 0.60 mmol)의 THF(3.0 ㎖) 용액에 2-아미노-1,3-벤조티아졸(100 ㎎, 0.60 mmol)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5-1, 90 ㎎, 0.20 mmol)를 더 첨가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30 ㎖)로 2회 추출하여 유기층을 물(30 ㎖), 포화 식염수(30 ㎖)로 세정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을 함유하는 220 ㎎의 혼합물을 백색 비정질로서 얻었다.
[표 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1
이하, 참고 화합물 5-1∼5-20 및 시판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참고 화합물 7-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참고 화합물7-2∼7-49를 얻었다.
[표 10-1]∼[표 10-1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2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3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7
참고예 8
6-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 N-옥사이드(참고 화합물 8-1)
6-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3.0 g, 20 mmol)에 30% 과산화수소 수(5.7 ㎖, 50 mmol)와 텅스텐산나트륨2수화물(270 ㎎, 0.80 mmol)을 첨가하여 60℃에서 70분간, 80℃에서 4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빙냉하여 메탄올(10 ㎖)과 산화망간(0.51 g, 6.0 mmol)을 첨가하고 실온으로 되돌려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로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시킴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3.2 g을 엷은 다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98%).
[표 1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8
참고예 9
6-아세톡시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참고 화합물 9-1)
6-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 N-옥사이드(참고 화합물 8-1, 2.1 g, 13 mmol)의 아세트산(14 ㎖)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2 ㎖, 13 mmol)과 무수 아세트산(3.5 ㎖, 38 mmol)을 첨가하여 120℃에서 135분간 교반하였다. 방냉시킨 후, 포화 중조수(100 ㎖)를 첨가하고, 거품이 생기지 않게 될 때까지 중조를 더 첨가하였다. 아세트산에틸(100 ㎖, 50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고, 얻어진 고체를 헥산과 아세트산에틸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취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1.2 g을 엷은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수율 48%).
[표 1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49
참고예 10
6-히드록시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10-1)
빙냉 하, 6-아세톡시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참고 화합물 9-1, 0.60 g, 2.9 mmol)의 메탄올(6.0 ㎖) 용액에 2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3.0 ㎖)을 첨가하여 빙냉으로 40분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냉 하, 2규정 염산(3.1 ㎖)을 첨가하여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을 주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표 1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0
참고예 11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6-히드록시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11-1)
참고예 10에서 얻어진 6-히드록시메틸피리딘-3-카르복실산(참고 화합물 10- 1)을 DMF(10 ㎖)에 현탁시키고, 2-아미노페닐카르바민산 t-부틸에스테르(참고 화합물 1-1, 0.60 g, 2.9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5 ㎖, 8.6 mmol), HATU(1.1 g, 2.9 mmol)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20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100 ㎖, 50 ㎖)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100 ㎖)로 2회 세정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함으로써, 표기 참고 화합물 0.66 g을 갈색 유상물로서 얻었다[수율 67%(2 공정)].
[표 1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1
실시예 1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페네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화합물 1-1)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페네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6-1, 31 ㎎, 0.060 mmol)의 메탄올(2.0 ㎖) 용액에 4.0 M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1.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중조수(30 ㎖)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30 ㎖)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로 정제함으로써, 표기 화합물 24 ㎎을 황색 비정질로서 얻었다(수율 84%).
[표 1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2
이하, 참고 화합물 6-2∼6-141, 참고 화합물 7-1∼7-49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화합물 1-1의 제조 방법에 따라 화합물 1-2∼1-190을 얻었다.
[표 16-1]∼[표 16-5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5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6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7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89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0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1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2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3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4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5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6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7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8
Figure 112009065763325-PCT00199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0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4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6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7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8
Figure 112009065763325-PCT00209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0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4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6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7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8
Figure 112009065763325-PCT00219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0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4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6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7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8
Figure 112009065763325-PCT00229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0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4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6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7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8
Figure 112009065763325-PCT00239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0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4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6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7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8
Figure 112009065763325-PCT00249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0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4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6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7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8
실시예 2
N-(2-아미노페닐)-5-[3-(4-디메틸아미노페닐)-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화합물 2-1)
N-(2-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5-[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참고 화합물 5-10, 25 ㎎, 0.053 mmol)의 염화메틸렌(1.0 ㎖) 용액에 4-디메틸아미노페닐이소시아네이트(23 ㎎, 0.14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NH기 수식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함으로써, 무색의 화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을 메탄올(0.5 ㎖)에 용해하고, 4.0 M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1.0 ㎖)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중조수(30 ㎖)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3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표기 화합물 27 ㎎을 무색 비정질로서 얻었다(77%).
