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785A -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785A
KR20090124785A KR1020080051188A KR20080051188A KR20090124785A KR 20090124785 A KR20090124785 A KR 20090124785A KR 1020080051188 A KR1020080051188 A KR 1020080051188A KR 20080051188 A KR20080051188 A KR 20080051188A KR 20090124785 A KR20090124785 A KR 2009012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fluid
pipe
heating wi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205B1 (ko
Inventor
최철
이신표
정미희
오제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205B1/ko
Priority to US12/262,218 priority patent/US8136981B2/en
Publication of KR2009012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ndu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5/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원형의 관으로 형성된 긴 파이프와, 상기 긴 파이프 일단에 외경을 둘러싸며 연결된 고무튜브와, 상기 고무튜브를 통해 연통 되는 짧은 파이프와, 상기 짧은 파이프 일단에 금속열선으로 형성된 열선센서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HEAT TRANSFER ANALY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NANOFLUIDS}
본 발명은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유동상태에서 열전달 향상효과를 갖는 나노 유체의 대류열전달계수를 측정하여 그 유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노 유체는 물, 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열전달 기본유체에 열전도율이 매우 높은 나노 크기의 고상 입자를 미량 첨가하여 그 열전도율을 높여 전체적인 열전달 성능을 높이는 콜로이드 상태의 혼합유체이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나노 유체의 제조, 열 물성 측정, 자연 및 강제대류 열전달 그리고 비등 열전달 등과 관련된 폭넓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 유체의 열 성능 판단은 정적(Static)상태에서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일차적으로 나노 유체의 열전달 성능 향상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유체 에 나노입자를 첨가하였을 때 열전도율의 향상과 함께 보통 점도의 증가가 수반된다. 나노 유체의 열전도율은 향상되었지만 만약 이 유체를 구동시키는데 더 많은 펌프동력이 소요된다면 열전달과 소요동력을 고려한 전체적인 비용을 계산해서 나노 유체의 사용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나노 유체 시료의 최종적인 열 성능 판단을 위해서는 대류열전달 실험이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대류열전달계수 실험장치로 이중관 열교환기 또는 가열된 파이프를 이용한 내부유동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험장치는 항온조와 펌프 등의 주변장치까지 포함하고 있어 복잡하며 대형이다. 따라서 나노 유체의 대류열전달 성능을 평가하는 데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정적상태에서 실시하는 열전도율 측정과 달리 대류열전달 실험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 최종 계산된 대류열전달계수에 많은 오차가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장치의 내부를 채울 충분한 양의 나노 유체 시료를 확보하기 위한 제조시간과 비용 문제, 시료를 교환할 경우 장치 내부를 세척하는 어려움, 장치를 정상상태에 도달시키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 및 획득된 데이터의 정밀도와 측정과정에서 발생한 열손실 등을 정확하게 산정하지 못할 때 대류열전달계수에 포함될 불확실성(Uncertainty)의 증가 문제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 시료를 폐기해야 하는 경우의 비용 및 환경적인 측면을 생각한다면 기존의 장치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장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조된 나노 유체 시료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류열전달 계수의 향상 정도를 제시하여 고효율 열전달 매체로서의 유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형의 관으로 형성된 긴 파이프와, 상기 긴 파이프 일단에 외경을 둘러싸며 연결된 고무튜브와, 상기 고무튜브를 통해 연통 되는 짧은 파이프와, 상기 짧은 파이프 일단에 금속열선으로 형성된 열선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방법은 긴 파이프의 기울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긴 파이프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와, 열선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열선센서와 