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835A -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835A
KR20090120835A KR1020080046850A KR20080046850A KR20090120835A KR 20090120835 A KR20090120835 A KR 20090120835A KR 1020080046850 A KR1020080046850 A KR 1020080046850A KR 20080046850 A KR20080046850 A KR 20080046850A KR 20090120835 A KR20090120835 A KR 2009012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speridin
citrus
enzyme
citrus peel
hesperi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대
김민수
박찬선
안극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4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835A/ko
Publication of KR2009012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12P19/60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or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e.g. coumermycin, novobioc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4Cellulase (3.2.1.4), i.e. endo-1,4-beta-glucanase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 과피를 효소 처리하여 헤스페리틴을 다량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밀라아제(amylas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펙티나아제(pectinase)나 셀룰라아제(cellulase)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헤스페리틴, 감귤 과피, 생전환, 산업용 효소

Description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Preparation of hesperitin from Citrus peel by enzyme treatment}
본 발명은 감귤류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아밀라아제(amylas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펙티나아제(pectinase) 또는 셀룰라아제(cellulase)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감귤 생산 농가의 증가와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감귤의 생산량 증가하고, 그에 따라 산업적 감귤 주스, 향수, 등 공산품 생산이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부산물 또는 폐기물로 생성되는 감귤 과피와 찌꺼기 등이 발생하고 있다. 감귤의 가공에서 주폐기물인 감귤 과피는 국내 최대의 관광지인 제주도의 환경오염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어 폐기물 처리에 소요되는 고비용이 이미 감귤 가공업체의 생산단가를 가중시킬 정도로 심각한 어려움을 주고 있다. 다만 감귤 과피는 한약으로 진피라 하여 사용되며,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는 일부 감귤 과피를 노지 건조방법으로 처리하여 진피로 사용하고 있으나, 그 양은 적은 편이다. 그러므로 감귤가공의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저비용의 폐기물 처리기술 또는 폐기물 활용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감귤 가공폐기물인 감귤 과피에는 건조중량에 대해 60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가 1~3%로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은 여러 가지 생리효과가 뛰어난 우수 천연소재로 밝혀져 있다. 이와 같이 감귤 내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대해서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 저하, 혈압 강하, 면역 활성 촉진, 중금속 흡수 등의 생리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어 고혈압, 동맥경화증, 협심증, 당뇨병, 면역력 감소 등 각종 성인병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 등으로 연구개발되어왔다.
감귤류 과피 추출물 및 감귤류 유래 바이오후라보노이드는 그 외에 항암, 항바이러스, 항산화, 혈압강하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Saija, A., et., Free Radical Biol. Med., 19, 481-486(1995); Matsubara, Y., et al., 상기 문헌; Galati E.M., et al., 상기 문헌 ; Felicia V., et al., Nutr. Cancer, 26, 167-181(1996); EP 0352147 A2(1990.1.24); and Kaul,T.N., et al., J. Med Virol., 15, 71-79(1985)]. 또한, 감귤류의 과피와 씨 속에는 리모노이드계 물질이 존재하는데 이들이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도 밝혀져 있다[(Lam, L. K. T., et al., Inhibiton of chemically induced carcinogenesis by citrus limonoids. In Food Phyto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Vol. I, ACS Symposuim series No. 546,Huang, M. T., O. Osawa. C. T. Ho, R. Rosen(ed), 1993].
감귤류 유래 주요 바이오후라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 나린진 등은 콜레스테 롤 합성효소인 3-hydroxy-3 methylglutaryl coA reductase 및 acylcoA: cholesterol transferase 효소 활성을 낮추어 동물의 몸속에서 고지혈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다른 바이오후라보노이드도 비슷한 작용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Bok, S. H., Lee, S. H., Park, Y. B., K. H., Son, K. H., Jeong, T. S. and Choi, M. S. 1999,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and Hepatic Activities of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and Acyl CoA: Cholesterol Transferase are Lower in Rats fed Citrus Peel Extract or a Mixture of Citrus Bioflavonoids, J. of Nutrition. Vol 129(6): 1182-1185].