[표 17]
Figure 112009065763325-PCT00259
이하, 참고 화합물 5-1, 5-2, 5-6, 5-7, 5-9 및 5-10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화합물 2-1의 제조 방법에 따라 화합물 2-2∼2-15를 얻었다.
[표 18-1]∼[표 18-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0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4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5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6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7
실시예 3
N-(2-아미노페닐)-5-[3-(4-히드록시페닐)-1-[5-(모르폴린-4-일)펜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화합물 3-1)
질소 분위기 하, N-(2-아미노페닐)-5-[3-(4-벤질옥시페닐)-1-[5-(모르폴린-4-일)펜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화합물 1-182, 45 ㎎, 0.072 mmol)의 아세트산에틸(2.0 ㎖)과 메탄올(3.0 ㎖)의 혼합 용액에 10% 팔라듐-탄소(30 ㎎)를 첨가한 후, 수소 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 트로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로 정제함으로써, 표기 화합물 32 ㎎을 황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수율 84%).
[표 19]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8
[제제예]
본 발명 화합물의 대표적인 제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정제(150 ㎎ 중)
본 발명 화합물 1 ㎎
젖당 100 ㎎
옥수수 전분 40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4.5 ㎎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5 ㎎
상기 처방의 정제에 코팅제(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마크로 골, 실리콘수지 등의 통상의 코팅제) 3 ㎎을 이용해서 코팅을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정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 및 첨가물의 종류 및/또는 양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정제를 얻을 수도 있다.
2) 캡슐제(150 ㎎ 중)
본 발명 화합물 5 ㎎
젖당 135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4.5 ㎎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5 ㎎
본 발명 화합물 및 첨가제의 종류 및 또는 양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캡슐제를 얻을 수 있다.
3) 점안제(100 ㎖ 중)
본 발명 화합물 100 ㎎
염화나트륨 900 ㎎
폴리소르베이트 80 500 ㎎
수산화나트륨 적량
염산 적량
멸균 정제수 적량
본 발명 화합물 및 첨가물의 종류 및/또는 양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점안제를 얻을 수 있다.
[약리 시험]
1. HDAC 저해 활성 평가 시험
본 발명 화합물의 HDAC 저해 활성의 평가는, HDAC Fluorimetric Assay/Drug Discovery Kit(BIOMOL사 제조)를 이용하여 키트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하였다. 키트에는, 완충액, HeLa 세포핵 추출액(HDAC가 함유되어 있음), 기질(Substrate), 전개제(Developer) 및 트리코스타틴 A(HDAC 저해제)가 함유되어 있다.
(피험(被驗) 화합물 용액의 조제)
피험 화합물을 디메틸술폭시드(이하, 「DMSO」라고 함)에 용해하여 2 ㎎/㎖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5% DMSO 함유 완충액으로 희석하여 150 μM의 피험 화합물 용액을 조제하였다.
(시험 방법 및 측정 방법)
1) 384구멍 플레이트에 피험 화합물 용액을 1구멍 당 2 ㎕씩 첨가하였다.
2) 완충액으로 30배 희석한 HeLa 세포핵 추출액을 1구멍 당 3 ㎕씩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3) 완충액으로 500배 희석한 기질을 1구멍 당 5 ㎕씩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피험 화합물 농도: 30 μM).
4) 완충액으로 20배 희석한 전개제(2 μM 트리코스타틴 A 함유)를 1구멍 당 10 ㎕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5) 멀티 라벨 카운터 ARVO(Wallac사 제조)를 이용하여 각 구멍의 형광 강도(여기 파장: 360 ㎚, 형광 파장: 460 ㎚)를 측정하였다.
6) 피험 화합물 용액 대신에 5% DMSO 함유 완충액을 이용하고, 다른 것은 상기 1) 내지 5)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그 결과를 컨트롤로 하였다.
7) 피험 화합물 용액 대신에 5% DMSO 함유 완충액을, 또한, HeLa 세포핵 추출액 대신에 완충액을 이용하고, 다른 것은 상기 1) 내지 5)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그 결과를 블랭크로 하였다.
