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563A -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563A
KR20090126563A KR1020080052709A KR20080052709A KR20090126563A KR 20090126563 A KR20090126563 A KR 20090126563A KR 1020080052709 A KR1020080052709 A KR 1020080052709A KR 20080052709 A KR20080052709 A KR 20080052709A KR 20090126563 A KR20090126563 A KR 20090126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unit
drying
convey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최성남
정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5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563A/ko
Publication of KR2009012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하여 안정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탈수)슬러지와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여 함수율을 낮추는 혼합부; 상기 혼합 탱크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강제 이송하되, 슬러지 이송관의 단부에 압출관을 구비하여 슬러지가 봉상 혹은 임의의 형상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슬러지 이송부; 내부 건조실에 다층으로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건조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슬러지 절단부; 상기 건조부의 내부에 온풍 혹은 냉풍을 공급하여 기류를 형성하는 온풍 공급부; 및 하, 폐수 처리장의 하수 관로 혹은 저수된 방류수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상기 온풍 공급부에 공급하는 히트펌프로 구성되어, 하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저온으로 슬러지를 건조 처리함으로써, 슬러지의 안정화는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슬러지, 건조 장치, 건조실, 컨베이어, 히트 펌프

Description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Low tempterature drying device utilizing recovery heat}
본 발명은 하, 폐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건조하여 슬러지의 안정적인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 폐수 처리장에서 이들 하,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혹은 처리 후 방류수로부터 얻어지는 열을 회수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하, 폐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전물로 지금까지는 혐기처리에 의해 안정화한 후 탈수하여 매립, 해양투기,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분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런던협약에 의거 해양투지가 금지되고, 유기성 슬러지의 직매립을 금지함으로써, 슬러지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슬러지에 직, 간접적으로 열을 가해 부피는 줄이고, 안정된 상태에서 처리할 수 있는 건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 제395119호는 열풍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장치 로, 하폐수 슬러지를 작은 알갱이로 가공하여 건조기에 투입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열풍 온도를 낮추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장치가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2005-102986호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열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열판과, 상기 열판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열판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열판의 윗면에 접한 상태로 순환 이동하며 5∼20m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장치의 윗면에 솔부재가 접하도록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브러시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망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상기 이송 장치를 통해 슬러지의 크기를 유지하고, 열판과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장치들은 모두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상당한 에너지가 소비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의 장치들은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해 200℃ 이상의 열풍을 공급하거나, 열판을 700℃로 가열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데 이에 필요한 열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력이나, 유류 및 가스 등 막대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슬러지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이득보다 에너지 소비가 더욱 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국내 특허 제4338250호는 일명 평면이동식 열풍건조기로, 피건조물 투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본체부와, 피건조물 투입구를 통해 본체부 내로 투입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이동식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슬러지에 주기적으로 산과 골을 이루어 펼치면서 건조시키도록 진행방향으로 안내익 및 열풍분사구를 동시에 갖는 다수의 수직봉을 컨베이어 벨트의 횡방향으로 형성시킨 연결관이 종방향인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으로 다수열로 배치된 것으로 다량의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 역시 외부 열원을 끌어들여 열풍을 공급한다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컨베이어에 슬러지가 점착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평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슬러지를 단순히 열풍만을 이용하여 건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외부 열원에 의존하지 않고 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슬러지를 건조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운영비를 절감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슬러지 건조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 폐수 처리장의 하수 관로, 방류수/유입원수에서 발생하는 열을 히트펌프로 회수하고 이를 송풍기로 공급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되, 이 온풍을 본체의 저부로 공급하여 장치 