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419A - 롤 간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롤 간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419A
KR20090120419A KR1020090043468A KR20090043468A KR20090120419A KR 20090120419 A KR20090120419 A KR 20090120419A KR 1020090043468 A KR1020090043468 A KR 1020090043468A KR 20090043468 A KR20090043468 A KR 20090043468A KR 20090120419 A KR20090120419 A KR 20090120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ead
roll
roll gap
sens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오 마루키
사토루 야마죠
주냐 이와사키
타카유키 야노
타카시 니시하라
타카유키 시라카미
전재영
허지행
박규철
Original Assignee
신니혼제철주식회사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니혼제철주식회사,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filed Critical 신니혼제철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2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01B5/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between a succession of regularly spaced objects or regularly spaced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의 주편통로를 사이에 끼고 대향 배치되어 있는 롤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적어도 한 대의 센서장치를 갖춘 롤 간격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센서장치는 원통형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상단에 원추형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고 그 정상부가 상기 각 롤 중 상부의 롤을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한 모양의 만곡한 헤드부를 가지는 가동식의 센서헤드와; 이 센서헤드를 수납하는 원통형의 센서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의 하단이 상기 센서하우징 안으로 들어갈 경우, 이 헤드부의 하단의 외주면과 센서하우징의 상단의 내주면의 사이에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의 아래 부분이 위에서 보았을 때 고리모양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속 주조기, 롤 간격, 측정, 장치, 센서, 더미바

Description

롤 간격 측정장치{Equipment for measuring roll gap}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에 있어서의 롤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기는 주편 통로를 따라서 나란히 놓인 복수의 마주한 롤(가이드 롤)을 구비하고 있다. 주편은 이 마주한 롤에 가이드 되어 상기한 주편 통로를 통과한다. 이 가이드 롤의 간격에 이상이 발생하면 주편 중심의 편석이나 내부균열과 같은 품질저하를 가져올 위험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롤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시키는 일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가이드 롤 사이의 간격 측정이 행해지고 있다.
연속주조기의 롤 간격 측정에는 주조 개시 때 사용하는 더미 바에 설치한 롤 간격 측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롤 간격 측정장치로서 일본특허공보 평성10-274502호에 개시된 롤 간격 측정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롤 간격 측정장치는 롤에 접촉하여 가동하는 센서헤드와 이 센서헤드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계로 구성된 센서장치를 더미바의 상하에 2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이 롤 간격 측정장치에 의하면, 앞서 기술한 더미바가 연속하는 각각의 마주한 롤 사이를 이동할 때, 이 롤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특허와 같이 가동면측(일반적으로 L면측)의 롤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센서장치와, 고정면측(일반적으로 F면측)의 롤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센서장치를 수평방향으로 각기 다른 위치에 상하로 배치하면, 이들 센서장치가 검출한 변위량의 위상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일본특허공개 2006-231350호에서는 2개의 센서장치를 상하에 대향 배치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각 센서장치를 상하에 대향 배치한 종래의 롤 간격 측정장치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롤 간격 측정장치(10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 롤 간격 측정장치(101)는 가동면측(일반적으로 L면측)의 롤(102)과 접촉하는 센서헤드(103)와 센서헤드(103)를 수납하는 원통형의 센서 하우징(104)을 포함하는 센서장치(105); 고정면측(일반적으로 F면측)의 롤(110)과 접촉하는 센서헤드(111)과 센서헤드(111)를 수납하는 원통형의 센서 하우징(112)을 포함하는 센서장치(113);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장치(105)의 센서헤드(103)는 원통형의 본체부(103a)와 이 본체부(103a)의 상단에 원추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정상부가 롤(102)쪽으로 돌출되 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의 헤드부(103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센서헤드(103)는 그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106)에 의해서 롤(102)을 향한 반발력을 가지며, 그 변위가 검지로드(107)를 통해서 변위계(108)에 의해서 측정된다.
