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117A -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117A
KR20090124117A KR1020080050127A KR20080050127A KR20090124117A KR 20090124117 A KR20090124117 A KR 20090124117A KR 1020080050127 A KR1020080050127 A KR 1020080050127A KR 20080050127 A KR20080050127 A KR 20080050127A KR 20090124117 A KR20090124117 A KR 2009012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uide
guide rail
moving block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덕
Original Assignee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4117A/ko
Publication of KR2009012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9/00Fire-fighting vessels or like floa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장비를 구비하거나 소방대원의 편의를 위한 콘테이너를 세이프트로더에 의해 이동차량에 편리하면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적재 및 하차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블록(40)과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승,하차가 가능한 소방진화용 콘테이너(50)와, 상기 콘테이너(50)의 측면 선단부에 고정 설치한 핀축(72)과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후크(70)와, 상기 후크(70)의 머리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콘테이너(50) 선단부 몸체(52)에 고정된 조정실린더(8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다수개 컨테이너를 한 대의 운반차량으로 상하차 작업을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루어 작업을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생산비의 부담을 적게 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소화장비, 리프트, 세이프티로더, 이송차량, 콘테이너, 견인

Description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Fire suppression and conveniant facilites of container for Safety loader}
본 발명은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를 승하차하는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장비를 구비하거나 소방대원의 편의를 위한 콘테이너를 세이프트로더에 의해 이동차량에 편리하면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적재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이동차량에 다양한 용도의 소방화재 진압을 위한 콘테이너를 경제적이면서 간편하고 안정되게 적차와 하차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소방대원은 화재발생시 화재현장으로 출동하여 화재현장에서 화재진화에 필요한 공기통을 착용하고 진화 물과 소화액으로 화재를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소방대원이 필요로 하는 화재진화용 공기통과 화재진화를 위한 소형장비들을 다양하게 배치한 콘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콘테이너에는 다수개의 공기가 충진된 공기통을 수납하는 수납실과, 소실된 빈 공기통에 공기를 충진하기 위한 콤프레샤와 주입설비 등을 구비하여 이루 어지어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형화재로 인하여 화재진화가 길어질 경우 장시간 예컨대 2일 이상 화재진화일 경우에는 소방대원들의 식사, 수면 및 기타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편의시설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며, 이를 위해 임시로 이동식 간이화장차량이나 숙식이 가는한 캠핑카 등을 별도로 출동시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화재진압장비차량과 편의시설차량을 화재현장에 적절하게 출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재진화장비차량이나 편의 시설을 제고하기 위한 이동차량에 각종장비나 편의시설이 구비된 적재함을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필요할 경우 필요한 이동차량을 화재진화장소에 출동시키게 되므로, 출동차량의 증가량에 비하여 도로는 그 증가량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 소방차를 화재현장으로 출동시켜 각각의 역할에 맞추어 화재진압을 완수하기에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이 발생되며, 또한 신속한 화재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종차량에 필요한 적재함을 고정설치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고가이어서 경제적인 부담이 가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세이프티로더를 이용하여 화재진화를 위해 제공되는 다수개의 공기통을 구비한 화재 진화용 콘테이너와 출동 소방관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편의시설용 콘테이너를 한대의 운반차량으로 이동과 공급을 이루어서 소방관에게 제공된 화재진압장비와 편의 시설을 경제적이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에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와, 주행륜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과 같은 방향으로 연동하는 이동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이동에 따라 이동 블록을 연동시켜 슬라이딩시키는 적재함 연동 수단(61)(62)으로 이루어진 세이프티 로더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과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하차 가능한 소방진화용 콘테이너와; 상기 콘테이너의 측면 선단부에 고정 설치한 핀축과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후크와; 상기 후크의 머리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콘테이너 선단부 몸체에 고정된 조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콘테이너는 다수개의 화재진화용 공기통을 진열고정 배치하고 에어발생 및 충전장치를 구비하거나, 내부에 숙박, 주방 및 용변처리 시설 등의 편의시설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품목이나 구조를 구비한 각각의 콘테이너를 이동차량으로 적재하여 소화진화 장소에 