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060A -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 - Google Patents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060A
KR20090119060A KR1020080044884A KR20080044884A KR20090119060A KR 20090119060 A KR20090119060 A KR 20090119060A KR 1020080044884 A KR1020080044884 A KR 1020080044884A KR 20080044884 A KR20080044884 A KR 20080044884A KR 20090119060 A KR20090119060 A KR 2009011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harcoal
weight
til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08004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9060A/ko
Publication of KR2009011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2Carbides; Nitrides; Borides ; Silicides
    • C04B14/322Carb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사 및 습기 조절, 항균, 탈취기능을 갖도록 부피가 큰 숯을 숯 알갱이로 파쇄하여 백색 시멘트와 혼합하여 타일로 소성한 후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부착함으로써 숯이 가지고 있는 효과를 숯 알갱이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타일 자체만으로도 숯 알갱이와 백색 시멘트의 흑백 대비에 의해 조화를 이루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에 관한 것이다.
타일, 숯 알갱이

Description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tile}
본 발명은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사 및 습기 조절, 항균, 탈취기능을 갖도록 부피가 큰 숯을 숯 알갱이로 파쇄하여 백색 시멘트와 혼합하여 타일로 소성한 후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부착함으로써 숯이 가지고 있는 효과를 숯 알갱이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타일 자체만으로도 숯 알갱이와 백색 시멘트의 흑백 대비에 의해 조화를 이루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발코니, 주방 등의 벽면 및 바닥면에 사용되는 표면장식용 내장재로 타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 타일은 위생의 기능을 넘어서 실내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타일은 점토, 규석, 장석, 도석 등을 이용하여 특정 형태를 만든 다음 유약을 입혀 도자기를 굽듯이 1300도 내외에서 소성 시킨 자기 타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자기 타일은 가격이 저렴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연출할 수는 있으나 자 연 친화적인 분위기는 낼 수 없으며,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좋지 못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자연의 질감을 살린 타일이 선호되고 있는데 상기타일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각종 석재가루와 시멘트 등 여러 성분의 집합체로 형성하여 된 석재 타일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석재 타일은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는 하나, 화학 재료로 만들어진 내장재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유해 물질이 발생하게 되며 제작이 어렵고 표면이 오염되면 제거가 힘들어 주기적으로 표면 관리를 해야 함으로써 관리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최근 웰빙(well-being)문화가 사회 전반적으로 거세게 불면서 건축자재 분야에도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숯, 황토, 옥, 세라믹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숯의 효능은 각종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간이 경과 하여도 미생물이나 곰팡이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뛰어난 방부효과와, 오염된 공기와 물이 통과하면 놀랄 정도의 정화능력을 갖는 고성능 필터 기능과, 수분의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미크론 단위의 구멍이 고밀도로 분포되어 있어 탁월한 제습 및 습도조절 효과가 있다.
또한, 숯은 탄소덩어리이기 때문에 음이온을 무한정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저온에서도 원적외선을 원활하게 방출한다.
또한, 숯은 항균 및 해독효과와 천연 미네랄 성분에 의해 미용효과가 탁월하 며, 방부효과와 냄새제거 효과도 탁월하여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해서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악취를 흡착한다.
따라서 일부 가정 및 사무실에서는 숯을 바구니에 담아서 보관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숯을 이용하여 건축자재의 패널, 장판, 타일 등은 숯을 혼합한 제품이 일부 있으나, 숯을 그대로 사용하는 게 아니라 분쇄기에 의해 분말 처리하여 원재료와 혼합한 후 소성한다.
