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448A -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448A
KR20090126448A KR1020080052535A KR20080052535A KR20090126448A KR 20090126448 A KR20090126448 A KR 20090126448A KR 1020080052535 A KR1020080052535 A KR 1020080052535A KR 20080052535 A KR20080052535 A KR 20080052535A KR 20090126448 A KR20090126448 A KR 2009012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rank
converter
f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908B1 (ko
Inventor
이태훈
권형욱
Original Assignee
(주) 콘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텔라 filed Critical (주) 콘텔라
Priority to KR102008005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90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선 중계기는 그 설치 지역에 서비스되고 있는 이동통신 규약에 따른 FA(Frequency Assignment)를 검색하여, 해당 지역에 주된 FA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중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중계기는 각 FA에 대하여 기지국별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Ec/lo)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대 잡음비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주(主)된 FA를 선택하게 된다. 무선 중계기는 검출된 주된 FA의 무선신호만을 중계한다.
Figure P1020080052535
무선 중계기, 주파수 선택형, Frequency Assignment, Ec/lo

Description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FA Selection Type RF Repeater and Repe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정의 이동통신 규약에 따라 해당 지역에 서비스되고 있는 FA(Frequency Assignment)를 검색하여, 해당 지역에 주된 FA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중계하는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무선 통신 규약들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고, 해당 주파수 대역을 수 개의 FA(Frequency Assignment) 주파수로 나누어 여러 개의 채널로 사용한다. 예컨대, 3세대 이동통신 망(IMT-2000)의 주파수 대역은 상향 1920 ~ 1980 MHz, 하향 2110~2170 MHz으로서, 각각 5 MHz로 나누어 12개의 FA 주파수가 사용된다.
한편, 무선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신호 전송은 여러 가지 무선 공간(Air)상의 장애로 인하여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무선 중계기이다.
무선 중계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전달되는 미약한 신호를 서비스지역까지 일정신호를 증폭하여 재전송함으로써, 양질의 통신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주로 음영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는 해당 지역에서 사용되는 FA 주파수가 어떤 것이지 알 수가 없으므로 사업자가 서비스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증폭하여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특정 셀에서는 특정 FA 주파수만 서비스 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매크로 셀(Macro Cell) 또는 피코 셀(Pico Cell)의 기지국은 해당 채널환경에 최적인 시스템 용량을 갖추기 위해, 섹터(Sector)를 나누어 각 섹터별로 서로 다른 FA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3 FA 주파수가 할당된 셀에 위치한 단말기는 3 FA 주파수만을 인식하고 3 FA 주파수만으로 호를 설정한다. 그러나, 이 셀에 설치된 종래의 무선 중계기들은 3 FA 주파수를 포함하는 서비스 대역의 모든 FA 주파수를 증폭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해당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까지 증폭되어 단말기나 기지국의 수신감도에 영향을 주어 통화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한편, 무선 중계기는 인접한 복수 개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 기지국은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 또는 PN 옵셋(Offset) 등을 사용하며, 단말기로의 다운링크에 복수 개(예컨대, 3개)의 FA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이동통신 규약에 따라 해당 지역에 서비스되고 있는 FA(Frequency Assignment)를 검색하여 해당 지역에 주된 FA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중계하는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는, 복수 개의 기지국의 다운 링크(Dawn Link)에 사용되는 복수 개 FA(Frequency Assignment)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1안테나; 상기 무선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다운컨버터부(Down-Converter); 상기 다운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구하고, 상기 복수 개 FA 중 신호대 잡음비가 최대인 제1순위 FA를 검출하여,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신호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조정부; 상기 주파수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업컨버터부(Up-Converter); 및 상기 업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무선신호를 단말기로 송출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파수조정부는, 상기 복수 개 FA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대 잡음비와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제2순위 FA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 1순위 FA 및 제2순위 FA 중 임의 선택된 FA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주파수조정부는,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다운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대응되는 FA 신호를 필터링하고 위상등화 및 보간(Interpolation)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의 출력신호 중 하나를 상기 업컨버터부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각 FA별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측정부의 측정결과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FA를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FA의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상기 업컨버터부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FA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주파수조정부는, 상기 스위칭부와 업컨버터부 사이에 마련되어 각각이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와 연결되며, 연결된 인터페이스부의 필터링 대역과 동일한 대역을 필터링하여 상기 업컨버터부로 출력하는 복수 개의 FA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와 복수 개의 FA 필터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되, 상기 FA 검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된 FA의 신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부와 