그러나 감귤류를 이용한 헤스페리틴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감귤 과피로부터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헤스페리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산업용 효소를 사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감귤 과피로부터 헤스페리틴의 함량을 증가하는데 있어서, 효소의 종류, 처리시간, 및 처리 농도를 최적화하여 단일 공정을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헤스페리틴의 함량을 증가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효소처리에 의한 감귤 과피로부터 헤스페리틴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스페리티틴의 함량이 증가된 감귤 과피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되는 헤스페리틴 함량의 증가을 위해 감귤류의 과피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업용 효소로서 아밀라아제(amylas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펙티나아제(pectinase)나 셀룰라아제(cellulase)를 사용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소 처리 전에 감귤 과피를 분쇄하는 단계, 감귤 과피로부터 헤스페리틴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 용매로서는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헤스페리틴 성분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로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의 기재 범위 내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아밀라아제를 이용한 헤스페리틴의 함량 증가
감귤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 200㎖에 당 가수분해효소로서 산업용 효소인 아밀라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효소의 농도에 따라 헤스페리딘에서 헤스페리틴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도 2).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효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헤스페리틴의 함량은 건조 감귤 과피 1g당 0.005g 임을 알 수 있으나 효소 농도 2.5중량% 처리시 건조 감귤 과피 1g당 0.046g으로 약 9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글루코시다아제를 이용한 헤스페리틴의 함량 증가
감귤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 200㎖에 당 가수분해효소로서 산업용 효소(Novo Co., 덴마크)인 글루코시다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효소의 농도에 따라 헤스페리딘에서 헤스페리틴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도 3).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효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헤스페리틴의 함량에 비해 효소 농도 10중량% 처리시 건조 감귤 과피 1g당 0.025g으로 약 5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헤스페리틴의 함량 증가
감귤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 200㎖에 당 가수분해효소로서 산업용 효소인 펙티나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효소의 농도에 따른 헤스페리딘에서 헤스페리틴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도 4).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효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헤스페리틴의 함량은 건조 감귤 과피 1g당 0.005g임을 알 수 있으나 효소 농도 5중량% 처리시 건조 감귤 과피 1g당 0.052g으로 약 10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셀룰라아제를 이용한 헤스페리틴의 함량 증가
감귤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 200㎖에 당 가수분해효소로서 산업용 효소인 셀룰라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효소의 농도에 따라 헤스페리딘에서 헤스페리틴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도 5).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효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헤스페리틴의 함량은 건조 감귤 과피 1g당 0.005g이나, 효소를 5중량% 농도로 처리한 경우 건조 감귤 과피 1g당 0.086g으로 나타나 약 17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셀룰라아제 처리 시간에 따른 헤스페리틴의 함량 증가
감귤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 200㎖에 당 가수분해효소로서 산업용 효소인 셀룰라아제를 5중량%로 처리하여 시간별로 반응시킨 후, 0~48시간 동안 헤스페리틴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도 6).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효소 처리 전과 비교하여 효소 처리 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헤스페리틴의 함량도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처리 24시간 이내에 대부분 반응이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건조 감귤과피 1g당 0.108g으로 효소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20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당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감귤 과피로부터 유용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헤스페리틴의 분자구조식이고,
도 2는 감귤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 아밀라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반응시켜 얻어지는 헤스페리틴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감귤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 글루코시다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반응시켜 얻어지는 헤스페리틴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감귤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 펙티나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반응시켜 얻어지는 헤스페리틴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감귤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 셀룰라아제를 1~10중량%로 처리하여 12시간 반응시켜 얻어지는 헤스페리틴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감귤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 셀룰라아제 5중량%를 처리하여 0~48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어지는 헤스페리틴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

  1. 아밀라아제(amylas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펙티나아제(pectinas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의 함량은 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080046850A 2008-05-21 2008-05-21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090120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850A KR20090120835A (ko) 2008-05-21 2008-05-21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850A KR20090120835A (ko) 2008-05-21 2008-05-21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835A true KR20090120835A (ko) 2009-11-25