상기 제품들은 분말상태의 숯이 소량 혼합되어있어 시각적으로 숯이 혼합된 것을 인식하지못하는 것은 물론 제품설명서를 읽어 보고 숯의 혼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상기 숯이 함유된 제품은 숯의 성분이 미비하고 숯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하더라도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숯이 가지고 있는 효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숯 분말을 많이 혼합하여 소성할 경우 숯의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에 의해 제품 자체의 색상이 검게 됨으로써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숯을 분말형태로 사용하면 숯의 효능을 제대로 느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숯의 구조가 다공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습기를 조절하는 능력과 방부 작용 및 유해한 세균과 냄새를 흡착할 수 있으나 분말형태로 분쇄하면 다공성이 파괴되어 숯이 가지고 있는 기능 전부를 상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타일을 소성할 때 미립자 형태의 숯 분말을 사용하는 게 아니라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숯 알갱이로 파쇄하여 백색 시멘트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숯의 다공성을 확보하여 고유기능과 숯 알갱이와 백색 시멘트의 흑백대비에 의한 장식적인 면을 강조할 수 있는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숯을 숯 알갱이로 파쇄하여 백색 시멘트와 혼합하여 소성 함으로써 흑백조화에 의한 자연 무늬 또는 문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가지고 실내를 장식하면 미려한 실내 인테리어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숯 알갱이를 사용하여 다공성을 확보함으로써 음이온,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타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인 장식용 타일(1)을 소성하기 위해서는 참숯 중에서 백탄을 사용함으로써 숯 알갱이(2)와 백색 시멘트(3)의 흰색과 검은색이 대비되어 무늬 등을 형상화함으로써 장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별된 백탄을 바로 사용하는 게 아니라 부피 큰 백탄을 백색 시멘트(3)와 혼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파쇄기에 투입하여 입도가 10∼50mm 크기의 숯 알갱이(2)로 파쇄(100)한다.
상기 파쇄된 숯 알갱이(2)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등의 방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파쇄공정(100)에서 발생된 이물질 제거 및 기공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조에 투입하여 세척공정단계(101)를 거친다.
상기와 같은 크기로 파쇄하여 세척하는 이유는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유지하여 숯에서 방사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사 및 습기 조절, 항균, 탈취효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척된 숯 알갱이 60중량부(2), 백색 시멘트 30중량부(3), 물 10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교반하는 공정단계(102)를 거친 배합물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성형 틀에 넣고나서 잘 섞이도록 바이브 래터에 의해 진동하는 공정단계(103)를 거친다.
상기와 같이 진동 공정단계(103)를 거치는 이유는 성형 틀에 투입된 배합물 사이에 공기와 기포를 제거하여 서로 긴밀하게 압착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 공정단계(103)를 거쳐 압착된 배합물은 상온에서 1차 건조하는 공정단계(104)를 거쳐 건조로에 투입하여 45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 공정단계(105)를 거친다.
상기 2차 건조된 배합물을 상온에서 3차 건조 공정단계(106)를 거쳐 소성하여 성형 틀에서 분리한 소성물은 얇은 판 형상을 갖도록 절단기로 절단하는 공정단계(107)를 거친다.
상기 절단된 소성물의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이를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처리 공정단계(108)를 거쳐 완제품의 타일(1)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숯 알갱이(2)와 백색 시멘트(3)를 혼합할 때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접착제 대신에 유리분말 이나 세라믹분말을 더 투입함으로써 건조 공정단계(105)에서 유리분말 또는 세라믹분말이 녹아서 숯 알갱이(2)와 백색 시멘트(3)를 긴밀하게 접착한다.
따라서 숯 알갱이 60중량부(2), 백색 시멘트 25중량부(3), 물 10중량부에 유리 5중량부를 더 투입하여 교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일(1)은 성형 틀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소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타일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타일의 실물을 도시해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 타일(1)은 백색 시멘트 30중량부(3)와 입도가 10∼50mm 크기의 숯 알갱이 60중량부(2), 물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일(1)은 백색 시멘트(3) 사이에 숯 알갱이(2)가 고르게 혼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흑백 조화에 의해 하나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은 물론 표면이 코팅되지않아 숯 알갱이(2)에 다공성을 확보하고 있어 인체 유익한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사 및 습기 조절, 항균, 탈취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바구니에 숯을 담아 실내공간에 놓아두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벽면을 타일로 부착할 때 사용하거나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타일(1)의 일부분만 포인트를 줄 수 있도록 부착하여 장식적인 효과와 자연친화적인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한편 타일(1)의 크기에 따라 비례하게 숯 알갱이(2)의 크기를 선별하여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타일(1)이 작은 크기일 때는 숯 알갱이(2)의 크기를 작은 것을 사용하고, 반대로 타일(1)의 크기가 클 때는 큰 것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 타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 타일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타일의 실물을 도시해 보인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타일 2: 숯 알갱이
3: 백색 시멘트 100: 숯 파쇄 공정
101: 숯 세척 공정 102: 교반 공정
103: 진동 공정 104: 1차 건조공정
105: 2차 건조공정 106: 3차 건조공정
107: 절단 공정 108: 표면 처리공정
109: 완제품

