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654A -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654A
KR20090127654A KR1020080053742A KR20080053742A KR20090127654A KR 20090127654 A KR20090127654 A KR 20090127654A KR 1020080053742 A KR1020080053742 A KR 1020080053742A KR 20080053742 A KR20080053742 A KR 20080053742A KR 20090127654 A KR20090127654 A KR 20090127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control device
signa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정남
Original Assignee
한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남 filed Critical 한정남
Priority to KR102008005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7654A/en
Publication of KR2009012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6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PURPOSE: A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is provided to manipulate an input bottoms and to control the starting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s. CONSTITUTION: A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comprises a power distributor(30), a power connector(40), a button input part(20), a communication connector(50) and a MICOM(10). The power connector supplies the divided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ncluded in a vehicle interior. The communication connector is connected to a signal processing part(60). The signal processing part outputs a car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s. When the button input part is inputted, the MICOM controls the power distributor and selectively supplies the automobile power according to the car stat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connector.

Description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상태에 따라 전원을 분배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start of the vehicle by distributing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의 편의를 돕기 위해 각종 장치를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배터리 및 발전기의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된다.In general, a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devices to facilitate driving. These devices are powered by batteries and generators.

차량의 전원은 액세서리 전원과 이그니션 전원으로 구분되며, 액세서리 전원은 오디오와 시거잭 및 디지털시계 등을 동작하는 전원이다. 또한, 이그니션 전원은 이그니션 1전원과 이그니션 2전원으로 구분되는데, 이그니션 1 전원은 시동시 꺼지지 않는 전원으로 에어백과 턴시그날 등에 공급되는 전원이며, 이그니션 2전원은 시동시 꺼지는 전원으로 에어컨과 열선 등 비교적 많은 부하가 사용되는 전원이다.Vehicle power is divided into accessory power and ignition power. Accessory power is power for audio, cigar jack and digital clock. In addition, ignition power is divided into ignition 1 power and ignition 2 power. The ignition 1 power is a power that is not turned off at start-up and is supplied to airbags and turn signals. Many loads are used power.

종래의 차량에서 이러한 전원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그니션키를 시동스위치에 삽입하고, ACC 또는 ON의 위치로 돌려서 배터리의 전원으로 액세서리 및 이그니션 장치를 조작하거나, START의 위치까지 돌려서 차량의 시동후 발전기의 전원으로 액세서리 및 이그니션 장치를 조작하였다. To use these power sources in a conventional vehicle, insert the ignition key into the start switch and turn the ACC or ON position to operate the accessories and ignition device with the power of the battery, or turn to the START position to start the generator after starting the vehicle. The accessory and the ignition device were operated by the power supply.

이때, 이그니션키를 시동스위치의 ACC 위치에 두면 액세서리 전원만 공급되고, ON 위치에 두면 액세서리 및 이그니션 전원이 모두 공급된다. START의 위치까지 돌려서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액세서리 및 이그니션 전원이 모두 공급된다.At this time, if the ignition key is placed in the ACC position of the start switch, only the accessory power is supplied, and if it is in the ON position, both the accessory and the ignition power are supplied. When the vehicle is started by turning to the START position, both the accessory and ignition power are supplied.

최근에는 고급차량 중심으로 시동버튼을 채택하여 기존의 로터리 접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던 방식에서 릴레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전원(ACC,IG1,IG2,START)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Recently, the start button is adopted as the center of high-end vehicles, and the power is supplied by using a rotary contact, and each power (ACC, IG1, IG2, START) is adopted by using a relay.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is described for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ology well known in the art.

종래에는 시동버튼을 채택하여 이 시동버튼 조작을 통해 각각의 전원을 공급하여 그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나,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급차량에 한정되거나 차량의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기존에 미장착된 차량에 대해서는 설치가 어려웠다.Conventionally, the start button is adopted to supply the respective pow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art butt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limited to luxury vehicles or can be selected as an option of the vehicle. The installation was difficult.

