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301A -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301A
KR20090123301A KR1020080049297A KR20080049297A KR20090123301A KR 20090123301 A KR20090123301 A KR 20090123301A KR 1020080049297 A KR1020080049297 A KR 1020080049297A KR 20080049297 A KR20080049297 A KR 20080049297A KR 20090123301 A KR20090123301 A KR 20090123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electric
trolley
balance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523B1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이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환 filed Critical 이정환
Priority to KR102008004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5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B61J1/04Turntables; Integral stops of normal railroa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7/00Railway stops fixed to permanent way; 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fixed to permanent way; Sand tracks or the like
    • B61K7/16Positive railway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정비창 등에 설치되어 대차 및 윤축과 같이 중량이 큰 물체를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회전 및 방향전환시키거나 대차 및 윤축을 한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 또는 윤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대차 이송레일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대차 이송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차량, 대차, 윤축, 턴테이블, 기울기, 구동수단

Description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Electric turn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정비창 등에 설치되어 대차 및 윤축과 같이 중량이 큰 물체를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회전 및 방향전환시키거나 대차 및 윤축을 한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정비창 등의 정비시설 내에서 대차 또는 윤축 등을 이동하기 위하여 턴테이블 장치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이 작은 물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턴테이블 중심 측에 구동장치를 장착하여 구동하는 것으로 충분하였으나, 철도차량의 경우에는 대차 또는 윤축과 같이 중량이 큰 물체를 회전이동시켜야 하므로, 초기 구동시에 과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며, 또한 운전 상태의 턴테이블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관성모멘트에 의해 정위치에서 정확히 정지하도록 턴테이블을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030호에는 전동식 턴테이블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구성은 회동 가능하도록 지면에 축설되는 원형의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외주측 저면을 지지하며 자유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로 구성되되, 특히, 상기 구동수단은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턴테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탄성 재질의 원통형상의 구동롤러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베이스를 턴테이블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턴테이블의 구동수단으로 탄성 재질의 구동롤러를 사용하여 턴테이블의 초기 구동시에 과부하의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은 있으나, 방향 전환 후 턴테이블 상에서 대차를 이동시키기가 어렵고, 턴테이블의 회전 시작과 회전 정지 시 대차의 흔들림이 심해 대차에 포함되어 있는 기계에 무리가 가게 되어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므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해 많은 힘이 필요하고, 장기간 사용시 구동롤러가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 또는 윤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하부에 대차이송수단을 설치하여 회전이 끝난 대차 또는 윤축이 자동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턴테이블의 회전 시작과 정지시 대차 또는 윤축의 흔들림이 없고 기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턴테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 체인기어와 가이드 롤러를 동시에 사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턴테이블을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 또는 윤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대차 이송레일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대차 이송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대차 이송수단은 턴테이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대차 이송레 일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기어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구동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체인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하단 외주연에는 상기 체인기어와 맞물리는 체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에는 대차 이송레일 상에 진입한 대차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장치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록킹장치는 대차의 진입 및 반출 측에 해당하는 턴테이블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에 의한 대차의 록킹상태를 감지하는 록킹감지용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 하부에는 턴테이블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베어링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의 상부에는 턴테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며 회전하는 슬립링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에는 턴테이블의 회전 구동을 보조함과 동시에 가이드하는 보조 구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구동수단은 턴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의 외측에는 대차의 진입 및 반출을 감지하는 대차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는 3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대차 또는 윤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하부에 대차이송수단을 설치하여 회전이 끝난 대차 또는 윤축이 자동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또는 힘의 낭비를 