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514A -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514A
KR20090121514A KR1020080047456A KR20080047456A KR20090121514A KR 20090121514 A KR20090121514 A KR 20090121514A KR 1020080047456 A KR1020080047456 A KR 1020080047456A KR 20080047456 A KR20080047456 A KR 20080047456A KR 20090121514 A KR20090121514 A KR 2009012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sh
container
tray
water
ro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281B1 (ko
Inventor
김수청
신종민
윤덕현
소재현
김철환
정원영
이훈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28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시를 보관할 때 물과 슬러시를 분리할 수 있어, 슬러시를 보관하거나 사용자에게 슬러시를 제공할 때 편리하다.
슬러시 분리장치, 슬러시, 냉장고, 트레이

Description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물을 제거한 후에 슬러시만을 분리해낼 수 있는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슬러시(Slush)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 중에서 물의 과냉각 상태를 이용해서 슬러시를 제조해서 사용자에게 슬러시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과냉각이란 물과 같은 액체가 고체로의 상 전이온도 이하에서도 상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 상태에서, 과냉된 물방울(supercooling water drop)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기존의 냉장고에서도 우연히 물 또는 음료수가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러한 과냉각의 원리를 냉장고에 적용한 것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S59-151834에 개시된 냉동법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086967호에 개시된 냉동방법 및 냉장고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과냉각을 통해서 생산된 슬러시는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슬러시의 일부가 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즉, 슬러시의 보관온도가 적정온도를 벗어나게 되면, 슬러시의 일부가 녹으면서 물이 생성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슬러시만을 공급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슬러시와 물이 함께 공급되어 사용자의 기호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러시로부터 생성된 물이 슬러시를 공급하는 장치에 묻으면서 슬러시를 공급하는 장치의 이송기나 회전칼날 등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얼음에 의해서 슬러시를 공급하는 장치가 마모되거나 작동불안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도, 슬러시에 포함된 물에 의해서 물 근처에 위치하는 슬러시 중 일부가 물에 의해 녹으면서 물의 량이 점점 늘어나게 되어 슬러시의 고체상태가 유지되게 하면서 슬러시를 보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물이 제거된 슬러시를 공급할 수 있는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시로부터 생성되는 물을 제거할 수 있어서, 슬러시의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용기는 복수 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거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접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슬러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최대 회전각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구동수단은,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상으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하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하되,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상으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하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물이 포함되지 않은 슬러시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제거된 슬러시를 제공할 수 있어서 슬러시에 포함된 물에 의해서 슬러시가 녹아 물로 변화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 슬러시를 슬러시의 상태로 오래동안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이 상/하로 구획된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장실(130)과 냉동실(120)이 상/하로 구획된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에서도 적용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냉장고는 좌측에 냉동실(120)이 우측에 냉장실(130)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실(120)에서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냉장실(130)에서는 냉동실(1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식품을 보관한다.
상기 냉장고(100)는 본체에 의해서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기계장치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보호한다.
상기 냉장고(100)는 일반적으로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 수용된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게 된다.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미도시)를 이용해 저온으로 떨어진 냉기는 냉동실(120)에 공급된다. 냉기는 냉동실(120)을 영하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냉장고(100)에는 냉동실(1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냉동실도어(122) 및 냉장실(1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도어(132)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22) 및 상기 냉장실도어(132)는 상기 냉장고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22)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00)에 의해서 생성한 슬러시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슬러시공급장치(124)가 마련된다. 물론, 상기 슬러시공급장치(124)는 상기 냉동실(120)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슬러시를 공급받을 수 있는 노즐만을 상기 냉동실도어(122)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슬러시공급장치(124)는 사용자가 레버를 밀면서 컵 등의 용기를 인입시키면 컵 등에 슬러시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122)의 내부에는 슬러시분리장치(126)가 매립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은 물이 포함된 슬러시에서 슬 러시와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슬러시공급장치(124)를 가동하면 슬러시분리장치(126)로부터 슬러시와 물이 분리될 수 있고, 물이 분리된 슬러시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는 일반적으로 슬러시공급장치(1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으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시가 상기 슬러시공급장치(124)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상술한 슬러시분리장치(126)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전극(2) 사이에 과냉각의 대상이 되는 액체(4)를 둔다. 다음으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교류 전원(6)을 이용하여 액체(4)에 전기장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액체(4)는 그 상 전이온도 이하(예: 1기압하의 물의 경우에 0℃)에서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를 유지한다. 산소와 수소로 구성된 물이 어는 것이 방해되는 이유는 전기장과 같은 외부 에너지가 공급됨으로써, 물의 수소 결합이 방해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생성된 과냉각된 액체에 상 변환기(8)를 통해 외력을 가하면, 예를 들어, 전기적 충격기(igniter)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힘을 가하면, 이 힘에 의해 과 냉각된 액체에 가해지고 있는 에너지 또는 가해진 에너지(이는 조건에 따라 에너지가 일정 시간 동안 가해진 후에 중단되어도 과냉각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에 의해 유지되던 과냉각 상태가 교란되어 동결핵이 형성되고, 과냉각된 액체가 급속히 고체상으로 전환되면서 슬러시가 형성된다. 이때, 과냉각된 액체의 온도는 과냉각된 상태의 온도에서 상 전이온도로 바뀌게 된다.
물론 과냉각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기장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생성된 슬러시를 물과 분리하는 장치를 위주로 이하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분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슬러시 분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슬러시 분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분리장치(126)는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10)를 포함하는 트레이(20), 상기 트레이(20)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 및 상기 트레이(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40,5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에는 도 2에서 설명된 방식에 의해서 생성된 슬러시가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슬러시는 상기 용기(10) 내에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러시가 다른 곳에서 생성된 후에 상기 용기(10)에 담겨져서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용기(10)에는 슬러시가 보관되지만, 슬러시도 물이 얼은 형태이므로 슬러시 중 일부가 녹으면 물로 변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에는 물이 담겨져서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용기(10)는 상면만 개방이 된 형태로, 일반적으로 컵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용기(1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 등이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10)는 상기 트레이(2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0)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용기(1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상기 용기(10)와 상기 트레이(20)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20)는 직사각형의 평판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트레이(20)의 면상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용기(10)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용기(1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트레이(20)에 복수 개의 용기(10)가 일렬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트레이(20)에 복수 개의 용기(10)가 장착되어 함께 회전되면 하나의 용기(10)가 장착되는 것보다 슬러시 등을 분리할 때 보다 많은 양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트레이(20)의 양측은 상기 트레이(20)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고정된 