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910A - 치유 부전 상처를 치유하는 조성물로서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 Google Patents

치유 부전 상처를 치유하는 조성물로서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910A
KR20090118910A KR20097014484A KR20097014484A KR20090118910A KR 20090118910 A KR20090118910 A KR 20090118910A KR 20097014484 A KR20097014484 A KR 20097014484A KR 20097014484 A KR20097014484 A KR 20097014484A KR 20090118910 A KR20090118910 A KR 20090118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polynucleotide
connectin
leucine
h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306B1 (ko
Inventor
데이비드 엘. 벡커
콜린 알. 그린
브래드포드 제이. 듀프트
Original Assignee
코다 테라퓨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다 테라퓨틱스, 인크. filed Critical 코다 테라퓨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11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8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receptors or cell surfac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1Antisen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20/00Applications; Uses
    • C12N2320/30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 C12N2320/35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based on a specific dosage / administration regi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치료를 위한 커넥신 조정, 및 관련 방법, 조성물 및 제조품에 관한 것이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갭-정션, 상처 치유, 당뇨병

Description

치유 부전 상처를 치유하는 조성물로서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ANTICONNEXIN POLYNUCLEOTIDES AS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본 발명은 갭-정션(gap junction), 및 상처와 상처 치유, 특히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예컨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만성적 상처 및 열개된 상처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정보 중 어느 것도 본원에 기재되거나 청구된 발명에 대한 선행 기술 또는 이와 관련된 것으로 용인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인용된 모든 공보 또는 문헌이 선행 기술인 것으로 용인되지 않는다.
인간 및 기타 포유동물에서는 상처 손상이 세포성 사건 및 생화학적 사건의 조직화된 복합 캐스케이드를 촉발시켜,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것으로 상처가 치유될 것이다. 이상적으로 치유된 상처는 세포, 조직, 기관 및 유기체 수준에서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 기능 및 외관이 복원된 것이다. 상처가 외상, 미생물 또는 외래 물질에 의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상처 치유는 염증, 상피화, 혈관형성 및 매트릭스 침착을 포함한 다수의 중첩된 시기를 포함하는 복합 과정을 통하여 진행된다. 정상적으로는, 이들 과정이 상처의 성숙 및 특정 정도의 반흔 형성 을 유도한다. 염증 및 복구는 대개 예정된 코스에 따라서 일어나지만, 해당 과정의 민감도는 예를 들어 조절성 사이토킨과 성장 인자의 복합적 네트워크를 비롯한 각종 상처 치유 조정 인자의 균형에 좌우된다.
갭-정션은 직접적인 세포-세포 소통을 촉진시키는 세포막 구조물이다. 갭-정션 채널은 각각 6개의 커넥신(connexin)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2개의 커넥손(connexon) (헤미채널)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육량체성 커넥손은 반대쪽 막 내의 커넥손과 도킹하여 단일 갭-정션을 형성한다. 갭-정션 채널은 신체 전반에 걸쳐 발견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예를 들어, 각막 상피와 같은 조직은 6개 내지 8개 세포층을 갖고 있지만, 상이한 층에서 상이한 갭-정션 채널을 발현하는데, 기저층에는 커넥신 43이, 기저에서부터 중앙 날개 세포층까지는 커넥신 26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커넥신은 그것의 분자량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명명되거나 또는 계통발생학적 기준에 따라서 알파, 베타 및 감마 서브클래스로 분류되는 단백질 부류이다. 적어도 20개의 인간 이소형과 19개의 뮤린 이소형이 확인되었다. 상이한 조직 및 세포 유형은 특징적 패턴의 커넥신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각막과 같은 조직은 손상 또는 이식 후에 커넥신 단백질 발현 패턴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 [Qui, C. et al., (2003) Current Biology, 13:1967-1703]; [Brander et al, (2004), J. Invest Dermatol. 122:1310-20]).
비정상적인 커넥신 기능은 특정 질환 상태 (예: 심장 질환)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문헌 [A. C. de Carvalho, et al. (1994) J Cardiovasc Electrophysiol 5: 686]). 특정 커넥신 단백질에서, 턴오버(turnover) 및 수송 성 질의 변경은 갭-정션을 통한 세포간 소통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적인 외인성 작용제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문헌 [Darrow et al. (1995) Circ Res 76: 381]; [Lin et al. (2001) J Cell Biol 154(4):815]). 바이러스성, 진균성 및 대사성 질환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정하기 위한 안티센스 기술이 또한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66,195호 (HIV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억제제) 및 미국 특허 제5,004,810호 (단순 포진 바이러스 Vmw65 mRNA와 혼성화하여 복제를 억제하기 위한 올리고머)를 참고한다. 또한, 벡커(Becker)와 그린(Green)의 미국 특허 제7,098,190호 (커넥신에 대한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제형)를 참고한다. 갭-정션과 헤미채널의 펩티드 억제제 또한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Berthoud et al. (2000)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L619-L622]; [Evans, W.H. and Boitano, S. Biochem. Soc. Trans. 29:606-612]; 및 [De Vriese A.S., et al. (2001) Kidney Int. 61: 177-185]을 참고한다. 또한, 벡커와 그린의 WO2006/134494 ("항-커넥신 화합물 및 그것의 용도")를 참고한다.
상처 치유 과정의 기초가 되는 원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예컨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상처 케어에 적합한 치료 옵션에 대해서 상당히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욕구가 남아있다. 이러한 치료 조성물 및 치료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다.
