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805A -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805A
KR20090123805A KR1020090046028A KR20090046028A KR20090123805A KR 20090123805 A KR20090123805 A KR 20090123805A KR 1020090046028 A KR1020090046028 A KR 1020090046028A KR 20090046028 A KR20090046028 A KR 20090046028A KR 20090123805 A KR20090123805 A KR 2009012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igital
slave network
band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209B1 (ko
Inventor
쟝 스발디
누노 레리아스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9012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83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using two or more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역 Ⅲ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주파수 동조 회로(130)와 결합되는 수신 안테나(110)를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100)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FM 대역에서 아나로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는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200)과,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상기 수신 안테나(110)의 출력(121)을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의 입력에 연결하는 수단(400), 및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를 대역 Ⅲ로 스위칭하는데 적합한 제어 수단(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DEVIC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신 종속망이 적어도 하나의 튜너(또는 주파수 동조 회로)에 연결되는 수신 안테나를 주로 포함하는 다수의 수신 종속망(reception sub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는 예를 들어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표준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신호 및/또는 예를 들어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표준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또는 어떤 다른 유레카(Eureka) 147 파생품(DAB, DAB+, T-DMB)(디지털 오디오 방송)들을 일반적으로, 커버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도 적용된다.
이들 기술들은 특히 주파수 변조 아나로그 음성 방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FM 대역 또는 증폭 변조 모드에 사용되는 AM 대역과 관련하여 새로운 주파수 대역(174 내지 230 ㎒ 주파수를 특징으로 하는 대역 Ⅲ 및 1.4 내지 1.5 ㎓ 주파수를 특징으로 하는 대역 L)의 점유를 필요로 한다.
이들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화 및 멀티플렉싱 기술(multiplex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종래 아나로그 방송과는 달리, 음성과 (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같은)관련 데이타를 전송을 유리하게 가능하게 함으로써 AM(증폭 변조) 및 FM(주파수 변조) 대역에서 아나로그 라디오와 공존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현재, 아나로그 방송 상황에서 예를 들어, 모든 FM 대역 전반에 걸친 상기 주파수 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두 개의 AM/FM 튜너 및 두 개의 AM/FM 호환가능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여러 수신 종속망을 갖춘 카(car) 라디오와 같은 수신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리스트의 설정은 "라이빙 밴드"라는 명칭으로 아주 잘 공지되어 있다.
실제로, 모노-튜너(mono-tuner) 카 오디오의 경우에 오디오 스탠바이 상태는 튜너가 "라이빙 밴드(living band)"를 수행하는 동안에 실시되어야 한다. 모든 FM 대역에 걸쳐 이용가능한 주파수 리스트를 설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 오디오 커팅-오프(cutting-off)에 의한 불편함 이외에도, 차량이 이동할 때의 어떤 순간에 FM 대역의 실제 이미지(true image)를 가지지 못한다. 실제로, 이러한 시간 동안에 수신 상태는 (특히 산악 지역을 통과할 때)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더블-튜너 카 오디오의 경우에 주파수 리스트의 설정은 드라이버에게 대체로 평이하다. 여기에는 "라이빙 밴드" 중에 오디오의 원치 않는 커팅-오프의 문제가 없다. 실제로, 리스닝(listening) 튜너로 지칭되는 제 1 튜너의 배경하에서 제 2 튜너는 FM 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리스트를 일정하게 업데이트하며, 리스닝 튜너는 제 2 튜너와 무관하게 리스닝 주파수와 정렬된다.
그러나, 아나로그 오디오 방송 분야에서 발전된 이러한 더블 AM/FM 튜너 수 신 구조는 너무 고가로 증명된 지상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컨텍스트로 바뀌지 않는다.
실제로, 이러한 구조의 한 단점은 예를 들어, 전술한 처리 동작을 리스닝 상태로 거의 투명하게 적용하는 동안 FM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두 개의 완전한 수신 종속망(및 그에 따른 두 개의 분리 튜너와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주로 비용의 이유를 위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컨텍스트 및 더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컨텍스트에서 두 개의 분리 및 독립적인 디지털 튜너를 포함하는 상기 형태의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고려되지 못했으며, 이들 각각은 밴드 Ⅲ에 적합하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상기 T-DMB 표준에 적용되는 라디오 수신기의 밴드 Ⅲ에 제 2 튜너를 추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해법이 아닌데, 그 이유는 오디오 수신의 품질과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전술한 처리 동작, 특히 "라이빙 밴드"와 관련된 것을 이들 수신기 내에 적용하기에는 이러한 해법이 너무 고가이기 때문이다.
