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775A -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775A
KR20090120775A KR1020080046744A KR20080046744A KR20090120775A KR 20090120775 A KR20090120775 A KR 20090120775A KR 1020080046744 A KR1020080046744 A KR 1020080046744A KR 20080046744 A KR20080046744 A KR 20080046744A KR 20090120775 A KR20090120775 A KR 20090120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ssage
water collecting
water purification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116B1 (ko
Inventor
임영성
강종현
이종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개발
임영성
(주)고려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개발, 임영성, (주)고려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개발
Priority to KR102008004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11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 E03B3/18Well filters
    • E03B3/24Well filters formed of loose materials, e.g. g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티피 블록 또는 스트레이너 블록이 사용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여과시설 교체시공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기공급관 및 스트레이너 블록이 설치됨으로써 역세수와 함께 공기를 통하여 여재층의 플록 등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고, 정수 및 역세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여재층과 사리층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사리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여과지속시간을 증대시켜 필요한 역세척의 횟수를 줄여줌으로써 전기료 및 세척수를 절감할 수 있다.
여과지, 정수장, 스트레이너, 티피블록, 역세척

Description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METHOD FOR REMODELING LOWER FACILITIES ON FILTRATION BED OF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기존의 티피(teepee) 블록 또는 스트레이너(strainer) 블록이 사용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여과시설 교체시공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은 정수장(water purification plant)에서 원수(原水)를 처리하는 마지막 단계로서, 문제의 발생 즉시 정수(淨水)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중요한 장치이므로 지속적으로 양질의 정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꾸준한 개선방안이 강구된다.
기존의 정수장의 여과지 시설로 많이 채택되어 있는 티피블록은 양 사면에 정수 유출구를 형성하고, 이 정수 유출구를 통하여 정수를 티피 블록의 하부의 집수로 및 정수로로 보내거나, 역압에 의하여 역세척수를 티피 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사리층과 여재층에 공급하여 여재층에 쌓인 플록(floc), 침적물, 또는 유기조류 등 을 제거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 중 의한 티피블록 여과지의 세척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예는 정수장에 복수 개로 집합되어 있는 여과지들 중 하나의 단면 모습이다.
각 여과지는 원수를 담을 수 있도록 양쪽 방 형태로 되어 있는 구조물(100)을 포함하고 있으며, 구조물(100)의 하부에는 하부집수시설, 사리층(30) 및 여재층(40) 등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각 집수로(101)는 중앙의 정수로(102)에서 합류되어 정수지로 연결된다.
여재층(40)은 실질적으로 원수를 거르는 역할을 하며, 사리층(30)은 여재층(40)이 유실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여재층(40)과 사리층(30)을 통과하는 정수는 하부집수시설의 정수 유출구(11)를 통하여 집수로(101)로 모인다.
하부집수시설은 여재층(40) 및 사리층(30)을 지지하며 지면(紙面)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피블록(10)과, 각 티피블록(10) 사이를 채우는 모르타르(20)로 구성되어 있다. 각 티피블록(10)에는 복수 개소에 정수 유출구(11)가 형성된다.
역세척시 여재층(40)에 쌓인 침적물을 세척하기 위하여 여재층(40)의 상부에는 살수(撒水) 방식에 의한 표면세척기(50)가 배치되어 있으며, 표면세척기(50)에 의하여 탁질을 분리시킨후 집수로(101)로부터 공급된 역세수에 의하여 여재층(40)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플록 등은 부유되다가 트라프(104)를 통하여 퇴수로(103)로 흘러 처리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여과지의 경우, 정수 유출구(11)는 구경이 부정확하여 삽입된 파이프의 이탈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정수 유출구(11)의 직경이 증가하여 사리층(30) 및 여재층(40)이 파괴되어 여재의 유출이 심하다. 또한, 티피블록(10) 내의 집수공간이 작아서 유출된 여과사가 유로(流路)를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역세효율 및 정수의 생산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특히, 역세척 압력으로 인하여 상부돌출 방지대책 없이 티피블록(10) 사이를 일반 모르타르(20)로 채움으로써 하자가 발생되기 쉽고, 받침 모르타르가 분리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를 허용오차 이내로 시공하기 어려운데다 티피블록(10)이 이탈될 수 있다.