게다가, 미장착 차량에 대해 시동버튼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장착한다하더라도 키 로터리로 ACC, KEY-ON 상태로 이그니션키를 돌려 준 후 START 버튼만을 추가할 수 밖에 없어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vehicle is equipped to supply power by using the start button for the unequipped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venience is inferior because only the START button can be added after turning the ignition key to the ACC and KEY-ON state by the key rotar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버튼 입력시 차량의 각 전자 제어 장치가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의 각 전자 제어 장치에 분배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를 기존의 차량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모듈화한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vehicle starting to distribute the battery power to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so that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an be selectively operated at the time of button inp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modularized to selectively install a control device in an existing vehicl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전원(B+)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전원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전원을 상기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커넥터, 버튼을 입력하는 버튼입력부, 상기 차량의 동작에 따른 차량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연결되는 통신 커넥터 및 상기 버튼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출력부로부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분배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B+)을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distribution unit for distributing the power (B +) of the vehicle, a power supply connector for supplying the power distributed by the power distribution uni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input the button A button input unit, a communication connector connected to a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ehicle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button input unit is input,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or. And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power distribution unit to selectively supply power of the vehicle B + to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상기 전원 분배부는 ACC 상태, 키-온 상태 및 스타트 상태에 따라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 각각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distribu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relay for supplying each of an ACC power source, an IG1 power source, an IG2 power source, and a START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ACC state, a key-on state, and a start state.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자 제어 장치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 제어 장 치에 공급되는 상기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computer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CC power, IG1 power, IG2 power, START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상기 릴레이는 릴레이 코일의 일단이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공급 커넥터를 통해 접지와 연결되며, 릴레이 접점의 일단이 상기 전원(B+)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공급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lay is one end of the relay coil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power supply connector, one end of the relay contact is connected to the power (B +) and the other end is the electronic control through the power supply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evice.

상기 전원 분배부, 버튼 입력부 및 마이컴은 상기 차량의 키박스에 설치가능하도록 모듈화되고 상기 전원 공급 커넥터 및 통신 커넥터를 통해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distribution unit, the button input unit and the microcomputer are modularized to be installed in the key box of the vehicle and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power supply connector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or.

상기 차량 상태 신호는 이모빌라이져 신호, 엔진 시동이 켜져 있는 지를 나타내는 엔진 시동 신호, 브레이크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브레이크 신호, 차량의 주행 여부를 나타내는 속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state signal may be an immobilizer signal, an engine start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engine is turned on, a brak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or a speed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pe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를 모듈화하여 기존 차량의 키박스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상태에 따라 간단하게 버튼 입력하여 편리하게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can be modularized and selectively installed in a key box of an existing vehicle, and thus, the vehicle can be conveniently controlled by simply inputting a button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tar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는 기존 차량의 키박스 등에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것으로서, 기존 차량의 각 전자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차량 전원(B+)을 공급하거나,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운전자의 버튼 조작시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B+)을 분배하여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The vehicle star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to assemble a vehicle starting control apparatus to a key box of an existing vehic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of the existing vehicle, thereby supplying a vehicle power source B +. Alternatively, the vehicle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receiving various signals input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distributing the vehicle power B +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when the driver's button is operated to supply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do.

참고로,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라 함은 차량의 엔진(engine) 시동, 주행, 액세서리 온(on)/오프(off) 등과 같이 차량의 동작을 수행하고 이러한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For reference,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a comprehensive device including a devic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such operation such as engine starting, driving, accessory on / off of the vehicle, and the lik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따라서, 하기에는 상기한 전자 제어 장치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장치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전자 제어 장치의 명칭 또는 용어가 본 실시예에 기재된 명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차량에는 당업자에 따라 다양한 명칭 또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자 제어 장치의 명칭 또는 용어는 차량 내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Therefore, hereinafter,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apparatus requir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name or term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nam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nd each vehicle may be used under various names or terms according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name or term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described herein will be understood as a device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in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star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는 마이컴(10), 버튼입력부(20), 전원 분배부(30), 전원 공급 커넥터(40)와 통신 커넥터(50)를 구비하는 커넥터부 및 동작표시부(70)를 구비한다.Vehicle star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computer 10, a button input unit 20, a power distribution unit 30, a connector unit having a power supply connector 40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or 50 and the operation display unit 70 is provided.