Claims (3)

  1. 타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백탄을 파쇄기에 투입하여 입도가 10∼50mm 크기의 숯 알갱이로 파쇄하는 공정단계(100)와;
    상기 파쇄된 숯 알갱이(2)의 이물질 제거 및 기공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하는 공정단계(101)와
    상기 세척한 숯 알갱이 60중량부(2), 백색 시멘트 30중량부(3), 물 10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교반하는 공정단계(102)와;
    상기 교반된 배합물을 성형 틀에 넣고 잘 섞이도록 바이브 래터에 의해 진동하는 공정단계(103)와;
    상기 진동된 배합물을 상온에서 1차 건조하는 공정단계(104)와;
    상기 1차 건조(104)된 배합물을 건조로에 넣고 45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 공정단계(105)와;
    상기 2차 건조(105)된 배합물을 상온에서 3차 건조하는 공정단계(106)와;
    상기 3차 건조(106)에 의해 소성된 소성물을 성형 틀에서 분리하여 절단기로 절단하는 공정단계(107)와;
    상기 절단된 소성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처리 공정단계(108)와;
    상기 연마공정을 거쳐 타일(1)로 완성된 공정단계(109)를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공정단계(102)에는 숯 알갱이 60중량부(2), 백색 시멘트 25중량부(3), 물 10중량부에 유리 5중량부를 더 투입하여 교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3. 타일에 있어서
    백색 시멘트 30중량부(3), 입도가 10∼50mm 크기의 숯 알갱이 60중량부(2), 물 10중량부 혼합한 판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
KR1020080044884A 2008-05-15 2008-05-15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 KR20090119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84A KR20090119060A (ko) 2008-05-15 2008-05-15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84A KR20090119060A (ko) 2008-05-15 2008-05-15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060A true KR20090119060A (ko) 2009-11-19

Family

ID=4160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884A KR20090119060A (ko) 2008-05-15 2008-05-15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90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8400A (zh) * 2019-12-27 2020-05-05 深圳须弥云图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波打线地砖的制造方法及波打线地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8400A (zh) * 2019-12-27 2020-05-05 深圳须弥云图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波打线地砖的制造方法及波打线地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31642B (zh) 一种贝壳基空气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30084414A (ko) 원적외선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14115B1 (ko) 건축용 내장 판넬 제조방법
KR20100017003A (ko)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벽체 코팅 및 바름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0245567B1 (ko) 황토흙판 제조방법 및 제조공정
KR20040033097A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5113463A1 (en) Deodorizing and mothproofing composition using wood flour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90119060A (ko) 실내장식용 웰빙 타일의 제조방법 및 타일
KR101963211B1 (ko) 점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104B1 (ko) 숯가루를 함유한 침대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20100106682A (ko)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3293A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0791526B1 (ko) 장석을 주원료로 이용한 건축용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과그 판재
KR200457410Y1 (ko) 숯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KR20060070742A (ko) 황토 숯 보드의 제조 방법
KR100593313B1 (ko) 황토 아스라인 건축용 내외장재 제조방법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2661499A (zh) 一种含电气石的特种陶瓷砖及其制备方法和其复合砖
KR100837495B1 (ko) 음 이온을 방출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937B1 (ko) 현무암과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축용 내장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8914Y1 (ko) 숯을 이용한 건축자재
KR20100081033A (ko) 국화석 및 송이석 분말을 이용한 테라조 타일의 제조방법
KR200394331Y1 (ko) 옥석부산물을 이용한 건축용 타일
KR20070000047U (ko) 숯이 내장된 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