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336A - 방범용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방범용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336A
KR20090124336A KR1020080050473A KR20080050473A KR20090124336A KR 20090124336 A KR20090124336 A KR 20090124336A KR 1020080050473 A KR1020080050473 A KR 1020080050473A KR 20080050473 A KR20080050473 A KR 20080050473A KR 20090124336 A KR20090124336 A KR 2009012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device
security warning
case
lighting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605B1 (ko
Inventor
이강열
양희근
정희원
신우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to KR102008005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6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알람부재를 점등(또는 점멸)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고, 경고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조도에 근거하여 조명부재를 조명구동하도록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방범용 경고장치는, 상측에 다수의 조명부재가 장착되고, 상측에 제1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외측부에 알람부재가 장착된 케이스;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에 제1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제가 형성되고, 다수의 조명부재가 인입되는 보호용 홀이 천공되며, 양각화 패턴이 형성된 반투명 캡; 및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양각화 패턴에 대응되는 문양이 천공되고, 반투명 캡을 덮는 차단 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범용 경고장치는 조명부재를 설치하고, 조명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야간에 방범용 경고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범등, 경광등, 경고등, 엘이디 모듈, 조명, 양각화 패턴

Description

방범용 경고장치{Warning apparatus for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은 방범용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고, 해상도를 높여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범용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공공기관, 사무실, 공장 및 일반 가정에서도 사설 경비업체를 통한 방범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경비업체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경비업체의 방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고지하여 범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방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공기관, 사무실, 공장 및 일반 가정 등의 건축물 외부에 방범 경고판을 설치한다.
경비업체는 방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공기관, 사무실, 공장 및 일반 가정 등의 건축물에 외부인의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예를 들면, 유리감지기, 음향감지기, 적외선감지기, 열선감지기, 화재(열)감지기, 금고감지기, 적외선 감지기, 가스 감지기 등)를 설치하고, 상기한 다수의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경보장치(예를 들면, 램프, 버저 등)를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범 경고판은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하면, 범죄가 주로 발생하는 야간에는 방범 경고판의 식별이 어려워 경비업체에서 원하는 범죄 예방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방범 경고판과 경보장치 및 소형 경광등이 각각 설치됨에 따라 방범 서비스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알람부재를 점등(또는 점멸)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고, 경고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조도에 근거하여 조명부재를 조명구동하도록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는, 상측면에 조명부재 및 제1체결부재가 설치되고, 외측면에 알람부재가 장착된 케이스;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1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제가 설치되고, 조명부재가 인입되는 보호용 홀이 천공되며, 문자를 포함하는 양각화 패턴이 형성된 반투명 캡; 및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양각화 패턴에 대응되는 문양이 천공되고, 반투명 캡을 덮는 차단 판을 포함한다.
차단 판은, 반투명 캡의 양각화 패턴에 끼움 결합된다.
다르게는, 방범용 경고장치는, 상측면에 조명부재 및 제1체결부재가 설치되고, 외측면에 알람부재가 장착된 케이스;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1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조명부재가 인입되는 보호용 홀이 천공된 반투명 캡; 및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반투명 캡의 상측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재로 형성되고, 문양이 천공된 차단 판을 포함한다.
케이스는, 외측면에 조도센서가 설치되고,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에 의해 조명부재가 점등된다.
케이스의 조명부재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고, 다수의 엘이디 모듈은 반투명 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홀 형상의 보호용 홀에 인입된다.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차단 판을 덮으며 케이스에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는, 이상 발생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조도 설정값에 근거하여 조명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부; 및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하도록 빛을 발생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이상 발생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알람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이 점멸하여 이상 발생을 알려준다.