(효소 저해율의 계산식)
효소 저해율(%)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효소 저해율(%)=100×{1-(피험 화합물 용액의 형광 강도-블랭크의 형광 강도)/(컨트롤의 형광 강도-블랭크의 형광 강도)}
(시험 결과)
피험 화합물로서, 화합물 1-2, 화합물 1-3, 화합물 1-4, 화합물 1-6, 화합물 1-8, 화합물 1-10, 화합물 1-13, 화합물 1-14, 화합물 1-20, 화합물 1-21, 화합물 1-24, 화합물 1-25, 화합물 1-27, 화합물 1-30, 화합물 1-31, 화합물 1-38, 화합물 1-40, 화합물 1-41, 화합물 1-42, 화합물 1-44, 화합물 1-46, 화합물 1-51, 화합물 1-53, 화합물 1-55, 화합물 1-56, 화합물 1-58, 화합물 1-63, 화합물 1-68, 화합물 1-79, 화합물 1-90, 화합물 1-96, 화합물 1-115, 화합물 1-116, 화합물 1-141, 화합물 2-1, 화합물 2-3 및 화합물 2-10을 사용한 경우의 효소 저해율을 표 I에 나타낸다.
피험 화합물 효소 저해율 (%) 피험 화합물 효소 저해율 (%)
화합물 1-2 100 화합물 1-44 98
화합물 1-3 100 화합물 1-46 98
화합물 1-4 100 화합물 1-51 98
화합물 1-6 100 화합물 1-53 98
화합물 1-8 96 화합물 1-55 98
화합물 1-10 98 화합물 1-56 97
화합물 1-13 100 화합물 1-58 98
화합물 1-14 100 화합물 1-63 97
화합물 1-20 99 화합물 1-68 99
화합물 1-21 98 화합물 1-79 98
화합물 1-24 96 화합물 1-90 98
화합물 1-25 97 화합물 1-96 98
화합물 1-27 97 화합물 1-115 97
화합물 1-30 100 화합물 1-116 100
화합물 1-31 99 화합물 1-141 91
화합물 1-38 97 화합물 2-1 98
화합물 1-40 97 화합물 2-3 100
화합물 1-41 96 화합물 2-10 99
화합물 1-42 98
또한, 100% 이상의 저해율에 대해서는 100%로 하였다.
2. 섬유주 세포에 대한 형태 변화 작용의 평가 시험
세포의 형태 변화를 평가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Cell Shape Index(이하, 「CSI」라고 함)를 지표로 한 평가계가,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03, 1141-1150(1999)에 보고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문헌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 화합물의 섬유주 세포에 대한 형태 변화 작용을 평가하였다.
(사용 세포)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3, 151-161(2002)에 보고되어 있는 인간 섬유주 세포주(이하, 「TM-1 세포」라고 함)를 사용하였다.
(시약의 조제)
배양액 1: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이하, 「D-MEM」이라고 함)에 우태아 혈청(10%), L-글루타민(2 mM), 암포테리신 B(2.5 ㎍/㎖) 및 겐타마이신(25 ㎍/㎖)을 첨가하여 배양액 1로 하였다.
배양액 2: D-MEM에 우태아 혈청(3%), L-글루타민(2 mM), 암포테리신 B(2.5b㎍/㎖) 및 겐타마이신(25 ㎍/㎖)을 첨가하여 배양액 2로 하였다.
세포 염색액: Calcein-AM 용액(세포질 염색 시약, DOJINDO사 제조) 및 Hoechst 33342 용액(핵 염색 시약, DOJINDO사 제조)을, L-글루타민(2 mM), 암포테리신 B(2.5 ㎍/㎖) 및 겐타마이신(25 ㎍/㎖)을 첨가한 D-MEM에서 희석하여 Calcein-AM(16 μM), Hoechst 33342(40 μM)의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세포의 조제)
37℃, 8% 탄산가스 분위기 하에서 계대 배양한 TM-1 세포를, 후술하는 약품 처리 24시간 전에 트립신-EDTA 용액(0.05% 트립신, 0.53 mM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사나트륨)으로 처리하여 96구멍 배양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세포의 계대 배양에는 배양액 1을 이용하였다. 플레이트 파종 후의 세포 배양에는 배양액 2를 이용하였다.
