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422A -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422A
KR20090123422A KR1020080049488A KR20080049488A KR20090123422A KR 20090123422 A KR20090123422 A KR 20090123422A KR 1020080049488 A KR1020080049488 A KR 1020080049488A KR 20080049488 A KR20080049488 A KR 20080049488A KR 20090123422 A KR20090123422 A KR 2009012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warning information
noise
work area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286B1 (ko
Inventor
황종규
조현정
이재호
김용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4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2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변 작업영역내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차접근 검지수단과,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으로부터 열차의 진입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에 배치된 유지보수자에게 열차가 접근하였음을 알리는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열차접근 경보수단;으로 구성되며, 그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에게 열차의 접근 유무에 대한 경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의 선로변에서 선로나 신호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열차의 진입 유무에 대한 경고정보를 유지보수가 행해지고 있는 선로변 작업영역에서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어 열차와 충돌하는 사상사고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로변, 열차, 검지, 경보

Description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 warning system of a railroa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도의 선로변에서 선로나 신호설비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하는 경우 유지보수자의 감각 차단 현상으로 인해 열차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상(死傷) 사고를 저감하기 위한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선로변에서 선로나 신호설비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할 경우에는 유지보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선로변 작업영역의 전후방 일정 거리에 열차와의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유지보수자와는 별도로 안전경보자를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안전경보자는 선로변의 작업영역에 열차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시하여 열차의 접근이 인식되면 유지보수자에게 열차의 접근을 알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전경보자는 주간(晝間)에는 깃발을 이용한 수신호를 이용해 유지보수자에게 열차의 접근정보를 전달하고, 야간(夜間)에는 경광등을 이용한 수신호를 이용해 유지보수자에게 열차의 접근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선로변의 작업영역 전후방 일정거리에 있는 안전경보자를 통한 열차접근의 경보를 하더라도 장시간 지속적으로 단조로운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유지보수자는 감각 차단 현상이 발생하여 깃발 또는 경광등에 의한 안전경보자의 경보신호를 인지하지 못하여 열차가 유지보수 작업영역 인근까지 접근하여도 열차의 접근을 인식하지 못하여 열차와의 충돌로 인한 사상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지보수자는 유지보수작업을 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안전경보자의 수신호 등을 인식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도 저하됨은 물론 유지보수자 이외에도 별도의 안전요원인 다수(多數)의 안전경보자를 더 배치해야 하므로 인건비의 상승이 유발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안전경보자 역시 열차의 접근 유무를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함에도 집중력 저하 등의 감각 차단 현상에 의해 정확한 열차의 접근 유무를 전달하지 못하여 신뢰성을 가지는 열차 접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도의 선로변에서 선로나 신호설비를 유지보수하는 유지보수자들이 단조로운 유지보수 작업을 장시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감각 차단 현상이 발생하여도 열차의 진입을 인지시켜 대처하도록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의 선로변에서 선로나 신호설비의 유지보수자들의 안전확보를 위한 안전경보자가 필요없거나 그 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위한 인건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변 작업영역내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차접근 검지수단과;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으로부터 열차의 진입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에 배치된 유지보수자에게 열차가 접근하였음을 알리는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열차접근 경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은;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 일정 거리에 설치되되 열차가 접근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부와, 상기 소음측정부에서 측정된 소음이 열차주행에 의한 소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열차진입판정부와, 상기 열차진입판정부에서 열차주행으로 인한 소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열차접근 경보수단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는 경고정보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경고정보전송부는 유선송신모듈 또는 무선송신모듈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열차접근 경보수단은;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에서 전송되는 경보정보를 수신하는 경고정보수신부와, 상기 경고정보수신부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의 유지보수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경고정보출력부와, 상기 경고정보수신부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경고정보출력부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고정보수신부는 유선수신모듈 또는 무선송신모듈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정보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경고표시를 위한 점멸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나 신호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변 작업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소음이 설정된 소음데이터의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소음이 열차주행으로 인한 소음으로 판단되면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정보에 따라 선로변 작업영역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램프를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의 선로변에서 선로나 신호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열차의 진입 유무에 대한 경고정보를 유지보수가 행해지고 있는 선로변 작업영역에서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어 열차와 충돌하는 사상사고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열차 진입 여부를 확인 및 감시하고 이를 유지보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안전경보자가 