센서장치(113)도 센서장치(105)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센서장치(113)의 센서헤드(111)는 본체부(111a)와 헤드부(111b)로 되어 있고 스프링(114)에 의해서 센서헤드(111)가 롤(110)을 향한 반발력을 가지며 그 변위가 검지로드(115)를 통해서 변위계(116)에 의해서 측정된다. 그리고 2개의 센서장치(105, 113)는 이들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117) 에 의해 일체화 되어 있다.
전술한 센서장치(105, 113)에서 센서헤드(103, 111)가 각각 롤(102, 110)에 접촉하면, 스프링(106, 114)을 누르면서 헤드부(103b, 111b)가 센서 하우징(104, 112)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센서헤드(103)를 살펴보면, 도 10의 부분단면도에 도시한 것처럼 헤드부(103b)의 하단 외주면과 센서 하우징(104)의 상단의 내주면 사이에 연직방향 아래로 끝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틈새 a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더미바의 진행에 수반하여 롤(102)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x, 예를 들어 스케일이나 연속주조개시 때에 사용하는 냉각재 등이 틈새 a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더미바가 진행방향 D로 계속 진행하면, 예를 들어 센서헤드(103)가 최소간격을 갖는 마주하는 롤을 통과할 때 헤드부(103b)가 스프링(106)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려 하여도, 이물질 x가 끼이는 현상이 발 생하여, 이물질 x가 방해물이 되어 헤드부(103b)가 원위치까지 돌아오지 않을 위험성이 있다. 센서헤드(103)의 헤드부(103b)가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으면, 롤 간격의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측정되더라도 정확한 측정치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물질 x가 끝이 좁은 모양의 틈새 a에 들어가 끼어버리면 이 이물질 x는 쉽게 바깥으로 나오지 못하므로 롤 간격측정을 중단하고 롤 간격 측정장치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물질 x의 끼임 현상은 가동면측(일반적으로 L면)의 롤(102)과 접촉하는 센서헤드(103)에서 현저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고정측면(일반적으로 F면)의 롤(110)을 검출하는 센서장치(113)의 센서헤드(111)는 아래 방향이기 때문에, 발생한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서 그대로 떨어져 헤드부(111b)의 외주면과 센서 하우징(112)의 내주면과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새에 들어가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물질 x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방안의 하나로 끝이 좁은 형상의 틈새 a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센서하우징(104)의 길이(높이)를 짧게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센서헤드(103)가 센서하우징(104)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길게 되어 롤(102)에 접촉할 때의 충격으로 휘어지거나 틀어지고 심지어는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다른 방안으로 센서헤드(103)와 헤드부(103b)의 만곡한 형상을 위에서 기술한 가는 원추형상에서 좀더 완만한 형상으로 바꿔서, 끝이 좁은 틈새 a의 끝단부의 각도(도 10에 표시된 각도 α)를 둔각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 나, 이 경우 헤드부(103b)의 상하 움직임이 작아지기 때문에 헤드부(103b)가 검출 할 수 있는 변위량의 피크치도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측정정밀도가 저하 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헤드의 길이(센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센서헤드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측정정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또한 이물이 끼이는 현상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롤 간격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롤 간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즉, (1)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의 주편통로를 사이에 끼고 대향 배치되어 있는 롤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적어도 한 대의 센서장치를 갖춘 롤 간격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센서장치는 원통형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상단에 원추형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고 그 정상부가 상기 각 롤 중 상부의 롤을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한 모양의 만곡한 헤드부를 가지는 가동식의 센서헤드와; 이 센서헤드를 수납하는 원통형의 센서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의 하단이 상기 센서하우징 안으 로 들어갈 경우, 이 헤드부의 하단의 외주면과 센서하우징의 