요약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 발명은 본 요약란에 제시되거나 기재되거나 언급된 실시양태와 특징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많은 실시양태와 특징을 갖고 있다. 모든 것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 발명은 본 요약란에 확인된 실시양태나 특징으로만 또는 그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포함된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용도, 및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예컨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및 만성적 상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사용을 통해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예컨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및 만성적 상처의 치유 증가 및 개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드레싱, 붕대, 매트릭스 및 커버와 병용하는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합성 또는 자연 발생적 상처 치유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항-커넥신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예컨대 항-커넥신 43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반복 적용되는, 예를 들어 치유가 완료될 때까지 또는 필요 에 따라 주당 1회 적용되는, 단독의 또는 드레싱, 붕대, 매트릭스 및 커버와 병용하는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약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는 (a) 치료적 유효량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b)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포함된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치료적 유효량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국소 전달 형태 및 제형을 포함한 제약 조성물이 포함된다.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예에는 항-커넥신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ODN), 예컨대 안티센스 (변형된 및 변형되지 않은 주쇄 안티센스 포함; 예: 커넥신 mRNA에 결합하는 DNA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RNAi 및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적합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예를 들어 커넥신 43 (Cx43), 커넥신 26 (Cx26), 커넥신 37 (Cx37), 커넥신 30 (Cx30), 커넥신 31.1 (Cx31.1) 및 커넥신 32 (Cx32)에 대한 안티센스 ODN가 포함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서, 적합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Cx 43, 26, 30 및 31.1을 표적으로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 다수의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조합하여 포함한다. 바람직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43을 표적으로 한다.
따라서,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은 커넥신 단백질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비히클과 함께 포함하는 제형을 제공한다. 한 바람직한 형태에서, 제형은 하나의 커넥신 단백질만에 대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신 단백질은 커넥신 43이다. 다르게는, 제형은 하나 초과의 커넥신 단백질에 대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만성적 상처 또는 지연된 치유를 특징으로 하는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제형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형에는, 예를 들어 국소 전달 형태 및 제형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바람직하게,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지시되는 커넥신 단백질 중 하나는 커넥신 43이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지시되는 다른 커넥신 단백질에는 커넥신 26, 커넥신 31.1 및 커넥신 32가 포함된다.
편리하게는, 커넥신 43에 대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하기로부터 선택 된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1
;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2
;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3
, 서열 1, 2 또는 3과 약 7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중간 내지 높은 엄격도 조건 하에 커넥신 43 mRNA와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편리하게는, 커넥신 26에 대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4
, 서열 4와 약 7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중간 내지 높은 엄격도 조건 하에 커넥신 26 mRNA와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편리하게는, 커넥신 31.1에 대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5
, 서열 9와 약 7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중간 내지 높은 엄격도 조건 하에 커넥신 31.1 mRNA와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편리하게는, 커넥신 32에 대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6
, 서열 12와 약 7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중간 내지 높은 엄격도 조건 하에 커넥신 32 mRNA와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유용한 다른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는 하기 서열이 포함된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7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8
Figure 112009042157552-PCT00009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0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1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2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치료할 부위에 및/또는 그 주위에) 국소 투여된다. 적합하게는,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비히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적합한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비히클에는 국소 투여를 위해 흔히 사용되는 것들 중 임의의 것들이 포함된다. 국소 제형은, 예를 들어 크림, 연고, 겔, 에멀션, 로션, 스프레이, 발포체 또는 페인트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또한 함침된 드레싱의 형태로 제시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비히클은 겔, 적합하게는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겔, 예를 들어 플루로닉(Pluronic) 겔, 바람직하게는 플루로닉 F-127 (BASF Corp.)이다. 상기 겔은 저온에서는 액체로 사용될 수 있지만 생리적 온도에서는 신속하게 경화되어 항-커넥신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성분의 방출이 적용 부위 또는 적용 부위 바로 인근으로만 한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항-커넥신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연장된 시간 동안 방출되는 서방출 겔이 국소 적용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약 조성물은 항-커넥신 폴 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지속적인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에는 지연 방출 제제, 서방출 제제, 연장 방출 제제, 제어 방출 제제 및/또는 반복 작용 제제로 제형화된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지연되거나 불완전한 상처 치유,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특징으로 하는 상처가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형은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예컨대 만성적 상처에 특히 유리하다.
특정의 기타 국면에서, 본 발명은 또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예컨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와 연관된 각종 질환, 장애 및 질병을 앓고 있는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에는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만성적 상처 또는 지연되거나 불완전한 상처 치유,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특징으로 하는 모든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을 갖고 있거나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조성물에는, 예를 들어 국소 전달 형태 및 제형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추가의 국면에서, 본 발명에는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전달할 수 있는, 대상체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와 연합될 수 있는 경피 패치, 드레싱, 패드, 랩, 매트릭스 및 붕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는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장치, 예를 들어 약물 저장소를 둘러싼 속도-제어 막 및 모놀리식 매트릭스 장치가 포함된다. 이들 장치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고체 기질 상에 또는 내부에 분산된 고체 기질 형태를 포함한 상처 드레싱 또는 매트릭스가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의약품은 상처 드레싱 또는 상처 치유 증진성 매트릭스와 병용해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보다 추가적인 국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형을 커넥신 단백질의 발현을 하향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 부위 및 바로 인근에서 상기 상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갖는 환자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커넥신 43의 하향조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국면은 유효량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항- 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예: 커넥신 mRNA에 결합하는 DNA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RNAi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43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억제한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상처에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편리하게,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적어도 약 0.5시간, 약 1-2시간, 약 2-4시간, 약 4-6시간 또는 약 6-8시간 동안 투여 또는 전달되지만, 더 긴 시간, 예를 들어 24시간까지, 또는 그 이상 동안 투여될 수도 있다. 1-2시간, 2-3시간 및 4-8시간 적용 또는 전달이 본원에서 바람직하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상체는 당뇨병 환자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자는 당뇨병성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혈관염성 궤양, 정맥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성 궤양, 압박성 궤양, 욕창성 궤양, 감염성 궤양, 외상-유도성 궤양, 화상 궤양, 괴저성 농피증과 연관된 궤양화, 또는 혼합 궤양 또는 궤양들을 앓는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처 폐쇄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날 때까지 반복 적용한 후, 상처 치유가 다시 지체되거나 지연되는 경우에 다시 반복 적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다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처 (또는 상처 영역 내 또는 주위의 영역)에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속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커넥신 43 발현이 지속적인 기간 동안 하향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편리하게, 커넥신 43 발현은 적어도 약 0.5시간, 약 1-2시간, 약 2-4시간, 약 4-6시간 또는 약 6-8시간 동안 하향조절되지만, 더 긴 시간, 예를 들어 24시간까지, 또는 그 이상 동안 투여될 수도 있다. 0.5, 1-2시간 및 4-8시간 지속 투여가 본원에서 바람직하다. 적합한 대상체에는 당뇨병 환자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자는 당뇨병성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혈관염성 궤양, 정맥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성 궤양, 압박성 궤양, 욕창성 궤양, 감염성 궤양, 외상-유도성 궤양, 화상 궤양, 괴저성 농피증과 연관된 궤양화, 또는 혼합 궤양 또는 궤양들을 앓는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처 폐쇄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날 때까지 반복 적용한 후, 상처 치유가 다시 늦춰지거나 지연되는 경우에 다시 반복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국면에 따르면, 커넥신 43 발현을 지속적인 기간 동안 하향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의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상처에 대한 지속적인 투여가 제공된다. 추가로 상기 국면에 따르면, 지연 치유 상처, 치유 부전 상처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상처 치유가 증진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처는 당뇨병성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혈관염성 궤 양, 정맥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성 궤양, 압박성 궤양, 욕창성 궤양, 감염성 궤양, 외상-유도성 궤양, 화상 궤양, 괴저성 농피증과 연관된 궤양화, 또는 혼합 궤양 또는 궤양들이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처 폐쇄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날 때까지 반복 적용한 후, 상처 치유가 다시 늦춰지거나 지연되는 경우에 다시 반복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상처 재상피화 및/또는 육아 조직의 형성이 증진된다.