반면, 스트레이너 블록을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여과지의 경우, 이와 같은 티피블록의 단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역세수만에 의한 세척방식이므로 역세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여과지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여과지의 기본 토목구조물 자체를 변경 또는 철거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의 발생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티피블록 여과지 또는 스트레이너블록 여과지의 기본 토목구조물을 이용하면서도 역세효율 및 정수의 생산효율이 우수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티피블록 또는 스트레이너 블록이 사용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을 교체하되, 원수 유출관을 사용하지 않고 사리층 및 여재층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세시 공기를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세척수를 절약하고 역세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횡방향 집수로 및 집수로들이 합류되는 종방향의 정수로가 형성되며, 정수(淨水) 및 역세수(逆洗水)가 집수로 및 정수로에 흐를 수 있게 설치된 여과지(濾過池) 구조물에 하부 집수시설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은, 집수로 및 정수로 상에 공기공급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복수의 종방향 격벽을 시공하는 단계와, 격벽들의 상부에 스트레이너(strainer)가 형성된 복수의 블록을 수평으로 맞추어 고정하고 밀폐시키는 단계 및, 블록의 상부에 사리층과 여 재층을 포설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공기공급관은 정수로 상에 놓여지는 중심공급관과, 각 집수로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분지관 및, 분지관으로부터 각 격벽 사이의 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소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각 소분지관은 분지관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그 개방된 끝단부가 대응되는 각 격벽 사이의 통로를 향할 수 있게 상하로 늘여진 'S'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격벽에는 복수의 앵커볼트를 고정하고, 격벽의 상부에 얹혀지는 블록들은 그 하나로 인접된 격벽 사이의 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하되, 인접된 두 블록은 집수로 상에서 맞대어지지 않도록 배치하여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바닥면으로부터 블록의 상단까지는 280 ~ 320 mm가 되게 형성시키고, 사리층을 교체시공전 사리층의 높이 정도까지 입도(粒度) 순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횡방향 집수로 및 집수로들이 합류되는 종방향의 정수로가 형성되며, 정수(淨水) 및 역세수(逆洗水)가 집수로 및 정수로에 흐를 수 있게 설치된 여과지(濾過池) 구조물에 하부 집수시설을 교체 시공구조로서, 집수로 및 정수로 상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종방향 격벽 및, 격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맞추어져 고정되어 격벽 사이의 통로와 상부 공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게 배치되며, 정수, 역세수 및 공기가 통과되 기 위한 스트레이너가 형성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구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의하면, 공기공급관이 추가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역세수와 함께 공기를 통하여 여재층의 플록 등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고, 정수 및 역세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스트레이너를 사용함으로써 여재층과 사리층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필요한 사리층의 두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여과지속시간을 장대화시켜 역세척의 횟수를 줄여주므로 그만큼 전기료 및 세척수의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측면에 의하면, 중심공급관과 분지관 및 소분지관에 의하여 각 격벽 사이의 통로에 균등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여재층이 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역세척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측면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정수 유출관이 필요 없게 되며, 블록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하부 집수실을 넓히게 된다.
또한, 여과지의 기초 구조물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상수도 생산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여과지의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횡방향(지면의 좌우방향)의 집수로(101)와 종방향(지면의 전후방향)의 정수로(102)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기존의 구조물(100)에 본 발명과 관련된 하부 집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여재층(140)과 사리층(130)을 통과한 정수(淨水)는 집수로(101)에서 모여 정수로(102)를 통하여 다음 단계로 보내어진다. 그리고, 역세척시 다른 여과지의 수위와의 불균형에 의하여 발생한 역압에 의하여 역세수가 정수로(102) 및 집수로(101)에 공급되어 여재층(140)과 사리층(130)에 쌓인 플록(floc) 등을 제거한다.
하부 집수시설은 여재층(140)과 사리층(130)을 지지하며 정수 또는 역세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지지구조와, 집수로(101)와 정수로(102) 상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160)을 포함한다.
여재층(140)의 지지구조는 여과지 구조물(10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종방향 격벽(150)과 격벽(150)의 상부에 수평으로 맞추어져 고정되어 격벽 사이의 통로와 상부 공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게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들(110)을 포함하고 있다.
블록들(110)은 격벽(150) 상에서 앵커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며, 각 블록(110) 에는 사리층(130)을 보호하고 정수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strainer; 111)가 구비된다.