상단의 내주면의 사이에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의 아래 부분이 위에서 보았을 때 고리모양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기재의 롤 간격 측정장치에 의하면, 헤드부의 하단이 센서 하우징 상단의 내주면에 대해서, 고리모양의 평면을 매개로 틈새를 이루고 있어, 센서헤드의 축을 포함한 단면에서 보면 이 헤드부의 하단과 센서의 하우징의 상단의 내주면의 사이에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의 형상은 종래의 끝이 좁아지는 형상이 아니라, 고리모양의 평면을 밑면으로 하는 뒤집힌 사다리꼴 모양과 비슷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이 공간 내에 유입되는 이물질이 고리모양의 평면에 수용되므로, 헤드부의 하단과 센서 하우징의 상단 내주면과의 사이 틈새에 끼어드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2) 상기 (1)에 기재된 롤 간격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리모양 평면의 폭은 0.5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이 조사한 결과, 이런 종류의 연속주조기의 주편 통로에 있어서, 센서헤드와 센서 하우징의 틈에 끼는 이물질의 크기는 0.5mm보다 작았다. 그러므로 앞서 기재한 고리 모양의 평면의 폭을 0.5mm 이상으로 하면 이물질이 끼는 현상을 좀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1)에 기재된 롤 간격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헤 드부의 하단과 본체부의 상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단차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단차가 수용부의 아래부분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수용부내 이물질이 유입된다 해도 센서헤드가 원래 위치로 복귀될 때, 단차에 의해 이물질이 수용부의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4) 상기 (1)에서 기재된 롤 간격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를 탑재하는 센서블록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롤 중 고정면 측의 롤과 접촉하는 면의 상기 센서블록의 부재는, SCM440 이상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촉 면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좀더 높은 정밀도의 측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5) 상기 (1)의 기재된 롤 간격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블록은 여러 개의 부재로 분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부재 중 마모된 부재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롤 간격 측정장치에 의하면, 이를 더미바에 탑재하여 마주한 롤간의 간격측정을 하는 경우, 센서헤드의 길이가 변하지 않고 센서헤드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센서 하우징과 센서헤드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마주하는 롤 간격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탑재된 더미바(1)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더미바(1)는 여러 개의 링크재(1a)와 샤프트(1b)를 갖추고 있고, 도시되지 않은 턴디쉬로부터 주형(2)을 통하여 주조되는 용강(3)을 선도하며 복수개의 마주한 롤(4, 5) 간에 형성되는 주편의 통로 내를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롤 간격 측정장치가 탑재된 더미바(1)의 저면(底面)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바(1)의 더미바 헤드(6) 측, 즉 연속주조기의 이송방향의 앞쪽에 설치된 센서링크(7)의 폭 방향으로 양단 근처에 설치된 1쌍의 센서블록(8)의 각각에, 아래위로 나란히 설치되어 마주한 롤(4, 5)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장치(10, 20)를 구비한 롤 간격 측정장치(S)가 설치되어 있다(도 2에는 센서장치(10)가 생략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센서장치(10)는 가동면측(도의 위쪽)의 각 롤들(4)의 변위를 측정한다. 그리고 고정면측(도의 아래쪽)에 설치된 센서장치(20)는 각 롤들(5)의 변위를 측정한다. 이 쌍방의 센서장치(10, 20)에 의해 측정된 변위량의 측정결과에 의해, 마주한 각각의 롤(4, 5)간의 간격이 측정된다.
도 3a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쪽의 센서블록(8) 즉, 고정면측의 롤(5)과 접촉하는 면(9)을 갖는 부재는, 복수의 접촉부재(9a~9g)으로 분해될 수 있다. 이 접촉부재(9a~9g)는 센서블록(8)의 본체(8a)에 대하여, 따로따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접촉부재(9a~9g)는 SCM440 이상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롤 간격 측정장치(S)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가동면측(일반적으로 L면측)의 롤(4)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센서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센서장치(10)는 롤(4)과 접촉하는 센서헤드(11)와; 센서블록(8)의 본체 및 연결부재(30)가 양측에 마주보며 고정되며, 센서헤드(11)를 내부에 수납하는 원통형의 센서하우징(12);을 가지고 있다.
