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712B1 -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712B1
KR101145712B1 KR1020110095482A KR20110095482A KR101145712B1 KR 101145712 B1 KR101145712 B1 KR 101145712B1 KR 1020110095482 A KR1020110095482 A KR 1020110095482A KR 20110095482 A KR20110095482 A KR 20110095482A KR 101145712 B1 KR101145712 B1 KR 10114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block
strainer
block
suppor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개발
서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개발, 서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개발
Priority to KR102011009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 구조물의 바닥면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받침보, 및 상기 제1받침보와 상기 제2받침보 사이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재층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받침보 각각은, 상기 바닥면 상에 세워지고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하면을 덮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LOWER CATCHMENT STRUCTURE FOR FILTER BASIN IN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여재층을 지지하는 스트레이너 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과지(濾過池)는 정수장(淨水場)에서 원수(原水)를 처리하는 마지막 단계에 해당되는 시설로서, 문제가 발생하는 즉시 정수(淨水)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중요한 시설이므로, 지속적으로 양질의 정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꾸준한 개선 방안이 강구된다.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은 우선, 여과지의 기초 구조물의 바닥에 받침보를 세우고, 받침보의 위에 스트레이너 블럭을 수평으로 설치한 후, 스트레이너 블럭에 스트레이너(strainer)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 설치된다.
스트레이너 블럭의 위에는 여재(여과자갈, 여과사,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등)가 설치된다. 여재 위에 원수를 공급하면 여재를 통과하는 동안 원수에 포함된 고체 입자 또는 부유물 등이 걸러지게 된다. 정수된 물은 스트레이너를 통과한 후 하부 집수실로 떨어져 소독 처리를 거친 후 가정 등으로 용수로서 공급된다.
이렇게 원수를 거르는 동안 여재 위에는 침전물이 쌓이게 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침전물로 인하여 여재가 막히게 되고 여과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여재 위에 쌓인 침전물에 물과 공기를 역으로 공급하여 여재에 부착된 침전물을 세척하는데 이를 역세척이라 한다.
역세척은 그 효율의 여하에 따라 상수도의 수질, 생산 단가, 생산 시간 등을 좌우하는 중요한 공정으로서, 스트레이너 블럭의 수평 설치 구조가 역세척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스트레이너 블럭의 수평 설치는 하부 집수시설의 시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또한, 스트레이너 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받침보의 상단에는 앵커 볼트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앵커 볼트는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그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며, 이 경우 정확한 위치에 스트레이너 블럭 및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 블럭의 수평 설치가 용이하며, 앵커 볼트가 필요없는 보다 단순한 구조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은 기초 구조물의 바닥면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받침보, 및 상기 제1받침보와 상기 제2받침보 사이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재층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받침보 각각은, 상기 바닥면 상에 세워지고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하면을 덮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수용하도록, H/I 빔 또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 사이에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상호 차단하도록 모르타르(mortar)가 충전된다. 상기 돌출부의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과 중첩되는 면에는 상기 모르타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이루어지는 모르타르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에는 상기 모르타르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측벽을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이 상기 제2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상기 덮개는 상기 기초 구조물의 일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은 기설정된 면적으로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여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커버 블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초 구조물의 바닥면에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I 빔 형상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받침보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삽입하는 단계와,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스트레이너를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에 삽입하는 단계, 및 여재(濾材)를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부에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 사이에 상기 모르타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모르타르 투입구를 통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 사이의 공간에 상기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고정부재는 스트레이너 블럭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양단에서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하면을 덮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므로, 스트레이너 블럭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수평으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역세척시에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앵커 볼트의 설치 작업이 불필요하고, 스트레이너 블럭을 고정부재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한바,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시공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을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을 정수로(또는 퇴수로)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제1 및 제2받침보 사이에 스트레이너 블럭이 설치되는 시공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와 스트레이너 블럭 사이에 모르타르가 충전되는 시공 과정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여과지(1)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을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과지(1)는 원수가 여과되는 하부집수실(11), 정수된 물이 모여져 다음 단계로 보내어지기 위한 정수로(12) 및 역세척시 세척된 물과 플록(floc)의 혼합물이 모여져 배출되는 퇴수로(13)를 각각 형성하기 위한 기초 구조물(10)을 포함한다.
하부집수실(11)의 하부에는 입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시켜 정수로(12)로 보내기 위한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이 설치된다.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은 제1 및 제2받침보(20, 30)와 스트레이너 블럭(4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받침보(20, 30)는 기초 구조물(10)의 바닥면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받침보(20, 30)는 철근 콘크리트 또는 강철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받침보(20, 30)가 강철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경우, 철근 콘크리트 시공에 비해 보다 정확한 위치에 수평을 맞춰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1받침보(20)와 제2받침보(30) 사이에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스트레이너 블럭(40)에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40a)에 삽입되는 복수의 대롱(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대롱(51)에는 여재의 유실을 차단할 수 있게 스트레이너[(50, 도 2 참고), strainer]가 설치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상부에는 다양한 입도(粒度)를 갖는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여재층이 포설된다.