전원 분배부(30)는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전원(B+)을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ACC 릴레이(ACC RY), IG1 릴레이(IG1 RY), IG2 릴레이(IG2 RY), START 릴레이(START RY)가 전원(B+)에 연결된다. The power distribution unit 30 selectively supplies the power B +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10 to the ACC power, the IG1 power, the IG2 power, and the START power, and the ACC power, the IG1 power, the IG2 power, In order to supply START power, ACC relay (ACC RY), IG1 relay (IG1 RY), IG2 relay (IG2 RY), and START relay (START RY)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B +.

여기서, ACC 릴레이(ACC RY), IG1 릴레이(IG1 RY), IG2 릴레이(IG2 RY), START 릴레이(START RY)는 각각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여자되는 릴레이 코일과, 릴레이 코일이 여자되면 스위칭 온되어 전원(B+)을 공급하는 릴레이 접점이 설치된다. Here, the ACC relay (ACC RY), the IG1 relay (IG1 RY), the IG2 relay (IG2 RY), the START relay (START RY) is a relay coil which is exci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10, and the relay coil is excited When it is switched on, a relay contact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B +.

ACC 릴레이(ACC RY), IG1 릴레이(IG1 RY), IG2 릴레이(IG2 RY), START 릴레이(START RY)의 릴레이 코일은 일단이 상기한 마이컴(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 공급 커넥터(40)를 통해 접지와 연결되고, 릴레이 접점은 일단이 전원(B+)과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 공급 커넥터(40)에 연결된다. The relay coils of the ACC relay (ACC RY), the IG1 relay (IG1 RY), the IG2 relay (IG2 RY), and the START relay (START RY) ar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0 described above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It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relay contac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B +) one end and 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is the other end.

따라서, ACC 릴레이(ACC RY), IG1 릴레이(IG1 RY), IG2 릴레이(IG2 RY), START 릴레이(START RY)는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어 전원(B+)을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으로 각각 공급한다.Accordingly, the ACC relay (ACC RY), the IG1 relay (IG1 RY), the IG2 relay (IG2 RY), and the START relay (START RY) are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10 to supply power (B +). Supplies ACC power, IG1 power, IG2 power, and START power respectively.

참고로, 상기한 전원 분배부(30)의 릴레이 구조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라면 기존에 개시된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For reference, the relay structure of the power distribution unit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nstall in a variety of previously disclosed methods.

전원 공급 커넥터(40)는 기존 차량의 각 전자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전원(B+)으로부터 전원 분배부(30)에 의해 분배된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을 각 전자 제어 장치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 커넥터(40)는 전원(B+)과 접지(GND)로 연결되도록 한다. 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of the existing vehicle to supply the ACC power, IG1 power, IG2 power, and START power distributed by the power distribution unit 30 from the power supply B + to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do.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power (B +) and ground (GND).

전원 공급 커넥터(40)는 ACC 전원을 액세서리류의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하고, IG1 전원과 IG2 전원을 제1,2이그니션계의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하며, START 전원을 차량 시동을 위한 전자 제어 장치 예를 들어 스타터(STARTER)로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supplies the ACC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f accessories, supplies the IG1 power and the IG2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f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ystems, and provides the START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starting the vehicle. For example, supply to STARTER.