(피험 화합물 용액의 조제)
피험 화합물을 DMSO에 용해하여 5 mM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배양액 2로 희석하여 200 μM의 피험 화합물 용액을 조제하였다.
(양성 대조 화합물 용액의 조제)
Rho 키나아제 저해제인 Y-27632가 섬유주 세포의 형태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2, 137-144(2001)에 보고되어 있다. 그래서, Y-27632(국제 공개 제90/05723호 팜플렛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를 양성 대조로서 설정하고, 피험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Y-27632를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여 5 mM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배양액 2로 희석하여 200 μM의 용액의 양성 대조 화합물 용액을 조제하였다.
(시험 방법 및 측정 방법)
1) 96구멍 배양 플레이트에 1.6×104 cells/㎖로 조제한 TM-1 세포를 1구멍 당 95 ㎕(1.5×104 cells)씩 첨가하였다.
2) 8% 탄산가스 분위기 하,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을 행하였다.
3) 피험 화합물 용액 또는 양성 대조 화합물 용액을 1구멍 당 5 ㎕씩 첨가하였다(피험 화합물 또는 양성 대조 화합물의 최종 농도: 10 μM). 또한, 컨트롤로서는, DMSO(4%)를 함유하는 배양액 2를 1구멍 당 5 ㎕씩 첨가하였다.
4) 8% 탄산가스 분위기 하,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을 행하였다.
5) 세포 염색액을 1구멍 당 10 ㎕씩 첨가하였다.
6) 8% 탄산가스 분위기 하,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세포를 염색하였다.
7) 37% 포름알데히드 용액을 1구멍 당 10 ㎕씩 첨가하였다.
8)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세포를 고정하였다.
9) 인산 완충 생리 식염액에 의한 세정을 행하였다.
10) Array Scan Vti HCS reader(Cellomics사 제조)를 이용하여 20배의 대물렌즈로, 1 피험 화합물 첨가군 당 80시야(10시야×8구멍)에 대해 염색 세포의 화상을 스캔하였다.
11) 각 세포에 대해 CSI를 산출하고, 각 피험 화합물 첨가군마다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CSI의 계산식)
CSI는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CSI=4π×세포의 면적/(세포 주위의 길이)2
(시험 결과)
피험 화합물로서, 화합물 1-2, 화합물 1-3, 화합물 1-4, 화합물 1-6, 화합물 1-8, 화합물 1-10, 화합물 1-13, 화합물 1-14, 화합물 1-20, 화합물 1-21, 화합물 1-24, 화합물 1-25, 화합물 1-27, 화합물 1-30, 화합물 1-31, 화합물 1-38, 화합물 1-40, 화합물 1-41, 화합물 1-42, 화합물 1-44, 화합물 1-46, 화합물 1-51, 화합물 1-53, 화합물 1-55, 화합물 1-56, 화합물 1-58, 화합물 1-63, 화합물 1-68,화합물 1-79, 화합물 1-90, 화합물 1-96, 화합물 1-115, 화합물 1-116, 화합물 1-141, 화합물 2-1, 화합물 2-3, 화합물 2-10 및 Y-27632를 사용한 경우의 CSI를 표 II에 나타낸다.
피험 화합물 CSI
대조군 0.679
화합물 1-2 0.516
화합물 1-3 0.569
화합물 1-4 0.556
화합물 1-6 0.549
화합물 1-8 0.538
화합물 1-10 0.528
화합물 1-13 0.545
화합물 1-14 0.520
화합물 1-20 0.516
화합물 1-21 0.575
화합물 1-24 0.597
화합물 1-25 0.571
화합물 1-27 0.624
화합물 1-30 0.564
화합물 1-31 0.551
화합물 1-38 0.575
화합물 1-40 0.572
화합물 1-41 0.499
화합물 1-42 0.536
화합물 1-44 0.554
화합물 1-46 0.547
화합물 1-51 0.518
화합물 1-53 0.502
화합물 1-55 0.525
화합물 1-56 0.526
화합물 1-58 0.518
화합물 1-63 0.521
화합물 1-68 0.502
화합물 1-79 0.497
화합물 1-90 0.480
화합물 1-96 0.489
화합물 1-115 0.467
화합물 1-116 0.455
화합물 1-141 0.515
화합물 2-1 0.574
화합물 2-3 0.550
화합물 2-10 0.582
Y-27632 0.543
3. 안압 하강 작용의 평가 시험
본 발명 화합물의 안압 하강 작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컷 일본 백색 토끼를 이용한 본 발명 화합물의 전방(前房) 내 투여에 의한 안압 하강 작용의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 화합물 투여액의 조제)
피험 화합물을 0.5%의 DMSO 함유 생리 식염액에 용해시켜 1 mM의 피험 화합물 투여액을 조제하였다.