알람부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이 점등하여 이상 발생을 알려준다.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부는, 조도 센서로부터의 조도 감지값이 조도 설정값 미만이면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조명부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이 점등하여 조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범용 경고장치는 조명부재를 설치하고, 조명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통해 방범용 경고장치를 조명함으로써, 야간에 방범용 경고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범용 경고장치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차단 판을 설치하여 문자 또는 도형이 형상된 부분의 빛을 집중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경고장치의 해상도를 높여 방범용 경고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범용 경고장치는 이상 발생 감지 여부에 근거하여 점등 또는 점멸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부재를 방범용 경고장치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경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방범 경고판 및 경보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보장치의 설치에 따른 비용 소요를 최소화하여 방범 서비스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특허청구범위의 조명부재는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 제1체결부재는 고정용 홀(130), 알람부재는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 제2체결부재는 고정용 돌기(210)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범용 경고장치는 내측에 회로기판(110)이 장착되고, 상측에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 장착되고, 상측에 다수의 고정용 홀(130)이 형성되고, 외측부에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이 장착된 케이스(100);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 에 고정용 돌기(210)가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고정용 홀(130)에 끼움 결합하고,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 인입되는 보호용 홀(220)이 천공되는 반투명 캡(200);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문자, 도형 등이 천공되고, 반투명 캡(2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차단 판(300); 및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차단 판(300)을 덮는 보호덮개(40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100a), 상부 케이스(100b)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00a)는 상측이 개구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케이스(100b)를 고정하기 위한 요홈(170)이 형성되고, 측부에 보호덮개(4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돌기(160)가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100a)는 하측에 브라켓(미도시)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용 홀(130)이 형성되고, 회로기판(110)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이 통과하는 배선용 홀(190)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100b)는 하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다수의 나사산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회로기판(110)과 결합부재(115; 예컨대, 볼트)로 체결된다. 상부 케이스(100b)는 상측에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돌기(180)가 형성되어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과 끼움 결합한다. 이때, 상부 케이스(100b)는 내측에 장착된 회로기판(110)과 상측에 장착된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이 통과하는 배선용 홀(190)이 천공된다. 여기서, 배선용 홀(190)은 회로기판(110) 및 조명용 엘이디 모 듈(120)의 장착위치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방범용 경고장치는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을 설치하고,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야간에 방범용 경고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케이스(100b)는 외측부에 다수의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외측부에 설치되는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은 점등 또는 점멸하여 이상 발생을 알려준다. 이처럼, 방범용 경고장치는 이상 발생 감지 여부에 근거하여 점등 또는 점멸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을 방범용 경고장치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경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방범 경고판 및 경보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보장치의 설치에 따른 비용 소요를 최소화하여 방범 서비스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케이스(100b)는 외측에 조도센서(1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조도센서(150)는 방범용 경고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조도를 감지한다.
반투명 캡(200)은 차단 판(300)과의 끼움 결합을 위해 상측에 경비업체의 로고, 문자 등의 양각화 패턴(230)이 형성되고, 케이스(100)에 돌출되도록 장착된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 인입되도록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 장착된 형태로 보호용 홀(220)이 천공된다. 여기서, 보호용 홀(220)은 케이스(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천공된다.
반투명 캡(200)은 하측에 고정용 돌기(210)가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고정용 홀(130)에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고정용 돌기(210)는 내측에 단차(420)가 형성되어 천공되고, 케이스(100)의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용 홀(130)에 결합부재(예컨대, 볼트 등)로 결합된다.
반투명 캡(200)은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에서 발산하는 빛을 통과시키는 반투명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등)로 형성된다.
차단 판(300)은 반투명 캡(200)의 상측에 형성된 양각화 패턴(230)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되어 반투명 캡(200)의 양각화 패턴(230)에 끼움 결합하여 안착 된다. 차단 판(300)은 반투명 캡(200)의 양각화 패턴(23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빛을 차단하여 빛의 집중성을 높인다. 여기서, 차단 판(300)은 불투명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등)로 형성된다. 이처럼, 방범용 경고장치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차단 판(300)을 설치하여 문자 또는 도형이 형상된 부분의 빛을 집중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해상도를 높여 방범용 경고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덮개(400)는 하측이 개구되고, 하측의 외주 면을 따라 케이스(100)에 고정되는 단차(420)가 형성된다. 보호덮개(400)는 측부에 다수의 결합용 홀(41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케이스(100)에 형성된 결합용 돌기(160)와 끼움 결합한다. 보호덮개(400)는 빛을 투과시키도록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특허청구범위의 조명부재는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 제1체결부재는 고정용 홀(130), 알람부재는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 제2체결부재는 고정용 돌기(210)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용 경고장치는 케이스(100), 반투명 캡(200), 차단 판(300), 보호덮개(4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케이스(100), 보호덮개(400)는 제1실시 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반투명 캡(200)은 케이스(100)에 돌출되도록 장착된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 인입되도록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 장착된 형태로 보호용 홀(220)이 천공된다. 반투명 캡(200)은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에서 발산하는 빛을 투과 시키는 반투명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등)로 형성된다. 여기서, 반투명 캡(200)은 상측에 경비업체의 로고, 문자 등의 양각화 패턴(2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반투명 캡(200)은 하측에 고정용 돌기(210)가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고정용 홀(130)에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고정용 돌기(210)는 내측에 단차(420)가 형성되어 천공되고, 케이스(100)의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용 홀(130)에 결합부재(예컨대, 볼트 등)로 결합된다.