연결된 데이터 획득장치를 가동하는 단계와, 상기 열선센서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상기 열선센서에 공급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획득장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는 대형화된 장치에서는 불가능 한 신속한 대류열전달 실험이 가능하여, 소량의 나노 유체 초기 개발단계에서 시료제조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류열전달계수뿐만 아니라 측정실험과정에서 유체의 이송시간을 데이터로 얻을 수 있어, 순수유체의 이송시간과 측정비교하면 제조된 나노 유체의 개략적인 점도 변화에 대해 정확한 비교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유낙하에 의한 원형 파이프 내의 유체유동과 미소 열선 주위의 강제대류 열전달 현상을 이용한 나노 유체 대류열전달계수 측정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는 긴 파이프(10), 고무튜브(20), 짧은 파이프(30) 및 열선센서(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긴 파이프(10)는 1.5mm의 벽두께로 내경은 7mm, 외경은 10mm로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아크릴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긴 파이프(10)의 길이는 1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긴 파이프(10) 일단에서 중력 반대 방향 75cm에 초기 유체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선(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튜브(20)는 긴 파이프(10)와 같은 내경을 가지며, 탄성이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 결합으로 긴 파이프(10)의 외경을 둘러싸며 긴 파이프(10)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짧은 파이프(30)는 끼움 결합된 고무튜브(20)를 통해 긴 파이프(10)와 연통 된다. 따라서 짧은 파이프(30) 일단의 외경을 감싸며 고무튜브(20)와 끼움 결합 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긴 파이프(10)와 동일한 1.5mm의 벽두께를 가지며, 7mm의 내경과 10mm의 외경을 가진 아크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짧은 파이프(30)는 15cm내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짧은 파이프(30)는 고정되어 있지만 움직임이 자유로운 긴 파이프(10)와 연결된 고무튜브(20)가 휘어지므로 중력(g)에 대한 기울기(θ)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기울기(θ)에 따라 유체의 낙하속도 즉, 파이프 내의 유속이 변하게 된다.
상기 열선센서(40)는 짧은 파이프(30)의 일단에 직경 50㎛, 길이 7mm의 원기둥 형태의 백금열선(43) 또는 니크롬선과 같은 금속 열선(Hot-wire)으로 형성되며, 백금열선(43)의 양단은 굵은 구리선(45)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리선(45)은 짧은 파이프(30) 외경에 결합 되어 백금열선(43)이 짧은 파이프(30)의 내경 중앙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열선센서(40)는 가열된 실린더에 해당한다. 그리고 등가적으로는 금속 저항체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표준저항(Standard Resistor), 전원 및 측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 획득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가열된 백금열선과 그 주위를 흐르는 유체 사이의 대류열전달 현상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는 백금열선(43)에 흐르는 전류, A는 백금열선(43)의 표면적, Tf는 외부 유체온도이다. 그리고 h는 열전달 성능을 표시하는 대류열전달계수로 유속과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유동 속에 놓인 백금열선(43)에 전압 Vw를 가한다. 그러면 외부의 힘 즉 전압에 의해 전자의 흐름인 전류 i가 발생한다. 이때, 전자들의 운동은 도체 내부에 존재하는 원자핵, 속박전자 및 내부 불순물들과의 충돌로 인하여 저지를 받는다. 이러한 방해를 극복하고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마찰열 및 원자의 열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도체에 발생하는 열인 주울 열 q가 발생하고, 발생된 열은 대류에 의해 유체로 전달된다.
백금열선(43)에서 발생하는 열량과 유체로의 대류열전달이 균형을 이루면 하기와 같은 식 (1)이 성립한다.
q=Vw ·i=hA(Tw-Tf)
여기서 백금열선(43)의 작동온도 Tw는 주울 열 q, 대류열전달계수 h, 외부 유체온도 Tf에 의하여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울열 q가 일정할 때, 만약 백금열선(43)주위의 외부 열유동 조건이 변하게 되어 대류열전달계수 h가 증가하면 냉각이 활발히 이루어져 백금열선(43)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유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10m/s의 속도로 변화되거나, 유체가 공기에서 물로 바뀌는 것, 그리고 기본 유체 대신 나노 유체를 시스템에 도입하여 유체 열전도율이 증가하는 경우 등이 모두 백금열선(43)이 경험하는 외부 열 유동 조건 변화에 해당한다.