따라서, 운전자가 버튼입력부(20) 입력에 의해 ACC 상태, KEY-ON(키-온) 상태 및 스타트 상태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전원 분배부(30)의 각 릴레이로부터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데, ACC 상태에서는 ACC 전원이 액세서리류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되고, KEY-ON(키-온) 상태에서는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이 액세서리류 전자 제어 장치와 제1,2이그니션계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되며, 스타트 상태에서는 IG1 전원과 START 전원이 제1이그니션계와 엔진 시동을 위한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된다.Therefore, when the driver wants to change to the ACC state, the KEY-ON state and the start state by inputting the button input unit 20, the ACC power source, IG1 power source, and IG2 source from each relay of the power distribution unit 30. Power and START power are selectively supplied.In ACC, ACC power is supplied to the accessory electronic controller. In KEY-ON state, ACC power, IG1 power, and IG2 power are accessory electronic controls. And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type electronic control devices, and in the start state, IG1 power and START power are supplied to the first ignition system and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starting the engine.

참고로, 상기한 액세서리류 전자 제어 장치, 제1,2이그니션계 전자 제어 장치 및 스타트의 전자 제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의 이그니션키를 회전 시킬 때마다,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 제어 장치로서, 라디오, 에어컨, 도어락, 계기 패널, 시동 모터, 엔진 ECU(Electronic circuit unit), 메인 ECU, 센서 등을 포함한다. For reference, the above-described accessory electronic control device, first and second ignitio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the start electronic control device are generally ACC power supply, IG1 power supply, IG2 power supply, whenever the driver rotates the ignition key of the vehicle. START-powered electronic control devices include radios, air conditioners, door locks, instrument panels, starting motors, engine ECUs (Electronic circuit units), main ECUs, sensors and the like.

이와 같이, ACC 상태, KEY-ON(키-온) 상태 및 스타트 상태에서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이 공급되는 각각의 전자 제어 장치는 현재 각종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such, each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s supplied with the ACC power supply, the IG1 power supply, the IG2 power supply, and the START power supply in the ACC state, the KEY-ON state, and the start state is currently applied to various vehicle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러한 전원 공급 커넥터(40)는 기존의 전자 제어 장치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기존 차량의 키박스에 구비된 커넥터를 대체하여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may be installed to replace the connector provided in the key box of the existing vehic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ist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respectively.

한편, 본 실시예는 전원(B+)과 접지(GND)를 전원 공급 커넥터(40)를 통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B+)과 접지(GND)를 전원 공급 커넥터(40)를 통해 연결하지 않고, 전원(B+)과 접지(GND)와 직접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ower source B + and the ground GND through 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respectively,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wer source B + and the ground G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power supply (B +) and ground (GND), without connecting through 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버튼입력부(20)는 차량의 시동 제어를 위해 운전자가 누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대쉬 보드와 같은 패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버튼입력부(20)의 조작에 따라 마이컴(10)은 상기한 전원 분배부(30)의 각 릴레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출력부(60)와 관련하여 후술한다.The button input unit 20 allows the driver to perform a pressing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of the vehicle. The button input unit 20 may be installed in the start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n a panel such as a dashboard of the vehicle. something to do.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button input unit 20, the microcomputer 10 selectively controls each relay of the power distribution unit 30. This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signal output unit 60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generates various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입력부(20)의 개수를 1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설치하여 각 버튼입력부 입력시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button input unit 20 is described as one,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CC power source, the IG1 power source, the IG2 power source, and the START power source at the time of inputting each button input unit are provided. May be selectively supplied.

통신 커넥터(50)는 신호 출력부(60)와 연결되어 신호 출력부(6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차량 상태 신호를 마이컴(10)에 입력한다.The communication connector 50 is connected to the signal output unit 60 to input various vehicle state signals in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60 to the microcomputer 10.