부가적인 국면에서, 본 발명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31.1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예를 들어 지연 치유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게 재상피화를 증진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의 재상피화를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26, 커넥신 30, 커넥신 31.1 및 커넥신 43으로부터 선택되는 커넥신을 표적으로 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변형되거나 변형되지 않은 주쇄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예: 커넥신 mRNA에 결합하는 DNA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RNAi 폴 리뉴클레오티드 및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커넥신 43이 본원에서 바람직한 표적이다.
부가적인 추가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상피 기저 세포 분열 및 성장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외층 각질 분비를 조절하기에 유효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피 기저 세포 분열 및 성장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26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외층 각질화를 조절하기 위해 투여되는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31.1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는 만성적 피부 상처이고,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대상체의 피부 또는 피부와 연합된 조직에 유효한 기간 동안 투여된다. 치료에 적합한 만성적 피부 상처는, 예를 들어 압박성 궤양, 욕창성 궤양, 당뇨병성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정맥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성 궤양, 혈관염성 궤양, 감염성 궤양, 외상-유도성 궤양, 화상 궤양, 괴저성 농피 증과 연관된 궤양화, 및 혼합 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 동맥 봉쇄로부터 비롯되는 궤양화를 포함하는 동맥성 궤양일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정맥 판막의 기능장애 및 이와 연관된 혈관 질환으로부터 비롯되는 궤양화를 포함하는 정맥성 궤양 또는 정맥 울혈성 궤양일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외상-유도성 궤양일 수 있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효량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및 만성적 상처 포함)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 또는 폐쇄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적합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예: 커넥신 mRNA에 결합하는 DNA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RNA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특히 적합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약 18개 내지 약 32개의 뉴클레오티드를 가진다. 반복 적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 1이다.
본 발명에는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컨대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약 또는 투여 형태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의약, 제형 및 투여 형태에는, 예를 들어 국소 전달 형태 및 제형이 포함된다. 이러한 의약에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대상체의 치료를 위한 것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 오티드 및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의약, 제형 또는 투여 형태는 발포체, 크림, 스프레이 또는 겔이다.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에는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사용 설명서를 함유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제조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설명서에는 만성적 상처 또는 지연된 치유를 특징으로 하는 상처를 갖는 대상체의 치료를 위한 사용과 관련된 설명서가 포함될 수 있다. 설명서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 예컨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및 만성적 상처와 관련된 사용을 위한 설명서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본 발명에는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 가능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투여 형태를 함유하는 패키징 물질을 포함하는 제조품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패키징 물질에는 해당 투여 형태가 본원에 기재되거나 언급된 모든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 예컨대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부전이거나 지연된 상처 치유 또는 만성적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을 갖고 있거나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거나 또는 그에 대한 소인이 있는 대상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표지가 있다. 이러한 투여 형태에 는, 예를 들어 국소 전달 형태 및 제형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특정한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연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에 대한 상처 치유의 증진 (예: 치유 시간의 단축, 보다 나은 상처 결과)을 위한 사용 설명서와 함께 포함하는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든 국면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바람직하게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이고,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며, 커넥신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커넥신 43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이다.
본 요약란 내의 정보로만 또는 그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상기 국면 및 기타 국면은 이하에 제공된다.