센서헤드(11)는 원통모양의 본체부(11a)와; 본체부(11a)의 상단에 원추형을 이루며 연결되고, 그 정상부가 롤(4)을 향하여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는 헤드부(11b);를 가지고 있다. 센서헤드(11)의 내부에 형성된 계지부(11c)와 연결부(30) 사이에는, 도면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스프링(13)이 배치되어, 센서헤드(11)를 센서하우징(12)에 대하여 도면 위쪽, 즉 롤(4)을 향하여 접촉하도록 한다. 또, 센서헤드(11)의 하단에는 프렌지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렌지부(11d)가 센서하우징(12)의 계지부(12a)에 걸려있어, 센서헤드(11)는 센서 하우징(12)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센서헤드(11) 내부의 중심부에는 검지로드(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지로드(14)는 그 상단이 헤드부(11b)의 하면에 접해 있어 서, 헤드부(11b)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서 검지로드(14)도 상하로 움직이고. 이러한 상하 움직임이 변위계(15)에 전달되어 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센서헤드(11)에서 헤드부(11b)의 하단부와 본체(11a)의 상단부의 틈새에는 도 5 및 6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고리모양의 단차(11e)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11e)의 폭 d가 0.5mm로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보여주는 것과 같이 롤(5) 측의 기준위치에 대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센서장치(20)도, 센서장치(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센서장치(20)는 롤(5)과 접촉하는 센서헤드(21)와; 센서블록(8)의 본체와 연결부재(30)가 양측에 마주보며 고정되며, 센서헤드(21)를 내부에 수납하는 원통형의 센서하우징(22);을 구비하고 있다. 센서헤드(21)는 원통모양의 본체부(21a);와 정상부가 롤(5)를 향하여 볼록한 모양을 이루도록 만곡한 형상의 헤드부(21b);를 가지고 있다. 또 센서헤드(21)의 내부 계지부(21c)와 연결부재(30)의 사이에 스프링(23)이 배치되어 있어 센서헤드(21)가 센서하우징(22)에 대해서 연직방향 아래쪽으로(즉, 롤(5)측을 향해서) 눌려진다. 또 센서헤드(21)의 안쪽 중심부에는, 검지로드(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지로드(24)는 그 하단이 헤드부(21b)의 상면과 접해있어서 헤드부(21b)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서 검지로드(24)도 상하로 움직이고, 이러한 움직임이 변위계(25)에 전달되어 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롤 간격 측정장치(S)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롤 간격 측정장치(S)가 탑재된 더미바(1)가 용강( 3)을 선도하여 복수개의 마주한 롤(4, 5)로 형성된 주편 통로를 이동하게 되면, 센 서장치(10)의 센서헤드(11)가 롤(4)에 접촉하는 것과 동시에, 센서장치(20)의 센서헤드(21)가 롤(5)과 접촉하여, 이에 의해 마주한 롤(4, 5)간의 간격을 측정하게 된다.
센서장치(10)에 대해 설명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4)과 접촉한 센서헤드(11)는 스프링(13)에 의한 반발력에 저항하며 아래방향으로 눌러져서, 센서하우징(12) 내부에 수납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센서헤드(11)의 헤드부(11b) 하단이 센서하우징(12) 안으로 들어갔을 때 헤드부(11b)의 하단의 외주면과 센서하우징(12)의 상단의 내주면의 틈새에 형성된 단차(11e)에 의해, 저면 모양이 위에서 보았을 때 고리모양을 이루면서 연직 단면의 형상이 뒤집힌 사다리꼴 모양인 수용부 AP가 형성된다.