FA 필터부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 FA 각각의 신호대 잡음비는, 각 FA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별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에 대한 신호전력(Ec) 대 잡음전력(lo)의 비를 구하고 상기 기지국별로 구해진 신호전력 대 잡음전력의 비 중 최대값을 해당 FA의 신호대 잡음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주파수 선택적 중계방법은, 복수 개의 기지국의 다운 링크(Dawn Link)에 사용되는 복수 개 FA(Frequency Assignment)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구하여 상기 복수 개 FA 중 신호대 잡음비가 최대인 제1순위 FA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제1순위 FA 신호를 아날로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중계방법은, 상기 복수 개 FA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대 잡음비와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제2순위 FA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순위 FA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1순위 FA 및 제2순위 FA 중 선택된 FA의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신호로부터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는 해당 지역에 서비스되고 있는 주된 FA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중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지 않지만 수신되어 증폭됨으로써 단말기나 기지국의 수신감도에 영향을 주고 통화품질을 떨어뜨리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중계기가 위치해 있는 매크로 셀(Macro Cell)에 서비스 중인 FA를 제안된 방 식으로 알아내면, 해당지역 단말기에 전 대역을 서비스할 필요없어 최적의 FA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무선 중계기의 저가 생산, 저전력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며, 망 설계가 소형화 및 저전력에 기초하여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 중계기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CDMA2000 1xRTT 또는 WCDMA(Wideband CDMA) 규약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지역에 마련되어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무선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무선 중계기(100)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다운링크(Dawn Link)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Up Link)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무선 중계기(100)를 이용하여 양방향의 무선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중계기(100)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무선 신호로부터 현재 사용중인 무선 FA(Frequency Assignment) 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FA 주파수만을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중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무선 중계기(100)는 해당 지역에 서비스하고 있는 복수 개 기지국의 모든 다운링크용 FA 주파수를 증폭하지 않아도 해당 지역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중계기(100)는 제1안테나(101), 다운컨버터부(Down-Converter)(103), 제2안테나(105), 업컨버터부(Up-Converter)(107) 및 주파수조정부(109)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중계기(100)는 복수 개의 기지국에 할당된 복수 개의 FA에 대해 적용할 수 있으며, 도 1의 무선 중계기(100)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4개 FA의 무선신호가 수신된다고 가정하고 해당 4개 FA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것이라 가정한다.
다운컨버터부(103)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다운 링크(또는, 순방향 채널)의 무선신호를 제1안테나(101)를 통해 입력받아, 국부발진신호(LO: Local Oscillator)를 이용하여 기저대역(Zero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주파수조정부(109)에게 제공한다.
다운컨버터부(103)는 제1안테나(101)에 연결된 임피던스 매칭부, 임피던스 매칭부를 통과한 신호의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저잡음증폭기에 연결되는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믹서(Mixer), 국부발진부(LO)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한다.
업컨버터부(107)는 주파수조정부(109)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다운컨버터부(103)의 국부발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국부발진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2안테나(105)를 통해 출력한다. 주파수조정부(109)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는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검출된 FA 주파수의 신호만을 포함하도록 필터링된 것이며, 무선 중계기(100) 가 설치된 지역의 주(主)된 서비스 FA로 전송된 신호가 해당한다.
업컨버터부(107)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국부발진부(LO),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믹서(Mixer), 믹서의 출력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BPF) 및 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증폭하는 파워증폭기(Power Amp)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컨버터부(103) 및 업컨버터부(107)는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및 기지국의 물리계층에 포함되는 통상의 무선 수신 또는 송신회로이면 가능하다.
주파수조정부(109)는 다운컨버터부(103)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 중계기(100)가 설치된 지역에 서비스되고 있는 주된 FA 주파수를 검출하여, 다운컨버터부(103)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 중 해당 검출된 FA 주파수 성분만을 필터링하여 업컨버터부(107)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조정부(109)는 제1 내지 제N 인터페이스부(111~117), 스위칭부(131), 제1 내지 제N FA필터부(151~157), 에너지측정부(171) 및 FA 검출부(173)를 포함한다. 여기서 N은 복수 개의 기지국에 할당된 FA의 수를 나타내며, 앞서 4개의 FA로 가정하였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N은 4가 된다.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111~117) 각각은 디지털 필터, 디지털 위상 등화기(Phase Equalizer) 및 디지털 보간 필터(Interpolation Filter)를 포함하여, 다운컨버터부(10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각 FA 대역별로 필터링한 다음, 위상 등화 및 보간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제1 인터페이스부(111)는 제1 FA 주파수 성분, 제2 인터페이스부(113)는 제2 FA 주파수 성분, 제3 인터페이스부(115)는 제3 FA 주파수 성분 그리고 제4 인터페이스부(117)는 제4 FA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하여 처리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111~117) 각각에 포함된 필터는 해당 FA 대역을 필터링하게 된다.