막고 보다 용이하게 턴테이블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턴테이블의 회전 시작과 정지시 대차 또는 윤축의 흔들림 및 그에 의한 기계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회전 및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적은 힘으로 턴테이블을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과 동시에 턴테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구동수단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대차 이송 레일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 제어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정비창 등에 설치되어 대차(10) 및 윤축과 같이 중량이 큰 물체를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회전 및 방향전환시키거나 대차(10) 및 윤축을 한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턴테이블(200)과 구동수단(300) 및 대차 이송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턴테이블(200)은 철도차량의 대차(10) 또는 윤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턴테이블(200)의 상부에는 대차(10) 또는 윤축이 턴테이블(200)의 상부로 진입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진입레일과 연결되는 대차 이송레일(2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200)의 일측 외주연에는 턴테이블(200)을 회전 구동시 키기 위한 구동수단(300)이 설치되는데, 이 구동수단(30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대차 이송레일(210)의 하부에는 대차 이송수단(4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대차 이송수단(400)은 대차 이송레일(21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회전이 끝난 턴테이블(200) 상부에 위치한 대차(10) 또는 윤축이 자동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대차 이송수단(400)은 턴테이블(20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대차 이송레일(210)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유압실린더(410)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410)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1유압실린더(4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유니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방향 전환이 끝난 턴테이블(200)의 상부에 설치된 대차 이송레일(210)의 일측을 들어올림으로써 대차(10) 또는 윤축이 별도의 견인장치 없이 자동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대차 이송레일(210)의 양단부 하측에는 각각 제1브라켓(212)과 제2브라켓(21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1브라켓(212)은 턴테이블(200)에 설치된 브라켓(202)과 힌지결합되어 대차 이송레일(210)의 타측부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브라켓(214)에는 제1유압실린더(410)가 결합되어 유압유니트(420)의 제어에 따라 대차 이송레일(210)의 일측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200)은 체인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턴테이블(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00)은 턴테이블(200)의 하 단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턴테이블(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부(310)와, 상기 기어부(31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20)와, 상기 기어(310)의 하단에 결합되어 기어부(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330)과, 상기 고정브라켓(33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수단(300)을 지지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310)는 다시 구동모터(320)에 연결 설치되는 웜기어(312)와, 상기 웜기어(3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인기어(314)로 구성되고, 상기 턴테이블(200)의 하단 외주연에는 체인(22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300)의 체인기어(314)와 맞물려 턴테이블(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마운팅 브라켓(340) 및 고정브라켓(33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웜기어(312)는 구동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웜기어(312)의 회전에 의해 웜기어(312)의 상부에 설치되어 턴테이블(200)의 하단 외주연에 설치된 체인(220)과 맞물린 체인기어(314)가 회전하면서 턴테이블(200)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200)을 체인장치를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써 턴테이블(200)의 초기 구동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회전 구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300)의 상부에는 제1커버(350)가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동수단(3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구동모터(320)와 같은 구성의 점검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커버(350)의 내측에는 자동배수펌프(900)가 부가 설치되어 빗물 등이 턴테이블(200)의 아래쪽 공간에 고여 구동수 단(300) 및 유압유니트(420) 등의 구성에 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200)에는 대차 이송레일(210) 상에 진입한 대차(10) 또는 윤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장치(50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장치(500)는 대차(10) 또는 윤축의 진입 및 반출 측에 해당하는 턴테이블(2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510,520)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510,520)에 의한 대차(10) 또는 윤축의 록킹상태를 감지하는 록킹감지용 센서(5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턴테이블(200)의 상부에 설치된 대차 이송레일(210)의 상부로 대차(10) 또는 윤축이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진입측 즉, 턴테이블(200)의 후단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510)가 대차(10) 또는 윤축의 후부 바퀴(14)의 축 후방으로 상승하고, 반출측 즉, 턴테이블(200)의 전단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520)가 대차(10) 또는 윤축의 전부 바퀴(12)의 축 전방으로 상승하여 대차(10) 또는 윤축이 록킹상태가 되고, 록킹감지용 센서(530)에서 이러한 대차(10) 또는 윤축의 록킹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턴테이블(200)이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유압실린더(510,5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턴테이블(200)에는 제2커버(270,280)가 각각 설치되어 제2유압실린더(510,520)의 점검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200)의 중앙 하부에는 