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719A -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 Google Patents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719A
KR20090127719A KR1020080053820A KR20080053820A KR20090127719A KR 20090127719 A KR20090127719 A KR 20090127719A KR 1020080053820 A KR1020080053820 A KR 1020080053820A KR 20080053820 A KR20080053820 A KR 20080053820A KR 20090127719 A KR20090127719 A KR 20090127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image
left eye
right eye
camera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기철
Original Assignee
(주)프리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즘테크 filed Critical (주)프리즘테크
Priority to KR102008005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7719A/en
Publication of KR2009012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7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PURPOSE: A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observing a fine object is provided to install an objective lens system in the lower part of a plate, thereby efficiently observing the inside of the fine object. CONSTITUTION: An objective lens system(200) outputs an image of an inspected object as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 left eye image camera(300) obtains a left eye image as left eye image data. A right eye image camera(400) obtains a right eye image as right eye image data. A stereographic image display(500) outputs a 3D image.

Description

미세 물체의 관찰을 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본 발명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안영상카메라, 우안영상카메라 및 입체영상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없는 미세물체를 깊이 감이 있는 확대된 입체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미세물체 관찰을 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microscopic object that cannot be easil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using a left eye image camera, a right eye image camera, 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s an enlarged stereoscopic image having a sense of dep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for microscopic object observation.

현미경이란 인간의 눈으로 관찰이 어렵거나 불가한 작은 물체나 미생물 등을 확대하는 장치로써, 렌즈계의 배율에 따라 확대된 영상을 렌즈에 결상하여 관찰자에게 제공해주는 장치이다.A microscope is a device for enlarging small objects or microorganisms that are difficult or impossible to observe with the human eye, and provide an image to an observer by imaging an image enlarged according to the magnification of the lens system.

그러나,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 물체의 관찰의 경우에는 선명하게 확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렌즈계가 필요하고 초점 조정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observing a very small sized object, an expensive lens system is required to sharply enlarge and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focusing.

또한, 사람이 직접 접안렌즈에 양안을 접촉시켜 관찰해야하므로 눈의 피로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person must directly observe both eyes to the eyepie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ye fatigue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검체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확대하여 출력해 줌으로써 관찰자의 눈의 피로를 절감하는 현미경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미세물체의 깊이 감은 관찰할 수 없으므로 관찰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icroscope was developed to reduce the eye fatigue of the observer by photographing the subject with a camera and expanding the output to a display device. However, the depth of the microscopic object cannot be observed. There is a possibility.