역세척시 역세수 및 공기공급관(160)을 통하여 공급된 공기는 스트레이너(111)를 통하여 사리층(130)과 여재층(140)을 교란시키며 여재층(140)에 붙은 플록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사리층(130)과 여재층(140)에 충격을 주면서 플록 등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한다.
역세수 및 공기에 의하여 여재층(140)으로부터 분리된 플록 등은 수위가 트라프(104)에 이르렀을 때 역세수가 트라프(104)를 넘어가게 되고, 중앙의 퇴수로(103)로 모여져서 회수조로 보내어진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여과지의 여재층과 사리층의 구성을 종래의 기술에 의한 티피블록을 사용한 여과지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인 비교 단면도이다. 도 3의 (가)와 같이, 종래의 티피블록(10)을 사용한 경우, 티피블록(10)의 끝단의 높이는 여과지의 바닥으로부터 약 250mm 정도가 되며, 입도 19~38mm의 제1여과사리(31)가 티피블록(10)의 중간으로부터 배치된다. 제1여과사리(31)의 하부는 모르타르(20)에 의하여 티피블록(10)을 고정 및 밀폐하고 있다. 제1여과사리(31)의 상층은 입도 9~19mm의 제2여과사리(32), 제2여과사리(32)의 상층은 입도 4.76~9mm의 제3여과사리(33), 제3여과사리(33)의 상층은 입도 2.38~4.76mm의 제4여과사리(34), 제4여과사리(34)의 상층은 입도 2.00~2.38mm의 제5여과사리(35), 제5여과사리(35)의 상층은 입도 0.5~0.6mm의 여과사(41), 그리고, 여과사(41)의 상층은 입도 0.9~1.1mm의 안트라사이트(42)에 의하여 채워져 있다. 제5여과사리(35)까지의 높이는 여과지의 바닥으로부터 약 550mm가 된다.
그에 반해, 도 3의 (나)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공급관(160)과 스트레이너(111)가 장착된 블록(110)을 사용하는 경우, 블록(110)의 상단은 여과지 바닥으로부터 약 280~320mm가 되고, 블록(110)의 상단으로부터, 입도 10~20mm의 제1개선여과사리(131), 입도 5~10mm의 제2개선여과사리(132), 입도 2~5mm의 제1개선여과사리(133), 여과사(141), 안트라사이트(142)의 순으로 채워진다. 특히, 도 3에 의하면, 제1개선여과사리(131)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1여과사리(31)보다 작은 입도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사리층의 형성면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배치보다 작은 수의 층 배치로도 여재층(141,142)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집수로(101)를 확장시킴으로써, 여과사리 또는 여재에 의한 막힘 현상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이 우수한 하부 집수시설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하부 집수시설의 설치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시공 도면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부 집수시설의 설치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시공방법으로서, 우선, 도 1과 같은 종래의 하부 집수시설을 해체한다(S10). 도 4는 종래의 하부 집수시설을 해체한 여과지의 바닥 구조를 보인 평면도로서, 복수의 횡방향 집수로(101)가 여과지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집수로(101)는 종방향의 정수로(102)에 합류된다.
다음으로, 여과지 구조물(100)의 바닥에 블록을 지지시키기 위한 종방향의 격벽을 시공한다(S20).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블록을 지지시키기 위한 격벽을 시공한 것을 보인 평면도로서, 인접된 격벽(150)의 사이의 공간이 블록(110)을 통과한 정수가 모여져서 집수로(101)로 흐를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킨다. 각 격벽(150)의 상단은 스트레이너(도 9의 111번 참조)가 장착된 블록들(도 9의 110번 참조)을 맞추어 지지시킬 수 있도록 수평으로 마무리하며, 블록들을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도 7의 112번 참조)를 설치한다.
격벽(150)이 시공되면 집수로(101) 및 정수로(102) 상에 역세척시 사리층(131,132,133) 및 여재층(141,14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160)을 설치한다(S30).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공기공급관을 설치한 것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며, 도 8은 소분지관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에 의하면, 공기공급관(160)은 정수로(102) 상에 배치되는 종방향의 중심공급관(161)과, 각 집수로(101)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분지관(162) 및, 분지관(162)으로부터 각 격벽 사이의 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소분지관(163)을 포함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균등한 공기의 분배를 위하여 중심공급관(161)은 공기의 공급측으로부터 후미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도록 배치시킨다.