도 1A 내지 1D는 진피 섬유아세포, 모공, 혈관 및 부속기에서의 커넥신 면역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는 당뇨병 유도 2주 후, 표피 및 진피에서의 커넥신 43에 대한 염색 및 정상 피부 (흰색 막대) 및 당뇨병 피부 (검은색 막대) 표피에서의 커넥신 26에 대한 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당뇨병의 STZ 유도 8주 후 커넥신 발현 상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8주째 대조군 (C) 및 당뇨병 (D)에서의 커넥신 면역염색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화살촉은 표피와 진피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다. 도 1D는 비-당뇨병 (흰색 막대) 및 당뇨병 (검은색 막대) 표피 및 진피에서의 조직을 통한 갭-정션 영속 염료의 5분 내 이동 거리의 정량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2D는 상처형성 후에 커넥신 염색을 측정함으로써 재상피화 비율 및 커넥신 43 및 커넥신 26 단백질 수준의 반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커넥신 염색을 정량화한 구역을 도시한 것이다: 상처 가장자리 (WE), 500 ㎛ 떨어진 인접 구역 (AD) 및 선도 가장자리 (LE). WE 및 AD에서의 커넥신 염색을 상처형성 후 1일 및 2일째에 정량화하였다. LE 각질형성세포는 5일 후에 영상화하였다. 도 2B는 대조군 (C) 및 당뇨병 (D) 피부에서의 상처형성 후 1, 2 및 5일째의 재상피화 비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C 대조군 (흰색 막대) 및 당뇨병 (검은색 막대) 동물의 WE, AD 및 LE에서의 상처형성 후 1, 2 및 5일째의 커넥신 43 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도 2D는 대조군 (흰색 막대) 및 당뇨병 (검은색 막대) 동물의 WE, AD 및 LE 구역에서의 상처형성 후 1, 2 및 5일째의 커넥신 26 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f 및 3a' 내지 3f'는 대조군 및 당뇨병 동물에서의 상처형성 후 1, 2 및 5일째의 커넥신 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3c 및 3e (대조군) 및 3a', 3c' 및 3e' (당뇨병)는 상처형성 후 1일째 (도 3a 및 3a'), 2일째 (도 3c 및 3c') 및 5일째 (도 3e 및 3e')의 커넥신 43 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 3d 및 3f (대조군) 및 3b', 3d' 및 3f' (당뇨병)는 상처형성 후 1일째 (도 3b 및 3b'), 2일째 (도 3d 및 3d') 및 5일째 (도 3f 및 3f')의 커넥신 26 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4C는 커넥신 43 발현 및 상처 치유에 대한 커넥신 43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조성물 적용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센스 대조군) 및 도 4B (커넥신 43 안티센스)는 당뇨병 WE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커넥신 43 발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센스 ("s") 및 커넥신 43 안티센스 ("as")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처리한 대조군 (C) 및 당뇨병 (D) 상처에서의, 상처형성 후 1, 2 및 5일째의 재상피화 백분율을 도시한 것이다.
느리게 치유되는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열개된 상처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는 흔히 감염을 초래하고, 절단 또는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갭-정션을 통한 세포-세포 소통은 상처 치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원에 기재되거나 언급된 화합물을 포함한 특정 화합물을 사용하여 세포 소통을 저해, 억제 또는 변경시킬 수 있고, 이는 느리게 치유되는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열개된 상처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에서의 폐쇄 및 치유를 증진시킴을 발견하였다. 모든 적용에서, 커넥신 43 갭-정션 조정제가 바람직하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장애"는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고/시키거나 반흔 형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제로부터 이익을 얻는 임의의 장애, 질환 또는 질병이다. 예를 들어, 신경병성, 허혈성 및 미소혈관성 병리상태; 골 영역 [꼬리뼈 (천골), 고관절 (대퇴돌기), 둔부 (좌골) 또는 발의 발뒤꿈치] 상의 압박; 재관류 손상; 및 판막 역류 병인과 연관된 질병 및 관련 질병과 관련된 상처-연관 이상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대상체"는 인간, 가축, 농장 동물, 및 동물원용, 스포츠용 또는 애완용 동물, 예컨대 개, 말, 고양이, 양, 돼지, 소 등을 포함한 임의의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포유동물은 성인, 어린이 및 노인을 포함한 인간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예방함"이란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예방하거나, 회복 또는 제어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과 관련한 "치료적 유효량"은 목적한 생물학적, 제약학적 또는 치료적 결과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을 지칭한다. 이러한 결과는 질환, 장애 또는 질병의 징후, 증상 또는 원인의 경감일 수 있거나, 생물학적 시스템의 여타 목적한 변경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과는 상처 치유 및 상처 폐쇄의 속도를 포함한 상처 치유의 전적이거나 부분적인 증진 및/또는 개선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이점에는 종창, 염증 및/또는 반흔 형성의 전적이거나 부분적인 감소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치료함"은 치료적 처치와 예방적 조치 둘 다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동시에"는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면, 용어 "조합해서"는, 동시 또는 물리적 조합이 아닌 경우에, 이들 모두가 치료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 이용가능한 기간 내에 이들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순차적" 투여는 하나의 작용제가 다른 작용제의 투여 후 수 분 (예를 들어, 1, 2, 3, 4, 5, 10, 15, 20, 25, 30분) 또는 수 시간, 수 일, 수 주 또는 수 개월 이내에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단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동시에 유효량으로 존재해야 한다. 