한편, 종래의 현미경의 경우 플레이트 상에 피검체를 두고 상기 피검체의 상부에서 피검체를 관찰하는 방식이므로 자연광의 간섭이 발생하여 피검체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었고, 피검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획득하므로 내부구조 관찰의 필요성이 있는 미세물체 관찰용으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microscope, because the subject is placed on the plate and the subject is observed from the top of the subject, interference of natural light occurs, so that a clear image of the subject cannot be obtained, and the refl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subject is reflected. Since the light is obtain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observing the micro-objects that need to observe the internal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물체 관찰에 있어서, 자연광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상기 미세물체의 내부까지 효율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that can effectively observe the interior of the micro-objects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of natural light in microscopic object observation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찰자로 하여금 미세물체를 깊이 감이 있는 입체영상으로 관찰하게 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줄이고 관찰을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that allows the observer to observe the micro-objects in a three-dimensional image with a sense of depth to reduce eye fatigue and reduce the error of observ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피검체가 놓이고 상기 피검체의 영상을 하부로 투과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검체의 영상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출력하는 대물렌즈계, 상기 대물렌즈계가 출력하는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좌안영상을 좌안영상데이터로 획득하는 좌안영상카메라, 상기 대물렌즈계가 출력하는 우안영상의 광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우안영상을 우안영상데이터로 획득하는 우안영상카메라 및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ate on which the subject is placed and transmits the image of the subject to the bottom, provided on the lower plate and the left eye of the image of the subject An objective lens system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 left eye image camera provided in an optical path of a left eye image output by the objective lens system, and a left eye image camera for acquiring the left eye image as left eye image data, and an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output by the objective lens system And a right eye image camera for acquiring the right eye image as right eye image data 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and outputting a three dimensional imag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안영상카메라가 놓이고 상기 좌안영상카메라가 상기 좌안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우 안영상카메라가 놓이고 상기 우안영상카메라가 상기 우안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2 스테이지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ft eye image camera is placed, the first stag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to obtain the left eye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is placed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is the right eye image data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tage for adjusting the position to obtai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를 상기 대물렌즈계와의 거리는 유지한 채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좌안영상이 상기 좌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를 상기 우안영상의 광 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우안영상이 상기 우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크기를 조절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stage moves the left eye image camera up, down, left, and right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objective lens system. The position of the image is adjusted, and the second stage moves the right eye image camera along the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to adjust the size at which the right eye image is formed on the right eye image camera.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를 상기 대물렌즈계와의 거리는 유지한 채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좌안영상이 상기 좌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를 상기 대물렌즈계와의 거리는 유지한 채 상기 우안영상의 광 경로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우안영상이 상기 우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위치를 조절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stage moves the left eye image camera left and right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objective lens system so that the left eye image is imaged on the left eye image camera. And the second stage moves the right eye image camera up and down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ive lens system. Adjust the posi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를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를 따라 더 움직이게 하여 상기 좌안영상이 상기 좌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를 상기 우안영상의 광 경로를 따라 더 움직이게 하여 상기 우안영상이 상기 우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크기를 조절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stage further moves the left eye image camera along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to adjust the size at which the left eye image is formed on the left eye image camera, and the second stage is the right eye. The image camera is further moved along the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to adjust the size at which the right eye image is formed on the right eye image camera.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계와 상기 영상카메라들 사이에서 상기 각 영상들의 광 경로를 분기하여 분기광 경로를 출력하는 빔 스플리터 및 상기 분기광 경로에 구비되고 관찰자가 양안으로 상기 피검체를 관찰하는 접안렌즈계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am splitter for dividing the optical path of each of the images between the objective lens system and the image cameras and outputs a branched light path, and is provided in the branched light path and the observer observes the subject with both eyes The eyepiece system further compris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계는 상기 피검체의 영상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분리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분리된 영상들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렌즈를 포함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bjective lens system includes an objective lens for dividing an image of the subject into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a zoom lens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separated imag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체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외부 자연광의 진행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자연광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상기 피검체가 놓이는 플레이트의 하부에 대물렌즈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미세물체의 내부까지 효율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of natural light by making th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subject and the direction of external natural light to be the same, and providing the objective lens system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on which the subject is pla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that can efficiently observe the inside of the objec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체를 좌안영상카메라 및 우안영상카메라로 촬영하고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관찰자로 하여금 피검체를 깊이 감이 있는 입체영상으로 관찰하게 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눈의 피로를 줄이고 관찰을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a picture of the subject with a left eye imag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camera and showing the image of the subject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to enable the observer to observe the subject as a three-dimensional image with a sense of depth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that can reduce eye fatigue and reduce observation erro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안렌즈를 별도로 구비하여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관찰자가 접안렌즈에 직접 양안을 접촉하여 관찰할 수 있는 입체영상 디 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with a separate eyepiece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that can be observed by contacting both eyes directly to the eyepiece as well as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플레이트(100), 대물렌즈계(200), 좌안영상카메라(300), 우안영상카메라(400) 및 입체영상디스플레이(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100, an objective lens system 200, a left eye image camera 300, a right eye image camera 400, 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500. It is made to include.

상기 플레이트(100)는 피검체(10)가 놓이는 곳으로 상기 피검체(10)의 영상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빛 투과율이 높은 유리 소재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plate 100 is a place where the subject 10 is place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mage of the subject 10 can be transmitted. For example, a glass material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or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may be used.