US 2005/0073614호로부터 이미 공지된 것은 완전한 아나로그 종속망과 완전한 디지털 종속망을 포함하는 방송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의 경우에는 매우 상이하지 않은 디지털 및 아나로그 주파수 대역과 텔레비젼 신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는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텔레비젼은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이 디지털 대역을 스캔하여 수신되는 모든 신호들을 검색하는 동안에 시청자에게 디지털 신호 전송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아나로그 및 디지털 전송 주파수(대역 Ⅲ, 대역 L)가 아주 상이한 오디오 AM/FM 신호와 동일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제로, 이러한 경우에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은 디지털 신호를 픽업(pick up)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내의 모든 대역 Ⅲ에 걸친 주파수 방송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설정하고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초과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에 비추어서, 본 발명의 요지는 대역 Ⅲ에서 디지털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주파수 동조 회로와 결합되는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 및 FM 대역에서 아나로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수신 안테나의 출력을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의 입력에 연결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상기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를 대역 Ⅲ로 스위칭하는데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제 1 동조 회로의 입력은 "기상 대역" 입력(weather band input)이다. 이러한 입력은 종래의 아나로그 튜너에 존재하며 보통 미국 특정 주파수에서 "기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상 주파수는 (유럽에서)대역 Ⅲ에서 DAB DMB 주파수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가깝다. 이러한 기상 입력이 아나로그 튜너에 존재하므로, 디지털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아나로그 튜너로 송신되는 신호를 예비처리(preprocessing)함으로써 아나로그 튜너의 사용에 의해 디지 털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아나로그 튜너의 정상적인 입력이 그러한 디지털 신호를 픽업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유리하게 (프랑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입력)아나로그 튜너의 기상 입력을 사용함으로써 아나로그 튜너가 디지털 전송을 검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은 (리스닝 디지털 튜너의 환경하에서)디지털 주파수 대역 Ⅲ를 스캔을 가능하게 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는 제 2 디지털 튜너의 추가없이 디지털 주파수 방송 라디오 프로그램 목록(라이빙 밴드)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는 대역 Ⅲ의 스캔에 적합하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은 디지털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대역 Ⅲ의 현재 주파수에 동조되는데 적합한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주파수 동조 회로의 환경 하에서, 모든 대역 Ⅲ에 걸친 모든 이용가능한 주파수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정량화하기 위해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와 협력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예를 들어, 수신 신호가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와 양립될 수 있게 하는데 적합한,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대역 Ⅲ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정합하는(matching)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신호의 신호 대 노이즈 비를 증가시키는데 적합한,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대역 Ⅲ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촉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주파수 동조 회로는 대역 L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수신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상기 제어 수단은 유리하게, 대역 L의 모든 주파수와 대역 Ⅲ의 모든 주파수를 각각 스캔하기 위해, 제 1 주파수 수신 종속망의 주파수 동조 회로와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를 병렬로 제어하는데 적합하다.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은 FM 또는 AM 대역으로부터 선택된 주파수 대역에서 아나로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제 2 주파수 동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은 지상파 디지털 라디오 표준 T-DMB 에 따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적합한 반면에,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은 DVB-H 표준에 따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카 라디오와 결합하여 특히 사용될 수 있거나 카 라디오에 합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를 도시적으로 설명하며, 단일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보다 더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T-DMB 또는 DAB 또는 DAB+에 따라 전송되는 지상파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 또는 DVB-H 표준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100)을 포함한다.
수신 종속망(100)은 대역 Ⅲ 및 대역 L로 전송되는 전술한 형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10)를 포함한다. 안테나(110)의 출력에는 대역 Ⅲ 및 대역 L 내의 주파수로 각각 스캔되고 동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는 공지되어 있으며 주파수 동조 회로(130) 또는 디지털 튜너의 입력에 연결되는, 대역 Ⅲ용 안테나 출력 라인(121) 및 대역 L용 안테나 출력 라인(122)을 제공하는 디멀티플렉싱 장치(120: demultiplexing device)가 있다. 이러한 회로(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형태의 제어 수단(300)을 통해 제어되도록 설계된다.
주파수 동조 회로(130)의 출력은 신호들이 도시 않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회로로 공급되기 이전에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140)의 입력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전술한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과 아나로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2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다음의 개념에 기초한다.