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2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전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20)의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2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수단(30)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트레이(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용기(10)도 상기 구동수단(3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는 슬러시와 물을 나누어서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4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용기(40,50)는 상기 트레이(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용기(40,50)는 상기 트레이(20)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50)를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슬러시가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용용기(10)는 상기 트레이(20)에 복수 개의 용기(1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용기(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슬러시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10) 내에는 물보다는 슬러시의 양이 많을 것이므로 슬러시가 담기는 상기 제1수용용기(40)는 물이 담기는 상기 제2수용용기(50) 보다 깊이가 깊은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2수용용기(50)는 복수 개의 개구부(62)가 형성된 거름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재(60)는 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로부터 물과 슬러시가 배출될 때, 물만을 거르고, 슬러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물과 슬러시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제2수용용기(5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재(60)는 복수 개의 구멍(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멍(62)의 크기는 물은 통과할 수 있되 슬러시는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름부재(60)도 상기 수용용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용기(10)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용기(10)로부터 한꺼번에 물을 걸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제2수용용기(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거름부재(60)로부터 낙하되는 물은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용기(40,50)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수용용기(40,50)는 바닥 및 측면은 폐쇄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수용용기(40)에는 수용된 슬러시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상기 제2수용용기(50)에는 수용된 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드레인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드레인홀을 개방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용용기(40,50)에 보관된 물이나 슬러시를 상기 수용용기(40,5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물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불필요한 구성은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다.
이하 도 5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나아가, 도 5는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의 회전 중에 최대회전각(a1)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으로 최대회전각(a1)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거름부재(60)와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2)가 접한다. 이때, 상기 거름부재(60)의 개구부(62)를 통해서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는 배출되지 못하고, 물만이 배출되어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수용된다.
특히,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부재(60)가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보다 작은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면 상기 트레이(2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없어서 슬러시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거름부재(60)가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보다 큰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면,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가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될 수 있어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담길 수 있다. 즉,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물 뿐만아니라 슬러시도 함께 수용되어, 물과 슬러시를 분리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나아가,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은 90도(degree)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이 90도보다 크다면 상기 트레이(20)가 90도를 넘어서 회전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트레이(20)로부터 슬러시와 물이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된 슬러시는 상기 거름부재(60)에 거치되고, 다시 상기 용기(10)로 유입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이미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된 슬러시는 다시 상기 용기(10)로 다시 수용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이 90도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슬러시 중 일부가 상기 거름부재(60)의 상면에 놓이게 되며, 그 슬러시 중 일부는 다시 거름부재(60)에 얹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거름부재(60)에 슬러시가 얹혀지지 않을 정도로 상기 트레이(20)는 최대회전각(a1)을 가지고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3에서 슬러시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불필요한 구성은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도 6에서 상기 트레이(20)의 회전방향은 도 5에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도 6에서 상기 트레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도 6에서 상기 트레이(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나아가, 도 6은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의 회전 중에 최대회전각(a2)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1수용용기(40)는 상기 제2수용용기(50)와 달리 거름부재(60)를 포함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2)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가 상기 제1수용용기(40)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트레이(20)는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를 배출할 때에 최대회전각(a2)은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를 모두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쏟아내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2)이 90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가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트레이(2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트레이(2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되, 그 최대회전각(a1,a2)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용기에 따라서 물과 슬러시를 분리해서 수용하되, 본 발명은 물보다는 슬러시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상기 용기(10)에 슬러시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용기(10)에 슬러시 중 일부가 물로 상변환될 수 있다. 또한, 원래 상기 용기(10)에 보관되어 있던 물 중 일부가 슬러시로 변환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용기(10) 내에는 물이 일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에 보관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트레이(20)를 상기 제2수용용기(50)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1)만큼 회전되면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2)는 상기 거름부재(60)와 접촉한다. 그러면,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거름부재(60)의 개구부(62)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수용된다.
이때, 만일 상기 용기(10) 내에 슬러시 중 일부가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나, 상기 거름부재(60)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거름부재(60)에 의해서 막혀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거름부재(60)는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10)의 외부로 슬러시가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거름부재(60)에 의해서 밀폐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수용용기(50)에는 슬러시가 아닌 물만이 수용되고, 상기 용기(10)에는 슬러시만이 보관된다.
이어서, 상기 트레이(20)를 상기 제1수용용기(40)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용기(10)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2)만큼 회전된다. 이때, 상기 최대회전각(a2)은 90도보다 큰 각도이므로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2)으로 회전되면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는 상기 제1수용용기(40)로 배출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시분리장치(126)가 냉장고(100)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수용된 슬러시는 별도의 관이나 슬러시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슬러시 공급장치(124)로 이송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슬러시 공급장치(124)에 구비된 레버나 스위치를 이 용해서 조작을 하면 사용자에게 슬러시 공급장치(124)로부터 슬러시를 공급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물을 슬러시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분리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슬러시 분리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서 물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6은 도 3에서 슬러시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전극 4: 액체
6: 교류 전원 8: 상 변환기
10: 용기 20: 트레이
30: 구동수단 40: 제1수용용기
50: 제2수용용기 60: 거름부재
100: 냉장고 120: 냉장실
130: 냉동실 124: 슬러시 공급장치
126: 슬러시 분리장치