그러나,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피검체(10)가 놓이는 부분이 천공되고, 상기 피검체(10)를 상기 플레이트(100)의 천공된 부분의 상부에서 고정하여 상기 피검체(10)의 영상이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부로 통과하게 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late 100 is punctured by a portion on which the subject 10 is placed,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10 is fixed by fixing the subject 10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plate 100. It may be to pass through the bottom of the plate (100).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피검체(10)를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서 상기 피검체(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피검체(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두 개의 피검체 고정핀(110,110a) 및 상기 피검체(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피검체 고정핀들(110,110a)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고정핀 조절볼트(120,120a)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ate 100 may be provided at two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the test object 10 interposed therebetween to fix the test object 10 on the plate 100. And a fixing pin adjusting bolt (120, 120a)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test object fixing pins (110, 110a) and the test object fixing pins (110,110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st object (10).

그러나 상기 피검체 고정핀들(110,110a)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 number of the subject fixing pins 110 and 110a may be provided in one or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따라서, 상기 피검체(10)를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bserved by stably fixing the subject 10 on the plate 100.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상기 피검체(10)로 빛을 발광하는 광원(13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130 for emitting light to the object 10.

상기 대물렌즈계(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검체(10)의 영상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출력한다.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is provided below the plate 100 and outputs an image of the subject 10 as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즉, 상기 대물렌즈계(200)는 상기 피검체(10)의 영상을 상기 광원(130)이 발광하는 빛의 진행방향(130a)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피검체(10)의 영상을 입력받아 전달한다. That is,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receives an image of the subject 10 and receives an image of the subject 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130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30. .

다시 말해서, 상기 대물렌즈계(200)는 상기 피검체(10)에서 반사된 영상을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투과하는 영상을 입력받으므로 미세물체 관찰시에 상기 미세물체의 내부 영상까지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does not receive the image reflected from the subject 10 but receives the transmitted image. Therefore,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may acquire the internal image of the micro object when the micro object is observed. have.

또한, 상기 광원(130)이 발광하는 빛의 진행방향(110a)이 외부 광의 진행방향(20)과 동일하여 상기 외부 광에 의한 간섭이 없으므로, 상기 대물렌즈계(200)는 상기 피검체(10)의 영상을 선명하게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veling direction 110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30 is the same as the traveling direction 20 of the external light, there is no interference caused by the external light, so that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is the subject 10. You can clearly output images.

또한, 상기 대물렌즈계(200)는 상기 피검체(10)의 영상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분리하는 대물렌즈(210) 및 상기 대물렌즈(210)에서 전달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각각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렌즈(2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enlarges the objective lens 210 for separa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10 into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transmitted from the objective lens 210, respectively. It includes a zoom lens 220 to reduce.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는 상기 대물렌즈계(200)에서 출력되는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영상을 좌안영상데이터로 획득한다.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is provided in an optical path of a left eye image output from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and acquires the left eye image as left eye image data.

상기 우안영상카메라(400)는 상기 대물렌즈계(200)에서 출력되는 우안영상의 광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우안영상을 우안영상데이터로 획득한다.The right eye image camera 400 is provided in the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output from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and acquires the right eye image as the right eye image data.

또한, 상기 영상카메라들(300,400)은 시시디(CCD:Charge coulped device) 또는 시모스(CMOS:Complementary mataloxide semi-conductor) 소자로 이루어지며, 영상판, 광 다이오드 등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가 구비된 어떠한 카메라라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 cameras 300 and 400 may be formed of a charge coulp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ataloxide semi-conductor (CMOS) device, and may convert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n image plate or a photodiode. Any camera equipped with an element is possible.

상기 입체영상디스플레이(500)는 상기 영상카메라들(300,400)로부터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출력한다.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500 receives image data from the image cameras 300 and 400 and outputs a stereoscopic image.

또한, 상기 입체영상디스플레이(500)는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레코더(510)와 상기 비디오레코더(510)로부터 저장된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입체모니터(5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500 includes a video recorder 510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d a stereoscopic monitor 520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stored from the video recorder 510 and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또한, 상기 입체모니터(520)는 다양한 방식의 입체모니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비디오레코더(510)는 상기 입체모니터(520)에 맞는 영상데이터들로 포맷을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eoscopic monitor 520 may be provided as a stereoscopic monitor of various methods, the video recorder 510 may convert the format into image data suitable for the stereoscopic monitor 520 to be stored.