성분들 간의 투여 간격은 성분들의 정확한 특성, 그들 간의 상호 작용 및 그들 각각의 반감기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mRNA 및/또는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한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제한 없이, 안티센스 화합물, 예컨대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기타 폴리뉴클레오티드 (예컨대 siRNA 또는 리보자임 기능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적합한 예에는 커넥신에 대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따라서, 적합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예를 들어 선택된 조직, 세포 및 대상체에서의 커넥신 및 갭-정션의 발현 또는 활성을 조정하는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예: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용어 "드레싱"은 상처에 대한 국소 적용을 위한 드레싱을 지칭하고, 전신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제외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컨대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직조물 또는 부직포 물질과 같은 상처와 접촉하는 물질의 고체 시트 내에 또는 시트 상에 분산시킬 수 있거나,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발포체의 층, 또는 히드로겔, 예컨대 폴리우레탄 히드로겔,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로겔, 젤라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펙틴, 알기네이트, 및/또는 히알루론산 히드로겔, 예를 들어 겔 또는 연고 내에 분산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활성 성분을 상처 내로 지속적으로 방출시켜 주는 생분해성 시트 물질, 예를 들어 동결 건조된 콜라겐, 동결 건조된 콜라겐/알기네이트 혼합물 (존슨 앤 존슨 메디컬 리미티드(Johnson & Johnson Medical Limited)로부터 FIBRACOL이란 등록 상표명으로 시판중임) 또는 동결 건조된 콜라겐/산화된 재생 셀룰로스 (존슨 앤 존슨 메디컬 리미티드로부터 PROMOGRAN이란 등록 상표명으로 시판중임)의 시트 내에 또는 시트 상에 분산시킨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상처 증진성 매트릭스"에는, 예를 들어 콜라겐, 비-세포성 매트릭스, 가교결합된 생물학적 스캐폴드 분자, 조직에 기반한 생물공학적 구조 골격, 생체제작된 생물 보철물, 및 기타 이식 구조물, 예를 들면 상처 치유의 증진에 유용한 세포 침윤 및 증식에 적합한 혈관성 이식편과 같은 합성 또는 자연 발생적 매트릭스가 포함된다. 부가의 적합한 바이오매트릭스 물질에는 항원성 및 면역원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콜라겐성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기타 적합한 예에는 상처 드레싱용 콜라겐 시트, 항원 무함유 또는 항원 감소 비-세포성 매트릭스 (문헌 [Wilson G J et al. (1990) Trans Am Soc Artif Intern 36:340-343]) 또는 이종이식편 물질에 대한 항원 반응을 저하시키기 위해 공학적으로 조작한 기타 바이오매트릭스가 포함된다. 상처 치유의 증진에 유용한 기타 매트릭스에는, 예를 들어 불용성 콜라겐 및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가공된 소 심막 단백질 (문헌 [Courtman DW et al. (1994) J Biomed Mater Res 28:655-666]) 및 조직 재생을 가속화하기 위해서 숙주 세포 이동에 대한 천연 미소환경을 제공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기타 비-세포성 조직 (문헌 [Malone J M et al. (1984) J Vase Surg 1:181-91])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커넥신 43 폴리펩티드를 포함한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합성 또는 천연 매트릭스를 고려한다. 커넥신 43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상처"에는, 예를 들어 치유 지연 또는 치유 곤란 상처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임의의 조직에 대한 손상이 포함된다. 상처의 예에는 개방 상처 및 폐쇄 상처 둘 다가 포함될 수 있다. 용어 "상처"에는 또한, 예를 들어 상이한 방식으로 개시되고 (예를 들어, 장기간 요양으로 인한 욕창 및 외상에 의해 유도된 상처) 다양한 특징을 지닌, 피부 및 피하 조직에 대한 손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처는 상처의 깊이에 따라서 4가지 등급 중의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i) 등급 I: 상피에만 제한된 상처; ii) 등급 II: 진피 내로 확장된 상처; iii) 등급 III: 피하 조직 내로 확장된 상처; 및 iv) 등급 IV (또는 전층 상처): 뼈 (예를 들어, 보다 큰 대퇴돌기 또는 천골과 같은 골 압박점)가 노출된 상처.
용어 "부분층 상처"는 등급 I 내지 III을 포괄하는 상처를 지칭한다. 부분층 상처의 예에는 욕창, 정맥 울혈성 궤양 및 당뇨병성 궤양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모든 유형의 상처 치료를 고려한다.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란 치유 지연 또는 치유 곤란 상처 (지연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포함) 및 만성적 상처를 포함한 임의의 조직에 대한 손상을 의미한다.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예에는 궤양, 예컨대 당뇨병성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혈관염성 궤양, 동맥성 궤양, 정맥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압박성 궤양, 욕창성 궤양, 감염성 궤양, 외상-유도성 궤양, 화상 궤양, 괴저성 농피증과 연관된 궤양화, 및 혼합 궤양이 포함된다.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에는 열개된 상처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유 지연 또는 치유 곤란 상처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1) 연장된 염증기, 2) 느리게 형성되는 세포외 매트릭스, 및/또는 3) 감소된 상피화 또는 폐쇄 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상처가 포함될 수 있다.
용어 "만성적 상처"는 일반적으로는 치유되지 않은 상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3개월 내에 치유되지 않는 상처는 만성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만성적 상처에는 정맥성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동맥성 궤양, 압박성 궤양, 당뇨병성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혈관염성 궤양, 욕창성 궤양, 화상 궤양, 외상-유도성 궤양, 감염성 궤양, 혼합 궤양, 및 괴저성 농피증이 포함된다. 만성적 상처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 동맥 봉쇄로부터 비롯되는 궤양화를 포함하는 동맥성 궤양일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정맥 판막의 기능장애 및 이와 연관된 혈관 질환으로부터 비롯되는 궤양화를 포함하는 정맥성 또는 정맥 울혈성 궤양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만성적 상처가 압박성 궤양화의 다음 AHCPR 병기 중의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병기 1, 병기 2, 병기 3 및/또는 병기 4.