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119A -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119A
KR20090122119A KR1020090038909A KR20090038909A KR20090122119A KR 20090122119 A KR20090122119 A KR 20090122119A KR 1020090038909 A KR1020090038909 A KR 1020090038909A KR 20090038909 A KR20090038909 A KR 20090038909A KR 20090122119 A KR20090122119 A KR 2009012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circuit
closed circuit
capacitor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954B1 (ko
Inventor
히데키 오쿠
Original Assignee
후타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타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후타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애노드 및 그리드에 인가하는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 발생용 제너 다이오드의 무효 전력(reactive power)의 발생 방지 회로를 간단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전원(Vcc1), 1차 인덕턴스(L1), 스위칭 소자(Q1)로 이루어지는 폐회로, 결합 콘덴서(C1), 및 2차 인덕턴스(L2), 다이오드(D1), 제2 콘덴서(C2)로 이루어지는 폐회로로 구성되는 SEPIC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콘덴서(C2)에 형광 표시관(22)의 필라멘트(F)가 연결되어 있다. 필라멘트(F)의 부 전위측(F-)에는 제너 다이오드(ZD)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ZD)에는 입력 전원(Vcc2)이 연결되어 있다.
형광 표시관, 제너 다이오드, 무효전력, 애노드, 그리드

Description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Drive Circuit of Fluorescent Display}
본원 발명은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를 설명한다.
형광 표시관(12)은 진공 용기 내에 열 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F), 애노드 전극에 형광체를 피착한 복수개의 애노드(A1~An), 필라멘트(F)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를 제어하는 그리드(G1~Gm)를 구비하고 있다. 애노드(A1~An)에는 제어 회로(11)로부터 애노드 배선(a1~an)을 통하여 입력 전압(HV1)(직류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고, 그리드(G1~Gm)에는 제어 회로(11)로부터 그리드 배선(g1~gm)을 통하여 입력 전압(HV2)(직류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필라멘트(F)에는 스위칭 소자(Tr1)를 통하여 입력 전압(HV3)(직류 전압)이 인가되고, 스위칭 소자(Tr1)에는 펄스 형상의 제어 전압(Vc1)이 인가된다. 입력 전압(HV1), 입력 전압(HV2) 및 입력 전압(HV3)은 일반적으로 동일 전압이 이용되고 있다. 스위칭 소자(Tr1)는 펄스 형상의 제어 전압(Vc1)에 의해 온/오프되기 때문에, 필라멘트(F)에는 입력 전압(HV3)이 스위칭 소자(Tr1)에 의해 잘려진(chopping) 펄스 형상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애노드(A1~An)는 1개 또는 복수개가 1개의 그리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 으며, 대향하는 애노드와 그리드가 동시에 선택되었을 때(입력 전압(HV1), (HV2)이 인가되었을 때), 형광체가 발광한다. 그러나, 선택되지 않은 애노드가 약하게 발광하는, 이른바 누설 발광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누설 발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애노드 및 그리드에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데, 이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의 발생에는 제너 다이오드(ZD)가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도 4에서, 스위칭 소자(Tr1)가 온(ON)으로 되면, 필라멘트(F)에 필라멘트 전류가 흐르는데, 필라멘트 전류는 제너 다이오드(ZD)에도 흐르기 때문에, 제너 다이오드(ZD)에 무효 전력(reactive power)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너 다이오드(ZD)에 스위칭 소자(Tr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Tr2)를 펄스 형상의 제어 전압(Vc2)에 의해 온/오프 제어하는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도 4에서, 스위칭 소자(Tr2)는 필라멘트 전류가 필라멘트(F)에 흐르는 기간 중에(스위칭 소자(Tr1)가 온(ON)인 동안에) 제어 전압(Vc2)에 의해 온(ON)으로 되어, 제너 다이오드(ZD)를 단락한다. 따라서, 이 기간 중에 필라멘트 전류는 제너 다이오드(ZD)에 흐르지 않기 때문에 무효 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2-19089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7-72323호 공보
