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450B1 -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450B1
KR101526450B1 KR1020130108462A KR20130108462A KR101526450B1 KR 101526450 B1 KR101526450 B1 KR 101526450B1 KR 1020130108462 A KR1020130108462 A KR 1020130108462A KR 20130108462 A KR20130108462 A KR 20130108462A KR 101526450 B1 KR101526450 B1 KR 10152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veying roller
conveying
support member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358A (ko
Inventor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0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4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0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casting wheel and belt, e.g. Properzi-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를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물체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들 중 피측정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측정기를 포함하여,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Apparatus for aligning rollers}
본 발명은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이 주형을 통과하면서 주편으로 인발된다. 이렇게 인발된 주편은 세그먼트 설비의 하단부를 통과한다. 그러면, 미리 설정된 제어값에 의해 실린더가 축소동작을 하면서 상부 이송롤러와 하부 이송롤러의 이격거리가 짧아져 주편의 상하부면을 누르게 되어 주편의 두께가 점차 축소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 개의 세그먼트를 통과한 주편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슬라브(Slab)가 된다.
그런데, 세그먼트 설비의 오랜 사용으로 세그먼트 설비의 이송롤러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송롤러가 정위치에서 벗어나면, 주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 설비의 이송롤러 정렬작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틈세 게이지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측정오차가 발생되어 왔다. 이에,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오차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49370
본 발명은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오차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송롤러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체를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물체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들 중 피측정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측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기는, 상기 지지부재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상기 고정부재보다 하향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이송롤러 상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 하부에서 상기 이송롤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며 상기 지지부재를 이송롤러와 상호 이격시켜준다.
상기 측정기는, 상부가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부재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신장수축이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기는,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알려주는 알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지지부재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측정기는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측정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변동을 감지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들이 하나의 접촉부재와 연결된다.
상기 물체는 주조공정에서 생산되는 주편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는 주조기 세그먼트에 구비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는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이에, 틈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할 때보다 오차없이 정확하게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장치는 복수의 측정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문제가 있는 이송롤러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롤러가 주조공정에서 생산되는 주편을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측정장치를 사용하면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주조작업 후 상시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측정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이송롤러를 발견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이송롤러가 정확한 측정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사람의 실수로 인한 측정값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측정값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관리할 수 있어 주편의 품질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기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그먼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상태의 이송롤러를 측정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 상태의 이송롤러를 측정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가 조정된 이송롤러를 측정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철강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롤러를 구비하는 다양한 기계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는 물체를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물체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710), 상기 지지부재(7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720), 및 상기 지지부재(71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들 중 피측정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측정기(7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송되는 물체는 주편일 수 있고, 이송롤러는 주조기 세그먼트(500)에 구비되는 하부 이송롤러(540)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의 롤러들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기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기 세그먼트(500)의 정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가 사용될 수 있는 주조기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기는 용강이 담겨있는 용기인 레이들(Ladle)(100)과, 레이들(100) 하부에 배치되어 레이들(100)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이 저장되는 턴디쉬(200)와, 턴디쉬(2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턴디쉬(20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는 주형(300), 및 주형(300) 하부에 구비되어 주형(300)에서 생산되는 주편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세그먼트(500)를 포함한다.
레이들(100)은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강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레이들(100)의 하부에는 원통형 노즐(미도시)이 구비되어, 레이들(100) 하부에 배치되는 턴디쉬(200)에 용강을 공급한다. 그러나 레이들(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레이들(100)은 레이들 터렛(Ladle Turret)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될 수 있다.