이와 반대로 백금열선 양단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발열량을 알고 금속열선의 온도와 주위 유체의 온도를 알 수 있다면, 주어진 조건하에서 대류열전달계수 h를 하기의 식 (2)로 환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9158671-PAT00001
이상의 원리에 기초하여 백금열선 외부의 대류열전달계수 h를 측정하는 방법은 열전달 교과서에서 직교 유동 속에 놓인 가열된 실린더(Heated Cylinder In Cross Flow) 주위의 유동으로 소개되는 내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사용한 백금열선(43)은 백금 선으로 매우 직경이 작은 실린더에 해당한다.
주어진 열 유동 조건에서 대류열전달계수 h를 환산하기 위해서는 전압 Vw, 백금열선에 흐르는 전류 i, 백금열선의 작동온도 Tw, 외부 유체온도 Tf를 알아야 한 다. 시료의 온도 Tf는 실험 전 표준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백금열선(43)과 관련된 Vw, i, Tw는 하기의 도 3과 4에서 설명하는 전압분할회로(Voltage Dividing Circuit)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표준저항(Standard Resistor: std)과 백금열선이 전원에 연결된 개략도이며, 도 4는 저항으로 구성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준저항(50)의 저항값은 Rstd이고, 표준저항(50)에 걸리는 전압은 Vstd이다. 표준저항(50)과 백금열선(43)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표준저항(50)과 백금열선(43)을 흐른 전류는 동일하고, 옴의 법칙에 의하여 식 (3)이 성립한다.
Figure 112008039158671-PAT00002
식 (3)을 변환하면 작동중인 백금열선(43)의 저항 Rw를 식 (4)로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준저항과 백금열선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면 알려진 표준저항 값 Rstd를 이용하여 Rw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백금열선의 저항과 온도 사이에는 식 (5)와 같은 저항-온도 관계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08039158671-PAT00003
Rw=R0(1+aTw) 또는
Figure 112008039158671-PAT00004
따라서 작동저항을 알면 식 (5)를 이용하여 작동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R0는 0℃에서의 백금열선의 저항이며, a는 온도저항계수로 백금의 경우 0.0039092/℃이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대류열전달계수 h의 환산에 필요한 모든 수치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의 평가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긴 파이프의 기울기를 설정한다. (1 단계)
시료가 담긴 용기를 짧은 파이프 하부 중심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각도기를 이용하여 긴 파이프의 기울기를 설정하고 긴 파이프를 고정한다.
긴 파이프에 유체를 공급한다. (2 단계)
피펫 필러(Pipette Filler)를 이용하여 시료 용기의 유체를 긴 파이프에 초기유체 위치를 표시한 표시부분까지 빨아올려 채운다. 초기유체의 위치 표시부분까지의 유체를 부피로 환산하면 약 30mL이다.
긴 파이프에 유체를 채우고 유체가 토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을 때 동일한 파이프 기울기에 대하여 반복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유속변화에 대한 정밀한 실험이 가능하다.
열선센서에 전원을 공급한다. (3 단계)
직류 전원에 미리 설정하여 놓은 전압이 표준저항을 거쳐 열선에 도달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실시한 실증실험에서 직류 3Volt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획득장치를 가동한다. (4 단계)
데이터 획득장치를 가동하여 표준저항과 열선 양단의 전압을 읽기 시작한다.
열선센서에 유체를 통과시킨다. (5 단계)
데이터 획득장치를 가동한 후 약 2초의 시간이 경과 하면 피펫 필러를 긴 파이프에서 제거한다. 따라서 긴 파이프 상부는 진공상태에서 대기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에 채워진 유체는 중력에 의하여 장치 하부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 순간부터 가열된 백금열선을 지나는 대류열전달 실험이 이루어진다. 긴 파이프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파이프를 흐르는 유속이 달라진다.
열선센서 전원을 차단한다. (6 단계)
유체가 장치를 모두 통과하면 열선센서에 공급한 전원을 차단한다.