경제적이고 간편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세이프티로더를 이용하여 화재진화를 위해 제공되는 다수개의 공기통을 구비한 화재진화용 콘테이너와 출동 소방관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차와 하차를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함으로써, 화재진화장소에서 출동한 소방관에게 공기통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 장기 진화시에도 소방관의 취사 및 숙박과 기타 용변 등의 편의를 편리하고도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다수개 컨테이너를 한 대의 운반차량으로 상하차 작업을 간편하고 안정되게 이루어 작업을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생산비의 부담을 적게 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이프티로더가 장착한 이동차량을 측면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동수단의 작동관계를 측면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하차장치를 요부 종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를 요부 종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실린더를 작용 구성도로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정실린더와 후크의 결합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내고, 도 7a,7b,7c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의 적재상태에서 하차하는 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차량(1)의 적재실(2)에 설치된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가이드(2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레일(30)과, 가이드레일(30)에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을 이루는 메인실린더(32)와, 가이드레일(30)과 연동하는 이동블록(40)과, 이 이동블록(40)을 적재함에 슬라이딩시키는 연동수단(61)(62)으로 구비되는 세이프티로더(100)와, 소방진화 장비의 적재 또는 편의시설구조로 이루어진 콘테이너(50)와, 콘테이너(50)를 체결하는 후크(70)와, 후크(70)를 구동하는 조정실린더(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20)는 세이프티로더(100)의 메인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 연결은 통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브라켓트을 통하여 힌지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해지고 있다. 가이드(20)는 메인프레임(10)과 나란한 상태에서 그 후방이 선택적으로 지면과 닿거나, 다시 메인프레임(10)과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20)의 후방에는 가이드(2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콘테이너(50)가 최상의 조건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리어범퍼(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범퍼(22)는 보조실린더(24)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가이드(20)와 함께 리어범퍼(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범퍼(22)의 하단에는 접지롤러(23)를 구비하여 리버범퍼(22)와 지면이 맞닿을 때 리어범퍼(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가이드레일(30)은 상기 가이드(20)에 슬라이딩하여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가이드(20)에 구비되어 있다.
메인실린더(32)는 양단이 가이드레일(30)의 전단과 가이드(20)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실린더(32)의 신축에 의하여 가이드레일(30)이 가이드(20)에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블록(40)은 상기 가이드레일(3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동블록프레임(41)과,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이동블록프레임(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륜(42)과, 이동블록프레임(41)의 상부에 구비되는 힌지연결부(43)가 구비된다.
주행륜(42)은 이동블록(40)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프레임(41)의 하부 양단에 구비되어 있다. 주행륜(42)은 상기 가이드레일(3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이동블록(40)이 가이드레일(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40)의 상부로는 힌지연결부(43)가 돌출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후크(70)의 간섭을 받도록 한다.
콘테이너(50)는 사각박스 형태의 패널로 밀폐되도록 조립되어 내부에는 필요한 소화진화용 장비인 공기통(64)를 수용되는 진열부스나, 또는 숙박, 주방 및 용변을 해결하는 편의 시설구조가 용도나 상황에 맞게 설계되어 마련되어 있다. 콘테이너(50)의 하단에는 이동차량의 적재실에 승차, 또는 하차시 지면과의 편차나 필요한 경사각을 보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 모서리에는 유압실린더(82)에 의해 신축조절되며 하단에 구동로울러(84)가 설치된 보조리어범퍼(8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콘테이너(50)의 몸체 전방에는 전방에는 수용공간이 하여 여기에 신 축조절이 가능한 조정실린더(80)의 일측을 고정하고, 이 조정실린더(80)의 하부에는 콘테이너(50)의 몸체에 고정 설치한 핀축(72)과 연결되어 후술하는 후크(70)의회동이 가능한 되어 있다.
후크(70)는 머리부가 상기 조정실린더(80)와 연결되어 있으며 핀축(72)를 중심으로 회동운동으로 상기 주행륜(42)의 힌지연결부(43)를 간섭하여 결속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연동수단(61)(62)은 풀리와 와이어 또는 체인가 스플라켓으로 구비하여 콘테이너(50)를 가이드레일(30)과 연동시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연동수단(61)(62)은 콘테이너(50)를 적재하기 휘한 적차용 연동수단(61)과 콘테이너(50)를 하차하기 위한 하차용 연동수단(62)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콘테이너(50)를 적차하기 위한 적차용 연동수단(61)은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풀리 또는 체인기어(61a)와, 상기 제1풀리 또는 제1스플라켓(61a)를 거쳐 상기 이동블록(40)과 가이드(20)에 양단이 결속되는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으로 이루어진다.