내부에 기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를 위한 투입 이전 폐(탈수)슬러지와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여 1차 함수율을 조절하고, 다시 이들 혼합 슬러지를 압착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온풍과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며, 또한 이를 절단하여 건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과정에서 슬러지가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계 고장이 없도록 하며, 저렴하면서도 건조율이 뛰어난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하여 안정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80%의 폐(탈수)슬러지와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여 함수율을 낮추는 혼합부; 상기 혼합 탱크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강제 이송하되, 슬러지 이송관의 단부에 압출관을 구비하여 슬러지가 봉상 혹은 임의의 형상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슬러지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압착하여 비표면적을 크게 하여 공급하는 압착부; 내부 건조실에 다층으로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가 장착되어 상기 압착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건조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슬러지 절단부; 상기 건조부의 내부에 온풍 혹은 냉풍을 공급하여 기류를 형성하는 온풍 공급부; 및 하, 폐수 처리장의 하수 관로 혹은 저수된 방류수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상기 온풍 공급부에 공급하는 히트 펌프 및 송풍장치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 폐수 처리장의 하수 관로를 따라 흐르는 하수의 열 혹은 방류수/유입원수의 열을 히트 펌프로 회수하여 이를 장치 내부로 송풍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는 물론,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를 위한 투입 이전에 함수율을 조절하고, 압착을 통해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건조 이송 중인 슬러지를 절단하여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역 시 이송 중 슬러지를 뒤집어 점착을 방지함은 물론, 슬러지 양면에 온풍이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건조 장치는 회수열을 건조부의 하부 또는 측면에서 공급하여 건조부 내에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건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정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일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에 적용되는 슬러지 이송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b는 상기 다른 실시 예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단부와 교반부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건조 장치는 슬러지를 직접 건조하는 건조부와, 건조부 투입 전 슬러지의 함수율을 조절하는 함수율 조절부와 상기 건조부에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부(100)는 내부에 건조실(110)이 마련된 탱크(120)와, 이 건조실(110)에 적층 배열된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130)로 구성되어 상기 온풍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온풍, 경우에 따라서는 냉풍을 통해 슬러지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탱크(120)는 하, 폐수 처리장의 규모 혹은 투입되는 일일 또는 시간당 탈수 슬러지량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하고, 상부 일측에 후술하는 함수율 조절부와 연결되는 투입구(121)가 구비되며, 이 투입구(121)와 인접하게 혹은 대향측에 슬러지 건조를 마친 온풍 혹은 수분 및 냄새를 배출하는 배출구(122)가 구비된다.
상기 건조부(100)의 전단 외측에는 건조실 내의 공기 및 수분을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탱크(120)의 저면에 상기 온풍 공급부(200)와 연결되는 온풍 유입구(123)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130)는 다층으로 넓은 폭을 가지며, 철망 혹은 섬유재 혹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컨베이어는 다공판(메시 철망) 형식으로 이는 공급되는 온풍이 보다 쉽게 슬러지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130)는 적어도 2단 이상이 배치되어 많은 량의 슬러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은 방향을 달리하여 슬러지가 상부로부터 지그재그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되, 도면과 같이 구동부(131a)와 연결되어 회동한다.
물론 상기 구동부는 모터이고, 체인 밸트 혹은 기어 전동 방식으로 컨베이어를 회전시킨다.
상기 온풍 공급부(200)는 처리가 완료된 방류수의 저수조 혹은 처리 과정 중에 있는 하수 관로와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공급하는 히트펌프(210)와 상기 히트 펌프(210)와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를 건조실(110)에 공급하는 송풍기(220)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히트펌프(210)는 하수 혹은 폐수 처리장의 관로 및 방류수/유입원수의 저수조에 연결 설치되어 이를 관로 혹은 저수조의 열을 회수하여 슬러지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130)를 다층으로 설치하고 저속으로 운전하여 충분한 시간 동안 슬러지의 수분이 증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함수율 조절부(300)는 도면과 같이 혼합부(310)와 슬러지 이송부(320) 혹은 혼합부(310)와 압착부(330) 또는 이들이 병행하여 설치되는 구성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는 혼합부와 이송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혼합부(310)는 하, 폐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혹은 다른 이동 수단을 통해 공급된 폐(탈수)슬러지와, 건조실(110)을 통과하여 건조가 이루어진 건조 슬러지의 일부를 반송시켜 혼합함으로써, 함수율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슬러지 이송부(320)는 혼합부(310)에서 1차로 함수율이 조정된 것을, 강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혼합부(310)와 연결된 이송관(321)의 내부에 스크류(322)를 장착하여 강제 이송시키고, 이 스크류의 단부 즉 이송관(321)의 연단 저면에 슬러지 배출공(324)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슬러지가 건조실로 투입되도록 하되, 이 배출공(324)에 압출관(323)이 구비된다.
상기 압출관(323)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스크류로부터 강제 이송된 슬러지가 끊어지지 않고 균일한 두께 및 모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하는 것으로, 내부의 모양에 따라 원형, 다각 혹은 임의 모양으로 슬러지를 공급한다.