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만성적 상처는,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1) 상처 염증의 만성적 자가-영속성 상태, 2) 결핍되고 결함 있는 상처 세포외 매트릭스, 3) 세포외 매트릭스 생성을 제한하는, 불충분하게 반응하는 (노화) 상처 세포, 특히 섬유아세포, 및/또는 4) 필수 세포외 매트릭스 편성의 결여 및 이동을 위한 스캐폴드의 결여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재상피화의 실패 중의 한 가지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를 지칭할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또한 1) 예를 들어 당뇨병성, 압박성 (욕창성), 정맥성 및 동맥성 궤양을 포함한 궤양성 병변을 유발하는 연장된 염증 및 단백질 분해 활성; 2) 환부에서의 진행성 매트릭스 침착, 3) 보다 길어진 복구 시간, 4) 보다 적은 상처 수축, 5) 보다 느린 재상피화, 및 6) 육아 조직 두께 증가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압박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압박성 궤양은 AHCPR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미국 보건복지부 보건 정책 연구소) 지침에 근거하여 4가지 병기로 분류할 수 있다. 병기 1 압박성 궤양은 본래 피부의 관찰 가능한 압박 관련 변경인데, 이것의 지표에는 신체 상의 인접 영역 또는 반대 영역과 비교할 때의 다음 중 하나 이상의 변화가 포함될 수 있다: 피부 온도 (온기 또는 냉기), 조직 견고성 (단단하거나 축축한 느낌) 및/또는 감각 (통증, 가려움증). 이 궤양은 약하게 착색된 피부에서는 규정된 영역의 영속적 홍조로서 나타나는 반면, 보다 어두운 피부 톤에서는 궤양이 영속적인 적색, 청색 또는 자주색 색조로 나타날 수 있다. 병기 1 궤양화에는 본래 피부의 표백될 수 없는 홍반 및 피부 궤양화의 예고된 병변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색이 보다 어두운 개체에서는, 피부의 변색, 온기, 부종, 경화 또는 경도가 또한 병기 1 궤양화의 지표일 수 있다. 병기 2 궤양화는 표피, 진피 또는 둘 다와 관련된 부분층 피부 상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궤양은 표재성이고 임상적으로 찰과상, 물집 또는 얕은 함몰부로서 나타난다. 병기 3 궤양화는 하층 근막 아래로 연장될 수는 있지만, 이를 관통하지는 않는 피하 조직의 괴사 또는 이 조직에 대한 손상을 포함하는 전층 피부 상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궤양은 임상적으로, 인접한 조직의 잠식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심부 함몰부로서 나타난다. 병기 4 궤양화는 근육, 뼈 또는 지지 구조물 (예: 힘줄, 관절 낭)에 대한 손상, 조직 괴사, 또는 광범위한 파괴를 수반한 전층 피부 상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만성적 상처가 압박성 궤양화의 다음 AHCPR 병기 중의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병기 1, 병기 2, 병기 3 및/또는 병기 4.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또한 "욕창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욕창성 궤양은 허혈증을 유발시키는 뼈 돌출부 상의 장기간의 완화되지 않는 압박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처는 스스로는 하중을 줄이는 위치로 움직일 수 없는 환자, 예컨대 마비되거나, 의식이 없거나, 또는 중증의 쇠약한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주요 예방적 조치에는 고 위험 환자의 확인; 빈번한 평가; 및 주기적인 위치 변경, 적당한 압박 완화 침구, 수분 장벽 및 적절한 영양 상태와 같은 예방적 조치가 포함된다. 치료 옵션에는, 예를 들어 압박 완화, 외과적 및 효소적 괴사조직 제거술, 습윤한 상처 케어, 및 세균 부하의 제어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허혈증을 유발시키는 뼈 돌출부 상의 장기간의 완화되지 않는 압박으로부터 비롯된 욕창성 궤양 또는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만성적 상처에는 또한 "동맥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만성적 동맥성 궤양은 일반적으로는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성 심혈관 질환을 동반하는 궤양화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은 통증이 있고, 가장자리가 분명하며, 측면 하지 및 발가락에서 흔히 발견된다. 동맥성 궤양은 조직 괴사 및/또는 궤양화를 유발시킬 수 있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 동맥 봉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동맥성 궤양의 징후에는, 예를 들어 사지의 무맥박; 통증이 있는 궤양화; 보통은 경계가 확실한 작고 반점이 있는 궤양; 차거나 냉기 있는 피부; 지연된 모세혈관 회복 시간 (발가락 끝 상의 간단한 누름 및 해제에 대해, 약 3초 이내에 발가락이 정상적인 색상으로 회복되어야 함); 위축성으로 보이는 피부 (예를 들어, 광택이 있거나 얇거나 건조함); 및 손가락 및 발의 모발 상실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완전한 또는 부분적 동맥 봉쇄에 기인한 동맥성 궤양 또는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정맥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정맥성 궤양은 하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흔한 유형의 궤양이고, 정맥 판막의 기능장애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정상적인 정맥은 혈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판막을 갖고 있다. 이들 판막이 부적격하게 되면, 정맥혈의 역류로 인해 정맥 울혈이 유발된다. 적혈구로부터 헤모글로빈이 탈출하여 혈관외 공간 내로 유출되면, 흔히 갈색의 변색이 야기된다. 정맥성 궤양을 둘러싸고 있는 피부는 경피 산소 압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해당 영역의 정상적인 혈관분포 상태를 폐쇄시키는 힘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림프관 배수 및 유동이 또한 이들 궤양에서 일정 역할을 한다. 정맥성 궤양은 내측 복사 근처에서 나타날 수 있고, 통상적으로 부종이 있고 경화된 하지와 함께 발생하는데; 이는 통증이 너무 많지 않고 얕을 수 있고, 환부로부터 스며나온 유출물과 함께 존재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정맥 판막의 기능장애 및 관련 혈관 질환에 기인한 정맥성 궤양 또는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완전한 또는 부분적 동맥 봉쇄에 기인한 동맥성 궤양 또는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정맥 울혈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울혈성 궤양은 보통 함요 부종, 정맥류형 종창, 얼룩덜룩한 착색, 홍반, 및 촉진할 수 없는 점상 출혈 및 자반병과 함께, 정맥 기능부전과 연관된 병변이 내측 복사 상에 보다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울혈성 피부염 및 궤양은 일반적으로 통증보다는 가려움증이 있다. 예시적인 정맥 울혈성 궤양은 국소적 저산소증을 유발시키는 하지의 만성 수동적 정맥 출혈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상처의 한 가지 가능한 발병 기전에는 두꺼운 혈관주위 피브린 커프스를 가로지르는 조직 내로의 산소 확산 장애가 포함된다. 