도 4의 구동 회로는 제너 다이오드(ZD)에 스위칭 소자(Tr2)가 병렬로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스위칭 소자(Tr2)는 스위칭 소자(Tr1)의 온/오프와 관련시켜서 온/오프 제어를 행해야만 하므로, 그 제어가 복잡해진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 발생용 제너 다이오드에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지 않고, 필라멘트 전류가 제너 다이오드에 흐르지 않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필라멘트, 그리드 및 애노드를 구비한 형광 표시관의 그리드 및 애노드에 인가하는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 발생용 제너 다이오드가 입력 전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필라멘트의 부 전위측에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입력 전원의 접속점이 연결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입력 전원, 1차 인덕턴스,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폐회로, 결합 콘덴서, 및 2차 인덕턴스, 다이오드,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폐회로를 구비한 SEPIC 회로의 출력 전압을 필라멘트에만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폐회로는 입력 전원, 1차 인덕턴스,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폐회로는 2차 인덕턴스, 다이오드, 콘덴서가 직렬로 연결되고, 1차 인덕턴스와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 및 2차 인덕턴스와 다이오드의 접속점에 상기 결합 콘덴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폐회로의 콘덴서와 필라멘트는 부하측 폐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폐회로의 콘덴서에 반대 극성의 2개의 스위칭 소자가 직렬 연결된 회로가 병렬로 연결되고, 양쪽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필라멘트의 정 전위측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폐회로의 콘덴서에 반대 극성의 2개의 스위칭 소자가 직렬 연결된 회로가 2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양쪽 회로의 양쪽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필라멘트의 양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2차 인덕턴스, 다이오드, 콘덴서에 의해 SEPIC 회로의 출력측 폐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콘덴서와 필라멘트에 의해 부하측 폐회로를 형성하므로,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 발생용 제너 다이오드는 양쪽 폐회로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측 폐회로의 출력 전압은 필라멘트(F)에만 인가되고, 제너 다이오드에는 인가되지 않는다. 필라멘트 전류는 필라멘트(F)에만 흐르고, 제너 다이오드에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너 다이오드에는 필라멘트 전류 에 의한 무효 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종래의 구동 회로와 같이 제너 다이오드에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단락용 스위칭 소자가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무효 전력 발생 방지 회로가 간단해지고, 아울러 상기 단락용 스위칭 소자의 제어 수단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원 발명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SEPIC 회로의 입력측 폐회로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필라멘트(F)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공통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실시예)
먼저, 도 1a 내지 도 1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를 나타내고, 도 1b는 구동 회로의 점 A의 전위를 나타내고, 도 1c는 구동 회로의 점 B의 전위를 나타내고, 도 1d는 구동 회로의 인덕턴스(L1, L2)의 전류를 나타내고, 도 1e는 스위칭 소자(Q1)의 온/오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a에서, 참조번호 21은 제어 회로, 22는 형광 표시관, Vcc1, Vcc2는 직류의 입력 전원이다. 형광 표시관(22)은 도 4의 형광 표시관과 동일하고, n개의 애노드(A1~An), m개의 그리드(G1~Gm), 열 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F)를 구비하고 있다. 애노드(A1~An), 그리드(G1~Gm)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애노드 배선, 그리드 배 선에 연결되고, 각각의 배선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필라멘트(F)는 후술하는 SEPIC 회로의 출력 전압(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Q1)는 제어 전원(SP)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 형상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를 반복한다. ZD는 애노드(A1~An), 그리드(G1~Gm)에 인가하는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 발생용 제너 다이오드로, 입력 전원(Vcc2)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캐소드는 필라멘트(F)의 부 전위측(F-)에 연결되고, 해당 애노드는 접지되어 있다.
도 1a의 구동 회로는 입력 전원(Vcc1), 1차 인덕턴스(L1), 스위칭 소자(Q1)로 이루어지는 입력측의 폐회로(입력측 폐회로라 함)와 2차 인덕턴스(L2), 다이오드(D1), 제2 콘덴서(C2)로 이루어지는 출력측의 폐회로(출력측 폐회로라 함)를 구비하고, 양쪽 폐회로는 제1 콘덴서(결합 콘덴서)(C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 콘덴서(C1)는 1차 인덕턴스(L1) 및 스위칭 소자(Q1)의 접속점과, 2차 인덕턴스(L2) 및 다이오드(D1)의 애노드의 접속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콘덴서(C2)와 다이오드(D1)의 캐소드의 접속점은 필라멘트(F)의 정 전위측(F+)에 연결되고, 제2 콘덴서(C2)와 2차 인덕턴스(L2)의 접속점은 필라멘트(F)의 부 전위측(F-)에 연결되어 있다. 즉 필라멘트(F)의 양단은 출력측 폐회로의 제2 콘덴서(C2)에 연결되어 있어, 제2 콘덴서(C2)와 필라멘트(F)는 부하측의 폐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필라멘트(F)의 부 전위측(F-)에는 제너 다이오드(ZD)의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측 폐회로, 제1 콘덴서(C1) 및 출력측 폐회로로 이루어지는 회로는 일반적으로 SEPIC(Single Ended Primary Inductance Converter)라고 불리며, 전원 전압의 승압·강압이 가능한 회로로서 알려져 있다.