차단 판(300)은 경비업체의 로고, 문자 등의 형상으로 천공되어 반투명 캡(200)의 상부에 접착결합된다. 여기서, 차단 판(300)은 반투명 캡(200)의 상부에 접착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접착 부재(310)로 형성된 시트지가 사용된다.
차단 판(300)은 반투명 캡(200)의 상측에 경비업체의 로고, 문자 등의 양각화 형상이 형성된 경우에는 반투명 캡(200)의 상측에 형성된 양각화 패턴(230)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된다. 이처럼, 방범용 경고장치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차단 판(300)을 설치하여 문자 또는 도형이 형상된 부분의 빛을 집중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해상도를 높여 방범용 경고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용 경고장치는 조도센서(150), 이상 발생 감지센서, 제어부(112), 알람 구동부(114), 알람부(117), 조명 구동부(116), 조명 부(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도센서(150)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조도센서(150)이고, 제어부(112)와 알람 구동부(114) 및 조명 구동부(116)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케이스(100)의 내측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10)에 회로로 구성된다. 알람부(117)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케이스(100)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이고, 조명부(118)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케이스(100)의 상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다.
조도센서(150)는 조도를 감지한다. 즉, 조도센서(150)는 방범용 경고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2)로 전송한다. 여기서, 조도센서(150)가 조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는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감지한다. 즉,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는 경비업체의 방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공기관, 사무실, 공장 및 일반 가정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감지한다. 여기서,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는 유리의 파손을 감지하는 유리감지기, 유리의 파열음으로 유리 파손을 감지하는 음향감지기, 적외선 차단을 통해 창문, 출입구 등을 통한 침입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 열을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열)감지기, 금고문의 개폐 및 금고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 는 금고감지기, 가스의 발생을 감지하는 가스 감지기 등이 사용된다.
제어부(112)는 조도센서(150)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조명부(118)가 조명구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112)는 조도센서(150)로부터의 조도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조도 설정값에 근거하여 방범용 경고장치의 조명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어부(112)는 조도 측정값이 조도 설정값 미만이면 조명구동으로 판단하여 조명부(118)가 방범용 경고장치를 조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조도 설정값은 방범용 경고장치의 제작단계에서 미리 설정되며, 일반적으로 대략 10 Lux 정도가 설정된다.
제어부(112)는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알람부(11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112)는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센서(예를 들면, 유리감지기, 음향감지기, 적외선 감지기, 화재(열)감지기, 금고감지기, 가스 감지기 등)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이상 발생(예를 들면,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으로 판단하여 알람부(117)가 이상 발생을 알려주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알람 구동부(114)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의 이상 발생을 알려주도록 알람부(117)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112)는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에서 이상 발생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면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고, 이상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알람 구동부(114)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알람부(117)를 구동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의 이상 발생을 알려주도록 한다. 여기서, 알람 구동부(114)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케이스(100)의 내측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10) 내에 포함된다.
알람부(117)는 다수의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로 구성되고, 다수의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을 점등 또는 점멸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의 이상 발생을 알려준다. 여기서, 알람부(117)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케이스(100)의 외측 양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이다.
알람부(117)는 소리를 통해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의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버저(또는 스피커, 사이렌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조명 구동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방범용 경고장치를 조명하도록 조명부(118)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112)는 조도센서(150)로부터의 조도 감지값과 기설정된 조도 설정값을 비교하여 조도 감지값이 조도 설정값 미만이면 조명구동으로 판단하여 조명부(118)를 조명구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조명 구동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빛을 발생하여 방범용 경고장치를 조명하도록 조명부(118)를 조명구동시킨다. 여기서, 조명 구동부(116)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케이스(100)의 내측에 장 착되는 회로기판(110) 내에 포함된다.
