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985A -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985A
KR20090127985A KR1020080053946A KR20080053946A KR20090127985A KR 20090127985 A KR20090127985 A KR 20090127985A KR 1020080053946 A KR1020080053946 A KR 1020080053946A KR 20080053946 A KR20080053946 A KR 20080053946A KR 20090127985 A KR20090127985 A KR 2009012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bration
haptic feedback
haptic
feedback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063B1 (ko
Inventor
양태헌
권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5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06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햅틱피드백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밴드부의 길이를 변화시켜 미세돌기 간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미세돌기의 진동의 변위 또는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미세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112);와 인가되는 전기에 따라 미세돌기(10)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조절부(114);를 포함하는 햅틱부(110); 햅틱부(110)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미세돌기(10)를 소정의 주파수 또는 변위로 진동시키는 진동부(140); 및 진동부(140) 및 간격조절부(114)로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으로써, 미세돌기(10) 간의 간격,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동의 변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표면무늬, 미세돌기, 진동, 형상기억합금, 햅틱 피드백

Description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Haptic feedback device and haptic feedback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햅틱피드백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밴드부의 길이를 변화시켜 미세돌기 간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미세돌기의 진동의 변위 또는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손가락으로 물체를 만질 때 느낄 수 있는 햅틱 피드백은 물체가 피부의 표면에 닿아서 느끼는 촉감 피드백(Tactile feedback)과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이 방해될 때 느껴지는 근감각 힘 피드백(Kinesthetic force feedback)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햅틱 피드백"이란 이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특히,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물체의 표면을 확대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미세한 돌기(10)의 배열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람이 손가락(1)으로 미세돌기(10)가 배열된 물체의 표면을 문지르면, 미세돌기(10)가 진동(예, 좌우진동 또는 회전진동)하여 사람은 미세돌기(10) 통해 촉감을 인지하게 된다. 물체는 그 종류에 따라 미세돌기(10)의 물성이 다르다. 그러므로 물체 는 물체마다 각기 다른 고유의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리고, 햅틱 피드백은 물체를 문지르는 속도 및 힘에 따라 다르게 인지된다. 즉, 다른 햅틱 피드백을 인지하려면, 그 변수로 물체를 문지르는 사람의 손가락(1)의 속도와 힘뿐이므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물체의 물성을 바꾸지 않는 한, 햅틱 피드백의 다양성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물성을 갖는 물체로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미세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112);와 인가되는 전기에 따라 미세돌기(10)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조절부(114);를 포함하는 햅틱부(110); 햅틱부(110)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미세돌기(10)를 소정의 주파수 또는 변위로 진동시키는 진동부(140); 및 진동부(140) 및 간격조절부(114)로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으로써, 미세돌기(10) 간의 간격,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동의 변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햅틱피드백 제공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햅틱부(110)는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햅틱부(110)의 하부에는 햅틱부(110)와 격자로 구비되어, 햅틱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세돌기(10) 간의 수직간격을 변화시키는 수직조절부(12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직조절부(120)는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부(114)는 밴드부(112)의 양단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간격조절부(114)는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된다.
또한, 밴드부(112)는 신축성 있는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밴드부(112)는 폴리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140)의 상부에는 진동부(140)의 진동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증폭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140)는 복수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햅틱부(11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위치감지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에는 미세돌기(10) 간의 간격,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동의 변위에 따른 햅틱피드백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또는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개의 밴드부(112)의 길이신장이 각각 다르게 구현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114)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어부는 복수개의 진동부(140)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위치감지부(150)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00,S200);
제어부가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진동부(140)와 간격조절부(114,124)에 소정의 전기를 인가하는 단계(S300);
간격조절부(114,124)의 길이수축으로 인한 밴드부(112,122)의 길이변화로 복수개의 미세돌기(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미세돌기(10)가 진동부(140)에 의하여 소정의 변위 또는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단계(S400,500); 및
미세돌기(10)의 진동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인지되도록 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단계(S300)에서, 제어부는 복수개의 진동부(140) 및 복수개의 상기 간격조절부(114,124)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단계(S300)에서, 제어부는 미세돌기(10) 사이의 간격, 진동의 변위 또는 진동의 주파수에 따른 햅틱피드백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또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진동부(140) 및 간격조절부(114,124)에 인가되는 전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미세돌기 간의 간격과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동의 변위를 조절하여, 하나의 물성을 갖는 물체로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재료와 한정된 크기로 제작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촉감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 PDA,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폭넓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햅틱피드백 제공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햅틱피드백 제공장치의 기본구성도이고, 도 3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가 휴대용 기기(예, 휴대폰)에 장착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햅틱피드백 제공장치는 햅틱부(110), 수직조절부(120) 및 진동부(140), 위치감지부(150),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햅틱부(11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5는 이러한 햅틱부(110)가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된 상태로, 화살표는 간격조절부(114)의 수축에 의하여 밴드부(112) 양단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햅틱부(110)는 복수개의 미세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112)와 밴드부(112)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간격조절부(114)로 구성된다.