스위칭 소자(Q1)는 제어 전원(SP)의 펄스 형상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도 1e와 같이 온/오프를 반복하는데, 스위칭 소자(Q1)가 온(ON)으로 되면, 입력측 폐회로가 형성되고, 점 A의 전위는 접지 전위(GND)와 동일 전위로 되고, 전류(I1)가 1차 인덕턴스(L1)를 흐른다. 1차 인덕턴스(L1)를 흐르는 전류(IL)(=I1)는 도 1d와 같이 증가하고, 1차 인덕턴스(L1)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한편, 2차 인덕턴스(L2)를 흐르는 전류(I2)는 스위칭 소자(Q1)가 온(ON)으로 되면, 전압원(후술함)으로 되는 제2 콘덴서(C2)로 흘러서, 2차 인덕턴스(L2)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2차 인덕턴스(L2)를 흐르는 전류(IL)(=I2)는 도 1d와 같이 증가한다. 또한, 전류(I1)와 전류(I2)는 전류값은 다르지만 상승, 하강 특성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스위칭 소자(Q1)가 오프(OFF)로 되면, 1차 인덕턴스(L1)에 축적된 에너지는 제1 콘덴서(C1)로 흘러들어가고, 점 A의 전위는 도 1b와 같이 상승하고, 제1 콘덴서(C1)는 전압원(이른바 간주 전압원)으로 된다. 한편, 스위칭 소자(Q1)가 오프(OFF)로 되면, 점 B의 전위는 도 1c와 같이 상승하여 다이오드(D1)가 온(ON)으로 되기 때문에, 2차 인덕턴스(L2)에 축적된 에너지는 제2 콘덴서(C2)로 흘러들어가서, 제2 콘덴서(C2)를 충전한다. 따라서, 제2 콘덴서(C2)는 SEPIC 회로의 출력 전원으로 되어, 필라멘트(F)의 구동 전원으로 된다. 필라멘트(F)에는 SEPIC 회로의 출력 전압, 즉 출력측 폐회로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어 필라멘트 전류가 흐른다. 또 한, 도 1b, 도 1c의 V0는 필라멘트(F)의 정 전위측(F+)의 전위이다.
도 1a의 구동 회로는 2차 인덕턴스(L2), 다이오드(D1), 제2 콘덴서(C2)에 의해 출력측 폐회로를 형성하고, 제2 콘덴서(C2)와 필라멘트(F)에 의해 부하측의 폐회로(부하측 폐회로라 함)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너 다이오드(ZD)는 양쪽 폐회로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측 폐회로의 출력 전압은 필라멘트(F)에만 인가되고, 제너 다이오드(ZD)에는 인가되지 않는다. 필라멘트 전류는 필라멘트(F)에만 흐르고, 제너 다이오드(ZD)에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너 다이오드(ZD)에는 필라멘트 전류에 의한 무효 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구동 회로와 같이 제너 다이오드(ZD)에 병렬로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단락용 스위칭 소자에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단락용 스위칭 소자의 제어 수단을 설치할 필요도 없다. 또한, 필라멘트(F)에는 SEPIC 회로로부터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때문에, 스위칭 소자(Q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필라멘트(F)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a및 도 2b를 참조하여, 도 1의 직류 구동 회로를 이용하여 필라멘트(F)를 펄스 구동 및 교번(交番, alternate) 구동하는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형광 표시관의 애노드, 그리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a는 펄스 구동 회로의 예이다.