턴테이블(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베어링 어셈블리(230)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어셈블 리(230)의 상부에는 슬립링(240)이 연결 설치되어 턴테이블(200)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회전함과 동시에 턴테이블(20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200)의 하부에는 보다 적은 힘으로 턴테이블(200)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구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보조 구동장치(600)가 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 구동장치(600)는 턴테이블(20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610)와, 상기 가이드 롤러(610)의 하부에 원형으로 설치되어 가이드 롤러(61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620)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 받침대(630)가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620)을 지지함과 동시에 대차(10) 또는 윤축이 상부에 안치된 상태의 턴테이블(2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20)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200)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턴테이블(20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 가이드 롤러(610)가 가이드 레일(620)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턴테이블(200)을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구동시 턴테이블(200)의 진동을 적게 하여 보다 안정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턴테이블(200)의 상부에 위치한 대차(10) 또는 윤축에 포함된 부품들의 파손이나 피로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200)의 외측, 즉 대차(10) 또는 윤축의 진입측과 반출측에는 대차 감지센서(700)가 설치되어, 턴테이블(200) 상으로의 대차(10) 또는 윤축의 진입 및 반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100)는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80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800)는 턴테이블(2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턴테이블(200)의 회전 속도는 3단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을 90도 회전시킬 경우, 회전시작 후의 0~10도 구간 및 80~90도 구간에서는 턴테이블(200)의 회전 속도를 1단으로 제어하여 회전시작과 회전정지 시 대차(10) 또는 윤축의 흔들림 및 기계의 무리 등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회전 및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시작 후의 10~20도 구간 및 70~80도 구간에서는 턴테이블(200)의 회전 속도를 2단으로 제어하여 회전속도를 서서히 증가/감소 시키며, 회전시작 후의 20~70도 구간에서는 턴테이블(200)의 회전 속도를 3단으로 제어하여 상부에 대차(10) 또는 윤축이 탑재된 상태의 턴테이블(200)이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대차(10)가 턴테이블(200)에 설치된 대차 이송레일(210)로 진입하는 경우, 대차 감지센서(700)에서는 대차(10)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대차(10) 전부 바퀴(12)와 후부 바퀴(14)를 두 번 감지하면 대차(10)가 턴테이블(200) 상에 탑재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차(10)가 턴테이블(200) 상에 탑재된 것으로 판단되면, 턴테이블(200)의 후단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510)가 대차(10) 후부 바퀴(14)의 축 뒤쪽 으로 상승하여 록킹이 체결된다. 이때, 턴테이블(200)의 전단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520)는 미리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 있어 턴테이블(200)로 진입하는 대차(10)의 전부 바퀴(12)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록킹이 완료되면, 록킹감지용 센서(530)가 이를 감지하여 턴테이블(200)이 회전하기 시작하는데, 록킹이 제대로 체결되지 않아 록킹감지용 센서(530)가 록킹상태를 감지하지 못하면, 대차(10)가 탑재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턴테이블(200)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이 완료되면 구동모터(320)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상기 구동모터(320)의 작동에 의해 턴테이블(200)의 하단 외주연에 설치된 체인(220)이 구동모터(320)에 연결 설치된 체인기어(314)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턴테이블(200)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200)의 측면에는 회전방향 감지 근접센서(260)가 설치되어 대차(10)가 탑재된 턴테이블(200)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800)는 상기 턴테이블(200)의 회전 속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3단으로 제어하여 탑재된 대차(10)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턴테이블(200)이 회전을 시작하면 턴테이블(20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610) 또한 가이드 레일(620)을 따라서 회전하게 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턴테이블(200)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정해진 방향 궤도와 턴테이블(200)의 궤도가 일치하면, 즉 원하는 만큼의 턴테이블(200) 회전이 이루어지면 턴테이블(200)의 회전은 정지하게 되고, 턴테이블(200)의 전단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520)가 하강하여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록킹감지용 센서(530)에서 후단부 록킹상태의 해제를 감지하게 되면 대차 이송레일(210)의 제2브라켓(214)에 결합된 제1유압실린더(410)가 유압유니트(420)의 제어에 따라 대차 이송레일(210)의 일측부를 상승시키게 되고, 대차(10)는 대차 이송레일(210)을 따라 턴테이블(200)의 외부로 반출되게 된다.
대차(10)가 턴테이블(200)의 외부로 이동할 때 대차 감지센서(700)에서 대차 전부 바퀴(12)와 후부 바퀴(14)를 두 번 인식하게 되면 대차(10)가 턴테이블(200)의 외부로 완전히 반출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그 후, 턴테이블(200)의 전단에 위치한 제2유압실린더(520)가 상승하여 록킹 위치로 이동하고, 턴테이블(200)의 후단에 위치한 제2유압실린더(510)는 하강하여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유압유니트(420)의 제어에 따라 제1유압실린더(410)가 하강하여 대차 이송레일(21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대차 이송레일(210)이 완전히 하강하면 턴테이블(200)은 원위치로 회전하여 대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100)에 의하면, 대차(10) 또는 윤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200)의 하부에 대차이송수단(400)을 설치하여 회전이 끝난 대차(10) 또는 윤축이 자동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또는 힘의 낭비를 막고 보다 용이하게 턴테이블(2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정비창 등에 설치되어 대차 및 윤축과 같이 중량이 큰 물체를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회전 및 방향전환시키거나 대차 및 윤축을 한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구동수단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대차 이송 레일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 제어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대차 12 : 전부 바퀴