밴드부(112)는 간격조절부(114)에 의하여 소정의 변위만큼 신장 또는 수축되므로, 신축성 및 유연성이 있는 재질임이 바람직하며, 그 중 폴리머 필름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밴드부(112)에는 복수개의 미세돌기(1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세돌기(10)들 간의 간격은 일정하다.
간격조절부(114)는 밴드부(112)의 양단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되고, 소정의 전기가 인가되면 변형되어 밴드부(112)의 길이변화를 유도한다. 예를 들어, 간격조절부(114)가 수축되면, 제1고정부(201)에 의해 결합된 밴드부(112)는 소정의 길이만큼 신장된다. 즉, 간격조절부(114)는 밴드부(112)에 인장력을 제공한다. 반대로 간격조절부(114)가 신장되면, 제1고정부(201)에 의하여 결합된 밴드부(112)는 소정의 길이만큼 수축된다. 간격조절부(114)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은 소정의 전기(전압 또는 전류)를 사용하여 열을 가하면, 빠르게 수축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간격조절부(114)는 제1고정부(201)에 의하여 밴드부(112)와 결합되고, 제2고정부(202)에 의하여 하우징(210,220)에 고정된다. 제2고정부(202)가 하우징(210,220)에 고정된바, 간격조절부(114)의 길이수축에 의하여 밴드부(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받는다. 그리하여 밴드부(112)는 소정의 변위만큼 신장된다. 그리하여 밴드부(112)에 형성된 미세돌기(10)간의 간격이 넓어진다.
하부하우징(220)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전자장치가 구비되며, 특히 액정패널(LCD 패널, OLED 패널 또는 전자잉크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이경우 진동부(140)는 액정패널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부하우징(2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간격조절부(114)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는 경우, 전기를 사용하여 형상기억합금에 열을 가하기 위한 배선(미도시)이 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의 일예로는 니켈-티타늄 합금, 구리-아연-알루미늄 합금이 있다. 형상기억합금의 수축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미도시)가 밴드 부(112)와 간격조절부(114) 사이에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6는 복수개의 햅틱부(110)의 하부에 수직조절부(12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수직조절부(120)도 햅틱부(110)와 마찬가지로 밴드부(122) 및 간격조절부(124)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직조절부(120)의 구성, 동작 및 재질의 특성 등은 동일한바, 앞서 기재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수직조절부(120)는 햅틱부(110)와 연결되어, 햅틱부(110)에 형성된 미세돌기(10)간의 수직간격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햅틱부(110)에 형성된 미세돌기(10)의 수직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조절부(120)는 햅틱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격자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햅틱부(110)와 수직조절부(120)에 구비된 간격조절부(114,124) 각각을 제어하여 밴드부(112)에 형성된 미세돌기(10) 간의 간격과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조절부(12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고, 햅틱부(110)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된다. 수직조절부(120)의 간격조절부(124)에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면, 당해 간격조절부(124)와 결합된 밴드부(122)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된다. 그리고 햅틱부(110)의 간격조절부(114)에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면 당해 간격조절부(114)와 결합된 밴드부(112)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된다. 수직조절부(120)와 햅틱부(110)를 동시에 제어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길이신장을 함으로써, 햅틱 부(110)에 형성된 미세돌기(10)의 수직과 수평 간격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진동부(140)은 밴드부(112)에 형성된 복수개의 미세돌기(10)가 소정의 주파수 또는 소정의 변위로 진동할 수 있는 소스를 제공한다. 즉, 진동부(140)의 진동이 미세돌기(10)로 전달되어 미세돌기(10)가 소정의 주파수 또는 소정의 변위로 진동하게 되고, 그리하여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이 전달된다. 진동부(140) 액추에이터 또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장착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로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초음파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진동부(140)의 상부에는 증폭부(130)가 더 부가됨이 바람직하다. 증폭부(130)는 진동부(140)에서 발생한 진동을 증폭시켜 햅틱부(110)의 미세돌기(10)로 전달한다. 증폭부(130)로는 금속판(예,철판)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간격조절부(114,124)와 진동부(140)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한다. 즉, 밴드부(112,122)에 형성된 미세돌기(1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햅틱부(110)의 간격조절부(114) 또는 수직조절부(120)의 간격조절부(124)로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한다. 