스위칭부(131)는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111~117)와 제1 내지 제4 FA필터부(151~157) 사이를 각각 스위칭한다. 다운컨버터부(103)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는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111~117)로 입력되었다가 스위칭부(131)를 거쳐 제1 내지 제4 FA필터부(151~157)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스위칭부(131)는 FA 검출부(173)에 의해 검출된 주된 FA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부와 FA필터부만을 연결한다. 예컨대, 2 FA가 검출된 주된 FA 라면, 스위칭부(131)는 FA 검출부(173)에 의해 제2 인터페이스부(113)와 제2 FA필터부(153) 만을 연결하도록 제어된다.
제1 내지 제4 FA필터부(151~157)는 주파수조정부(109)의 필터링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내지 제4 FA필터부(151~157) 각각은 해당 FA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업컨버터부(107)로 출력한다. 다만,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111~117)에 이미 각 FA 별 필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내지 제4 FA필터부(151~157)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131)는 직접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111~117) 중 하나를 업컨버터부(107)에 연결할 수 있다.
에너지측정부(171)는 제1 내지 제4 인터페이스부(111~117)에 연결되어 각 FA 신호에 대하여 신호전력(Ec) 대 잡음전력(lo)의 비를 나타내는 수치인 신호대 잡음비(Ec/lo)를 측정하여 FA 검출부(173)에게 제공한다. Ec/lo는 수신 대역에서 총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 대한 하나의 PN 칩 기간 동안 누락된 파일럿 에너지 비율을 말 하는 것으로, 총체적 수신감도를 나타내며 통상 dB 단위로 표시한다.
Ec/lo의 측정은 각 FA에 대하여 기지국 구분코드별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에 대하여 신호전력(Ec) 대 잡음전력(lo)을 구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40111616-PAT00001
여기서, Ec(Pilot)는 파일럿 채널에 대한 PN 칩(Chip) 당 평균 전력(Energy)이고, RSSI(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수신 전계 강도를 나타낸다.
인접한 복수 개의 기지국이 동일한 FA를 이용할 경우, 무선 중계기(100)는 하나의 FA 대역에 대해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대 잡음비는 FA 별로, 각 FA는 다시 기지국 구분코드별로 구분하여 구한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규격에서 기지국 구분코드는 주 스크램블링 코드(Primary Scrambling Code)이고, CDMA 2000의 1xRTT에서 기지국 구분코드는 쇼트 PN 코드(Short Pseudo Random Noise Code)이다.
FA 검출부(173)는 에너지측정부(171)로부터 제공받은 결과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주된 FA를 검출한다. 도 2는 주된 FA를 검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로서, FA 검출부(173)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너지측정부(171)가 각 FA에 대해 기지국별 Ec/lo를 측정하여 FA 검출부(173)에게 제공하면(S201), FA 검출부(173)는 FA 별 최대 Ec/lo 값을 검출하여 해당 FA의 Ec/lo로 결정한다. 예컨대, 제1 FA 신호에 3개의 기지국의 파일럿 채널이 포함된 경우, 해당 3개 기지국별로 Ec/lo를 구하고, 구해진 3개 Ec/lo 중 최대값을 해당 FA의 Ec/lo로 결정한다(S203).
FA 검출부(173)는 S203 단계에서 결정된 FA별 Ec/lo를 기초로, 전체 FA(예, 4개 FA) 중 최대 Ec/lo를 가지는 FA(이하 '1순위 FA'라 함)를 검출한다(S205).
FA 검출부(173)는 1순위 FA의 Ec/Io와 다른 FA의 Ec/Io를 비교하여 1순위 FA와 비슷한 Ec/lo를 가지는 FA(이하 '2순위 FA'라 함)를 검출한다. 다시 말해, FA 검출부(173)는 나머지 FA 중 1순위 FA의 Ec/lo와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FA를 2순위 FA로 검출한다. 2순위 FA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의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0111616-PAT00002
여기서, Ec/lo(1순위 FA)는 1순위 FA의 Ec/lo이고, Ec/lo(Nth FA)는 전체 N개 FA 중 1순위 FA를 제외한 FA의 Ec/lo이다.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제1순위 FA 아닌 FA가 2순위 FA가 될 것이다(S207).