조명부(118)는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로 구성되고,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을 점등하여 방범용 경고장치를 조명한다. 여기서, 조명부(118)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케이스(100)의 상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조명 구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범용 경고장치는 다수의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물 벽면에 설치된 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방범용 경고장치는 케이스(100)의 내측에 장착된 회로기판(110)과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하부 케이스(100a)의 배선용 홀(190)을 통과하여 건물의 소정위치(예를 들면, 창문, 창틀, 금고 등)에 설치된 유리감지기, 음향감지기, 적외선 감지기, 화재(열) 감지기, 금고 감지기, 가스 감지기 등의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와 연결된다. 이때, 방범용 경고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00)의 내측에 장착된 회로기판(110)이 외부전원(예를 들면, 대략 12V 정도)과 연결된다. 여기서, 회로기판(110)에 구성된 제어부(112)는 조명구동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도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다.
방범용 경고장치가 외부전원과 연결되면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된 조도센서(150)는 해당 위치의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2)로 전송한다.
제어부(112)는 조도센서(150)로부터의 조도 감지값을 근거하여 조명부(118)의 조명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12)는 기저장된 조도 설정값 및 조도센서(150)로부터의 조도 감지값을 비교하여 조도 감지값이 조도 설정값 미만이면 조명부(118)의 조명구동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조명 구동부(116)에게로 전송한다.
조명 구동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부(118)를 조명구동시킨다. 즉, 조명 구동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케이스(100)의 상측에 장착된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을 점등시킨다.
반투명 캡(200)은 조명부(118)에서 발산하는 빛을 투과시켜 방범용 경고장치를 조명한다. 즉, 반투명 캡(200)은 보호용 홀(220)에 인입된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투과시킨다.
차단 판(300)은 반투명 캡(200)을 투과하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빛의 집중도를 높인다. 즉, 차단 판(300)은 반투명 캡(200)에 형성된 문자, 로고 등의 양각화 패턴(230)을 제외한 부분을 차단하여 양각화 패턴(230)에만 빛을 투과시킨다. 이때, 보호덮개(40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어 차단 판(300)을 투과한 빛에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보호덮개(400)는 캡스의 로고를 구성하는 색인 파란색으로 형성되면 차단 판(300)을 투과한 빛을 파란색의 빛으로 변경한다.
제어부(112)는 조도 감지값이 조도 설정값을 초과하면 조명부(118)의 구동정지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조명 구동부(116)에게로 전송한다.
조명 구동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부(118)를 구동정지시킨다. 즉, 조명 구동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케이스(100)의 상측에 장착된 다수의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을 소등시킨다. 이처럼, 방범용 경고장치는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을 설치하고, 조명용 엘이디 모듈(12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야간에 방범용 경고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알람 구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범용 경고장치는 다수의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물 벽면에 설치된 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방범용 경고장치는 케이스(100)의 내측에 장착된 회로기판(110)과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하부 케이스(100a)의 배선용 홀(190)을 통과하여 건물의 소정위치(예를 들면, 창문, 창틀, 금고 등)에 설치된 유리감지기, 음향감지기, 적외선 감지기, 화재(열) 감지기, 금고 감지기, 가스 감지기 등의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와 연결된다. 이때, 방범용 경고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00)의 내측에 장착된 회로기판(110)이 외부전원(예를 들면, 대략 12V 정도)과 연결된다.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는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의 이상 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112)에게로 전송한다. 즉,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는 유리의 파손, 유리의 파열음, 적외선 차단을 통해 창문, 출입구 등을 통한 침입, 열을 통해 화재를 감지, 금고문의 개폐 및 금고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다.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는 상기한 이상 발생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112)에게로 전송한다.
제어부(112)는 이상 발생 감지센서(600)로부터 이상 발생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면 이상 발생을 알려주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알람 구동부(114)에게로 전송한다.