Family

ID=4160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850A KR20090120835A (ko) 2008-05-21 2008-05-21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83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05B1 (ko) * 2010-12-13 2011-06-22 예정수 감피로부터 추출한 천연당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N103091437A (zh) * 2012-11-13 2013-05-08 江苏艾兰得营养品有限公司 一种橙皮甙含量的测定方法
CN103091408A (zh) * 2012-11-13 2013-05-08 江苏艾兰得营养品有限公司 柑橘生物类黄酮中橙皮甙含量的测定方法
CN104230871A (zh) * 2014-09-19 2014-12-24 成都绿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枳实中多甲氧基黄酮、橙皮苷和辛弗林的方法
KR101530982B1 (ko) * 2013-06-14 2015-06-25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감귤류 가공부산물 유래의 면역활성다당 및 비배당체 플라보노이드의 제조방법
CN105758985A (zh) * 2016-02-23 2016-07-13 广州康和药业有限公司 一种童康片的质量检测方法
CN111057117A (zh) * 2019-12-30 2020-04-24 昆药集团重庆武陵山制药有限公司 一种枳实的综合利用方法
CN113651791A (zh) * 2021-09-01 2021-11-16 湖南华诚生物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从枳实中分离橙皮素的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05B1 (ko) * 2010-12-13 2011-06-22 예정수 감피로부터 추출한 천연당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N103091437A (zh) * 2012-11-13 2013-05-08 江苏艾兰得营养品有限公司 一种橙皮甙含量的测定方法
CN103091408A (zh) * 2012-11-13 2013-05-08 江苏艾兰得营养品有限公司 柑橘生物类黄酮中橙皮甙含量的测定方法
KR101530982B1 (ko) * 2013-06-14 2015-06-25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감귤류 가공부산물 유래의 면역활성다당 및 비배당체 플라보노이드의 제조방법
CN104230871A (zh) * 2014-09-19 2014-12-24 成都绿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枳实中多甲氧基黄酮、橙皮苷和辛弗林的方法
CN105758985A (zh) * 2016-02-23 2016-07-13 广州康和药业有限公司 一种童康片的质量检测方法
CN105758985B (zh) * 2016-02-23 2017-09-26 广州康和药业有限公司 一种童康片的质量检测方法
CN111057117A (zh) * 2019-12-30 2020-04-24 昆药集团重庆武陵山制药有限公司 一种枳实的综合利用方法
CN113651791A (zh) * 2021-09-01 2021-11-16 湖南华诚生物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从枳实中分离橙皮素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0835A (ko) 효소를 처리하여 감귤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헤스페리틴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Cao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monosaccharide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hypoglycemic activities in vitro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of liquid fermented Coprinus comatus
de Araújo et al. Enzymatic de-glycosylation of rutin improves it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CN104546980B (zh) 一种蜂花粉提取物及其制备和应用
Kannan et al.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maxima (Osbeck) Papenfuss
Ablat et 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rucea javanica seed
Guo et al. Improvement of flavonoid aglycone and biological activity of mulberry leaves by solid-state fermentation
Wang et al. Improving flavonoid extraction from Ginkgo biloba leaves by prefermentation processing
da Silva et al.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range and lime juices by flavonoid enzymatic de-glycosylation
KR101438543B1 (ko) 항염증, 항노화 기능성 옥시레스베라트롤, 트란스-레스베라트롤 및 모라신이 함유된 뽕나무 가지추출물의 제조방법
Bae et al. Changes of ginsenoside content by mushroom mycelial fermentation in red ginseng extract
Vo et al.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avocado (Persea americana Mill.) seed extract
Xu et al. Enhanced phenolic antioxidants production in submerged cultures of Inonotus obliquus in a ground corn stover medium
Talekar et al. Rapid, enhanced and eco-friendly recovery of punicalagin from fresh waste pomegranate peels via aqueous ball milling
Ruviaro et al. Flavanones biotransformation of citrus by-products improves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in vitro
Móricz et al. Bioactive clerodane diterpenes of giant goldenrod (Solidago gigantea Ait.) root extract
Karaman et al. Diversity, chemistry,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wild growing medicinal mushroom species as sources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tioxidants, Anti-Diabetics, and AChE Inhibitors)
Tohtahon et al. Extraction optimizatio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bioactivity evaluation of triterpenoids from hawthorn (Crataegus cuneata) fruits
Patil et al. Inhibitory kinetics and mechanism of pentacyclic triterpenoid from endophytic Colletotrichum gigasporum against pancreatic lipase
Lin et al. Characterizations of the endogenous starch hydrolase inhibitors in acorns of Quercus fabri Hance
JP5804471B2 (ja) スダチ(搾汁残渣)からスダチポリフェノールを製造する方法
CN109364110B (zh) 一种从美藤果壳提取黄酮的方法及其应用
CN101830881B (zh) 一种酶诱导高效提取落叶松加工剩余物中紫杉叶素的方法
Fan et al. Discovery of mycotoxin alternariol as a potential lead compound targeting xanthine oxidase
Zhao et al. Enhancement of rutin production in Fagopyrum tataricum hairy root cultures with its endophytic fungal elic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