(시험 방법 및 측정 방법)
수컷 일본 백색 토끼의 양 눈에 0.4% 염산옥시부프로카인 점안액을 1방울씩 점안하여 국소 마취한 후, 압평식(壓平式) 안압계를 이용하여 안압을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30G 바늘의 주사기를 이용하여 한쪽 눈에 피험 화합물 투여액(20 ㎕)을 전방 내 투여하였다. 컨트롤로서는, 피험 화합물의 용매(0.5% DMSO 함유 생리 식염액)를 20 ㎕ 전방 내 투여하였다. 피험 화합물 또는 용매를 투여하고 나서 일정 시간 후에, 투여 눈에 0.4% 염산옥시부프로카인 점안액을 1방울씩 점안하여 국소 마취한 후, 압평식 안압계를 이용하여 안압을 측정하였다.
(안압 하강률의 계산식)
피험 화합물의 안압 하강 작용은 안압 하강률을 산출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안압 하강률(%)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안압 하강률(%)=100×(컨트롤군의 안압의 평균값-각 피험 화합물 투여군의 안압의 평균값)/컨트롤군의 안압의 평균값
(시험 결과 및 고찰)
피험 화합물로서, 화합물 1-96을 사용한 경우의 안압 하강률을 표 III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안압 하강률은 각 피험 화합물을 투여하고 나서 9시간 후의 것이다(1군 당 6예).
피험 화합물 안압하강률(%)
화합물 1-96 18
표 I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HDAC 저해 활성을 갖고 있고,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 예컨대, 암, 자기면역질환, 염증성질환, 신경변성질환, 감염증, 조혈장해, 섬유증, 순환기 질환, 혈관신생이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또한, 표 II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화합물은 섬유주 세포에 대하여, 양성 대조로 한 Y-27632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우수한 세포 형태 변화 작용을 가졌다(또한, 표 II에 있어서는, CSI가 작을수록 세포 형태 변화가 큰 것을 나타냄). 또한, 표 III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화합물은 실제의 동물 모델 시험에 있어서도 우수한 안압 하강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화합물은, 방수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 특히 녹내장, 고안압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 화합물은 HDAC 저해 활성을 가지며, HDAC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며, 특히, 암, 자기면역질환, 염증성질환, 신경변성질환, 감염증, 조혈장해, 섬유증, 순환기 질환, 혈관신생이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섬유주 세포 형태 변화 작용 및 안압 하강 작용을 갖기 때문에 방수 순환 및/또는 안압이 관여하는 질환, 예컨대, 녹내장, 고안압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09065763325-PCT00269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키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70
    R3은 히드록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 카르복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OCONRaRb, -NRcRd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71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여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히드록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6은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복소환기, 히드록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티오기, 포르밀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카르보닐기, 카르복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eRf를 나타내며;
    R7은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히드록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Ra, Rb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c, Rd, Re 및 Rf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내고;
    고리 A는 고리식 탄화수소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며;
    고리 B는 질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X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 및 Z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단일 결합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1-W2가 N-C 또는 C-N을 나타내며;
    l, m, n 및 o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0, 1, 2 또는 3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톡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티오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를 치 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72
    R3은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릴옥시기, 카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OCONRaRb, -NRcRd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며;
    화학식 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7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히드록시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6은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복소환기,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아릴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저급 알킬티오기, 저급 시클로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포르밀기, 저급 알 킬카르보닐기, 카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eRf를 나타내며;
    R7은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시클로알킬옥시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Ra 및 Rb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c, Rd, Re 및 Rf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시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고리 A는 환식 탄화수소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며;
    고리 B는 질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X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Y 및 Z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단일 결합, 저급 알킬렌기 또는 옥소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1-W2는 N-C 또는 C-N을 나타내며;
    l, m, n 및 o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0, 1, 2 또는 3을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서,