도 7과 같이, 각 소분지관(163)은 분지관(162)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그 개방된 끝단부가 대응되는 각 격벽(150) 사이의 통로를 향할 수 있게 상하로 늘여진 'S'자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세척시 공기는 각 소분지관(163)을 통하여 분출되어 각 블록에 균등하게 공급될 수 있다.
집수로(101)와 정수로(102)에 공기공급관(160)이 설치되면, 격벽(150)의 상부에 블록을 고정하고 밀폐시킨다(S40). 도 9는 도 6의 상태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블록을 맞추어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벽(150)의 상부에 얹혀지는 블록들(110)은 그 하나로 인접된 격벽 사이의 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시킨다. 인접된 두 블록(110)은 집수로(101) 상에서 맞대어지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블록(11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 블록(110)은 도 9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레이너(111)를 통하여 역세수가 유입할 때 수류가 특정방향으로만 진행되어 사수(死水) 영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110a)이 형성된 와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볼트(112)에 의하여 블록(110)이 고정되면, 각 블록(110) 사이의 틈은 모르타르 등에 의하여 밀폐시키며, 블록(110)의 상부에 도 3의 (나)와 같이 사리층(131,132,133)과 여재층(141,142)을 채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교체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티피블럭이 설치된 기존의 여과지의 교체 시공구조를 보인 도 2와 달리 스트레이너형 여과블럭이 설치된 기존의 여과지의 하부시설을 교체시공한 예를 보인 것이다. 즉, 기초 구조물(200)의 중심에는 종방향의 정수로(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수로(202)의 양쪽으로는 횡방향의 집수로(201)를 형성시키기 위한 횡방향의 격벽(250)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이너(211)가 장착된 블록들(210) 은 횡방향의 격벽(250) 상에 여재층(240)과 사리층(230)을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된다. 스트레이너(211)를 통과한 정수는 집수로(201)를 따라 흘러서 정수로(202)로 모여져 다음 단계로 흘러가게 된다.
교체를 위하여 스트레이너형 여과블럭이 제거되면, 정수로(202) 상에는 각 집수로(201)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이 설치된다. 공기 공급관(260)은 정수로(202) 상을 따라 형성되며, 공급측으로부터 먼쪽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분지관(263)은 중심공급관(261)으로부터 각 집수로(201)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각 집수로(201) 입구 쪽으로 연장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역세척시 역수 뿐만 아니라 공기공급관(260)을 통하여 공기가 불어 넣어지게 되며, 스트레이너(211)를 통하여 위로 공급된 공기는 여재층(240)과 사리층(230)을 교란시켜 플록 등과 같은 침적물을 여재층(240)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나머지 구성은 도 2의 실시예 설명과 유사하고 대응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유사한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실시예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티피블록 여과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여과지의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여과지의 여재층과 사리층의 구성을 종래의 기술에 의한 티피블록을 사용한 여과지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인 비교 단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하부 집수시설의 설치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시공 도면으로서,
도 4는 종래의 하부 집수시설을 해체한 여과지의 바닥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블록을 지지시키기 위한 격벽을 시공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공기공급관을 설치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소분지관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9는 도 6의 상태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블록을 맞추어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부 집수시설의 설치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교체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의 평면도

Claims (8)

  1. 복수의 횡방향 집수로 및 상기 집수로들이 합류되는 종방향의 정수로가 형성되며, 정수(淨水) 및 역세수(逆洗水)가 상기 집수로 및 정수로에 흐를 수 있게 설치된 여과지(濾過池) 구조물의 하부 집수시설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상기 집수로 및 정수로 상에 공기공급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복수의 종방향 격벽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격벽들의 상부에 스트레이너(strainer)가 형성된 복수의 블록을 수평으로 맞추어 고정하고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블록의 상부에 사리층과 여재층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정수로 상에 놓여지는 중심공급관;
    상기 각 집수로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분지관; 및
    상기 분지관으로부터 상기 각 격벽 사이의 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소분지관을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분지관은 상기 분지관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그 개방된 끝단부가 대응되는 상기 각 격벽 사이의 통로를 향할 수 있게 상하로 늘여진 'S'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복수의 앵커볼트를 고정하고,
    상기 격벽의 상부에 얹혀지는 블록들은 그 하나로 인접된 격벽 사이의 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하되, 인접된 두 블록은 상기 집수로 상에서 맞대어지지 않도록 배치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단까지는 280 ~ 320 mm가 되게 형성시키고, 사리층을 교체시공전 사리층의 높이 정도까지 입도(粒度) 순으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6. 복수의 횡방향 집수로 및 상기 집수로들이 합류되는 종방향의 정수로가 형성되며, 정수(淨水) 및 역세수(逆洗水)가 상기 집수로 및 정수로에 흐를 수 있게 설치된 여과지(濾過池) 구조물의 하부 집수시설을 교체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 공구조는,
    상기 집수로 및 정수로 상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종방향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맞추어져 고정되어 상기 격벽 사이의 통로와 상부 공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게 배치되며, 상기 정수, 역세수 및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스트레이너가 형성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정수로 상에 놓여지는 중심공급관;
    상기 각 집수로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분지관; 및
    상기 분지관으로부터 상기 각 격벽 사이의 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소분지관을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복수의 앵커볼트를 고정하고,
    상기 격벽의 상부에 얹혀지는 블록들은 그 하나로 인접된 격벽 사이의 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되되, 인접된 두 블록은 상기 집수로 상에서 맞대어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구조.