예를 들면, 상기 입체모니터(520)는 상기 영상데이터들 중 하나는 적색으로 출력하고 다른 하나는 청색으로 출력하여 컬러필터를 통해 영상을 관찰하는 적청방식, 서로 다른 편광의 두 장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하프미러를 이용하여 편광안경을 착용하고 관찰하는 편광방식 및 좌우 화상을 순차적으로 번갈아 양안에 제시하고 셔터안경을 이와 동기하여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입체영상을 보여주는 시분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reoscopic monitor 520 outputs one of the image data in red and the other in blue to observe the image through a color filter. The polarization method of wearing and observing polarized glasses using a mirror and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lternately presented to both eyes, and the time-division method of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can be u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glass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m.

또한, 상기 입체모니터(520)는 한 장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좌우영상을 교대로 배치하고 전면에 렌티큘러시트붙여 상기 렌티큘러시트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좌우영상을 분리하는 렌티큘러방식 및 상기 한 장의 디스플레이장지 전면에 슬릿을 배치하여 좌우영상을 분리하는 베리어방식의 입체모니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monitor 520 is a lenticular method for arrang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alternately on one display device and attaching a lenticular sheet on the front side to separate the left and right images us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nticular sheet and a slit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It may be a three-dimensional monitor of the barrier method for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by arrang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영상카메라들(300,400)이 각각 놓이는 제1 스테이지(310) 및 제2 스테이지(4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stage 310 and a second stage 410 on which the image cameras 300 and 400 are placed.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의 광 입사측에 결합하여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가 획득하는 좌안영상데이터의 획득 위치를 조절한다.The first stage 310 is coupled to the light incident side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to adjust the acquisition position of the left eye image data acquired by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에 결상되는 좌안영상의 위치나 크기를 조절한다.In other words, the first stage 310 adjusts the position or size of the left eye image formed in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를 상기 대물렌즈계(200)와의 거리는 유지한 채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에 결상되는 좌안영상의 위치를 조절한다.In addition, the first stage 310 moves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up, down, left, and right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of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from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Adjust the position of the left eye image formed in 300).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를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하여 상기 대물렌즈계(200)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에 결상되는 좌안영상의 크기를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rst stage 310 moves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along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to adjust the distance to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so that the left eye is imaged on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The size of the image is made.

즉, 상기 대물렌즈계(200)와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에 결상되는 좌안영상의 크기는 작아지고, 상기 대물렌즈계(200)와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에 결상되는 좌안영상의 크기는 커진다.That is, the fa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and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is, the smaller the size of the left eye image formed on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becomes, and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and the left eye image camera are smaller. The closer the distance 300 is, the larger the size of the left eye image formed in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is.

상기 제2 스테이지(410)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400)의 광 입사측에 결합하여 상기 우안영상카메라(400)가 획득하는 우안영상데이터의 획득 위치를 조절한다.The second stage 410 is coupled to the light incident side of the right eye image camera 400 to adjust the acquisition position of the right eye image data acquired by the right eye image camera 400.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스테이지(410)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400)에 결상되는 우안영상의 위치나 크기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2 스테이지(410)의 구동원리는 상기 제1 스테이지(310)의 구동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other words, the second stage 410 adjusts the position or size of the right eye image formed in the right eye image camera 400.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second stage 410 is the same as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first stage 310 will be omitted.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대물렌즈계(200)와 상기 영상카메라들(300,400)의 사이에서 상기 피검체(10)의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의 광 경로를 분기하여 분기광 경로를 출력하는 빔 스플리터(600)와 상기 분기광 경로 상에 구비되어 관찰자가 양안을 대고 직접 상기 피검체(10)를 관찰할 수 있는 접안렌즈계(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ranching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of the subject 10 between the objective lens system 200 and the image cameras (300,400) And a beam splitter 600 for outputting a branched light path and an eyepiece system 700 provided on the branched light path so that an observer can directly observe the subject 10 with both eyes.