    R1은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톡시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티오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키닐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2
    Figure 112009065763325-PCT00274
    R2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며;
    R3은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OCONRaRb, -NRcRd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3
    Figure 112009065763325-PCT00275
    R6은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시아노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킬기, 아릴기, 모르폴리노기, 히드록시기,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아릴기를 치환기로 서 갖는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티오기, 저급 알킬카르보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NReRf를 나타내며;
    R7은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a 및 Rb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Rc, Rd, Re 및 Rf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고리 A는 환식 탄화수소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며;
    고리 B는 질소 원자 및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개의 헤테로 원자를 고리 내에 갖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X 및 Y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Z는 단일 결합, 저급 알킬렌기 또는 옥소기로 치환된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W1-W2는 C-N 또는 N-C를 나타내며;
    l 및 m은 0을 나타내고;
    o는 0 또는 1을 나타내며;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서, 고리 A가 벤젠, 인단, 티오펜, 벤조[1,3]디옥솔, 2,3-디히드로벤조푸란, 1H-벤조이미다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벤조티아졸, 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 또는 피리딘을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서, 고리 B가 피롤리딘 또는 모르폴린을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6.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디메틸아미노페닐)-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모르폴린-4-일)프로필)-3-페네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3,4-디플루오로페닐)-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4-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디에틸아미노페닐)-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3-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3-플루오로-4-메틸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4-플루오로-3-메틸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시아노페닐)-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벤조[1,3]디옥솔-5-일)-1-(3-히드록시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디메틸아미노페닐)-1-(2-에톡시카르보닐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1,3-벤조티아졸-2-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1H-벤조이미다졸-2-일)-1-(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1-벤조푸란-5-일)-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2-히드록시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페닐카르보닐메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1,3-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6-메톡시-1,3-벤조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6-플루오로-1,3-벤조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에틸아미노프로필)-3-(3,4-디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모르폴린-4-일)프로필)-3-(피리딘-3-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티오펜-3-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3-플루오로-4-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3-디에틸아미노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디에틸아미노프로필)-3-(4-플루오로-3-니트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2-디메틸아미노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3-메톡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3-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티오펜-3-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피리딘-3-일)-1-[3-(피롤리딘-1-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1-(3-(모르폴린-4-일)프로필)-3-(페닐카르보닐메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3-클로로페닐)-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 N-(2-아미노페닐)-5-[3-(4-플루오로페네틸)-1-(3-(모르폴린-4-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4-시아노페닐)-1-(3-히드록시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3-플루오로페닐)-1-[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3-메틸페닐)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2,3-디히드로벤조[1,4]디옥신-6-일)-1-[4-(모르폴린-4-일)부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1-(2-디메틸아미노에틸)-3-(1,3-티아졸-2-일)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2-메톡시페닐)-1-[4-(모르폴린-4-일)부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N-(2-아미노페닐)-5-[3-(3-메틸페닐)-1-[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필]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 및
    ·N-(2-아미노페닐)-5-[3-시클로펜틸-1-[5-(모르폴린-4-일)펜틸]우레이도메틸]피리딘-2-카르복실산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제가 유효하게 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20097022470A 2007-03-28 2008-03-28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KR20090128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84258 2007-03-28
JP2007084258 2007-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513A true KR20090128513A (ko) 2009-12-15