데이터를 분석한다. (7 단계)
획득된 전압 데이터를 파일의 형태로 컴퓨터에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나노유체의 열전달을 평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열선 법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열전도율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류열전달 실증 실험을 위하여 순수 윤활유, 탄소나노튜브(CNT)를 혼합한 나노윤활유 및 흑연(Graphite)을 혼합한 나노윤활유 등 3종류의 시료를 준비한다. 나노윤활유의 경우 혼합농도는 두 시료 모두 체적농도(Volume Percent) 기준으로 0.5%이다.
순수윤활유 대비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한 나노윤활유의 경우는 약 5%의 열전도율이 상승하였고, 흑연을 혼합한 나노윤활유의 경우는 약 15%의 열전도율 상승을 나타내었다. 흑연을 혼합한 나노윤활유의 경우가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한 윤활유의 경우보다 열전도율 상승이 10% 이상 높게 나타났다.
0.5vol.% 혼합농도에서 15%의 열전도율 상승은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높은 증가율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저항과 열선으로부터 획득된 전압신호의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측 세로축은 열선, 우측 세로축은 표준저항으로부터의 신호이며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측정이 수행된 전체 시간 동안 흐른 두 신호의 합은 3볼트(Volt)이다. 이것은 전원에서 공급한 3볼트를 두 저항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전압을 분할하여 나누었기 때문이다. 즉, 표준저항의 저항은 일정하지만 백금열선이 가열되어 저항이 증가하면 전체 전압 3Volt 중에서 백금열선에 걸리는 전압이 증가하는 반면 전체 전압은 동일하므로 표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백금열선이 냉각되면 백금열선의 전압은 감소하게 되고 표준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증가한다.
따라서 백금열선의 전압변화는 저항변화 즉, 작동온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구간 I은 처음 실험이 시작된 후 1.6초까지 유동이 없는 상태로 열선에 전류만 흐르는 상태이다.
구간 II는 1.6초와 13초 사이의 수평한 전압신호로 파이프 내의 유체가 출구의 열선을 냉각하면서 통과하는 기간에 얻어진 것이다. 따라서 구간 I은 자연대류에 의한 냉각만이 일어나므로 강제 대류 유동이 있는 구간 II보다 열선의 온도가 높고 저항이 높아 결과적으로 전압이 높게 나타난다.
신호가 구간 II에서 거의 일정한 것은 이 기간 동안 토출되는 유체의 속도가 대략 일정함을 의미한다.
구간 III에서는 구간 II의 신호보다 수평에서 벗어난 형태를 보이는데, 유체가 긴 파이프를 모두 통과하고 고무튜브와 짧은 파이프에 남아있는 유체들이 백금열선을 통과하면서 만든 것이다.
구간 IV는 실험시작 17초 이후이며, 이때 나타난 톱니파 형태의 신호는 내부 파이프 벽면에 남은 유체들이 쌓이면서 큰 방울들로 형성되어 출구에서 단속적(On and Off)으로 떨어져서 생긴 것이다. 용기나 튜브에서 윤활유가 마지막 순간에 흘러내리는 것을 상상하면 현상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 기간에서 열선은 단속적으로 떨어지는 윤활유에 의하여 냉각과 가열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열선의 저항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따라서 표준저항에 대한 열선의 상대적인 저항의 크기가 변하게 되어 열선과 표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진동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른 순수 윤활유, 탄소나노튜브(CNT)를 혼합한 나노윤활유 및 흑연(Graphite)을 혼합한 나노윤활유의 3가지 시료에 대하여 긴 파이프의 기울기를 바꾸면서 실험한 결과이다.
상기 도 7의 구간 II에서 가장 안정한 8초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순간(Temporal)마다 대류열전달계수를 계산하여 표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90°로 표시한 것이 긴 파이프가 지면에 수직인 경우이며, 20°가 수평에 가까운 경우이다.
모든 시료의 경우에 대류열전달계수가 일정하지 않고 소폭 증가한다. 이것은 유체가 정지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속되어 유속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대류열전달계수가 증가한 결과이다.