도 2a의 구동 회로는 출력측 폐회로의 제2 콘덴서(C2)에, 반대 극성의 스위칭 소자(Q21, Q22)의 직렬 회로가 병렬로 연결되고, 양쪽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필라멘트(F)의 정 전위측(F+)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콘덴서(C2)와 필라멘트(F)는 스위칭 소자(Q21, Q22)를 통하여 부하측 폐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Q21, Q22)는 제어 전원(EF1)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 형상의 제어 신호에 의해 번갈아 온/오프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Q21)가 온(ON)으로 되면, 스위칭 소자(Q22)는 오프(OFF)로 되어, 필라멘트(F)에 필라멘트 전류가 흐르고, 스위칭 소자(Q21)가 오프(OFF)로 되면 스위칭 소자(Q22)는 온(ON)으로 되어, 필라멘트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필라멘트(F)에는 펄스 형상의 전류가 흐르고, 이른바 펄스 구동이 가능해진다.
도 2b는 교번 구동 회로의 예이다.
도 2b의 구동 회로는 출력측 폐회로의 제2 콘덴서(C2)에, 반대 극성의 스위칭 소자(Q21, Q22)의 직렬 회로와 반대 극성의 스위칭 소자(Q31, Q32)의 직렬 회로가 병렬로 연결되고, 양쪽 직렬 회로의 각각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필라멘트(F)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콘덴서(C2)와 필라멘트(F)는 스위칭 소자(Q21, Q22, Q31, Q32)를 통하여 부하측 폐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Q21, Q22)는 제어 전원(EF1)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 형상의 제어 신호에 의해 번갈아 온/오프를 반복하고, 스위칭 소자(Q31, Q32)는 제어 전원(EF2)으로부터 공급되는 펄스 형상의 제어 신호에 의해 번갈아 온/오프를 반복한다. 제어 전원(EF1)과 제어 전원(EF2)의 제어 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지만, 위상은 스위칭 소자(Q21, Q31)가 동일 극성이고 스위칭 소자(Q22, Q23)도 동일 극성이기 때문에 180도 다르다.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Q21, Q32)가 온(ON)으로 되고, 스위칭 소자(Q22, Q31)가 오프(OFF)로 되면, 필라멘트 전류는 스위칭 소자(Q21), 필라멘트(F), 스위칭 소자(Q32) 방향으로 흐르고, 스위칭 소자(Q31, Q22)가 온(ON)으로 되고, 스위칭 소자(Q21, Q32)가 오프(OFF)로 되면, 필라멘트 전류는 스위칭 소자(Q31), 필라멘트 (F), 스위칭 소자(Q22) 방향으로 흐르고, 이른바 교번 구동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도 1의 구동 회로를 더욱 구체적으로 구성한 구동 회로의 예이다. 또한, 도 3은 형광 표시관의 애노드, 그리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의 구동 회로는 동작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회로(231, 23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필라멘트(F)의 부 전위측(F-)에는 입력 전원(Vcc1)이, 다이오드(D2), 저항(R11)으로 이루어지는 회로(233)를 통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입력 전원(Vcc1)의 전압보다도 고전압의 입력 전원(VHG)이 연결되어 있다. 어떤 원인으로, 필라멘트(F)의 부 전위측(F-)의 전위가 입력 전원(Vcc1)의 전압보다도 높게 된 경우에는, 제너 다이오드(ZD)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입력 전원(Vcc1)보다도 고전압의 입력 전원(VHG)도 이용하고 있다. 입력 전원(Vcc1), 입력 전원(VHG)은 도 1의 구동 회로의 입력 전원(Vcc2)에 대응한다. 스위칭 소자(Q1)는 도시바 제품 TPCA8022를 이용하였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구동 회로를 펄스 구동 및 교번 구동하는 경우의 회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구동 회로를 더욱 구체적으로 구성한 회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Claims (5)

  1. 필라멘트, 그리드 및 애노드를 구비한 형광 표시관의 상기 그리드 및 애노드에 인가하는 컷오프 바이어스 전압 발생용 제너 다이오드가 입력 전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필라멘트의 부 전위측에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입력 전원의 접속점이 연결된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입력 전원, 1차 인덕턴스,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폐회로, 결합 콘덴서, 및 2차 인덕턴스, 다이오드,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폐회로를 구비한, SEPIC 회로의 출력 전압이 필라멘트에만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폐회로는 상기 입력 전원, 상기 1차 인덕턴스, 상기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폐회로는 상기 2차 인덕턴스, 상기 다이오드, 상기 콘덴서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1차 인덕턴스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 및 상기 2차 인덕턴스와 상기 다이오드의 접속점에 상기 결합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폐회로의 상기 콘덴서와 필라멘트는 부하측 폐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폐회로의 상기 콘덴서에 반대 극성의 2개의 스위칭 소자가 직렬 연결된 회로가 병렬로 연결되고, 양쪽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상기 필라멘트의 정 전위측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폐회로의 상기 콘덴서에 반대 극성의 2개의 스위칭 소자에 직렬 연결된 회로가 2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양쪽 회로의 양쪽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KR1020090038909A 2008-05-23 2009-05-04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KR101218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4893 2008-05-23