신호 출력부(60)는 기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자 제어 장치로서, 메인 ECU, 엔진 ECU, 브레이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차량 상태 신호 예를 들어, 운전자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이모빌라이져 신호(Immo), 엔진 시동이 켜져 있는 지를 나타내는 엔진 시동 신호(Gen), 브레이크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브레이크 신호(Brake), 차량의 주행 여부를 나타내는 속도 신호(Speed)를 출력한다.The signal output unit 60 is a various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an existing vehicle, and includes a main ECU, an engine ECU, and a brake switch, each of which is an immobilizer signal (Immo) indicating a vehicle status signal, for example, whether the driver is approved. ), An engine start signal Gen indicating whether the engine start is turned on, a brake signal Brake indicating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and a speed signal Speed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or not are output.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 있는 각종 전자 제어 장치는 다수 개의 배선이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서로 간에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신호는 상기한 차량 상태 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차량 상태 신호가 메인 ECU, 엔진 ECU, 브레이크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상기한 메인 ECU, 엔진 ECU, 브레이크 스위치를 통해 수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다른 전자 제어 장치에서도 차량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In general, various electronic control apparatuses in a vehicle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to and from each oth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s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or. The vehicle state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vehicle state signal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lthough these vehicle status signals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received through the main ECU, the engine ECU, and the brake switch, they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received through the main ECU, the engine ECU, the brake switch, and the vehicle described above. Other electronic control devices that may receive the status signal may also receive the vehicle status signal.

먼저, 메인 ECU는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메인 ECU 에서는 이모빌라이져 신호를 입력(Immo In)한다. First, the main ECU performs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main ECU inputs an immobilizer signal (Immo In).

일반적으로, 이모빌라이져 시스템이라 함은 엔진 시동시 스마트 카드로부터 입력된 키 코드 신호가 차량에 설정된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에만 엔진 시동과 같은 차량 제어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엔진 시동 이외에 도어락 등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In general, the immobilizer system is to check whether the key code signal input from the smart card at the engine start matches the code set in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ontrol and operation such as engine start are possible only when the engine code is matched. In addition to starting the engine, it is a security system that includes functions such as a door lock.

이러한 이모빌라이져 시스템은 통상 스마트 카드 내부에 마이컴과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키 코드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고, 차량 내부에 설치된 메인 ECU는 차량에 구비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키 코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 키 코드 신호가 차량에 설정된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스마트 카드로부터 전송된 키 코드 신호와 차량에 설정된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오픈하거나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는 것과 같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n immobilizer system typically includes a microcomput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 smart card to transmit a key code signal to a vehicle, and the main ECU installed in the vehicle receives the key code sig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Check that the code signal matches the code set in the vehicle. As a result of the check, only when the key cod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card matches the code set in the vehicle, an operation such as opening the door or start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참고로, 이모빌라이져 시스템은 현재 차량에 적용된 것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immobilizer system is currently applied to a vehicle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엔진 ECU는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엔진과 연결된 시동 모터나 기어 등을 구비한 스타터 등에 전원(B+)을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이러한 스타터의 동작에 따라 엔진을 시동시킨다. 통상 엔진 ECU를 통해 엔진을 시동시키는 것은 현재 차량에 적용된 것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엔진 ECU는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엔진 시동 신호(Gen In)와 차량의 주행 여부를 나타내는 속도 신호(Speed In)를 입력한다.The engine ECU is to control the start of the engine. The engine ECU supplies power (B +) to a starter having a starting motor or gear connected to the engine to operate the engine ECU, and starts the engi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rter. Normally, starting the engine via an engine ECU is applied to a vehicle at pres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The engine ECU inputs an engine start signal Gen In indicating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a speed signal indicat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브레이크 스위치는 브레이크의 조작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것으로서, 브레이크 조작 여부를 나타내는 브레이크 신호(Brake In)를 입력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스위치는 현재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brake switch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and inputs a brake signal indicating brake operation. Here, since the brake switch is currently applied to a vehicle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동작표시부(70)는 LED(Light Emmiting Diode)와 같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발광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차량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현재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른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 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부를 점멸시킨다.The operation display unit 7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to display a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microcomputer 10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signal, the light emitting unit blinks in accordance with each operation state.

마이컴(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마이컴(10)의 제어 과정을 통해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The microcomputer 10 generally controls the vehicle star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le starting control apparatus through the control process of the microcomputer 10.