긴 파이프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류열전달계수들 사이에 명백한 차이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데이터를 8초 동안 시간 평균하여 계산한 대류열전달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도가 동일할 때, 3가지 시료의 대류열전달계수가 명백한 차이를 보이며, 나노윤활유의 대류특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의 경우 중력이 시스템에 작용하는 유일한 외력이므로 동일한 각도는 동일한 유체구동력(Pumping Power)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가열된 백금열선과 그 주위를 흐르는 유체 사이의 대류열전달 현상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표준저항과 백금열선이 전원에 연결된 개략도이다.
도 4는 저항으로 구성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의 평가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열선 법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열전도율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표준저항과 열선으로부터 획득된 전압신호의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다른 순수 윤활유, 탄소나노튜브(CNT)를 혼합한 나노윤활유 및 흑연(Graphite)을 혼합한 나노윤활유의 3가지 시료에 대하여 긴 파이프의 기울기를 바꾸면서 실험한 결과이다.
도 9는 도 8의 데이터를 8초 동안 시간 평균하여 계산한 대류열전달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긴 파이프 20: 고무튜브
30: 짧은 파이프 40: 열선센서
43: 백금열선 45: 구리선
50: 표준저항 60: 전원

Claims (8)

  1. 원형의 관으로 형성된 긴 파이프;
    상기 긴 파이프 일단에 외경을 둘러싸며 연결된 고무튜브;
    상기 고무튜브를 통해 연통되는 짧은 파이프;
    상기 짧은 파이프 일단에 금속열선으로 형성된 열선센서를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열선은 백금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금열선의 양단은 굵은 구리선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리선은 짧은 파이프 외경에 결합되어 백금 열선이 짧은 파이프의 내경 중앙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5. 원형의 관으로 형성된 긴 파이프;
    상기 긴 파이프 일단에 외경을 둘러싸며 연결된 고무튜브;
    상기 고무튜브를 통해 연통되는 짧은 파이프;
    상기 짧은 파이프 일단에 백금 열선으로 형성된 열선센서;
    상기 열선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준저항;
    상기 표준저항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되
    상기 열선센서는 측정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 획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준저항과 백금열선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7. 긴 파이프의 기울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긴 파이프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
    열선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열선센서와 연결된 데이터 획득장치를 가동하는 단계;
    상기 열선센서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열선센서에 공급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획득장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긴 파이프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피펫 필러를 이용하여 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방법.
KR1020080051188A 2008-05-30 2008-05-30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 KR10097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88A KR100975205B1 (ko) 2008-05-30 2008-05-30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
US12/262,218 US8136981B2 (en) 2008-05-30 2008-10-31 Heat transfer evalu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88A KR100975205B1 (ko) 2008-05-30 2008-05-30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785A true KR20090124785A (ko) 2009-12-03
KR100975205B1 KR100975205B1 (ko) 2010-08-10

Family

ID=4137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188A KR100975205B1 (ko) 2008-05-30 2008-05-30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36981B2 (ko)
KR (1) KR100975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983A1 (de) 2009-12-15 2011-06-16 Sungwoo Hitech Co., Ltd. Laserschweißverfahren für ein Stahlblech
KR101713671B1 (ko) * 2015-12-09 2017-03-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77306A (zh) * 2005-06-10 2006-1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工作流体蒸发性能的量测系统及其量测方法
FR2925693B1 (fr) * 2007-12-21 2009-12-04 Thales Sa Procede de test de caloduc et dispositif de test correspondant.