턴디쉬(200)는 용강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이며, 그 하부에서 침지노즐(미도시)과 연결된다. 턴디쉬(200)의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용강이 턴디쉬(200)에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턴디쉬(200)의 저장공간 상면은 덮개로 덮여있을 수 있다. 덮개는 턴디쉬(200)의 내부에 저장되는 용강이 외부의 대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산화 및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공간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용강이 빠져나갈 수 있는 출강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침지노즐은 일단이 주형(20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고, 타단이 출강구와 연결된다. 침지노즐의 일단에는 용강이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침지노즐에는 슬라이딩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침지노즐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용강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턴디쉬(200)는 주형(300) 내로 용강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주형(300)은 턴디쉬(200)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주형(300)은 구조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들이 개구된 형태로서 턴디쉬(200)로부터 공급받은 용강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주형(300)의 벽면 내부에는 냉각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냉각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체가 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주형(300)에 공급되는 용강을 응고시켜 주편을 생산할 수 있다. 용강은 주형(300)을 이루는 벽면에 접한 부분부터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는 용강의 중심부보다는 주변부가 냉각유체에 의해 열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이때, 주형(300)은 용강이 응고되면서 주형(300)의 벽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주형(300)은 용강을 응고시켜 금속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틀일 수 있다. 상기의 턴디쉬(200)와, 침지노즐, 주형(300)은 상술된 구조 및 방식 외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그먼트(500)는 다수의 이송롤러(520,540)가 각기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30)과, 상부 프레임(510)과 하부 프레임(530)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미도시),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55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510)과 하부 프레임(530)에는 각기 다수의 이송롤러(520,540)가 상하 대향되도록 정렬된다. 이를 위해, 상부 프레임(510)의 하부면, 및 하부 프레임(53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이송롤러(520,540)를 위치 고정시켜 지지해주는 지탱부재(미도시)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주편이 이송롤러(520,540)와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510)과 하부 프레임(530)에는 연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510)과 하부 프레임(530)을 관통하며, 상부 프레임(510)과 하부 프레임(530)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하부 프레임(530)에 형성된 관통홀을 지나 하측으로 노출된 연결부재의 하단에는 연결부재를 하부 프레임(5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링(미도시)이 결합된다. 또한,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510)의 상측에는 실린더(550)가 구비되고, 연결부재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510)의 관통홀을 지나 실린더(550)와 결합된다. 이에, 실린더(550)의 작동으로 연결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550)의 구동을 제어하면, 주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이송롤러(520,54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주편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의 형상이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측면도이다.
하기에서는 이송롤러 측정장치의 구조와 사용되는 영역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이송롤러 측정장치가 세그먼트(500)의 하부 이송롤러(이하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경우로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는 이송되는 물체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710), 상기 지지부재(7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540)와 접촉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720), 및 상기 지지부재(710)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들(540) 중 피측정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측정기(730)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는 지지부재(710)의 단부에 구비되는 흔들림 방지부재(750)와 손잡이(7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710)는 물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710)는 이송롤러(54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복수의 이송롤러(540)를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7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720)와 측정기(73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710)에는 수평 게이지(미도시)가 설치되어 후술될 고정부재(720)가 이송롤러(540)의 상부와 접촉할 때, 지지부재(710)가 수평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게이지를 통해 지지부재(710)가 수평인지 확인한 후 피측정 이송롤러(542,543)의 정렬상태를 측정함으로 측정값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710)의 형상이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고정부재(720)는 지지부재(710)의 양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이송롤러(540)와 대향하여 접촉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720)는 지지부재(710)와 이송롤러(540) 사이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720)는 이송롤러(540) 상에서 측정기(730)가 위치되어 이송롤러(540)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720)의 형상이나 구조,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측정기(730)는 양쪽의 고정부재들(7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재(710) 하부와 연결되는 센서(735)를 포함하며, 센서(735)와 연결되는 알림부재(737), 센서(735)와 연결되는 접촉부재(733), 일단이 지지부재(7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접촉부재(733)와 연결되는 탄성부재(73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735)는 일단이 지지부재(710)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될 접촉부재(733)와 연결된다. 센서(735)는 접촉부재(733)의 위치변화에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에, 접촉부재(733)에 의한 변형량을 통해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접촉부재(733)가 구비되지 않고 센서(735)가 직접 센서(735) 단부로부터 이송롤러(54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센서(735)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접촉부재(733) 또는 이송롤러(540)의 위치변동을 측정할 수 있다.