FA 검출부(173)는 기본적으로 1순위 FA를 해당 지역의 주된 FA로 선택할 수도 있고, 1순위 FA 및 2순위 FA 중에서 하나의 FA를 해당 지역의 주된 FA로 선택할 수 있다. FA 검출부(173)는 그 선택결과에 따라 스위칭부(131)로 하여금 해당 FA 만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2순위 F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FA 검출부(173)는 1순위 FA를 주된 FA로 결정한다(S209).
FA 검출부(173)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131)가 해당 주된 FA 만을 스위칭하게 된다. 가령, 3FA가 주된 FA로 선택된 경우, 스위칭부(131)는 FA 검출부(173)의 제어에 따라 제3 인터페이스부(115)와 제3 FA필터부(155)만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3 FA만이 업컨버터부(107)로 제공되어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송출될 것이며, 다른 FA 신호는 차단되어 무선신호로 변환되지 못하게 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무선 중계기(100)의 주파수 조정이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FA 검출부(173)는 1순위 FA 및 제2순위 FA 중 선택된 하나가 아니라, 1순위 FA 및 제2순위 FA 모두를 출력하도록 스위칭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다시 말해 무선 중계기(100)가 소정 기준 레벨 이하의 신호대 잡음비가 나오는 FA 대역의 신호만을 제거하고,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대 잡음비가 나오는 FA 대역을 모두 중계하는 것에 해당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중계기(100)는 무선 중계기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은 그 일 예를 보인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중계기를 구비한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블록도로서, 주파수를 선택하여 중계하는 주파수 선택 무선 중계기에 해당한다. 무선 중계기(300)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무선신호를 송수신 동작 전반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중계기(300)는 제1안테나(101), 제1 다운컨버터 부(103), 제2안테나(105), 제1 업컨버터부(107), 제1 주파수조정부(109), 제1 듀플렉서(Duplexer)(301), 제2 듀플렉서(303), 제2다운컨버터부(305), 제2 업컨버터부(307) 및 제2 주파수조정부(309)를 포함한다. 무선 중계기(300)에는 도 1의 무선 중계기(100)가 그대로 포함된다.
제1 다운컨버터부(103), 제1 주파수조정부(109) 및 제1 업컨버터부(107)는 기지국로부터 단말기로의 다운링크 신호를 중계하며, 제2다운컨버터부(305), 제2 주파수조정부(309) 및 제2 업컨버터부(307)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중계한다.
제1 및 제2 듀플렉서(301, 303)는 필터로서, 하나의 안테나(101, 105)와 연결되는 다운컨버터부(103, 305) 및 업컨버터부(107, 307)를 분리한다. 이에 따라 듀플렉서(301, 303)는 다운컨버터부(103, 305) 및 업컨버터부(107, 307)가 하나의 안테나(101, 105)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무선 중계기(300)는 해당 지역의 주된 FA를 통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중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주파수조정부(109)와 제2 주파수조정부(309)가 공통의 에너지측정부(예컨대, 식별번호 171)와 FA 검출부(예컨대, 식별번호 173)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에너지측정부는 제1 주파수조정부(109)와 제2 주파수조정부(309) 중 어느 하나에만 포함되고, 공통의 FA 검출부가 제1 주파수조정부(109)와 제2 주파수조정부(309)에 각각 포함된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송파(carrier waves)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적 디스크, 하드(Hard)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의 블록도,
도 2는 주된 FA를 검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무선 중계기를 구비한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Claims (8)

  1. 복수 개의 기지국의 다운 링크(Dawn Link)에 사용되는 복수 개 FA(Frequency Assignment)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1안테나;
    상기 무선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다운컨버터부(Down-Converter);
    상기 다운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구하고, 상기 복수 개 FA 중 신호대 잡음비가 최대인 제1순위 FA를 검출하여,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신호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조정부;
    상기 주파수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업컨버터부(Up-Converter); 및
    상기 업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무선신호를 단말기로 송출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조정부는,
    상기 복수 개 FA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대 잡음비와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제2순위 FA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1순위 FA 및 제2순위 FA 중 선택된 FA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조정부는,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다운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대응되는 FA 신호를 필터링하고 위상등화 및 보간(Interpolation)하여 출력하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의 출력신호 중 하나를 상기 업컨버터부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각 FA별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측정부의 측정결과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FA를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FA의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상기 업컨버터부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FA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조정부는,