도 1의 예에 따라, 이러한 제 2 수신 종속망(200)은 FM 대역 내의 주파수로 스캔 및 동조될 수 있으며 출력이 신호 처리 블록 DSP(24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와 결합되는 FM-호환가능한 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는 그 자체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변형예로서, 도 1의 예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은 더블 튜너를 갖는 수신 종속망일 수 있다.
제 2 수신 종속망은 FM 튜너(220)로부터 분리되며 출력이 DSP 블록(240)에도 연결되는 제 2 주파수 동조 회로(230)를 포함한다. 제 2 주파수 동조 회로는 상기 제 1 주파수 동조회로와 동일할 수 있으며, 즉 FM 대역 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하거나, 변형예로서 증폭 변조 대역(AM 대역) 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수신 안테나(210)는 도 1의 예에 따라 두 개의 주파수 동조 회로 사이에서 나누어지는 AM/FM 호환성 안테나이다.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DSP 블록(240)은 FM 튜너가 동조되는 현재 주파수에 대응하는 리스닝 스테이션의 환경 하에서 제 2 주파수 동조 회로에 의해 영구적으로 공급되는 이용가능한 모든 FM 주파수를 검색하고 정량화하는데 적합하며 그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검출 회로(241)와 결합한다. 이러한 정보는 "라이빙 밴드"를 관리하도록 제어 수단으로 공급된다.
이후, 사용자가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디지털 수신 종속망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프로그램을 청취 및/또는 시청하는 동안에, 대역 Ⅲ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주파수를 검색하고 정량화하는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FM 튜너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지털 수신 종속망(100)의 수신 안테나(110)의 출력에서 대역 Ⅲ용 안테나 출력 라인(121)을 연결 수단(400)을 통해 아나로그 종속망(200)의 FM 튜너(220)의 ("기상 대역" 입력으로 지치되는)입력에 연결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 내에 제공된다. 이들 연결 수단(400)도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FM 튜너와 호환가능하도록 대역 Ⅲ 내에서 수신된 신호에 정합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이들은 FM 튜너의 입력에서 이러한 신호의 신호 대 노이즈 비를 증가시키도록 대역 Ⅲ 내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데 적합하다.
이와 같이, 대역 Ⅲ에서 수신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디지털 튜너(130)와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FM 튜너(220)로 각각, 두 개의 채널로 분할된다.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동조 회로(130)가 대역 Ⅲ에서 디지털 수신으로 동도되는 구성에서, 제어 수단(300)은 아나로그 종속망의 FM 튜너(220)를 대역 Ⅲ로 스위칭하는데 적합하여, 동조 회로(130)의 환경 하에서 대역 Ⅲ을 스캔할 수 있다.
특히, FM 튜너(220)에서 연결 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대역 Ⅲ에서 수신된 증폭 신호는 FM 튜너의 IF(중간 주파수) 스테이지의 믹스(mix) 입력으로 인가되며, 다른 입력은 IF 스테이지의 오실레이터(oscillator), 예를 들어 제어기(300)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제어되는 오실레이터에 연결되어서, FM 튜너가 대역 Ⅲ로 동조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 않은)IF 스테이지의 이들 회로는 공지된 형태이므로,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IF 스테이지의 전용 믹서에 연결되는, 보통 "기상 대역" 입력으로 지칭되는 FM 튜너의 입력이 사용되어서, 제어 수단(300)의 제어 하에서 FM 튜너가 대역 Ⅲ으로 동조될 수 있게 한다.