또한, 상기 빔 스플리터(600)는 하프미러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m splitter 600 may be a half mirror or a prism.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관찰자가 직접 양안을 접안렌즈에 대고 상기 피검체(10)를 관찰할 수도 있다.That is,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server may directly observe the subject 10 by putting both eyes on the eyepie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테이지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stages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들(310,410)은 비용절감을 위해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를 상기 좌안영상의 광경로와 수직인 평면상에서 좌우방향(a)으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제2 스테이지(410)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400)를 상기 우안영상의 광 경로와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하방향(b)으로 움직이게 하였다.Referring to FIG. 2, the stages 310 and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irst stage 310 o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for cost reduction. The second stage 410 moves the right eye image camera 4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제1 베이스(311) 및 상기 제1 베이스(311) 상에서 좌우방향(a)으로 움직이고 상기 좌안영상카메라(300)가 장착되는 제1 마운트(31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st stage 310 includes a first base 311 and a first mount 312 tha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on the first base 311 and to which the left eye image camera 300 is mounted. do.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상기 제1 베이스(311)의 측면에서 관통되어 상기 제1 마운트(312)의 측면과 맞닿는 제1 조절볼트들(313,313a)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볼트들(313,313a)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마운트(312)는 좌우방향(a)으로 움직인다.In addition, the first stage 310 includes first adjusting bolts 313 and 313a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ase 311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ount 312. The first mount 312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lts 313 and 313a.

또한, 상기 제2 스테이지(410)는 제2 베이스(411) 및 상기 제2 베이스(411) 상에서 상하방향(b)으로 움직이고 상기 우안영상카메라(400)가 장착되는 제2 마운트(41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stage 410 includes a second base 411 and a second mount 412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 on the second base 411 and to which the right eye image camera 400 is mounted. do.

또한, 상기 제2 스테이지(410)는 상기 제2 베이스(411)의 측면에서 관통되어 상기 제2 마운트(412)의 측면과 맞닿는 제2 조절볼트들(413,413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운트(412)는 상기 제2 조절볼트들(413,413a)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하(b) 로 움직인다.In addition, the second stage 410 includes second adjusting bolts 413 and 413a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ase 411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mount 412. 412 is moved up and down (b)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ment bolts (413,413a).

한편, 상기 제1 스테이지(310)는 상기 제1 베이스(311)의 하부에 광 경로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는 하부베이스(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나사운동으로 상기 제1 베이스(311) 및 제1 마운트(312)가 상기 하부베이스 상에서 광 경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age 310 further includes a lower base (not shown) that is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311 in the optical path direction, the first base 311 and the first by screw movement One mount 312 may be moved in the optical path direction on the lower base.

그러나, 상기 스테이지들(310,410)이 각각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광 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제작할 수 있다.However, the stages 310 and 410 may be manufactured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or along an optical path in a plan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테이지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stages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플레이트 200:대물렌즈계100: plate 200: objective lens system

300:좌안영상카메라 310:제1 스테이지300: the left eye video camera 310: the first stage

400:우안영상카메라 410:제2 스테이지400: right eye video camera 410: second stage

500:입체영상 디스플레이 600:빔 스플리터500: stereoscopic display 600: beam splitter

700:접안렌즈700: eyepiece

Claims (7)