또 다른 기전은 혈관주위 조직 내로 유출된 거대분자가 피부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성장 인자를 포획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정맥 출혈에 기인하여 큰 백혈구의 흐름이 느려지고, 모세혈관을 폐쇄시키고, 활성화되어, 혈관 내피를 손상시킴으로써 궤양 형성에 대한 소인이 된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정맥 판막의 기능장애 및 관련 혈관 질환에 기인한 정맥성 궤양 또는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하지의 만성 수동적 정맥 출혈 및/또는 이로써 발생하는 국소적 저산소증에 기인하는 정맥 울혈성 궤양 또는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당뇨병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신경학적 합병증과 혈관성 합병증 둘 다로 인해 발 궤양화를 포함한 궤양화가 되기 쉽다. 말초 신경병증은 발 및/또는 다리에 있어서의 변경되거나 완전한 감각 상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진행성 신경병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예리함과 무딤을 식별할 수 있는 모든 능력을 상실한다. 신경병증 환자는 발에 대한 절단이나 외상을 수 일 또는 수 주 동안 전혀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실제로 궤양이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존재한 경우에, 신경병증 환자가 궤양이 "단지 출현했음"을 인지하는 것도 드문 일은 아니다. 신경병증 환자에 대해서는, 질환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엄격한 글루코스 조절이 제시되었다. 감각 저하의 결과로서 샤르코(Charcot) 족부 기형 또한 나타날 수 있다. 발에 대한 "정상적인" 감각을 갖고 있는 사람은 지나치게 많은 압박이 발의 영역에 가해질 경우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일단 인식이 되면, 우리의 신체는 그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해 본능적으로 위치를 바꾼다. 진행성 신경병증 환자는 지속적인 압박 상해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그 결과 조직 허혈증과 괴사가 발생하여, 예를 들어 발바닥 궤양화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발의 뼈에서의 미세골절은 인지하지 못하여 치료하지 못하게 되면 불구, 만성적 종창 및 부가적인 뼈 돌출을 초래할 수 있다. 미소혈관 질환은 궤양화를 또한 유발시킬 수 있는 당뇨병의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당뇨병의 신경학적 및 혈관성 합병증 둘 다에 기인한 당뇨병성 족부 궤양 및/또는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외상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외상성 궤양의 형성은 신체에 대한 외상성 손상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손상에는, 예를 들어 동맥, 정맥 또는 림프계에 대한 손상; 골격의 골 구조에 대한 변화; 조직 층 - 표피, 진피, 피하 연질 조직, 근육 또는 뼈의 상실; 신체 부분 또는 기관에 대한 손상; 및 신체 부분 또는 기관의 상실이 포함된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신체에 대한 외상성 손상과 연관된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1도 화상 (즉, 피부의 표재적인 홍조 영역); 2도 화상 (광택이 나는 유체를 제거한 후에 자발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광택이 나는 손상 부위); 3도 화상 (전체 피부에 걸친 화상이고, 상처 치유를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외과적 수술이 요구됨); 탕상 (끓는 뜨거운 물, 기름 또는 라디에이터 유체로부터 발생할 수 있음); 열 화상 (화염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깊은 화상임); 화학적 화상 (산 및 알칼리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깊은 화상임); 전기적 화상 (집 주변의 낮은 전압이나 작업장의 높은 전압); 폭발 섬광 화상 (통상적으로 표재성 손상임); 및 접촉성 화상 (통상적으로 깊은 화상이고 머플러 뒤쪽 파이프, 뜨거운 철 및 스토브로부터 발생할 수 있음)을 포함한 "화상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신체에 대한 화상 손상과 연관된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혈관염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혈관염성 궤양은 또한 하지에서 발생하며, 촉진할 수 있는 자반병 및 출혈성 수포와 연관될 수 있는, 통증이 있고 가장자리가 분명한 병변이다. 콜라겐 질환, 패혈증, 및 각종 출혈성 장애 (예: 혈소판감소증, 이상단백혈증)가 상기 심각한 급성 질병의 원인일 수 있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괴저성 농피증이 포함될 수 있다. 괴저성 농피증은 하지에서의 단일 또는 다수개의 매우 통증을 느끼기 쉬운 궤양으로서 발생한다. 암적색에서 자주색까지의 침식된 변연이 화농성의 중심 결함을 둘러싸고 있다. 생검에서 전형적으로는 혈관염이 드러나지 않는다. 환자의 절반에서, 이것은 궤양성 대장염, 국한성 회장염 및 백혈병과 같은 전신 질환과 연관된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괴저성 농피증과 연관된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만성적 상처에는 감염성 궤양이 포함될 수 있다. 감염성 궤양은 각종 유기체의 직접 접종에 따른 것이며, 심각한 국한성 선병증과 연관될 수 있다.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탄저병, 디프테리아, 분아균증, 스포로트리코시스, 야토병 및 고양이 발톱병이 그 예이다. 제1기 매독의 생식기 궤양은 깨끗하고 딱딱한 기저를 갖고 전형적으로는 통증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연성하감 및 서혜부 육아종의 궤양은 울퉁불퉁하고 지저분하며 보다 엄청난 병변인 경향이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가 감염과 연관된 궤양화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만성적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열개된 상처"는 파열되거나 찢어진 개방부를 갖는 상처, 통상적으로는 수술 상처를 지칭한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상처가 열개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항- 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뿐만 아니라 커넥신 발현을 (예를 들어, mRNA 전사 또는 해독의 하향조절에 의해서) 하향조절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지닌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하향조절의 경우에, 이것은 커넥신 발현이 하향조절된 부위에서 갭-정션에 의한 직접 세포-세포 소통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적합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RNAi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기타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컨대 RNAi, siRNA, 및 리보자임 폴리뉴클레오티드뿐만 아니라 변형된 및 혼합된 주쇄를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합성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Stein CA. and Krieg A.M. (eds), Applied Antisense Oligonucleotide Technology, 1998 (Wiley-Liss)]을 참고한다.