제1풀리 또는 제1스플라켓(61a)은 가이드 레일(3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둘레에 제1 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이 지나도록 한다.
제1 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은 일단이 이동블록(40)의 일측에 결속되고, 제1풀리 또는 제1스플라켓(61a)을 거쳐 타단은 가이드(20)의 일측에 결속된다. 이때, 상기 제1풀리 또는 제1스플라켓(61a)은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콘테이너(50)를 하차하기 위한 하차용 연동수단(62)은, 적차용 연동수단(61)과 마찬가지로 제2풀리 또는 제2스플라켓(62a)과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으로 이루어진다.
제2풀리 또는 제2스플라켓(62a)도 가이드 레일(3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둘레에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이 지나도록 한다.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도 일단은 이동블록(40)의 일측에 결속되고, 타단은 제2풀리 또는 제2스플라켓(62a)를 거쳐 가이드(20)에 결속된다. 제2풀리 또는 제2스플라켓(62a)도 제1풀리 또는 제1스플라켓(61a)과 마찬가지로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킨다.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과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은 각각 일단이 이동블록(40)에 연결되지만,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은 가이드 레일(30)의 전단부를 거치고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은 가이드레일(30)의 후단부를 거친 후, 가이드(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적차용 연동수단(61)과 하차용 연동수단(62)인 상기 와이어-풀리나 는 체인-스프라켓과 같은 구조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본 발명이 실시하고자 하는 기술범주 내에서는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은 상태는 적재실에 콘테이너(50)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이때에는 이동블록(40)이 최대한 전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테이너(50)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이동블록(40)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이동블록(4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해야한다.
우선, 이동블록(40)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 이동블록(40)이 초기의 상태에서 콘테이너(50)를 적재하기 위해서 메인 실린더(32)가 압축되기 시작한다. 메인 실린더(32)가 압축되기 시작하면, 메인 실린더(32)의 로드와 연결된 가이드레일(30)이 가이드(20)의 내부로 수납되기 시작한다. 메인 실린더(32)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 즉, 평상시 상태에서 압축되기 시작하면 가이드 레일(30)은 가이드(20)의 내부로 수납되기 시작하고, 메인실린더(32)가 최대로 압축되면 메인실린더(32)는 모두 가이드(20)의 내부에 수납된다.
메인실린더(32)가 압축되기 시작하여 가이드레일(30)이 가이드(20)의 내부로 수납되면, 가이드레일(30)이 가이드(20)에 수납되는 거리의 두 배만큼 이동블록(40)은 이동한다.
가이드레일(30)이 이동하면, 가이드레일(30)에 구비되어 있는 제1풀리 또는 제1스플라켓(61a) 및 제2풀리 또는 제2스플라켓(62a)도 가이드레일(30)의 이동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과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의 가이드(20)에 연결된 타단은 가이드(2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동하지 못하지만, 이동블록(40) 측에 연결된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과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의 일단은 제1풀리 또는 제1스플라켓(61a) 및 제2풀리 또는 제2스플라켓(62a)의 이동량을 보상하기 위해서, 가이드레일(30)의 이동량의 두 배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가이드레일(30)이 L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면,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 및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에 의해서 이동블록(40)은 L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30) 상에서 L만큼의 거리를 이동하는 이동블록(40)이 위치하고 있는 가이드레일(30)이 L만큼의 거리를 이동하므로, 이동블록(40)의 메인프레임(10) 또는 가이드(20)에 대한 전체 이동량은 2L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상태에서 이동 블록(40)은 가이드 레일(30)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가이드레일(30)이 가이드(20)에 모두 수납되는 상태에서는 가이드(20)의 후단부에 인접한 가이드레일(30)의 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블록(40)은 메인실린더(32)의 신축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레일(30)에 연동되어, 가이드레일(30) 내부에서 주행한다.
이동블록(40)이 세이프티 로더(1)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반대로 이동블록(40)이 세이프티 로더(1)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메인실린더(32)가 압축하는 것과 연동하여, 승강실린더(21)와 보조실린더(24)가 작동하면, 가이드(20)는 메인프레임(10) 상에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메인 실린더(32)는 승강실린더(21) 및 보조실린더(24)와 유압회로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실린더(32)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이와 연동하여 승강실린더(21) 및 보조 실린더(24)가 작동한다.