14 : 후부 바퀴 100 : 턴테이블 장치
200 : 턴테이블 202 : 브라켓
210 : 대차 이송레일 212 : 제1브라켓
214 : 제2브라켓 220 : 체인
230 : 베어링 어셈블리 240 : 슬립링
260 : 회전방향 감지센서 270, 280 : 제2커버
300 : 구동수단 310 : 기어부
312 : 웜기어 314 : 체인기어
320 : 구동모터 330 : 고정브라켓
340 : 마운팅브라켓 350 : 제1커버
400 : 대차 이송수단 410 : 제1유압실린더
420 : 유압유니트 500 : 록킹장치
510, 520 : 제2유압실린더 530 : 록킹감지용 센서
600 : 보조구동장치 610 : 가이드 롤러
620 : 가이드 레일 630 : 가이드레일 받침대
700 : 대차감지센서 800 :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900 : 자동배수펌프

Claims (13)

  1. 철도차량의 대차 또는 윤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대차 이송레일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대차 이송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이송수단은 턴테이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대차 이송레일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기어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구동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체인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하단 외주연에는 상기 체인기어와 맞물리는 체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는 대차 이송레일 상에 진입한 대차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장치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대차의 진입 및 반출 측에 해당하는 턴테이블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에 의한 대차의 록킹상태 를 감지하는 록킹감지용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중앙 하부에는 턴테이블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베어링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의 상부에는 턴테이블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며 회전하는 슬립링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에는 턴테이블의 회전 구동을 보조함과 동시에 가이드하는 보조 구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수단은 턴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외측에는 대차의 진입 및 반출을 감지하는 대차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는 3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KR1020080049297A 2008-05-27 2008-05-27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KR10093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97A KR100936523B1 (ko) 2008-05-27 2008-05-27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97A KR100936523B1 (ko) 2008-05-27 2008-05-27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01A true KR20090123301A (ko) 2009-12-02
KR100936523B1 KR100936523B1 (ko) 2010-01-13

Family

ID=4168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297A KR100936523B1 (ko) 2008-05-27 2008-05-27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5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9460A (zh) * 2011-11-24 2012-05-02 陈雪兴 转盘转向传感器及应用该传感器的转盘控制系统
CN109748044A (zh) * 2017-11-07 2019-05-14 中铁华铁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手动电动两用的机车转向架转盘
CN112477915A (zh) * 2020-11-27 2021-03-12 中车长江铜陵车辆有限公司 一种内置式轮对转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859B1 (ko) * 2011-08-08 2013-09-10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카의 턴테이블 유동방지장치
KR102111540B1 (ko) 2019-10-15 2020-05-21 이엠티씨 주식회사 모노레일용 천차대 시스템
KR102216942B1 (ko) 2020-03-11 2021-02-18 서광모 모노레일용 천차대 시스템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468A (ja) * 1995-11-27 1997-06-06 Sony Corp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2002029417A (ja) 2000-07-14 2002-01-29 Yabe Jidosha:Kk 車輌の旋回装置
KR200292030Y1 (ko) 2002-07-02 2002-10-14 기현기계주식회사 전동식 턴테이블장치
KR100715022B1 (ko) 2006-05-29 2007-05-09 이용봉 궤도차량 정비용 턴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9460A (zh) * 2011-11-24 2012-05-02 陈雪兴 转盘转向传感器及应用该传感器的转盘控制系统
CN109748044A (zh) * 2017-11-07 2019-05-14 中铁华铁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手动电动两用的机车转向架转盘
CN112477915A (zh) * 2020-11-27 2021-03-12 中车长江铜陵车辆有限公司 一种内置式轮对转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523B1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523B1 (ko) 전동식 턴테이블 장치
KR100924305B1 (ko) 연마부의 승강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하도록 감속기를 구비한승강부를 갖는 자동석재 및 콘크리트 연마장치.
CN109436657B (zh) 能够自动转向和升降的工件输送车
WO2014129066A1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その運用方法
CN209291264U (zh) 一种能够自动转向和升降的工件输送车
WO2003061436A1 (en) Automobile display system
US20020023801A1 (en) Vehicle lifting platform
CN112194008B (zh) 一种用于齿轮箱的智能翻转装置及其方法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CN102597692A (zh) 用于支承车轮的设备
KR100792943B1 (ko) 차량 조립 공정에서의 휠 및 타이어 공급 시스템
CN214166464U (zh) 一种钢卷翻转用翻卷机
CN209758189U (zh) 翻板式分拣机器人
CN209974008U (zh) 一种行走式收排放线机
JP4175638B2 (ja) 鉄道車輌の車体分離・移動装置
CN109399087B (zh) 一种用于层压机的剪叉升降式传送设备
KR101804174B1 (ko) 대차 도장용 턴테이블 장치
CN216807379U (zh) 一种自动装车装置
CN221067429U (zh) 一种移动小车
KR200292030Y1 (ko) 전동식 턴테이블장치
KR0185486B1 (ko) 철도차량 대차분리승강 이송장치
CN219669907U (zh) 一种斜井提升机掉道保护装置
KR101885034B1 (ko) 열차의 전두부 작업장치
CN220811114U (zh) 一种设有防护组件的倾翻器
CN215237659U (zh) 应用于3d打印机的工作箱运转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