그리고, 미세돌기(10)의 진동은 진동부(140)의 진동에 의하므로, 미세돌기(10) 진동의 변위 또는 진동의 주파수의 제어는 진동부(140) 진동의 변위 또는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햅틱부(110) 또는 수직조절부(120)의 밴드부(112,122) 양단 모두에 간격조절부(114,124)가 구비된 경우 또는 햅틱부(110)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제어부의 간격조절부(114)로의 전기제어는 각각 독립적임이 바람직하다. 수직조절부(120)와 진 동부(140)가 각각 복수개 구비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경우의 수로 미세돌기(10)의 간격과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동의 변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에는 미세돌기(10) 간의 간격, 미세돌기(10) 진동의 변위 또는 주파수에 따라 어떤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는지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또는 테이블이 미리 저장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느 위치의 밴드부(112)가 얼만큼 신장되어 당해 밴드부(112)에 형성된 미세돌기(10) 간의 간격이 어느 정도이고, 당해 미세돌기(10)의 진동의 변위 또는 주파수가 어떤 수치인 경우에 거친 느낌을 전달하는지, 부드러운 느낌을 전달하는지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위치감지부(150)는 햅틱부(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150)는 사용자가 동작 또는 위치명령을 하는 부재로서,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감지신호는 접촉위치 데이터(예, x,y 데이터)의 형태 또는 접촉궤적 데이터의 형태로 제어부로 전송된다. 접촉궤적 데이터는 일예로, 시간에 따른 접촉위치 데이터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위치감지부(150)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이 될 수 있다.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시그널이 발생되어 인식되는 압전식임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필름의 햅틱부(110)와 수직조절부(120)가 있어도 압전식의 위치감지부(150)의 기능이나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위치감지부(150)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의 진동부(140)의 제어는 위치감지부(150)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에 기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격조절부(114) 에 인가되는 전기도 위치감지부(15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를 이용한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피드백 제공장치를 이용한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햅틱피드백 제공장치의 상부를 접촉하게 된다(S100). 햅틱피드백 제공장치에 구비된 위치감지부(150)는 접촉된 위치의 좌표 데이터 또는 접촉궤적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한다(S200).
그 다음, 제어부는 감지신호, 즉 접촉위치 데이터 또는 접촉궤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진동부(140)와 복수개의 간격조절부(114,124)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한다(S300). 이 때, 각각의 진동부(140)와 각각의 간격조절부(114,124)로 인가되는 전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에는 햅틱 피드백에 관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 또는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그 값에 해당하는 전기가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의 간격조절부(114)에 대한 전기제어에 의하여, 간격조절부(114)는 길이가 수축되고, 간격조절부(114)의 길이수축에 의하여 밴드부(112)는 길이가 신장된다. 밴드부(112)의 길이 신장으로 미세돌기(10) 간의 간격도 늘어난다(S400). 또한, 제어부의 진동부(140)로의 전기제어에 의하여, 진동부(140)는 소정의 주파수 또는 소정의 변위로 진동하며, 진동부(140)의 이러한 진동은 증폭부(130)를 거쳐 미세돌기(10)로 전달된다. 그리하여, 미세돌기(10)는 진동부(140)와 동일하거나 증폭된 변위 또는 주파수로 진동한다(S500).
이와 같이, 간격이 넓어진 미세돌기(10)의 진동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이 전달되고 사용자는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감지하게 된다(S600).
상술한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은 미세돌기(10)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미세돌기(10)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변형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앞선 발명의 실시예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는 휴대폰, PDA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촉감을 제공하는 게임 또는 시뮬레이션 장치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사람이 손가락을 통해 촉감을 느끼는 개념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햅틱피드백 제공장치의 기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피드백 제공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햅틱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햅틱부가 복수개 배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부와 수직조절부의 배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장치를 이용한 햅틱피드백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가락,
10: 미세돌기,
102: 제1고정부,
104: 제2고정부,
110: 햅틱부,
112,122: 밴드부,
114,124: 간격조절부,
120: 수직조절부,
130: 증폭부,
140: 진동부,
150: 위치감지부,
210: 상부하우징,
220: 하부하우징.