제1 및 제2받침보(20, 30)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지지시키고, 역세척시 스트레이너 블럭(40)이 역압에 의하여 들려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받침보(20, 30)의 하부에는 스트레이너(50)를 빠져나온 물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정수 유통구(11a)가 형성된다. 정수 유통구(11a)는 시공 또는 유지/보수의 과정 중에 작업자가 제1 및 제받침보(20, 30)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전체 작업의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을 정수로[12, 또는 퇴수로(13)]와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받침보(20, 30) 각각은 지지부재(21) 및 고정부재(2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1)는 기초 구조물(10)의 바닥면에 세워지고, 스트레이너 블럭(40)을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21)는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볼트(80)와 너트(81)를 통해 기초 구조물(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볼트(80)는, 예를 들어, 수지계의 접착제에 의해 볼트를 정착시켜 앵커체를 형성하는 케미컬 앵커가 될 수 있다.
지지부재(21)의 상단에는 고정부재(22)가 배치된다. 지지부재(21)와 고정부재(22)는 서로 다른 파트로 이루어져 용접 또는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21)와 고정부재(22)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22)는 베이스(22a) 및 돌출부(22b, 22c)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2a)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제1방향[지지부재(21)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돌출부(22b, 22c)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지지부재(21)의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베이스(22a)의 양단에서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상하면을 덮도록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는 지지부재(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을 수용하도록, H/I 빔 또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블럭(4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고정부재(22)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수평으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22b)는 역세척시 압력에 의해 스트레이너 블럭(40)이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트레이너 블럭(4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받침보의 상단에 설치되었던 앵커 볼트가 불필요하고, 스트레이너 블럭(40)을 고정부재(22)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한바,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시공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1받침보(20)를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2)와 스트레이너 블럭(40) 사이에는 모르타르(60, mortar)가 충전된다. 모르타르(60)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상호 차단시키며, 이를 통해 스트레이너 블럭(40)이 고정부재(2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집수시설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받침보(20, 30) 사이, 구체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고정부재(22)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이 삽입된다. 스트레이너 블럭(40)은 설치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사이의 공간에도 모르타르(60)가 충전된다. 상기 공간에 모르타르(60)가 용이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측면은 후술할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측면을 따라 리세스부(40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40)에 형성되는 관통홀(40a)에는 스트레이너(5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대롱(tube, 51)이 삽입된다. 관통홀(40a) 및 대롱(51)은 역세척시 스트레이너 블럭(40)이 편중된 압력을 받지 않도록 스트레이너 블럭(40)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b)의 스트레이너 블럭(40)과 중첩되는 면에는 모르타르(60)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이루어지는 모르타르 투입구(23, 24 / 33, 34)가 형성된다. 모르타르 투입구(23, 24 / 33, 34)는 스트레이너 블럭(40) 마다 양측에 적어도 한 군데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모르타르 투입구(23, 24 / 33, 34)는 고정부재(2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1 및 제2받침보(20, 30) 사이에 스트레이너 블럭(40)이 설치되는 시공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레이너 블럭(4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고정부재(22, 32), 구체적으로, 베이스(22a) 및 돌출부(22b, 22c)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삽입된다. 스트레이너(50)의 삽입을 위해 고정부재(22, 32)에는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덮개(22', 3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이 제2방향[지지부재(21)의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한다.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는 기초 구조물(10)의 일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블럭(40)은 제2방향[지지부재(21)의 축방향]을 따라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로 삽입된 후, 고정부재(22, 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제1방향[지지부재(21)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따라 설치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삽입이 완료된 후, 덮개(22', 32')는 스트레이너 블럭(40) 투입구를 덮도록 배치된다. 덮개(22', 32')는 용접 또는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22, 32)에는 고정부재(22, 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덮개(22', 32')가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덮개(22', 32')가 모두 기초 구조물(10)의 일측벽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구조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삽입을 위한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덮개(22', 32')는 기초 구조물(10)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이와 인접한 스트레이너 블럭의 삽입을 위한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덮개는 기초 구조물(10)의 타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덮개(22', 32')가 분산 배치되는 후자의 구조에 의할 경우, 상기 구성이 일측벽에 집중 배치되는 전자의 경우에 비해 고정부재(22, 32)의 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복수의 스트레이너 블럭(40) 중 어느 하나에는 기설정된 면적으로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여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시공 또는 유지/보수의 과정 중에 관통홀을 통해 스트레이너 블럭(4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정수 유통구(11a)를 통해 받침보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40)에는 관통홀을 덮도록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커버 블럭(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은 커버 블럭이 얹혀질 수 있도록 관통홀의 중심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블럭은 맨홀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커버 블럭을 통해 스트레이너 블럭(40)의 하부로 출입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22)와 스트레이너 블럭(40) 사이에 모르타르(60)가 충전되는 시공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22b)의 스트레이너 블럭(40)과 중첩되는 부분에는 모르타르(60)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모르타르 투입구(23)가 형성된다. 모르타르(60)는 고정부재(22)와 스트레이너 블럭(40) 사이에 충전되어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상호 차단시킨다.