즉, 승강실린더(21)와 보조실린더(24)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가이드(20)는 메인프레임(10)과 나란한 상태에서 가이드(20)가 회전하여, 가이드(20)의 전단부가 들리고 후반부는 하강하게 된다. 승강실린더(21)와 보조실린더(24)의 작동에 의해서 가이드(20)의 후방에 구비된 리어범퍼(22)의 하단, 즉 접지롤러(23)가 지면과 닿을 때까지 승강 실린더(21)와 보조실린더(24)를 작동시켜 가이드(20)가 메인 프레임(1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으로 이격 되도록 한다.
한편, 이동블록(40)은 제1와이어 또는 제1체인(61b)과 제2와이어 또는 제2체인(62b)에 의해서 가이드(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20)가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로 있어도 스스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가이드레일(30)이 가이드(20)의 내부로 수납되고, 가이드(20)가 회전하는 과정이 수행되면, 이동블록(40)은 가이드레일(30)의 전단부에서 가이드(20)의 후단부에 인접한 가이드레일(30)의 후단부로 이동하고, 가이드(20)가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 3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이동블록(4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연결되는 콘테이너(50)의 전면부가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콘테이너(50)가 지면이 이루는 경사각(α1)이 크게 낮아져서, 콘테이너(50)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콘테이너(50)가 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낮아짐으로써 인하여, 용이하게 적재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동블록(4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가이드(20)가 경사지게 된 상태에서 콘테이너(40)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조정실린더(80)를 신장시키면 콘테이너 본체에 핀축 연결되어 있는 후크(70)가 도 5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부로 회동하여 숙여 짐과 동시에 상기 이동블록(40)의 힌지연결부(43)와 안전한 결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에는 콘테이너(50)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도시를 생략한 유압조정밸브를 록킹을 해제하고 콘테이너(50)의 전후부에 마련된 유압실린더(80)를 압축하고 보조리어범버(86)를 압축하여 구동로울러(84)가 지면에 닿게 되면 서서히 콘테이너(50)를 이동블록(40)에 의해 이동차량으로 운반하게 된다.
즉, 상기 후크(70)가 이동블럭(40)의 힌지연결부(43)에 결속하여 안정된 상태로 콘테이너(50)를 도 7c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7a의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메인실린더(32)가 신장시키게 된다.
메인실린더(32)가 신장하기 시작하면, 가이드레일(30)은 가이드(20)로부터 인출되기 시작하고, 이와 함께 이동블록(40)이 세이프티로더(1)의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콘테이너(50)가 세이프티 로더(1)로 적재되기 시작한다.
메인실린더(32)가 신장하면, 메인 실린더(32)가 압축될 때와 반대로 이동블록(40)은 세이프티로더(1)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 거리는 메인 실린더(32)의 이동거리의 두 배가 된다.
한편, 메인실린더(32)가 신장 될 때, 승강실린더(21)와 보조실린더(24)도 연동하여 압축되어 원위치로 복위하여 가이드(20)는 경사진 상태에서 메인프레임(32)과 나란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세이프티로더(1)에 콘테이너(40)의 적재가 완료되면, 세이프티로더(1)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후, 콘테이너(50)을 하차시킨다. 콘테이너(50)을 하차시키는 과정은, 이동블럭(4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콘테이너(40) 전방의 구동로울러(84)가 지면과 근접하게 되고 이어서 이동블럭(40)이 지면에 근접됨과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80)을 인출함과 동시에 보조리어범퍼(86)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조정밸브를 록킹하여 콘테이너(50)의 구동로울러(86) 모두가 지면에 닿게 되면 서서히 콘테이너(50)를 이동블록(40)에서 해제하기 위하여 조정실린더(80)를 압축하여 후크(70)가 힌지연결부(43)로부터 이탈되어 해제 상태가 되므로 콘테이너(50)를 지면에 내려놓게 된다.
또한, 콘테이너(50)을 하차시키고 이동블럭(40)을 원위치시키는 과정도 콘테이너(50)을 적재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콘테이너(50)는 두 종류의 내부 설비구조를 갖게 된다.