Claims (11)

  1.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용기는 복수 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거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접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슬러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최대 회전각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상으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하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
  8.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하되,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상으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하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47456A 2008-05-22 2008-05-22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98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456A KR100983281B1 (ko) 2008-05-22 2008-05-22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456A KR100983281B1 (ko) 2008-05-22 2008-05-22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14A true KR20090121514A (ko) 2009-11-26
KR100983281B1 KR100983281B1 (ko) 2010-09-24

Family

ID=4160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456A KR100983281B1 (ko) 2008-05-22 2008-05-22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2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546A (ja) 2004-01-15 2005-07-28 Niigata Tlo:Kk 凍結濃縮システム
US20080098765A1 (en) 2006-10-27 2008-05-01 The Helman Group, Ltd. Device for making slush dr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281B1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323B2 (en) Ice-making device
US5375432A (en) Icemaker in refrigerator compartment of refrigerator freezer
EP2232170B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00507929B1 (ko) 제빙기
EP2263055B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01653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1529173B (zh) 具有制冰机的冰箱
US20090211266A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696860B1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KR100934185B1 (ko) 아이스 메이킹 장치
US20080134710A1 (en)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US8161766B2 (en) Refrigerator ice bin with thermal storage member
CN107449213A (zh) 冰箱
CN101206092A (zh) 冰箱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0983281B1 (ko)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30046099A (ko) 얼음정수기
KR19990066209A (ko) 냉장고
EP2097695B1 (en) Refrigerator
JP6992394B2 (ja) 製氷装置、アイスディスペンサー及び冷蔵庫
KR100640860B1 (ko) 투명제빙 냉장고
KR100781269B1 (ko) 얼음배출장치
KR20190124834A (ko) 제빙드럼이 내장된 냉장고
KR20090121515A (ko) 제빙기,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JP2019095122A (ja) 製氷機及び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