피검체가 놓이고 상기 피검체의 영상을 하부로 투과하는 플레이트;A plate on which a subject is placed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subject downward;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검체의 영상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출력하는 대물렌즈계;An objective lens system provided under the plate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subject as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상기 대물렌즈계가 출력하는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좌안영상을 좌안영상데이터로 획득하는 좌안영상카메라;A left eye image camera provided in an optical path of a left eye image output by the objective lens system and acquiring the left eye image as left eye image data; 상기 대물렌즈계가 출력하는 우안영상의 광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우안영상을 우안영상데이터로 획득하는 우안영상카메라; 및A right eye image camera provided in an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output by the objective lens system and acquiring the right eye image as right eye image data; And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입체영상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and outputting a stereoscopic im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좌안영상카메라가 놓이고 상기 좌안영상카메라가 상기 좌안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스테이지; 및 A first stag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camera is placed and adjusts a position at which the left eye image camera acquires the left eye image data; And 상기 우안영상카메라가 놓이고 상기 우안영상카메라가 상기 우안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제2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 second stage in which the right eye image camera is placed and the right eye image camera adjusts a position of acquiring the right eye image dat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를 상기 대물렌즈계와의 거리는 유지한 채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좌안영상이 상기 좌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위치를 조절하고,The first stage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eft eye image formed in the left eye image camera by moving the left eye image camera up, down, left and right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objective lens system. ,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를 상기 우안영상의 광 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우안영상이 상기 우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second stage moves the right eye image camera along an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to adjust a size at which the right eye image is formed on the right eye image camer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를 상기 대물렌즈계와의 거리는 유지한 채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좌안영상이 상기 좌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위치를 조절하고,The first stage moves the left eye image camera to the left and right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ive lens system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eft eye image image on the left eye image camera.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를 상기 대물렌즈계와의 거리는 유지한 채 상기 우안영상의 광 경로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우안영상이 상기 우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second stage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ight eye image formed by the right eye image camera by moving the right eye image camera up and down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ive lens system. Characterized i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상기 좌안영상카메라를 상기 좌안영상의 광 경로를 따라 더 움직이게 하여 상기 좌안영상이 상기 좌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크기를 조절하고, The first stage moves the left eye image camera further along the optical path of the left eye image to adjust the size at which the left eye image is formed on the left eye image camera. 상기 제2 스테이지는 상기 우안영상카메라를 상기 우안영상의 광 경로를 따라 더 움직이게 하여 상기 우안영상이 상기 우안영상카메라에 결상되는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the second stage moves the right eye image camera further along the optical path of the right eye image to adjust the size of the right eye image formed on the right eye image camera.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대물렌즈계와 상기 영상카메라들 사이에서 상기 각 영상들의 광 경로를 분기하여 분기광 경로를 출력하는 빔 스플리터; 및A beam splitter for splitting an optical path of each of the images between the objective lens system and the image cameras and outputting a branched light path; And 상기 분기광 경로에 구비되고 관찰자가 양안으로 상기 피검체를 관찰하는 접안렌즈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And an eyepiece system provided in the branched light path and configured to observe the subject with both eyes by an observ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대물렌즈계는 상기 피검체의 영상을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분리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분리된 영상들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objective lens system includes an objective lens that separates an image of the subject into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a zoom lens that enlarges or reduces the separated images.
KR1020080053820A 2008-06-09 2008-06-09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KR200901277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820A KR20090127719A (en) 2008-06-09 2008-06-09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820A KR20090127719A (en) 2008-06-09 2008-06-09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719A true KR20090127719A (en) 2009-12-14

Family

ID=4168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820A KR20090127719A (en) 2008-06-09 2008-06-09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771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05B1 (en) * 2013-07-29 2015-01-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gr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for surgical microscope
KR20160022109A (en) *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Apparatus for photodynamics diagnosi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05B1 (en) * 2013-07-29 2015-01-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grat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for surgical microscope
KR20160022109A (en) *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Apparatus for photodynamics diagn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0536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JP4991211B2 (en) Stereo microscope
KR100761438B1 (en) 3-Dimensional moving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neighboring object
RU2689971C2 (en) Stereoscopic imaging device
KR100748223B1 (en) Projection type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EP0577268B1 (en) Optical system
JP2014145968A (en) Surgical microscope system
KR20090127719A (en)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for fine structure observation
KR101859197B1 (en) Real-time stereoscopic microscope
KR100938457B1 (en) Apparatus for obtaining stereographic and stereographic microscope therewith
EP3396431A1 (en) Monocular microscope for capturing stereoscopic image
US10295816B2 (en) Surgical microscope
KR100861408B1 (en) Stereographic microscope having a couple of compound lenses
KR20040032353A (en) System for stereoscopic video display of an image from microscope
KR100938453B1 (en) Apparatus for obtaining stereographic and stereographic microscope therewith
JP3816589B2 (en) Stereoscopic endoscope
WO2016035891A1 (en) Optical adapter an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using same
KR101820648B1 (en) Miniaturized Stereoscopic Imaging Device with Microprism Arrays
KR100938459B1 (en) Apparatus for obtaining stereographic and stereographic microscope therewith
KR100881771B1 (en) Stereographic microscope having a compound lense
JP4034794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101790168B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using a parabolic mirror
KR100938456B1 (en) Apparatus for obtaining stereographic and stereographic microscope therewith
KR20220105808A (en) Image acquisition device
JP2014215406A (en) Imaging device, illuminating device, and microscop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