Claims (17)

  1. 복수개의 미세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112);와 인가되는 전기에 따라 상기 미세돌기(10)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조절부(114);를 포함하는 햅틱부(110);
    상기 햅틱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미세돌기(10)를 소정의 주파수 또는 변위로 진동시키는 진동부(140); 및
    상기 진동부(140) 및 상기 간격조절부(114)로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미세돌기(10) 간의 간격,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동의 변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110)는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110)의 하부에는
    상기 햅틱부(110)와 격자로 구비되어, 상기 햅틱부(1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미세돌기(10)의 수직간격을 변화시키는 수직조절부(1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조절부(120)는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114)는 상기 밴드부(112)의 양단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114)는 형상기억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12)는 신축성 있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12)는 폴리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 치.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140)의 상부에는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증폭부(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14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110)의 하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위치감지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미세돌기(10) 간의 간격, 진동의 주파수 또는 진동의 변위에 따른 햅틱피드백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또는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밴드부(112)의 길이신장이 각각 다르게 구현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114)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부(14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15. 위치감지부(150)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00,S200);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진동부(140)와 간격조절부(114,124)에 소정의 전기를 인가하는 단계(S300);
    상기 간격조절부(114,124)의 길이수축으로 인한 밴드부(112,122)의 길이변화로 복수개의 미세돌기(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상기 미세돌기(10)가 상기 진동부(140)에 의하여 소정의 변위 또는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단계(S400,500); 및
    상기 미세돌기(10)의 진동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인지되도록 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S300)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진동부(140) 및 복수개의 상기 간격조절부(114,124)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S300)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돌기(10) 사이의 간격, 진동의 변위 또는 진동의 주파수에 따른 햅틱피드백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또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부(140) 및 상기 간격조절부(114,124)에 인가되는 전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KR1020080053946A 2008-06-10 2008-06-10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KR10093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46A KR100939063B1 (ko) 2008-06-10 2008-06-10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46A KR100939063B1 (ko) 2008-06-10 2008-06-10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985A true KR20090127985A (ko) 2009-12-15
KR100939063B1 KR100939063B1 (ko) 2010-01-28

Family

ID=4168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946A KR100939063B1 (ko) 2008-06-10 2008-06-10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1798B2 (en) 2011-11-16 2014-07-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aptic feedback device
CN111796720A (zh) * 2020-07-14 2020-10-20 北海翰博士科技有限公司 一种触感反馈清晰的触控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519A (ko) * 2001-10-23 2009-07-30 임머숀 코퍼레이션 감촉 피드백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사일런트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JP3937982B2 (ja) * 2002-08-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US7218313B2 (en) * 2003-10-31 2007-05-15 Zeetoo, Inc. Human interface system
KR20080048837A (ko) * 2006-11-2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촉각 피드백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1798B2 (en) 2011-11-16 2014-07-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aptic feedback device
CN111796720A (zh) * 2020-07-14 2020-10-20 北海翰博士科技有限公司 一种触感反馈清晰的触控显示屏
CN111796720B (zh) * 2020-07-14 2023-11-17 北海翰博士科技有限公司 一种触感反馈清晰的触控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063B1 (ko)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2832B1 (en) Hapt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aptic effect
US915226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iezoelectric actuator
US20130229088A1 (en) Haptic modul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WO2012053202A1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0951836B1 (ko) 전기유변유체를 이용한 햅틱모듈, 그 제어방법 및 햅틱모듈을 갖는 햅틱 제공 장치
JP5615421B2 (ja) 電子機器
US20100253485A1 (en) Touch screen device
US20120104901A1 (en) Piezo based inertia actuator for high definition haptic feedback
CN102004571B (zh) 触摸屏装置
US9653979B2 (en) Multidirectional vibration generator using single vib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JP5679905B2 (ja)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機器
KR100968905B1 (ko) 굽힘을 이용한 햅틱피드백 장치
JP6187703B2 (ja) 振動装置
JP2010522389A (ja) 入力装置のための力のフィードバック
JP2013003754A (ja) 入力装置
KR101097826B1 (ko) 센서와 유변유체를 이용한 햅틱 장치, 이를 갖는 전자기기및 이를 이용한 햅틱 제공방법
KR100980855B1 (ko) 이종 액츄에이터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기기 및 그제공방법
KR100957005B1 (ko) 이종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모듈, 이를 갖는 휴대기기 및 그 제공방법
KR100939063B1 (ko) 햅틱피드백 제공장치 및 햅틱피드백 제공방법
KR100924087B1 (ko)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햅틱모듈, 그 제어방법 및햅틱모듈을 갖는 햅틱 제공 장치
KR100968902B1 (ko) 스피커의 영구자석을 이용한 촉각 피드백 제공모듈, 이를 갖는 휴대기기 및 그 제공방법
KR100951835B1 (ko) 패시브형 햅틱 구동장치를 갖는 햅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햅틱 제공방법
JP2013020362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機器
WO2018134938A1 (ja) 電子機器
KR100907812B1 (ko) 지렛대를 이용한 햅틱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햅틱피드백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