대역 Ⅲ으로 동조되는, FM 튜너(220)의 IF 스테이지의 출력은 DSP 블록(240)의 검출 회로(241)에 인가되어서, 디지털 수신 종속망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프로그램의 청취 및/또는 시청 하에서 대역 Ⅲ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주파수를 검색하고 정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를 사용하는 하나의 이점은 대역 Ⅲ와 L을 위한 스캔 명령의 실행을 개선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그러한 명령이 수행될 때, 디지털 튜너에 의해 연속적으로 스캔되는 대역 Ⅲ와 L을 갖기 보다는, 상기 제어 수단은 FM 튜너에 의해 스캔되는 대역 Ⅲ과 디지털 튜너에 의해 스캔되는 대역 L을 가진다. FM 튜너 및 디지털 튜너에 의해 각각 대역 Ⅲ와 L의 이러한 병렬 스캔은 스캔 기능의 실행 속도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FM 튜너를 사용하는 대역 Ⅲ의 스캐닝은 예를 들어, 예정된 주파수 간격으로 주파수 순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관련 수신 품질과 모든 이용가능한 주파수(방송 프로그램)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FM 튜너를 사용하여 얻은 이러한 모든 정보는 대역 Ⅲ을 위한 "라이빙 밴드"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튜너가 청취 및/또는 시청 디지털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대역 Ⅲ의 주파수로 동조되도록 제어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현재 프로그램의 수신 품질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이러한 목적으로 전용된 제 2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필요없이, 대역 Ⅲ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주파수의 리스트를 최근까지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제어 수단은 바쁘게 수신되는 디지털 튜너의 배경 하에서 리스트에서 확인된 대역 Ⅲ의 각각 이용가능한 주파수로 동조되는 FM 튜너를 가짐으로써, 이들 각각에 대한 수신 품질을 동역학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리스트 내의 일정한 주파수에 대한 수신 품질이 FM 튜너를 사용하는 대역 Ⅲ의 이러한 스캐닝 과정 중에 어떤 필요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주파수는 리스트로부터 제거된다. FM 튜너의 사용으로 대역 Ⅲ에 이용가능한 프로그램의 수신 품질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이러한 목적 전용의 제 2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존재 필요성 없이, 디지털 수신 종속망을 통한 디지털 프로그램의 청취 및/또는 시청의 배경 하에서 동력학적으로 포함된 대역 Ⅲ에 관한 "라이빙 밴드"를 가질 수 있다.
"기상 대역" 입력은 미국에서 기상 데이터에 대한 특정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이들 특정 주파수는 (유럽에서 사용되는)대역 Ⅲ 내의 DMB, DMB 주파수에서 사용되는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 신호가 안테나(110)와 디멀티플렉서(120)에 의해 수신될 때, 디지털 신호는 연결 수단(400)에 의해 예비 처리된 이후에 아나로그 튜너의 "기상 대역" 입력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예비 처리는 아나로그 튜너가 디지털 신호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게 하며 디지털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 튜너가 드라이버에 의해 리스닝되는 동안, 모든 디지털 대역은 아나로그 튜너에 의해 스캔될 수 있으며, 디지털 주파수가 검출될 때마다 수신된 디지털 주파수의 리스트(디지털 라이빙 밴드)를 형성하도록 저장된다. 이는 이러한 리스닝을 생성하도록 제 2 디지털 튜너를 추가함이 없이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수신된 디지털 주파수의 이러한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아나로그 튜너의 "기상 대역" 입력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아나로그 튜너를 어떤 방식으로 방해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미국 이외에 이러한 입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계속 유지된 해결책은 대역 Ⅲ에서 이용가능한 주파수 리스트와 이들의 수신 품질을 설정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한, (유럽에서)사용자에 의해 청취 및/또는 시청될 디지털 프로그램의 수신 품질을 떨어트리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자는 FM 튜너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대역 Ⅲ의 스캐닝이 유도되는 동안, 이전 업데이트에 대해 대역 Ⅲ 내의 새롭게 확인된 이용가능한 주파수에 대한 프로그램 방송 콘텐츠를 체크할 수 있기를 원할 수 있다. 실제로,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은 수신 품질의 측면에서 이러한 이용가능한 주파수들만을 정량화할 수 있으나,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되기 때문에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접근될 수 없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 종속망은 리스트가 새로 확인된 이용가능한 주파수로 업데이트되기 이전에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에 의해 수행되는 정량화의 확인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업데이트 과정은 이러한 주파수가 FM 튜너를 사용하여 이미 확인되었다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디지털 수신 품질에 단지 약간의 영향만을 끼친다. 따라서, 디지털 튜너는 이들을 검출하기 위해 대역 Ⅲ를 모두 스캔할 필요가 없으며, 반대로 수신된 프레임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컨텐츠가 확인될 수 있도록 후자로 직접 동조되도록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Claims (11)

  1. 대역 Ⅲ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주파수 동조 회로(130)와 결합되는 수신 안테나(110)를 포함하는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100), 및 FM 대역에서 아나로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는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200)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상기 수신 안테나(110)의 출력(121)을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의 입력에 연결하는 ㅇ수연결 (400), 및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를 대역 Ⅲ로 스위칭하는데 적합한 제어 수단(300)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조 회로의 입력(221)은 "기상 대역" 입력인,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는 상기 대역 Ⅲ을 스캐닝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은 디지털 프로그램이 방송될 대역 Ⅲ의 현재 주파수로 동조되기에 적합한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주파수 동조 회로(130)의 배경에서, 모든 대역 Ⅲ에 걸친 모든 이용가능한 주파수 방송 프로그램을 검출하고 정량화하도록 상기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와 협력하는 검출 회로(241)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400)은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1 주파수 동조 회로(220)와 호환가능하게 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대역 Ⅲ에서 수신된 신호를 정합하는 정합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수단은 상기 신호의 신호 대 노이즈 비를 증가시키기에 적합하며,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대역 Ⅲ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주파수 동조 회로(130)는 대역 L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에도 적합한,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7. 제 1 항 및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400)은 대역 L의 모든 주파수와 대역 Ⅲ의 모든 주파수를 각각 스캐닝하기 위해,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의 제 2 주파수 동조 회로(220) 및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의 주파수 동조 회로(130)를 병렬로 제어하기에 적합한,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나로그 수신 종속망은 상기 FM 또는 AM 대역으로부터 선택된 주파수 대역에서 아나로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제 2 주파수 동조 회로(230)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은 상기 지상파 디지털 라디오 표준 T-DMB에 따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수신 종속망은 상기 DVB-H 표준에 따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카 라디오.