접촉부재(733)는 일면이 센서(735)와 연결되고, 타면이 이송롤러(540)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소정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이 센서(735)와 연결되고, 타면이 이송롤러(54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접촉부재(733)는 피측정 이송롤러(542,543)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돌출된 이송롤러를 의해 돌출된 이송롤러와 접촉하는 일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접촉부재(733)가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피측정 이송롤러(542,543)가 하향으로 들어가 있으면, 접촉부재(733)의 들어가 있는 이송롤러와 접촉하는 일단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기울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재(733)와 연결된 센서(735)는 접촉부재(733)의 이동에 의해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부재(733)의 구조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부재(731)는 일단이 접촉부재(733)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부재(710)와 연결되어, 접촉부재(733)와 지지부재(71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731)는 스프링일 수 있고, 이에 접촉부재(733)가 이동할 때 신장하거나 수축하여 변형되면서, 접촉부재(731)가 지지부재(7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해줄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731)의 형상이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알림부재(737)는 센서(735)와 연결되어 센서(735)의 측정값을 작업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방법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부재(735)로 디지털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센서(735)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에 대한 측정값을 취합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알림부재(737)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센서(735)의 측정값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센서(735), 알림부재(737), 접촉부재(733), 탄성부재(731)는 상술된 구조 및 방식 외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의 측정기(730)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재들(720) 사이에 두 개의 측정기(7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정기(730)를 구비하여 복수의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센서(735)들이 하나의 접촉부재(73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이 있는 이송롤러(543)가 있다면, 접촉부재(733)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문제가 있는 이송롤러(543)를 향하여 기울여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문제가 있는 이송롤러(543)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알림부재(737)를 통해 복수의 이송롤러(540)의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어 이상이 있는 이송부재(540)에 대해 조처를 취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구비되는 측정기(7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부재(750)는 지지부재(710)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부재(720)보다 하측으로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흔들림 방지부재(750)는 이송롤러(540)들의 롤러와 롤러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를 이용하여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때, 롤러와 롤러 사이에 끼워진 흔들림 방지부재(750)가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가 이송롤러(540) 상에서 흔들리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흔들림 방지부재(750)의 형상이나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손잡이(760)는 지지부재(710)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760)는 측정기(730)를 감싸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알림부재(737)를 감싸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760)를 잡고 용이하게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를 들고다닐 수 있다. 이에, 측정하기를 원하는 이송롤러(540) 상에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를 위치시켜 언제든지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760)의 형상이나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상태의 이송롤러(540)를 측정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 상태의 이송롤러(540)를 측정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가 조정된 이송롤러(540)를 측정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길이는 이송롤러들(540) 중 4개 상에 배치될 수 있는 크기이고, 좌우 끝 부분 이송롤러(541,544) 상에 고정되어 다른 2개의 이송롤러(542,543)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경우로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는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개수의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를 이송롤러(541,544) 상에 올려둔다. 즉,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고정부재(720)가 이송롤러(541,544) 상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이송롤러(541,544)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흔들림 방지부재(750)를 통해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접촉부재(733)가 피측정 이송롤러(542,543)와 접촉하여, 접촉부재(733)와 연결된 센서(735)가 피측정 이송롤러(542.543)의 위치변동을 감지한다. 피측정 이송롤러(542,543)가 정상상태라면, 도 4a와 같이, 접촉부재(733)가 물체의 이송방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알림부재(737)를 통해 센서(735) 측정값을 확인하여 정확하게 피측정 이송롤러(542,543)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b와 같이, 피측정 이송롤러(542,543)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노후 등으로 인해 이송롤러(543)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그러면, 접촉부재(733)가 물체의 이송방향과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문제가 있는 이송롤러(543)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육안으로 바로 이송롤러(543)의 위치가 변동되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재(737)를 통해 센서(735)의 측정값을 확인하여 정확하게 피측정 이송롤러(542,543)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피측정 이송롤러(542,543)의 정렬상태에 문제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조정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30) 내부에는 이송롤러(540)를 지지해주는 받침대(590)가 구비되고, 이송롤러(540)와 받침대(590) 사이에는 앵커볼트(5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에 문제가 생겨 이송롤러(540)의 높이가 낮아졌다면, 도 4c와 같이, 받침대(590)와 앵커볼트(535) 사이에 변화된 