알람 구동부(114)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알람부(117)를 구동시킨다. 즉, 조명 구동부(116)는 제어부(1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케이스(100)의 외측부에 장착된 다수의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을 점등 또는 점멸시킨 다. 이처럼, 방범용 경고장치는 이상 발생 감지 여부에 근거하여 점등 또는 점멸하여 침입, 가스누출, 화재 등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용 엘이디 모듈(140)을 방범용 경고장치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경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방범 경고판 및 경보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보장치의 설치에 따른 비용 소요를 최소화하여 방범 서비스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경고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00a: 하부 케이스
100b: 상부 케이스 110: 회로기판
112: 제어부 114: 알람 구동부
115: 결합부재 116: 조명 구동부
117: 알람부 118: 조명부
120: 조명용 엘이디 모듈 130: 고정용 홀
140: 알람용 엘이디 모듈 150: 조도센서
160: 결합용 돌기 170: 요홈
180: 고정 돌기 190: 배선용 홀
200: 반투명 캡 210: 고정용 돌기
220: 보호용 홀 230: 양각화 패턴
300: 차단 판 310: 접착 부재
400: 보호덮개 410: 결합용 홀
420: 단차 600: 이상 발생 감지센서

Claims (13)

  1. 상측면에 조명부재 및 제1체결부재가 설치되고, 외측면에 알람부재가 장착된 케이스;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1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제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재가 인입되는 보호용 홀이 천공되며, 문자를 포함하는 양각화 패턴이 형성된 반투명 캡; 및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양각화 패턴에 대응되는 문양이 천공되고, 상기 반투명 캡을 덮는 차단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판은,
    상기 반투명 캡의 양각화 패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3. 상측면에 조명부재 및 제1체결부재가 설치되고, 외측면에 알람부재가 장착된 케이스;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1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재가 인입되는 보호용 홀이 천공된 반투명 캡; 및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반투명 캡의 상측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재로 형성되고, 문양이 천공된 차단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측면에 조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에 의해 상기 조명부재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조명부재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엘이디 모듈은 상기 반투명 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홀 형상의 상기 보호용 홀에 인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 판을 덮으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7. 이상 발생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조도 설정값에 근거하여 조명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하도록 빛을 발생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발생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람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이 점멸하여 상기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이 점등하여 상기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의 조도 감지값이 상기 조도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엘이디 모듈이 점등하여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고장치.
KR1020080050473A 2008-05-29 2008-05-29 방범용 경고장치 KR10099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73A KR100993605B1 (ko) 2008-05-29 2008-05-29 방범용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73A KR100993605B1 (ko) 2008-05-29 2008-05-29 방범용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36A true KR20090124336A (ko) 2009-12-03
KR100993605B1 KR100993605B1 (ko) 2010-11-10

Family

ID=4168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473A KR100993605B1 (ko) 2008-05-29 2008-05-29 방범용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2102A (zh) * 2013-07-03 2015-01-14 陈思佳 阴井盖丢失报警器
KR20150003728U (ko) * 2014-04-02 2015-10-13 전영백 방범용 조명간판장치
CN105118227A (zh) * 2015-06-18 2015-12-02 浙江嘉工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警示装置的井盖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162A (ja) * 2004-05-26 2005-12-08 Asahi Denki Kasei Kk 家庭用防犯アラー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2102A (zh) * 2013-07-03 2015-01-14 陈思佳 阴井盖丢失报警器
KR20150003728U (ko) * 2014-04-02 2015-10-13 전영백 방범용 조명간판장치
CN105118227A (zh) * 2015-06-18 2015-12-02 浙江嘉工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警示装置的井盖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605B1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1301B2 (en) Wireless children&#39;s safety light in a security system
US99908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gress and monitoring system
CA2567561C (en) System for deterring persons from actuating an escape door of an evacuation route
US20100302048A1 (en) Intelligent exit sign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US8138928B2 (en) Multiple event notification appliance
KR20080066972A (ko) 전자기식 도어 록
KR100993605B1 (ko) 방범용 경고장치
JP3139482U (ja) エスカレータ用警報装置
GB2516073A (en) Fire Safety Light
KR100945857B1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JP4988376B2 (ja) 安全標示灯
JP2003016542A (ja) 侵入警戒装置
CN102629416A (zh) 监控设备
JP3133849U (ja) 防災受信機
KR102436527B1 (ko) 도로 터널의 방수형 발신기 및 표시등 어셈블리
KR20070016727A (ko) 적외선 감지장치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CN210944370U (zh) 一种双功能楼层显示装置
JPH05266375A (ja) 表示装置
JP5046686B2 (ja) 防犯システム及び防犯受信器
EP3879515A1 (en) Signaling apparatus
KR200208372Y1 (ko) 자동경보장치
JP4820064B2 (ja) 複合型警報器
JP2007198003A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