도면 부호 322a는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전모터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스크류(322)를 이용하는 이송부(320)를 대신하여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부(330)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압착부(330)는 한 쌍의 롤러(331)(332)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압착하여 비표면적을 넓히는 것으로, 슬러지를 고루 펴 줌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331)(332)는 표면이 도면과 같이 평면일 수도 있으나, 도면과 같이 돌기 즉 이빨을 두어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예도 있다. 물론 이빨의 형태는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형태이던 무관하다.
또 다른 형태로 상기 롤러에 첨부된 도 7과 같이 뾰족한 돌기를 두어 슬러지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이 구멍을 통해 온풍이 전달되도 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구멍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이 실시 예는 상기 슬러지 이송부(320)와 압착부(330)를 병행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혼합부(310)를 통과한 슬러지가 이송부(320)에 공급되고, 이송부에서 스크류(322)에 의해 강제 이송된 다음, 압출관을 통해 압착부(330)에 공급되어 비표면적이 넓어진 상태로 건조실에 투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건조 탱크(120)의 내부에는 압착된 슬러지를 절단하는 절단부(400)가 구비된다.
이 절단부(400)는 도면과 같이, 다수개의 칼날(410)이 등간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구비된 힌지축(420)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자중에 복원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슬러지가 칼날(410) 밑을 통과하면 칼날은 힌지축(420)을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들어 올려지거나 혹은 내려앉으며 자연스럽게 슬러지가 절단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절단부(400)가 슬러지를 완전히 절단할 필요는 없다. 칼집만을 내도 온풍이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 중 부호 500은 교반부이다. 이 교반부는 대략 삼각뿔 형태로 절단부(400)에 잘린 슬러지가 이 교반부의 빗면(510)을 타고 올라 뒤집어져 반대면에 온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부(500)를 반드시 슬러지가 뒤집어 질 필요는 없다. 빗면을 타고 오르면서 슬러지가 흔들리면서 온풍이 슬러지에 충분히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면 중 부호 600은 건조실 최하단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완전 건조가 이루어진 건조 슬러지를 처리하는 종단 컨베이어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단 컨베이어 방식 이외에 다른 형태 예컨대 건조 슬러지 수집통이나 혹은 운반 기구를 두어 슬러지를 수집 처리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 폐수 처리장 혹은 별도의 이송 수단을 통해 이송된 폐, 탈수 슬러지는 혼합부(310)에 투입되도록 하되, 이때 혼합부(310)에는 건조부를 거쳐 건조가 이루어진 슬러지의 일부가 반송되어 투입 혼합되어 함수율을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하폐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80% 이상의 폐, 탈수 슬러지에 건조된 슬러지의 일부를 혼합함으로써 혼합 비율에 따라 함수율을 조절하는 것이다.
혼합부(310)를 통과한 상기 혼합 슬러지는 이송부(320)로 투입되어 회전모터(322a)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322)를 통해 강제 이송되고, 이송관(321)의 연단부에 구비된 압출관(323)을 통해 건조부(110)로 공급되도록 하되, 이때의 압출관(323)은 관부의 형태에 따라 봉상, 다각형 혹은 별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슬러지를 압출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서 압출관(323)을 두는 것은 슬러지를 균일한 형태로 가공하여 수분이 어느 한 지점에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균일한 두께 및 압력으 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다른 형태로 상기 혼합부(310)를 통과한 혼합 슬러지는 이 혼합부와 연결된 압착부(330)에 공급되어 여기서 한 쌍의 롤러(331)(332)에 의해 압착되어 얇고 평평한 혹은, 얇고 굴곡진 혹은, 얇고 다수개의 구멍이 균일하게 천공되어 건조부(100)에 투입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부와 압착부가 동시에 설치된 경우 혼합 슬러지는 혼합부(310)를 통해 이송부(320)에 공급되고, 이송부(320)를 거친 혼합 슬러지는 압착부(330)에서 압착되어 공급되는 구성이다.
한편, 온풍 공급부(200)는 히트 펌프(210)에서 회수된 열을 이용하여 가열된 온풍을 건조실에 공급하여 슬러지를 건조한다. 물론 상기한 히트 펌프(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 폐수 처리장의 하수 관로, 방류수/유입원수 저수조에 연결되어 이들의 열을 공급한다.