KR101236284B1 (ko) * 2010-08-20 2013-02-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비정상열선법을 이용한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측정장치
DE202015103789U1 (de) * 2015-07-17 2015-07-31 Abb Technology Ag Oberflächentemperaturfühler
CN105136848B (zh) * 2015-09-16 2017-12-22 北京邮电大学 对流换热系数、对流传质系数测试装置及方法
CN106501308B (zh) * 2016-10-31 2019-03-15 西南石油大学 一种管箱式传热实验装置
US10921273B2 (en) * 2017-08-15 2021-02-16 Qatar University Apparatus for measuring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packed bed of aggregates
CN108896604A (zh) * 2018-05-21 2018-11-27 西安交通大学 一种多因素宽参数纳米流体换热特性实验系统及实验方法
CN110057863B (zh) * 2019-05-07 2020-07-10 西安交通大学 一种高温高流速气体流动换热实验装置及实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4451A (en) * 1975-02-12 1977-12-07 Smidth & Co As F L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ntent of dust in gases
US4352290A (en) * 1980-03-20 1982-10-05 Neils John J Heat transfer measuring apparatus
US4779673A (en) * 1986-09-16 1988-10-25 Chiles Daniel T Flexible hose heat exchanger construction
JP3055164B2 (ja) * 1990-10-22 2000-06-26 栗田工業株式会社 液性状の計測装置
KR100356994B1 (ko) * 2000-03-21 2002-10-18 한국과학기술원 액상 및 기상의 열전도도 측정장치
US7209355B2 (en) * 2002-05-15 2007-04-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ling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50175769A1 (en) * 2002-10-10 2005-08-11 Tomoaki Kunugi Heat transfer method and heat exchange system between solid and fluid
CH696042A5 (fr) * 2002-11-28 2006-11-30 Ecole D Ingenieurs Du Canton D Procédé et dispositif de mesure de la conductivité thermique d'un fluide multifonctionnel.
US6858157B2 (en) * 2003-04-17 2005-02-22 Vnaderbilt University Compositions with nano-particle size diamond powder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transferring heat between a heat source and a heat sink
US7077563B2 (en) * 2003-11-19 2006-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Deposition sensor based on differential heat flux measurement
CN1948421B (zh) * 2005-10-13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工作流体
TWI287084B (en) * 2005-12-02 2007-09-21 Foxconn Tech Co Ltd Detecting device for heat pipes
US20070237202A1 (en) * 2006-04-07 2007-10-11 Jaffe Limite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heat pipe
US8469587B2 (en) * 2009-06-30 2013-06-25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nanofluids
TW201118372A (en) * 2009-11-25 2011-06-01 Inventec Corp Method for testing heat pi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983A1 (de) 2009-12-15 2011-06-16 Sungwoo Hitech Co., Ltd. Laserschweißverfahren für ein Stahlblech
KR101713671B1 (ko) * 2015-12-09 2017-03-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205B1 (ko) 2010-08-10
US8136981B2 (en) 2012-03-20
US20090296772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205B1 (ko) 나노 유체의 열전달 평가장치 및 방법
Momi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ixed convection with water-Al2O3 & hybrid nanofluid in inclined tube for laminar flow
Suresh et al. Effect of Al2O3–Cu/water hybrid nanofluid in heat transfer
Akhavan-Behabad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rmal–rheological properties and heat transfer behavior of the heat transfer oil–copper oxide (HTO–CuO) nanofluid in smooth tubes
Sokhal et al.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performance of alumina–water nanofluid in a flat vertical tube of a radiator
JPS62185146A (ja) 流体の状態の計測方法
Gebhart et al. Mixed convection from long horizontal cylinders
US201403556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edimentation of solid-liquid two-phase mixture
US20130060491A1 (en) Thermal Mass Flow Meter
Bruun Hot-film anemometry in liquid flows
CN108279187A (zh) 流体粘度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US84695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nanofluids
Tang et al. A mechanistic heat transfer correlation for non-boiling two-phase flow in horizontal, inclined and vertical pipes
CN210321856U (zh) 一种空气热式流量计
KR20160034633A (ko) 열선을 이용한 회전원판 방식 유체 대류열전달계수 측정 장치
CN218271829U (zh) 一种改性沥青密度测定装置
CN204740261U (zh) 一种电子风速计
CN111721670A (zh) 液体密度测量装置
KR101984236B1 (ko) 유체의 열전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
CN206725383U (zh) 一种石油粘度测定装置
CN207946330U (zh) 流体粘度的测试装置
Ma et al.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of two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slurries
Zhang et al. Determin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of cryoprotectant solutions and cell suspensions
BRPI0715265A2 (pt) Aparelho para determinar a porcetagem de equivalente de carbono e silicio em metal ferroso líquido
CN209264605U (zh) 一种简易熔点测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