따라서 더미바(1)가 전기 주편 통로 내부를 이동할 때, 냉각재나 스케일 등의 이물질 x가 발생해서 센서헤드(11)의 헤드부(11b)의 외주면과 센서하우징(12)의 내주면 사이로 들어와도, 이 이물질 x는 수용부 AP에 수용된다. 수용부 AP의 연직 단면도 형상은 종래와 같이 끝이 좁아지는 형태(테이퍼 형상 또는 V자 형상)가 아니라 앞에 기재한 것과 같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물질 x는 수용부 AP의 저면, 즉 단차(11e)에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더미바(1)의 진행에 따라 롤(4)에 대한 센서헤드(11)의 접촉이 끝나고, 스프링(13)에 의해 센서헤드(11)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이물질 x는 단차(11e)에 의해 저절로 센서하우징(12)의 밖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이물질 x가 틈에 끼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센서헤드(11)가 원활하게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롤 간격의 측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센서헤드(11)가 센서하우징(12)에서 돌출된 길이 자체는 변하지 않으므로, 센서헤드(11)의 안전성도 그대로 확보된다.
연속주조기의 롤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은 대체로 0.5mm 미만이므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용부 AP의 저면을 구성하는 단차(11e)의 폭 d를 0.5mm로 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0.5mm~2mm, 예를 들면 1mm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차(11e)는 도 8의 확대 단면도에서 본 경우, 전기 고리모양의 평면인 저면(11e1)과, 이 저면(11e1)에 연결되는 동시에 연직방향 위쪽을 따라 전기 센서하우징(12)의 상단 내주면에 의해 간격이 점점 벌어지는 경사면 (11e2)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0.5mm 이상의 비교적 큰 이물 x가 수용부 AP에 들어간다고 하여도, 센서헤드(11)가 스프링(13)의 반발력에 의해 위쪽으로 복귀할 때의 복원력과 경사면(11e2)의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이러한 큰 이물질 x를 수용부 AP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장치(10, 20)가 탑재되어 있는 센서블록(8)의 고정면측의 롤(5)과 접하는 접촉면(9)에는 SCM440 이상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 부재가 사용되므로, 기준면이 마모에 의해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접촉면(9)를 갖는 부재는 복수의 부재(9a~9g)로 분해될 수 있으므로 접촉부재(9a~9g)를 센서블록(8)의 본체(8a)에 대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마모가 심한 부분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 간격 측정장치를 장착한 더미바가 연 속주조기의 주편 통로를 통과하는 때의 모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 간격 측정장치를 장착한 더미바의 저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 간격 측정장치를 탑재한 센서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센서블록을 도 3a의 도의 위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 간격 측정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 간격 측정장치의 센서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 간격 측정장치가 한 쌍의 롤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롤 간격 측정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확대한 그림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더미바 1a : 링크재 1b : 샤프트
2 : 주형 3 : 용강 4 : 롤
5 : 롤 6 : 더미바헤드 7 : 센서링크
8 : 센서블록 8a : 본체 9 : 접촉면
9a~9g : 접촉부재 10 : 센서장치 11 : 센서헤드
11a : 본체부 11b : 헤드부 11c : 계지부
11d : 플렌지부 11e : 단차 11e1 : 저면
11e2 : 경사면 12 : 센서하우징 12a : 계지부
13 : 스프링 14 : 검지로드 15 : 변위계
20 : 센서장치 21 : 센서헤드 21a : 본체부
21b : 헤드부 21c : 계지부 22 : 센서하우징
23 : 스프링 24 : 검지로드 25 : 변위계
30 : 연결부재
AP : 수용부 D : 이송방향 S : 롤 간격 측정장치
a : 틈새 d : 폭 x : 이물질

Claims (5)

  1. 연속주조기의 주편통로를 사이에 끼고 대향 배치되어 있는, 롤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적어도 1대의 센서장치를 가진 롤 간격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는,
    원통형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상단에 원추형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고 그 정상부가 상기 각 롤 중 상부의 롤을 향하여 돌출되어 볼록한 모양의 만곡한 헤드부를 가지는 가동식의 센서헤드와;
    이 센서헤드를 수납하는 원통형의 센서하우징;