상기 온풍 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된 온풍은 이송 컨베이어(130)의 회전 방향 즉 슬러지의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며 기류를 형성하여 슬러지와의 접촉 시간 및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온풍은 경우에 따라 냉풍 일수도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10∼50℃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압착부(330)를 통과한 슬러지는 비표면적이 증가된 상태에서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130)에 공급되어 서서히 이동하며 온풍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는 절단부(400)의 칼날을 지나면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고, 삼각의 돌출 교반부(500)를 통과하며 뒤집어 지거나 혹은 유동하며 저부에도 고루 온풍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에 적용되는 슬러지 이송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b는 상기 다른 실시 예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단부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교반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조 장치 110 : 건조실
120 : 건조 탱크 121 : 투입구
200 : 온풍 공급부 300 : 함수율 조절부
310 : 혼합부 320 : 슬러지 이송부
330 : 압착부 400 : 절단부
500 : 교반부

Claims (10)

  1. 슬러지를 건조하여 안정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수 슬러지와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여 함수율을 조절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강제 이송하되, 슬러지 이송관의 단부에 압출관을 구비하여 슬러지가 봉상 혹은 임의의 형상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슬러지 이송부;
    내부 건조실에 다층으로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건조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슬러지 절단부;
    삼각 형상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슬러지 빗면을 따라 이동하며 뒤집힐 수 있도록 하는 교반부; 및
    하, 폐수 처리장의 하수 관로 혹은 저수된 방류수로부터 열을 히트 펌프로 회수하여 상기 건조실에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회전 모터에 의해 스크류를 구비하되, 이 스크류가 설치된 이송관의 연단부에 상광하협의 압출관을 두어 슬러지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3. 슬러지를 건조하여 안정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탈수)슬러지와 건조 슬러지를 혼합하여 함수율을 조절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한쌍의 로울러로 압착하여 비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압착부;
    내부 건조실에 다층으로 슬러지 이송 컨베이어가 장착되어 상기 압착부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이동시키는 건조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슬러지 절단부;
    삼각 형상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슬러지 빗면을 따라 이동하며 뒤집힐 수 있도록 하는 교반부; 및
    하, 폐수 처리장의 하수 관로 혹은 저수된 방류수로부터 열을 히트 펌프로 회수하여 상기 건조실에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한 쌍의 롤러 구성되어 슬러지를 압착하되, 롤러의 표면에 횡방향 혹은 종방향으로 돌기를 두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롤러 각각에 뾰족한 돌기를 두어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슬러지에 구멍이 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의 하부에 슬러지 이송부가 연결되고, 이 이송부의 압출관 하부에 한 쌍의 롤러 구성된 압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건조실이 마련된 탱크로 구성되며, 이 탱크의 상부에 투입구를 두어 압착부를 통과한 슬러지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저부에 온풍 공급부가 연결되는 공급관을 구비하되, 이 공급관은 슬러지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편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공급부는 유입/방류 원수의 저수조 혹은 관로에 각각 설치된 히트펌프를 설치하여 이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송풍팬을 통해 건조실에 온풍을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힌지축에 다수의 칼날을 연속으로 배치하되, 경사지게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움직이며 슬러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삼각뿔 형태로 슬러지 이송 방향에 대향하여 경사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080052709A 2008-06-04 2008-06-04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 KR20090126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709A KR20090126563A (ko) 2008-06-04 2008-06-04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709A KR20090126563A (ko) 2008-06-04 2008-06-04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563A true KR20090126563A (ko) 2009-12-09

Family

ID=4168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709A KR20090126563A (ko) 2008-06-04 2008-06-04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563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40B1 (ko) * 2010-02-03 2010-04-13 장우기계 주식회사 디스크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처리공정