KR1020090046028A 2008-05-27 2009-05-26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1539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2866 2008-05-27
FR0802866A FR2932038B1 (fr) 2008-05-27 2008-05-27 Dispositif de reception de signaux de diffusion nume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805A true KR20090123805A (ko) 2009-12-02
KR101539209B1 KR101539209B1 (ko) 2015-07-24

Family

ID=3987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028A KR101539209B1 (ko) 2008-05-27 2009-05-26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9209B1 (ko)
FR (1) FR2932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5061A (zh) * 2018-03-02 2018-06-29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主频点更新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1640B3 (de) * 2015-01-30 2015-12-17 Technisat Digital Gmbh Weiterleiten von Rundfunkdienstsignalen in einem Rundfunkempfäng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614Y1 (ko) * 1991-10-07 1994-06-02 대우전자주식회사 Fm 및 tv의 공용 수신회로
US6188448B1 (en) * 1997-11-24 2001-02-13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Fast tuning audiovisual display system
US6137546A (en) * 1998-07-20 2000-10-24 Sony Corporation Auto program feature for a television receiver
US6721018B1 (en) * 1999-10-22 2004-04-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the time required to generate a channel map in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US20040075774A1 (en) * 2002-10-18 2004-04-22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demand data information on a television display device using a radio tuner
JP4397205B2 (ja) * 2003-10-02 2010-01-13 三洋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US7380263B2 (en) * 2003-10-17 2008-05-27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television channel mapping
KR100843853B1 (ko) * 2006-06-07 2008-07-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독립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라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5061A (zh) * 2018-03-02 2018-06-29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主频点更新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8235061B (zh) * 2018-03-02 2020-09-15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主频点更新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32038B1 (fr) 2013-01-04
KR101539209B1 (ko) 2015-07-24
FR2932038A1 (fr) 200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4899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072685B2 (en) Digital/analog broadcast receiver
KR20110063213A (ko) 스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3805A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JP2000216694A (ja) デジタル音声放送の受信機
KR890000648B1 (ko) 텔레비젼 음성신호 수신기
RU24262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высокочастотных сигналов
JP2723196B2 (ja) 衛星放送受信用チュ−ナ及び受信システム
JP4464453B2 (ja) 再送信装置
JP2015226148A (ja) 放送受信機およびリスト更新方法
KR101325833B1 (ko) 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145039A (ko) 차량용 라디오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JPH03212029A (ja) 自動追従方法
KR0129262B1 (ko) 무선마이크신호 송수장치
JP3908850B2 (ja) 多重放送用受信装置
KR0175804B1 (ko) 알디에스의 자동동조 제어방법
JP2928717B2 (ja) ラジオ受信機
KR100875270B1 (ko) 채널 목록 자동 갱신 기능을 갖는 dmb 수신 장치 및채널 목록 자동 갱신 방법
JP4140130B2 (ja) 受信用コンバータと受信用アンテナ
JPH08274591A (ja) 地域チャネルに同調可能な車載用ラジオ受信機
JPH1013277A (ja) 受信装置
JP2005184534A (ja) 受信装置、チューナおよびチューナ管理装置
KR20150061808A (ko) 라디오 방송 채널 자동 전환 방법
KR10071841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채널 스캐닝방법
KR2007001640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자동 채널 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