모르타르(60)를 충전하여 스트레이너 블럭(40)을 고정부재(22)에 결합시키는 시공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상면과 고정부재(22)의 내부면 사이에 모르타르(60)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91)를 배치한다. 이후, 모르타르 투입구(23)에 압력 펌프와 연결된 호스(90)를 삽입하고 고정부재(22)와 스트레이너 블럭(40) 사이의 공간에 모르타르(60)를 충전한다. 모르타르(60)의 충전 및 양생이 완료된 후, 차단부재(91)를 제거한다.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측면은 모르타르 투입구(23)를 통해 유입되는 모르타르(60)가 고정부재(22)의 상면에서 하면에 이르는 공간에 용이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측면 중 하면에 인접한 부분은 상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상면에 인접한 부분과 베이스(22a)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모르타르(60)가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40)에는 모르타르(60)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측벽을 따라 리세스되는 리세스부(40b)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40b)가 형성됨으로써, 모르타르 투입구(23)를 통해 유입되는 모르타르(60)는 스트레이너 블럭(40)의 측벽을 따라 모르타르 투입구(23)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까지도 용이하게 충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6)

  1. 기초 구조물의 바닥면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받침보; 및
    상기 제1받침보와 상기 제2받침보 사이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재층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받침보 각각은,
    상기 바닥면 상에 세워지고,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트레이너 블록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두께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하면을 덮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이 상기 두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 및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 투입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을 수용하도록, H빔, I 빔 또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 사이에는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상호 차단하도록 모르타르(mortar)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과 중첩되는 면에는 상기 모르타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이루어지는 모르타르 투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블럭에는 상기 모르타르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측벽을 따라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6. 삭제
KR1020110095482A 2011-09-21 2011-09-21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4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82A KR101145712B1 (ko) 2011-09-21 2011-09-21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82A KR101145712B1 (ko) 2011-09-21 2011-09-21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712B1 true KR101145712B1 (ko) 2012-05-14

Family

ID=4627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482A KR101145712B1 (ko) 2011-09-21 2011-09-21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275A (ko) 2022-06-10 2023-12-19 김진남 정수장 여과지의 방충용 다중차단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345Y1 (ko) * 1990-06-21 1992-09-17 차은상 정수장의 하부 집수장치
KR20090120775A (ko) *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거성개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345Y1 (ko) * 1990-06-21 1992-09-17 차은상 정수장의 하부 집수장치
KR20090120775A (ko) * 2008-05-20 2009-11-25 주식회사 거성개발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275A (ko) 2022-06-10 2023-12-19 김진남 정수장 여과지의 방충용 다중차단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712B1 (ko)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226246A (ja) 濾過装置の製造方法
KR100454276B1 (ko) 여과지의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KR100737840B1 (ko) 복합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시공방법 및 그 하부집수장치
US7090771B2 (en) Filtration system underdrain
KR20080079723A (ko)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지지구조체
KR100997116B1 (ko)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 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072391B1 (ko) 정수장 여과지의 하부집수시설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421123Y1 (ko) 복합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KR200282955Y1 (ko) 여과지의 일체형 하부집수장치
KR200342793Y1 (ko) 맨홀이 구비된 집수블럭
KR100659401B1 (ko) 급속 여과지의 집수장치
KR101552236B1 (ko) 대형 집수블록을 이용한 정수장 여과지 하부 구조
CN210229214U (zh) 污水处理环形水槽
KR100575848B1 (ko) 하부집수장치용 유공블럭 지지장치 및 유공블럭 시공방법
US67336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 traveling bridge filter underdrain
KR102447756B1 (ko) 유공블럭의 안정된 수밀구조와 균일한 분산구조를 갖는 딤플형 하부집수장치
KR20120120694A (ko) 정수 및 하수 여과장치의 시공방법 및 그 정수 및 하수 여과장치
EA000911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снования фильтр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
JP2968688B2 (ja) 集配水装置
KR101000806B1 (ko) 여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7745878U (zh) 一种具有生态调节功能的滤砖
CN221027922U (zh) 一种生物滤池
CN211987244U (zh) 一种污水沉淀池用的进水槽
KR100572352B1 (ko) 하부집수장치의 개량보수구조 및 개량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