    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의 하단이 상기 센서하우징 안으로 들어갈 경우, 이 헤드부의 하단의 외주면과 센서하우징의 상단의 내주면의 사이에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의 아래 부분이 위에서 보았을 때 고리모양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모양의 평면의 폭은 0.5 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헤드부의 하단과 상기 본체부의 상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단차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를 탑재하는 센서블록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롤 중 고정면 측의 롤과 접촉하는 면의 상기 센서블록의 부재는 SCM440 이상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부재를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블록은 복수의 부재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KR1020090043468A 2008-05-19 2009-05-19 롤 간격 측정장치 KR20090120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0461 2008-05-19
JP2008130461A JP5352123B2 (ja) 2008-05-19 2008-05-19 ロール間隔測定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419A true KR20090120419A (ko) 2009-11-24

Family

ID=4134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468A KR20090120419A (ko) 2008-05-19 2009-05-19 롤 간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52123B2 (ko)
KR (1) KR20090120419A (ko)
CN (1) CN102026748B (ko)
BR (1) BRPI0912775B1 (ko)
WO (1) WO2009142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868B1 (ko) * 2014-08-14 2016-04-22 주식회사 포스코 롤 크리닝 장치
CN110345893A (zh) * 2019-08-20 2019-10-18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一种架空输电线路弧垂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9561U (ja) * 1991-05-17 1992-11-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設備の診断装置
JPH10274502A (ja) * 1997-03-28 1998-10-13 Sumitomo Metal Ind Ltd ロール間隔測定装置
KR200278266Y1 (ko) * 1997-08-08 2002-11-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장치의가이드로울러
JP4392366B2 (ja) * 2005-02-23 2009-12-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鋳造機のロール間隔測定方法及びロール間隔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2775A8 (pt) 2017-03-07
CN102026748B (zh) 2013-07-24
WO2009142207A1 (ja) 2009-11-26
BRPI0912775B1 (pt) 2017-10-24
BRPI0912775A2 (pt) 2015-10-13
JP2009274129A (ja) 2009-11-26
JP5352123B2 (ja) 2013-11-27
CN102026748A (zh)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7271A (en)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secondary cooling zone roller gaps in continuous casting machine
CN107921527B (zh) 铸造模具和用于检测铸造模具中熔融金属温度分布的方法
KR20090120419A (ko) 롤 간격 측정장치
JP6596163B2 (ja) 鋳造機のロールギャップの測定装置
JP5444733B2 (ja) 連続鋳造機のスプレーノズル詰まり検知方法及び検知装置
KR101332950B1 (ko) 롤 진단 방법
JP4392366B2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間隔測定方法及びロール間隔測定装置
EP1128921B1 (en) Measuring means for roller gaps in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KR102041479B1 (ko) 세그먼트 및 주조 방법
KR200265099Y1 (ko) 연속주조기의 포켓 측정장치
KR101304789B1 (ko) 롤 하중 측정장치
KR101526450B1 (ko)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JP5009088B2 (ja) 連続鋳造開始時の鋳型内湯面変動の防止方法
KR200167379Y1 (ko) 몰드 폿롤의 얼라이먼트 조정장치
KR20000006409U (ko) 래들용 포러스 플럭의 잔존예측장치
KR20020052753A (ko) 연속주조기의 롤 갭을 측정하는 롤 갭 측정센서
KR101087383B1 (ko) 주편 변형 감지 장치
Pritchard et al. The Monitoring of the Alignment of Continuous Casting Machines
KR19990017269U (ko) 주형측면 지지롤의 정렬상태 측정장치
KR20010108979A (ko) 랜스의 거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2014124670A (ja) 浸漬ノズル支持レバー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