마이컴(10)은 버튼입력부(20)가 입력되면, 신호입력부(60)로부터 통신커넥터(50)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 상태 신호에 따라 전원 분배부(30)를 제어하여 전자 제어 장치에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the microcomputer 10 controls the power distribution unit 30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us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6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or 50 to supply the ACC power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ptionally supply IG1 power, IG2 power and START power.

최초 락(Lock) 상태에서, 버튼입력부(20)가 입력되면, 정당한 운전자인 지를 확인하기 위해, 메인 ECU(60)에서 통신커넥터(50)를 통해 이모빌라이져 신호(Immo)가 입력되는 지를 확인하여 이모빌라이져 신호(Immo)가 입력되면, ACC 상태, 키-온 상태 또는 스타트 상태로의 동작을 수행한다. In the first lock state, 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driver is a legitimate driver, it is checked whether the immobilizer signal Immo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or 50 in the main ECU 60. When the immobilizer signal Immo is input, the ACC state, the key-on state, or the start state is performed.

즉, 락 상태에서 버튼입력부(20)가 입력되는 경우, 이모빌라이져(Immo) 신호가 입력되고, 브레이크 스위치로부터 브레이크 신호(Brake)가 입력되며, 엔진 ECU 로부터 엔진 시동 신호(Gen) 및 속도 신호(Speed)가 입력되지 않으면, IG2 릴레이(IG2 RY)와 START 릴레이(START RY)를 제어하여 전원(B+)을 엔진 시동을 위한 각종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하여 스타트 상태가 된다. That is, 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in the locked state, the immobilizer signal is input, the brake signal Brake is input from the brake switch, and the engine start signal Gen and the speed signal from the engine ECU. If (Speed) is not input, the IG2 relay (IG2 RY) and the START relay (START RY) are controlled to supply the power source B + to various electronic controllers for starting the engine, thereby starting.

락 상태에서 버튼입력부(20)가 입력되는 경우, 이모빌라이져(Immo) 신호가 입력되고, 브레이크 스위치로부터 브레이크 신호(Brake)가 입력되지 않으면, ACC 릴레이(ACC RY)를 제어하여 전원(B+)을 액세서리류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하여 ACC 상태가 된다. 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in the locked state, when the immobilizer signal is input and the brake signal Brake is not input from the brake switch, the ACC relay controls the ACC relay to supply power (B +). Is supplied to the accessory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enter the ACC state.

참고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스마트 옵션 차량은 버튼입력부(20)가 입력되면, 메인 ECU를 통해 이모빌라이져를 체크하는 데, 이 때, 마이컴(10)은 메인 ECU로부터 이모빌라이져 신호가 입력되면, ACC 전원을 전원을 공급하고, 이모빌라이져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락 상태를 유지한다.For reference, the smart option vehicle using the smart card checks the immobilizer through the main ECU 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10 receives the immobilizer signal from the main ECU. In this case, the ACC supply powers up and remains locked if no immobilizer signal is input.

반면에, 이모빌라이져 옵션만 구비한 차량은 키-온 상태에서 이모빌라이져를 체크한다. 따라서, 마이컴(10)은 키-온 상태에서 이모빌라이져를 체크하여 이모빌라이져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스타트 상태로 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 vehicle equipped with only the immobilizer option checks the immobilizer in the key-on state. Therefore, the microcomputer 10 checks the immobilizer in the key-on state and performs an operation in the start state when the immobilizer signal is not input.