필요없거나 그 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의 상세 회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은 철도의 선로변(1)에서 선로나 신호설비의 유지보수작업을 할 경우에는 유지보수자는 감각차단현상으로 인해 열차(2)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상사고를 저감시키기 위한 안전설비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은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나 신호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변 작업영역(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선로변 작업영역(10)내로 열차(2)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차접근 검지수단(100)과,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10)에 구비되되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100)으로부터 열차의 진입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10)에 배치되어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는 유지보수자에게 열차접근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접근 경보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100)은 상기 유지보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10)의 전후방 일정 거리에 설치되어 열차의 접근여부를 감시하게 되는 것으로, 열차가 접근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부(110)와, 상기 소음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소음을 설정된 소음데이터와 비교하여 열차주행에 의한 소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열차진입판정부(120)와, 상기 열차진입판정부(120)에서 열차주행으로 인한 소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열차접근 경보수단(200)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는 경고정보전송부(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음측정부(110)는 공기중의 소음을 소음측정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차진입판정부(120)는 상기 소음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소음을 설정된 소음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소음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소음이 설정된 소음데이터에 비해 큰 경우 열차(2)의 주행에 의한 소음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차진입판정부(120)는 열차진입유무를 판정할 수 있는 설정된 소음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내장메모리를 가지는 마이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디음으로, 상기 경고정보전송부(130)는 상기 열차진입판정부(120)에서 열차(2)의 주행에 의한 소음으로 판단하는 경우 열차(2)가 접근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정보를 원격지의 선로변 작업영역(10)에 설치되는 열차접근 경보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고정보전송부(130)는 유선송신모듈 또는 무선송신모듈 중에 어 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두 공지(公知)의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열차접근 경보수단(200)은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1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100)의 경고정보전송부(130)를 통해 전송되는 경보정보를 수신하는 경고정보수신부(210)와, 상기 경고정보수신부(210)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10)의 유지보수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경고정보출력부(220)와, 상기 경고정보수신부(210)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경고정보출력부(220)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2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고정보수신부(210)는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100)의 경고정보전송부(130)가 유선송신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유선수신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100)의 경고정보전송부(130)가 무선송신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무선수신모듈로 구성된다.
한편, 경고정보출력부(220)는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22)와, 경고표시를 위한 점멸 램프(22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경고정보수신부(210)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경고정보출력부(220)의 스피커(222)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점멸 램프(224)를 점멸시켜 줌으로써 유지보수자가 이를 확인 및 열차가 접근중임을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고정보출력부(220)는 스피커(222) 또는 점멸 램프(224) 중에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됨도 가능하지만 스피커(222)와 점멸 램프(224)를 함께 구동시켜 유지보수자가 작업중에도 용이하게 경고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나 신호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변 작업영역(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열차접근 검지수단(100)의 소음측정부(110)를 통해 소음이 측정된다.(S100)
상기 단계(S100)를 거쳐 측정된 소음은 열차진입판정부(120)로 입력되어 설정된 소음데이터와 비교한다.(S110) 이 경우 상기 열차진입판정부(120)는 상기 소음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소음이 내장메모리의 설정된 소음데이터 크기(데시벨) 이하인 경우 열차(2)가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단계(S10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S110)를 거치면서 상기 열차진입판정부(120)는 상기 소음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소음이 설정된 소음데이터의 크기(데시벨)를 초과하는 경우 열차주행으로 인한 소음으로 판단하여 경고정보전송부(130)를 제어하여 경고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120)
다음으로, 상기 단계(S120)를 거치면서 전송된 경고정보는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나 신호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변 작업영역(10)에 구비되는 열차접 근 경보수단(200)으로 수신된다.(S130)
이때, 상기 열차접근 경보수단(200)의 경고정보수신부(210)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신호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경고정보출력부(220)를 통해 경고정보를 출력하여 선로변 작업영역(10)의 유지보수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와 같은 경고정보를 인식한 유지보수자는 선로변 작업영역(10)에서 벗어나거나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된다.(S140)
따라서, 유지보수자가 장시간 선로변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해 감각 차단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선로변 작업영역(10)에서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열차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열차(2)에 의한 충돌로 인한 사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의 상세 회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로변 2: 열차
10: 선로변 작업영역 100: 열차접근 검지수단
110: 소음측정부 120: 열차진입판정부
130: 경고정보전송부 200: 열차접근 경보수단
210: 경고정보수신부 220: 경고정보출력부
230: 신호제어부