Family

ID=3978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470A KR20090128513A (ko) 2007-03-28 2008-03-28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12972B2 (ko)
EP (1) EP2133339A4 (ko)
JP (1) JP5150332B2 (ko)
KR (1) KR20090128513A (ko)
CN (1) CN101646651A (ko)
CA (1) CA2680517A1 (ko)
WO (1) WO2008117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8520A (zh) * 2006-12-26 2009-10-28 参天制药株式会社 具有脲结构的新型n-(2-氨基苯基)苯甲酰胺衍生物
US20100056522A1 (en) * 2007-03-28 2010-03-04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Intraocular pressure-lowering agent comprising compound having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effect as active ingredient
WO2009142321A1 (ja) * 2008-05-23 2009-11-26 参天製薬株式会社 ウレア構造を有する新規チオフェンジアミン誘導体
WO2010028192A1 (en) 2008-09-03 2010-03-11 Repligen Corporation Compositions including 6-aminohexanoic acid derivatives as hdac inhibitors
US8957066B2 (en) 2011-02-28 2015-02-17 Biomarin Pharmaceutical Inc.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10059723B2 (en) 2011-02-28 2018-08-28 Biomarin Pharmaceutical Inc.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DK2680694T3 (en) 2011-02-28 2019-03-25 Biomarin Pharm Inc HISTONDEACETYLASE INHIBITORS
ITRM20120405A1 (it) * 2012-08-09 2014-02-10 C N C C S Scarl Collezione Naziona Le Dei Compost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isorders that are ameliorated by inhibition of hdac
CA2903490C (en) 2013-03-15 2021-04-13 Biomarin Pharmaceutical Inc. Hdac inhibitors
CN108290878B (zh) * 2015-10-23 2022-04-26 威佛(国际)股份公司 新的膜铁转运蛋白抑制剂
JOP20180036A1 (ar) 2017-04-18 2019-01-30 Vifor Int Ag أملاح لمثبطات فروبورتين جديد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5723A1 (en) 1988-11-24 1990-05-31 Yoshitomi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Trans-4-amino(alkyl)-1-pyridylcarbamoyl-cyclohexane compounds and their medicinal use
GB9526560D0 (en) 1995-12-27 1996-02-28 Bayer Ag Use of 2-Amino-Heterocycles
US5798380A (en) 1996-02-21 1998-08-2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ytoskeletal active agents for glaucoma therapy
JP4405602B2 (ja) * 1998-04-16 2010-01-27 バイエル・シエーリング・ファーマ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阻害剤
EP1459743B9 (en) 1998-08-17 2012-08-01 Senju Pharmaceutical Co., Ltd. Agent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glaucoma
US6897220B2 (en) 2001-09-14 2005-05-24 Methylgene, Inc.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JP2006508120A (ja) 2002-11-12 2006-03-09 アルコ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の変性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インヒビター
TW200426138A (en) * 2002-12-10 2004-12-01 Hoffmann La Roche Novel arylene-carboxylic acid (2-amino-phenyl)-amide derivatives, their manufacture and use as pharmaceutical agents
WO2004065354A1 (en) 2003-01-17 2004-08-05 Topotarget Uk Limited Carbamic acid compounds comprising an ester or ketone linkage as hdac inhibitors
JP2005272419A (ja) 2004-03-26 2005-10-06 Nippon Kayaku Co Ltd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阻害剤
JP2007191398A (ja) 2006-01-17 2007-08-02 Saisentan Igaku Kenkyusho:Kk 眼疾患治療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50332B2 (ja) 2013-02-20
CA2680517A1 (en) 2008-10-02
EP2133339A1 (en) 2009-12-16
EP2133339A4 (en) 2010-04-21
WO2008117862A1 (ja) 2008-10-02
CN101646651A (zh) 2010-02-10
US8012972B2 (en) 2011-09-06
US20100063045A1 (en) 2010-03-11
JP2008266320A (ja)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8513A (ko)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피리딘카르복실산(2-아미노페닐)아미드 유도체
KR100663147B1 (ko) 축합 피리다진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함유하는 약제
JP5235887B2 (ja) Rhoキナーゼ阻害剤
ES2391865T3 (es) Nuevos derivados de 1,2-dihidroquinolina que tienen un grupo fenilamino alquilo inferior y un grupo fenilo introducido por éster como sustituyentes
KR20090125209A (ko)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안압 하강제
KR20090096624A (ko)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n-(2-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유도체
KR20090109551A (ko) IκB 키나아제 β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인돌 유도체
WO2010114881A1 (en) Anti-neoplastic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AU2009247250B2 (en) Glucocorticoid receptor agonist composed of 2,2,4-trimethyl-6-phenyl-1,2-dihydroquinoline derivatives having substituted oxy group
EP2733144B1 (en) Novel compound having parp inhibitory activity
EP1325920B1 (en) N-substituted benzothiophenesulfonamide derivatives
KR20110028262A (ko) 우레아 구조를 갖는 신규 티오펜디아민 유도체
FR2953836A1 (fr) Nouveaux derives (heterocycle-tetrahydro-pyridine)-(piperazinyl)-1-alcanone et (heterocycle-dihydro-pyrrolidine)-(piperazinyl)-1-alcanone et leur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p75
JP2012176930A (ja) ウレイド基とアミノカルボニル基を置換基として有するチオフェ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新規jak3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