KR1020080046744A 2008-05-20 2008-05-20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099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44A KR100997116B1 (ko) 2008-05-20 2008-05-20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44A KR100997116B1 (ko) 2008-05-20 2008-05-20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75A true KR20090120775A (ko) 2009-11-25
KR100997116B1 KR100997116B1 (ko) 2010-11-30

Family

ID=4160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44A KR100997116B1 (ko) 2008-05-20 2008-05-20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712B1 (ko) * 2011-09-21 2012-05-14 주식회사 거성개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6178520A1 (ko) * 2015-05-04 2016-11-10 주식회사 부강테크 생물여과장치용 스트레이너 블럭
KR102367543B1 (ko) * 2021-10-14 2022-02-25 효림산업주식회사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가 적용된 여과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275A (ko) 2022-06-10 2023-12-19 김진남 정수장 여과지의 방충용 다중차단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110A (en) 1981-04-21 1982-10-26 Kurita Water Ind Ltd Upward flow filter
KR200156598Y1 (ko) * 1997-09-30 1999-09-01 염병호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100454276B1 (ko) * 2002-04-02 2004-10-28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의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KR100530613B1 (ko) 2004-02-06 2005-11-25 주식회사 거성개발 여과지 하부 집수실의 공기균등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712B1 (ko) * 2011-09-21 2012-05-14 주식회사 거성개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6178520A1 (ko) * 2015-05-04 2016-11-10 주식회사 부강테크 생물여과장치용 스트레이너 블럭
KR102367543B1 (ko) * 2021-10-14 2022-02-25 효림산업주식회사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가 적용된 여과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116B1 (ko)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116B1 (ko)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CN102500145A (zh) 上向流滤池的反冲洗系统及其反冲洗方法
JP5350301B2 (ja) 砂ろ過装置
KR100756820B1 (ko) 물과 공기에 의해 역세척이 가능한 하부집수장치
CN101474500B (zh) 纤维滤料过滤池
KR101194030B1 (ko) 여과지의 집수거를 이용한 역세공기 공급구조
CN202289599U (zh) 均气彗星式纤维滤池
KR200156598Y1 (ko)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207605417U (zh) 一种砂滤池及其配水槽
CN113952771A (zh) 一种高炉水渣防板结高效过滤系统
KR101441246B1 (ko) 다공성여재지지물과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이너형 하부집수장치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JP3194941U (ja) 濾過装置
CN214327493U (zh) 一种复合潜流人工湿地的污水处理装置
KR20120120694A (ko) 정수 및 하수 여과장치의 시공방법 및 그 정수 및 하수 여과장치
KR100659401B1 (ko) 급속 여과지의 집수장치
CA28676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cleaning of tube settlers in water clarification
CN216497999U (zh) 一种高炉水渣侧滤处理系统
KR100530613B1 (ko) 여과지 하부 집수실의 공기균등공급장치
CN216497998U (zh) 一种高炉水渣高效过滤处理系统
JP7301717B2 (ja) 浄水用ろ過装置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KR200268533Y1 (ko) 여과지용 집수블럭
JP5222187B2 (ja) 有孔ブロックおよび有孔ブロックを備えた集水設備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