높이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플레이트(P)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를 이용하여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에 나타나는 측정값이 여전히 문제가 있다면, 플레이트(P)를 사용하여 이송롤러(540)의 높이를 재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는 변형 예를 가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지지부재(710)의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710)가 복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플레이트들이 일부가 서로 중첩되고, 이러한 플레이트들의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지지부재(71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720)가 이상이 있는 이송롤러(545)와 접촉하여 지지부재(710)의 수평을 맞출 수 없는 경우, 지지부재(710)를 연장하여 고정부재(720)가 다른 이송롤러(546)와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700)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지지부재(710)만 연장하여 이송롤러(54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주조기 세그먼트에 구비되는 하부 이송롤러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는 다양한 설비들에서 구비되는 롤러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700: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710: 지지부재
720: 고정부재 730: 측정기
731: 탄성부재 733: 접촉부재
735: 센서 737: 알림부재

Claims (12)

  1. 물체를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롤러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물체의 이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며, 수평 게이지가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들 중 피측정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가능한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상기 지지부재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상기 고정부재보다 하향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이송롤러 상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 하부에서 상기 이송롤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며 상기 지지부재를 이송롤러와 상호 이격시켜주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상부가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부재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신장수축이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으로 알려주는 알림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8. 삭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피측정 이송롤러의 위치변동을 감지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이 하나의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주조공정에서 생산되는 주편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는 주조기 세그먼트에 구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KR1020130108462A 2013-09-10 2013-09-10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KR10152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462A KR101526450B1 (ko) 2013-09-10 2013-09-10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462A KR101526450B1 (ko) 2013-09-10 2013-09-10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58A KR20150029358A (ko) 2015-03-18
KR101526450B1 true KR101526450B1 (ko) 2015-06-05

Family

ID=5302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462A KR101526450B1 (ko) 2013-09-10 2013-09-10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612A (en) * 1984-12-07 1987-07-14 Fried. Krupp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Guide assembly for a twin-belt continuous casting mold
KR19980016559U (ko) * 1996-09-18 1998-06-25 김종진 연주 가이드롤의 처짐량측정장치
KR20120122089A (ko) * 2011-04-28 2012-11-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주조용 스트랜드 롤의 정렬상태 측정기, 그 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방법
KR20130009156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612A (en) * 1984-12-07 1987-07-14 Fried. Krupp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Guide assembly for a twin-belt continuous casting mold
KR19980016559U (ko) * 1996-09-18 1998-06-25 김종진 연주 가이드롤의 처짐량측정장치
KR20120122089A (ko) * 2011-04-28 2012-11-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주조용 스트랜드 롤의 정렬상태 측정기, 그 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장치 및 방법
KR20130009156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58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17102A (ja) タブレットプレスの測定装置の較正及びバランシング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596163B2 (ja) 鋳造機のロールギャップの測定装置
JP2015009486A (ja) グラフ表示機能を有する射出成形機
EP3403742A1 (en) Mold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ld displacement detecting method for upper and lower molds
KR101526450B1 (ko) 이송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JP6036659B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ロール開度管理方法
WO2019163221A1 (ja) キャビティ部のずれによる不良を防止する方法
CN103140312A (zh) 用于在制造金属带材的连续的铸造过程中定位两个铸造辊中的至少一个铸造辊的装置和方法
CN103561887A (zh) 用于监控连续铸造设备中的钢锭模的板的控制仪器和方法
CN112268793A (zh) 管材环刚度检测用内径变形测量工艺及装置
JP2010172921A (ja) 連続鋳造機のスプレーノズル詰まり検知方法及び検知装置
JP7069143B2 (ja) プレス装置
KR101701325B1 (ko) 주조 방법 및 주조 장치
CN207456397U (zh) 一种重张检测系统及检测台
US20180087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wall of a container such as a yoghurt cup
KR101704519B1 (ko) 용탕 레벨 센서 위치 확인 장치
KR101510264B1 (ko) 피처리물 이송장치
KR101499944B1 (ko) 폭 압연롤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폭 압연롤 측정방법
US10799941B2 (en) Flask mating misalignment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device for molds with flasks
CN210893036U (zh) 一种硅锭尺寸检测设备
KR20160068038A (ko) 벤더 세그먼트 승강장치
KR101307358B1 (ko) 트레드 조인트 상태 감지 장치
JP2009274129A (ja) ロール間隔測定装置
CN202048881U (zh) 数控孔型机床垂直基准借移检测装置
KR101536467B1 (ko) 노즐 위치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턴디쉬카 및 이를 이용한 턴디쉬 센 노즐의 위치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