즉, 하나의 콘테이너(50) 설비구조는 도8에서와 같이 소방장비인 공기통(64)를 로터리적재형태(R)와 수납 적층형태(S)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하나의 콘테이너(50) 설비구조는 소방대원들의 진압훈련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침실, 주방, 세면 및 용변 편의 시설을 갖춘 공간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은 구조나 설계변경이 가능한 정도의 구조이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블럭(40)을 지면과 근접하도록 하여 콘테이너(40)의 적재 및 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테이너(50)가 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낮은 상태로 이동차량에 적재 하게 되므로 적은 동력으로 적재 및 하차가 가능하고, 반대로 콘테이너(50)를 하차시킬 때에는 급속하게 적재상태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세이프티로더의 측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연동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차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실린더의 작용 구성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정실린더와 후크의 결합상태 정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 적재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 하차진행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 하차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인프레임 20; 가이드
30; 레일 32; 메인실린더
40; 이동블록 42; 주행륜
43; 힌지연결부 50; 콘테이너
52; 몸체 64; 공기통
70; 후크 72; 핀축
80; 조정실린더 82; 유압실린더
84; 구동로울러 86; 보조리어범퍼
100; 세이프티로더

Claims (4)

  1. 메임프레임(10)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가이드(20)와, 상기 가이드(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30)과, 상기 가이드 레일(30)이 가이드(20)에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88)와, 주행륜(42)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0)에서 가이드 레일(3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0)과 같은 방향으로 연동하는 이동 블록(40)과, 상기 가이드 레일(30)의 이동에 따라 이동 블록(40)을 연동시켜 슬라이딩시키는 콘테이너 연동 수단(61)(62)으로 이루어진 세이프티로더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40)과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승,하차가 가능한 소방진화용 콘테이너(50)와;
    상기 콘테이너(50)의 측면 선단부에 고정 설치한 핀축(72)과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후크(70)와;
    상기 후크(70)의 머리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콘테이너(50) 선단부 몸체(52)에 고정된 조정실린더(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50)는 다수개의 화재진화용 공기통(64)을 진열고정 배치하고 에어발생 및 충전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데이너(50)는 내부에 숙박, 주방 및 용변처리 시설 등의 편의시설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50)의 하부 모서리에는 유압실린더(82)에 의해 신축조절되며 하단에 구동로울러(84)가 설치된 보조리어범퍼(8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KR1020080050127A 2008-05-29 2008-05-29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KR20090124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127A KR20090124117A (ko) 2008-05-29 2008-05-29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127A KR20090124117A (ko) 2008-05-29 2008-05-29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117A true KR20090124117A (ko) 2009-12-03

Family

ID=4168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127A KR20090124117A (ko) 2008-05-29 2008-05-29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4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0170A (zh) * 2010-12-08 2011-05-18 苏州雄鹰笔墨科技有限公司 一种油墨集装移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0170A (zh) * 2010-12-08 2011-05-18 苏州雄鹰笔墨科技有限公司 一种油墨集装移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979B2 (en) Firefighting or rescue apparatus including side access ladder
US20210339065A1 (en) Repositionable console
US5467827A (en) Modular fire truck
US5584493A (en) Folding step system for vehicles
RU2292928C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ая машина, рама опорного основания, установленные на ней цистерна, подъемно-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ая лестница и система ее выдвигания
US10232757B2 (en) Pick-up truck cargo lift system and method
CN106627309B (zh) 一种消防指挥综合作业车
CN107106884A (zh) 消防设备用的转台组件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US7717485B1 (en) Universal room extension for expandable rooms
US3737055A (en) Storable elevating platform
CN101622155B (zh) 拉紧装置
AU2016331030A1 (en) Improved vehicle
EP2732999B1 (en) Improvements to a goods storage area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CN103182976A (zh) 自卸半挂车
US9968811B2 (en) Firefighting or rescue apparatus including an extendable crosslay hose bed
KR20090124117A (ko) 소방장비 및 편의시설용 콘테이너의 승하차장치
KR100408096B1 (ko) 측면 접이식 윙 바디 컨테이너
JPH0885378A (ja) 拡幅車体
CN107696936A (zh) 平推式侧向自卸车的车厢
KR102284195B1 (ko)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JP3850434B1 (ja) 昇降装置付き車両及び昇降装置
CN207607403U (zh) 平推式侧向自卸车
CN202439594U (zh) 自卸半挂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