또한, ACC 상태에서 버튼입력부(20)가 다시 입력되면, IG1 릴레이(IG1 RY)와 IG2 릴레이(IG2 RY)를 제어하여 전원(B+)을 제1,2이그니션계 전자 제어 장치로도 공급하여 키-온 상태가 된다. 즉, ACC 릴레이(ACC RY)와 IG1 릴레이(IG1 RY) 및 IG2 릴레이(IG2 RY)가 온되어 전원(B+)이 액세서리류 전자 제어 장치와 제1,2이그니션계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된다.In addition, 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again in the ACC state, the IG1 relay IG1 RY and the IG2 relay IG2 RY are controlled to supply the power B + to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type electronic controllers. -On state. That is, the ACC relay ACC RY, the IG1 relay IG1 RY, and the IG2 relay IG2 RY are turned on, and the power source B + is supplied to the accessory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electronic control devices.

한편, 키-온 상태에서 또다시 버튼입력부(20)가 입력되고, 브레이크 신 호(Brake)가 입력되면 ACC 릴레이(ACC RY)와 IG2 릴레이(IG2 RY)를 오프시키고, IG1 릴레이(IG2 RY)와 START 릴레이(START RY)를 제어하여 전원(B+)을 제1이그니션계 전자 제어 장치와 엔진 시동을 위한 각종 전자 제어 장치로 공급하여 스타트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again in the key-on state and the brake signal (Brake) is input, the ACC relay (ACC RY) and the IG2 relay (IG2 RY) are turned off, and the IG1 relay (IG2 RY) is turned on. And START relay (START RY) are controlled to supply the power source B + to the first ignition typ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vario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starting the engine, thereby starting.

반면에, 키-온 상태에서 또다시 버튼입력부(20)가 입력되고, 브레이크 신호(Brake)가 입력되지 않으면 ACC 릴레이(ACC RY)와 IG2 릴레이(IG2 RY)를 오프시켜 최초의 락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tton input unit 20 is input again in the key-on state and the brake signal Brake is not input, the ACC relay ACC RY and the IG2 relay IG2 RY are turned off to become the first locked state. .

또한, 마이컴(10)은 전자 제어 장치에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어 ACC 릴레이(ACC RY), IG1 릴레이(IG1 RY), IG2 릴레이(IG2 RY) 및 START 릴레이(START RY)의 온 또는 오프에 의해 전원 공급 커넥터(40)로부터 각 전자 제어 장치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지를 체크한다. 즉, 각 전자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의 전원 상태를 마이컴(10)으로 피드백하여 ACC 릴레이(ACC RY), IG1 릴레이(IG1 RY), IG2 릴레이(IG2 RY) 및 START 릴레이(START RY)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ACC 릴레이(ACC RY), IG1 릴레이(IG1 RY), IG2 릴레이(IG2 RY) 및 START 릴레이(START RY)의 이상 고장에 의해 차량에 이상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0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for supplying the ACC power supply, IG1 power supply, IG2 power supply, and START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the ACC relay (ACC RY), IG1 relay (IG1 RY), IG2 relay (IG2 RY) and It is checked whether power is normall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connector 40 to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by turning on or off the START relay (START RY). That is, ACC relay (ACC RY), IG1 relay (IG1 RY), IG2 relay (IG2 RY), and START relay (START RY) are fed back to the microcomputer 10 with the power state of the input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each electronic control device. Check the operation status. By doing so, the ACC relay (ACC RY), IG1 relay (IG1 RY), IG2 relay (IG2 RY) and START relay (START RY) is cut off in advance to the abnormal power supply to the vehicle.

한편, 마이컴(10)은 상기한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 공급에 따른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작표시부(70)를 제어하여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운전자가 현재 차량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computer 10 controls the operation display unit 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CC power supply, IG1 power supply, IG2 power supply, START power supply, and selectively turns on the light emitting unit, whereby the driver operates the current vehicle. Allows you to check the status.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는 기존의 차량에 설치 될 수 있도록 모듈화하여 커넥터를 통해 기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자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서도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to be installed in an existing vehicle and connected to vario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existing vehicle through a connector to control the starting of the vehicle even through a simple button operation. ha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이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tar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마이컴 20: 버튼입력부10: microcomputer 20: button input unit

30: 전원 분배부 40: 전원 공급 커넥터30: power distribution section 40: power supply connector