KR101249004B1 (ko) * 2010-07-29 2013-03-29 (주) 여진 속성발효 건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285400B1 (ko) * 2010-12-24 2013-07-11 주식회사 이레 축분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WO2016163629A1 (ko) * 2015-04-06 2016-10-1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CN106746473A (zh) * 2017-03-29 2017-05-31 深圳市粤昆仑环保实业有限公司 用于城市污水处理厂污泥干燥的带式干燥系统和干燥方法
CN108285258A (zh) * 2018-01-10 2018-07-17 江苏紫东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污泥干燥处理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590111A (zh) * 2019-08-26 2019-12-20 长沙市天珍科技有限公司 一种高水分污泥均布烘干装置
KR102151062B1 (ko) * 2020-01-23 2020-09-02 거림환경 주식회사 탈수 슬러지 건조기
KR102153987B1 (ko) * 2019-10-14 2020-09-21 (주)화인테크워터 슬러지 감량화 시스템
KR102176603B1 (ko) * 2020-08-25 2020-11-09 (주)한하산업 수평회전 비표면적 확대 장치를 구비한 하수 슬러지 건조장치
KR102176604B1 (ko) * 2020-08-26 2020-11-09 (주)한하산업 하이브리드 기류 발생 슬러지 건조장치
KR102183069B1 (ko) * 2020-08-26 2020-11-25 (주)한하산업 블럭 단위 하수 슬러지 장입장치를 구비한 하수 슬러지 건조장치
KR102203087B1 (ko) * 2020-05-22 2021-01-14 주식회사 한하산업 마이크로웨이브를 구비한 밀폐형 슬러지 건조 장치
KR102298117B1 (ko) * 2021-06-10 2021-09-07 도원플랜트산업주식회사 슬러지와 폐유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40B1 (ko) * 2010-02-03 2010-04-13 장우기계 주식회사 디스크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처리공정
KR101249004B1 (ko) * 2010-07-29 2013-03-29 (주) 여진 속성발효 건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285400B1 (ko) * 2010-12-24 2013-07-11 주식회사 이레 축분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WO2016163629A1 (ko) * 2015-04-06 2016-10-1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CN106746473A (zh) * 2017-03-29 2017-05-31 深圳市粤昆仑环保实业有限公司 用于城市污水处理厂污泥干燥的带式干燥系统和干燥方法
CN108285258A (zh) * 2018-01-10 2018-07-17 江苏紫东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污泥干燥处理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590111A (zh) * 2019-08-26 2019-12-20 长沙市天珍科技有限公司 一种高水分污泥均布烘干装置
KR102153987B1 (ko) * 2019-10-14 2020-09-21 (주)화인테크워터 슬러지 감량화 시스템
KR102151062B1 (ko) * 2020-01-23 2020-09-02 거림환경 주식회사 탈수 슬러지 건조기
KR102203087B1 (ko) * 2020-05-22 2021-01-14 주식회사 한하산업 마이크로웨이브를 구비한 밀폐형 슬러지 건조 장치
KR102176603B1 (ko) * 2020-08-25 2020-11-09 (주)한하산업 수평회전 비표면적 확대 장치를 구비한 하수 슬러지 건조장치
KR102176604B1 (ko) * 2020-08-26 2020-11-09 (주)한하산업 하이브리드 기류 발생 슬러지 건조장치
KR102183069B1 (ko) * 2020-08-26 2020-11-25 (주)한하산업 블럭 단위 하수 슬러지 장입장치를 구비한 하수 슬러지 건조장치
KR102298117B1 (ko) * 2021-06-10 2021-09-07 도원플랜트산업주식회사 슬러지와 폐유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6563A (ko) 회수열을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389153B1 (ko) 슬러지의 슬라이스칩 가공장치,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JP5705858B2 (ja) 汚泥濾過ケーキを好気的に空気乾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4374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101005086B1 (ko)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KR101070437B1 (ko)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CN106915888A (zh) 一种污泥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A2423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 biosolid sludge to a pasteurised stage for use as an organic fertilizer
CN114804573A (zh) 一种污泥成型带式干化系统及其干化工艺
CN106915889A (zh) 一种污泥干化设备及其干化方法
CN213357298U (zh) 一种污水淤泥干化处理装置
CN114031257A (zh) 一种深度脱水干化一体机及方法
KR101306083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JP6718400B2 (ja) 脱水装置、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KR102089561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0816268B1 (ko) 슬러지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7860B1 (ko) 슬러지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의 건조방법
KR100862888B1 (ko) 슬러지 탈수 장치
CN110304810B (zh) 污泥脱水干化一体化装置及处理方法
KR20020005917A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20100065656A (ko) 슬러지 건조 장치
CN217265377U (zh) 一种污泥成型带式干化系统
KR100860595B1 (ko) 축열식 레일 연속 오니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