    상기 스위칭부와 업컨버터부 사이에 마련되어 각각이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와 연결되며, 연결된 인터페이스부의 필터링 대역과 동일한 대역을 필터링하여 상기 업컨버터부로 출력하는 복수 개의 FA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부와 복수 개의 FA 필터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되, 상기 FA 검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된 FA의 신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부와 FA 필터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조정부는,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하여, 각 FA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별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에 대한 신호전력(Ec) 대 잡음전력(lo)의 비를 구하고, 상기 기지국별로 구해진 신호전력 대 잡음전력의 비 중 최대값을 해당 FA의 신호대 잡음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6. 복수 개의 기지국의 다운 링크(Dawn Link)에 사용되는 복수 개 FA(Frequency Assignment)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한 신호대 잡 음비를 구하여 상기 복수 개 FA 중 신호대 잡음비가 최대인 제1순위 FA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제1순위 FA 신호를 아날로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주파수 선택적 중계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 FA 중 상기 제1순위 FA의 신호대 잡음비와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제2순위 FA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순위 FA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1순위 FA 및 제2순위 FA 중 선택된 FA의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신호로부터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주파수 선택적 중계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위 FA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 FA 각각에 대하여, 각 FA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별 파일럿 채 널(Pilot Channel)에 대한 신호전력(Ec) 대 잡음전력(lo)의 비를 구하고, 상기 기지국별로 구해진 신호전력 대 잡음전력의 비 중 최대값을 해당 FA의 신호대 잡음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주파수 선택적 중계방법.
KR1020080052535A 2008-06-04 2008-06-04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KR10099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35A KR100990908B1 (ko) 2008-06-04 2008-06-04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535A KR100990908B1 (ko) 2008-06-04 2008-06-04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448A true KR20090126448A (ko) 2009-12-09
KR100990908B1 KR100990908B1 (ko) 2010-11-01

Family

ID=4168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535A KR100990908B1 (ko) 2008-06-04 2008-06-04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9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49B1 (ko) * 2013-02-18 2014-10-13 (주) 기산텔레콤 자동 주파수 대역 설정을 위한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00005473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65939B1 (ko) * 2019-05-14 2020-10-15 주식회사 엠제이테크널러지 중계기 및 이의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029B1 (ko) 2014-09-02 2015-11-25 신광윤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970B1 (ja) 1999-03-05 2000-03-27 日本電業工作株式会社 中継放送装置
US8577283B2 (en) 2005-07-15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TDD repea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49B1 (ko) * 2013-02-18 2014-10-13 (주) 기산텔레콤 자동 주파수 대역 설정을 위한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00005473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240087B2 (en) 2018-07-05 2022-02-01 Solid, Inc. Repea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65939B1 (ko) * 2019-05-14 2020-10-15 주식회사 엠제이테크널러지 중계기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908B1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2175A1 (en) Channelization for signal boosters
EP3745614A2 (en) Gain measurement and monitor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990908B1 (ko)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WO2015126828A1 (en) Selectively combining uplink signal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EP1590899B1 (en)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JP6645849B2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73361B2 (ja) 基地局
KR100259868B1 (ko)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10029327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기지국 위치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9611A (ko) 주파수 변환 중계 방법 및 장치
KR101297818B1 (ko) 전송 속도 경감을 위한 중계기 및 그 방법
CN107408975B (zh) 数字中继器系统及方法
KR20060084755A (ko) 이동통신 중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CN210143008U (zh) 无线中继设备
KR101045788B1 (ko) Ics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JP4478515B2 (ja) 通信中継装置
EP2296285A1 (en) Device for processing band-restricted radio frequency signal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15750B1 (ko) 통신 중계 장치 및 통신 신호 중계 방법
KR100959500B1 (ko) Fdd/tdd 통합 마이크로웨이브 모듈, fdd/tdd통합 마이크로웨이브 중계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fdd/tdd 통합 마이크로웨이브 중계 네트워킹 방법
KR102175387B1 (ko)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61139B1 (ko) 고감도 신호검출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스마트 증폭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중계 시스템
US8175561B2 (en) Automatic optimization of RF receiver interference performance
KR100990909B1 (ko)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KR101530892B1 (ko) 데이터 트래픽에 의한 자동 대역 조정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5163B1 (ko) 무선 접속 중계기의 통신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