50: 통신 커넥터 60: 신호출력부50: communication connector 60: signal output unit

70: 동작 표시부70: operation display unit

Claims (7)

차량의 전원(B+)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부;A power distribution unit distributing power B + of the vehicle; 상기 전원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전원을 상기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커넥터;A power supply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distributed by the power distribution unit to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버튼을 입력하는 버튼입력부;A button input unit for inputting a button; 상기 차량의 동작에 따른 차량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연결되는 통신 커넥터; 및A communication connector connected to a signal output unit outputting a vehicle status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상기 버튼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출력부로부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분배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B+)을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When the button input unit is input, the power distribution uni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t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or to selectively supply power of the vehicle (B +) to the electronic controller. Start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microcompu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배부는 ACC 상태, 키-온 상태 및 스타트 상태에 따라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 각각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The vehicle power distribution unit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distribution unit comprises at least one relay for supplying each of an ACC power source, an IG1 power source, an IG2 power source, and a START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ACC state, a key-on state, and a start state. Start control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자 제어 장치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ACC 전원, IG1 전원, IG2 전원, START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icrocomputer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ntrolle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CC power, IG1 power, IG2 power, START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릴레이 코일의 일단이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공급 커넥터를 통해 접지와 연결되며, 릴레이 접점의 일단이 상기 전원(B+)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공급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3. The relay of claim 2, wherein one end of the relay coil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power supply connector, one end of the relay contact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B +, and the other end is the power supply. Start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via a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배부, 버튼 입력부 및 마이컴은 상기 차량의 키박스에 설치가능하도록 모듈화되고 상기 전원 공급 커넥터 및 통신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The vehicle start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distribution unit, the button input unit, and the microcomputer are modularized to be installed in a key box of the vehicle, and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or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or and installed in the vehic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신호는 이모빌라이져 신호, 엔진 시동이 켜져 있는 지를 나타내는 엔진 시동 신호, 브레이크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브레이크 신호, 차량의 주행 여부를 나타내는 속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The vehicle start sig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state signal is an immobilizer signal, an engine start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engine is turned on, a brak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or a speed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The star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KR1020080053742A 2008-06-09 2008-06-09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KR200901276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742A KR20090127654A (en) 2008-06-09 2008-06-09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742A KR20090127654A (en) 2008-06-09 2008-06-09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654A true KR20090127654A (en) 2009-12-14

Family

ID=4168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742A KR20090127654A (en) 2008-06-09 2008-06-09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765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337A (en) * 2022-04-05 2023-10-12 (주) 멀티패스 Smart battery power management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multimedia and smart device of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337A (en) * 2022-04-05 2023-10-12 (주) 멀티패스 Smart battery power management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multimedia and smart device of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1514A (en) Control arrangement for an auxiliary heater in motor vehicles
JP2011194964A (en) Vehicle power system
JP2003127804A (en) Control circuit unit for use in power supply network of automobile
JP2011207384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US6206130B1 (en) Vehicle anti-theft device
KR102090061B1 (en) Appatarus testing bcm integrated with can
JPH1070783A (en) Meter driving device
KR100348839B1 (en) Automotive Power Supply
KR20090127654A (en)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JP2005261041A (en) Driving system and automobile mounted with the same
EP2500554B1 (en) Vehicle starting control device
KR100954215B1 (en)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having a fail-safe function
JP5278908B2 (en) Remote starter for vehicle and remote start system
KR10138846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battery
JP5672251B2 (en)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JPH05146080A (en) Vehicle mounted power supply distribution system
JP2008001134A (en) Security controller for vehicle
JP2004336483A (en) External equipment, connecting method therefor, and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79081B1 (en) Startmo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9175977A (en) Device for preventing failure to load electric connection code in vehicle and electric connection code
KR200600547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ecus
US20220266799A1 (en)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H05146081A (en) Power supply distribution system
WO2021020175A1 (en)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4119701B2 (en) Engin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