JP2008134893A JP5081341B2 (ja) 2008-05-23 2008-05-23 蛍光表示管の駆動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119A true KR20090122119A (ko) 2009-11-26
KR101218954B1 KR101218954B1 (ko) 2013-01-04

Family

ID=4134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909A KR101218954B1 (ko) 2008-05-23 2009-05-04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4597B2 (ko)
JP (1) JP5081341B2 (ko)
KR (1) KR101218954B1 (ko)
CN (1) CN1015876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362A (ko) * 2017-08-23 2019-03-06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형광 표시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621558A (zh) * 2014-12-05 2016-06-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輸入裝置
CN105739608A (zh) * 2014-12-10 2016-07-0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输入装置
JP6593759B2 (ja) * 2016-01-12 2019-10-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
CN107833553A (zh) * 2016-09-16 2018-03-23 双叶电子工业株式会社 集成电路装置及荧光显示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0893A (ja) * 1989-01-20 1990-07-26 Fujitsu General Ltd 蛍光表示管の駆動方法
JPH06111740A (ja) * 1992-05-22 1994-04-22 Nec Corp チップイングラス蛍光表示管
JP3396646B2 (ja) * 1999-06-16 2003-04-14 東光株式会社 蛍光表示管駆動回路
EP1209954A1 (en) * 2000-11-24 2002-05-29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Dimming control of electronic ballasts
JP2002190893A (ja) * 2000-12-22 2002-07-05 Ricoh Co Ltd 複合装置
KR100497393B1 (ko) * 2003-06-20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시스템의 고효율 전원 공급 장치 및그 설계 방법
US7088080B2 (en) * 2003-08-27 2006-08-08 Noritake Co., Ltd. Power supply circuit for vacuum fluorescent display
US6998786B2 (en) * 2004-02-04 2006-02-14 Yih-Fang Chiou Control circuit of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
JP2006271182A (ja) * 2005-02-25 2006-10-05 Rohm Co Ltd 昇降圧レギュレータ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864393B2 (ja) * 2005-09-08 2012-02-01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表示管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US7550934B1 (en) * 2008-04-02 2009-06-23 Micrel, Inc. LED driver with fast open circuit protection, short circuit compensation, and rapid brightness control respon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362A (ko) * 2017-08-23 2019-03-06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형광 표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7677A (zh) 2009-11-25
US20090289558A1 (en) 2009-11-26
KR101218954B1 (ko) 2013-01-04
JP2009282339A (ja) 2009-12-03
US8044597B2 (en) 2011-10-25
JP5081341B2 (ja) 2012-11-28
CN101587677B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8585B2 (ja) 電源装置及び高周波回路システム
CN106877634B (zh) 开关驱动装置以及开关驱动方法
KR101218954B1 (ko)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US8212481B2 (en) Voltage control apparatus, power supply apparatus, electron tube and high-frequency circuit system
KR100630431B1 (ko)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US7355351B2 (en) Circuit arrangement having a converter without a transformer but with an inductor for the pulsed operation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s
JP4783740B2 (ja) 高電圧パルス発生回路
KR101400475B1 (ko) 전류원의 시간지연 기능을 갖는 엘이디 구동회로
US6836077B2 (en) Electronic elimination of striations in linear lamps
EP2099263B1 (en)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JP201302712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2261852B1 (ko) Led 구동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ac 직결형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JP510860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268029B2 (ja) 蛍光表示装置の電源回路
CN112953477B (zh) 一种电流型推挽拓扑全互补驱动电路及方法
CN214959274U (zh) 一种单端转双端的驱动电路
JP5029199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CN112003456A (zh) 一种用于驱动栅极驱动变压器的电路
JP2003100223A (ja) 電子管装置
JP3634664B2 (ja) 電流検出回路
KR20190097779A (ko)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3106310A (ja) 半導体スイッチ
JP2010063225A (ja) 矩形波電圧発生装置
JP2010072525A (ja) 蛍光表示管用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