Claims (7)

  1.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변 작업영역내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열차접근 검지수단과;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으로부터 열차의 진입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에 배치된 유지보수자에게 열차가 접근하였음을 알리는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열차접근 경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은;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 일정 거리에 설치되되 열차가 접근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부와, 상기 소음측정부에서 측정된 소음이 열차주행에 의한 소음인지 여부를 비교하는 열차진입판정부와, 상기 열차진입판정부에서 열차주행으로 인한 소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열차접근 경보수단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는 경고정보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정보전송부는 유선송신모듈 또는 무선송신모듈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접근 경보수단은;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열차접근 검지수단에서 전송되는 경보정보를 수신하는 경고정보수신부와, 상기 경고정보수신부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로변 작업영역의 유지보수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경고정보출력부와, 상기 경고정보수신부를 통해 경고정보가 수신되면 경고정보출력부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정보수신부는 유선수신모듈 또는 무선송신모듈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정보출력부는;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경고표시를 위한 점멸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7.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선로나 신호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변 작업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소음이 설정된 소음데이터의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소음이 열차주행으로 인한 소음으로 판단되면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경고정보에 따라 선로변 작업영역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램프를 점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방법.
KR1020080049488A 2008-05-28 2008-05-28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97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88A KR100975286B1 (ko) 2008-05-28 2008-05-28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88A KR100975286B1 (ko) 2008-05-28 2008-05-28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22A true KR20090123422A (ko) 2009-12-02
KR100975286B1 KR100975286B1 (ko) 2010-08-12

Family

ID=4168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488A KR100975286B1 (ko) 2008-05-28 2008-05-28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4920A (zh) * 2022-03-12 2022-05-10 兰州交通大学 一种铁路电子限速指示牌及应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633B1 (ko) 2018-09-19 2020-06-18 (주)에이알텍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5726B1 (ko) 2019-02-27 2021-06-16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작업자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용 철도 차량 접근 원격 알람 시스템
KR102524853B1 (ko) 2021-06-07 2023-04-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유지보수 안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058A (ja) 1997-05-13 1998-11-24 Dia Corp:Kk 保線工事用警報装置
US6020815A (en) 1997-06-20 2000-02-01 At&T Corp Utility right-of-way safety monitor
KR20040085866A (ko) * 2003-04-02 2004-10-08 정한용 철로에서의 작업자 안전시스템
JP4231353B2 (ja) 2003-07-08 2009-02-25 博昭 奥田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4920A (zh) * 2022-03-12 2022-05-10 兰州交通大学 一种铁路电子限速指示牌及应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286B1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9981B (zh) 轨道交通站台屏蔽门/安全门安全防护系统
CN109398424B (zh) 一种非通信车侵入的检测系统
JP5096959B2 (ja) 列車自動通報システム
JPH1081238A (ja) 無線踏切警報システム
KR20140054150A (ko) 안전운전 정보제공 가로등 및 그 가로등을 이용한 안전운전 정보제공 시스템
RU2583011C1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ях о приближен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KR100975286B1 (ko)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6864463B (zh) 一种地铁站台门与车门之间顶置式异物检测系统
KR100738593B1 (ko) 철도, 지하철차량용 화재감지시스템.
RU2498918C2 (ru) Колей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сенс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190015868A (ko) 철도 승강장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064746B1 (ko) 한국형 고속철도의 화재감시 경보 제어방법
KR20160064663A (ko) 열차 화재 대피유도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대피유도장치
KR20150083547A (ko) 철도차량 검수차고 관리시스템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RU2606755C1 (ru) Способ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о приближен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при выполнении работ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пути
RU2681412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локомотива
KR100753117B1 (ko) 승강장의 추락방지 시스템
KR20170022127A (ko) 천장크레인 충돌방지시스템
KR101037335B1 (ko) 승강장의 낙하물 검지 시스템
JP2664339B2 (ja) 列車接近警報装置
CN105946903A (zh) 一种轨道列车声光告警控制装置
KR200339866Y1 (ko) 열차의 화재감지시스템
KR101429258B1 (ko) 철도 궤도를 이용한 휴대용 열차 접근 경보장치와 열차 접근 경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