한 국면에 따르면, 커넥신 발현의 하향조절은 일반적으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예: DNA 또는 RNA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는 안티센스 접근 방식에 기초할 수 있고, 보다 특히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ODN)의 사용에 기초할 수 있다. 이들 폴리뉴클레오티드 (예: ODN)는 하향조절될 커넥신 단백질(들)을 표적으로 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일 가닥이지만, 이중 가닥일 수도 있다.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유전자 또는 mRNA로부터의 전사 및/또는 해독의 특이적 억제제이고, 기타 유전자 또는 mRNA로부터의 전사 및/또는 해독은 억제하지 않는다. 생성물은 (i) 암호화 서열에 대해 5', 및/또는 (ii) 암호화 서열에 대해, 및/또는 (iii) 암호화 서열에 대해 3'에서 커넥신 유전자 또는 mRNA와 결합할 수 있다.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일반적으로, 커넥신 mRNA에 대해 안티센스이다.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mRNA와 혼성화할 수 있으므로, 전사, mRNA 프로세싱, 핵으로부터의 mRNA 수송, 해독 또는 mRNA 분해를 포함한 커넥신 mRNA 대사의 한 가지 이상 국면을 간섭함으로써 커넥신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형적으로, 커넥신 mRNA와 혼성화하여, mRNA의 해독 및/또는 탈안정화의 직접적인 억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이중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중체는 뉴클레아제에 의한 분해에 대해 감수성일 수 있다.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mRNA의 전부 또는 일부와 혼성화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mRNA의 암호화 영역 또는 리보솜 결합 영역과 혼성화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mRNA의 전부 또는 특정 영역에 대해 상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mRNA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확한 보체일 수 있다. 그러나, 절대적인 상보성이 요구되지는 않으며, 생리적 조건 하에 약 20℃, 30℃ 또는 40℃ 초과의 융점을 지닌 이중체를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상보성을 지닌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형적으로, mRNA에 대해 상보적인 서열의 상동체이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중간 내지 높은 엄격도 조건 하에, 예컨대 약 50℃ 내지 약 60℃에서 0.03 M 염화나트륨 및 0.03 M 나트륨 시트레이트 하에 커넥신 mRNA와 혼성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특정 국면에서, 적합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형적으로, 길이가 약 6 내지 40개 뉴클레오티드이다. 바람직하게,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길이가 약 12 내지 약 35개 뉴클레오티드, 또는 다르게는 길이가 약 12 내지 약 20개 뉴클레오티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약 18 내지 약 32개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다른 국면에 따르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길이가 약 40개 이상, 예를 들어 약 60개 이상 또는 약 80개 이상 뉴클레오티드, 및 약 100개, 약 200개, 약 300개, 약 400개, 약 500개, 약 1000개, 약 2000개 또는 약 3000개 이하, 또는 그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표적화된 커넥신 단백질(들)은 하향조절을 수행하는 부위에 의존할 것이다. 이는 커넥신 서브유닛 조성의 측면에서 신체 전반에 걸쳐 상이한 부위에서의 균일하지 않은 갭-정션(들)의 구성을 반영하고 있다. 커넥신은 한 국면에서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서 천연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커넥신 발현 또는 활성을 저하시켜야 하는 조직에서 천연적으로 발생되는 커넥신이다. 커넥신 유전자 (암호화 서열 포함)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특이적 커넥신의 암호화 서열과의 상동성을 지니는데, 예컨대 표 2에 제시된 커넥신 43 암호화 서열과 상동성을 지닌다. 커넥신은 전형적으로, α 또는 β 커넥신이다. 바람직하게, 커넥신은 α 커넥신이고 치료하고자 하는 조직에서 발현된다.
그러나, 몇몇 커넥신 단백질은 조직 내에서의 분포 측면에서 다른 것보다 더 편재하고 있다. 가장 광범위한 것 중의 하나가 커넥신 43이다. 커넥신 43을 표적으로 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 특히 적합하다. 다른 국면에서는 다른 커넥신을 표적화한다.
한 가지 바람직한 국면에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하나의 커넥신 단백질 만의 mRNA를 표적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러한 커넥신 단백질은 커넥신 43이다. 또 다른 국면에서, 커넥신 단백질은 커넥신 26, 30, 31.1, 32, 36, 37, 40 또는 45이다. 기타 국면에서, 커넥신 단백질은 커넥신 30.3, 31, 40.1 또는 46.6이다.
또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조합해서 사용될 별개의 커넥신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1, 2, 3, 4개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커넥신을 표적화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커넥신 43, 및 커넥신 부류 중의 한 가지 이상의 기타 구성원 (예를 들어, 커넥신 26, 30, 30.3, 31.1, 32, 36, 37, 40, 40.1, 45 및 46.6)을 표적으로 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한 가지 초과의 커넥신 단백질에 대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는 조성물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지시되는 커넥신 단백질 중의 하나는 커넥신 43이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지시되는 기타 커넥신 단백질에는, 예를 들어 커넥신 26, 30, 30.3, 31.1, 32, 36, 37, 40, 40.1, 45 및 46.6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커넥신에 대해 지시된 적합한 예시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ODN)는 표 1에 제시된다.
개별적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특정 커넥신에 대해 특이적일 수 있거나, 1, 2, 3개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커넥신을 표적으로 할 수 있다. 특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일반적으로, 커넥신들 간에 보존되지 않는 커넥신 유전자 또는 mRNA 내의 서열을 표적으로 할 것인 반면, 비-특이적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양한 커넥신에 대해 보존된 서열을 표적으로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적합하게, 변형되지 않은 포스포디에스테르 올리고머일 수 있다. 이러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길이가 다양할 수 있다. 30량체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많은 국면은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를 참고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기타 적합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예컨대, RNA 폴리뉴클레오티드)도 이들 국면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는 뉴클레아제에 대한 그것의 저항성을 증강시킬 수 있고, 세포를 유입시킬 수 있는 능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할 수 있다. 기타 데옥시뉴클레오티드 유사체에는 메틸포스포네이트, 포스포르아미데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N3'P5'-포스포르아미데이트 및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및 그의 2'-O-알킬 유사체 및 2'-O-메틸리보뉴클레오티드 메틸포스포네이트가 포함된다. 다르게는, 혼합 주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MBO")를 사용할 수 있다. MBO는 포스포티오에이트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의 절편 및 변형된 올리고데옥시- 또는 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의 적당하게 위치된 절편을 함유한다. MBO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연쇄의 절편, 및 비-이온성이고 뉴클레아제 또는 2'-O-알킬올리고리보뉴클레오티드에 대해 극히 저항성인 메틸포스포네이트와 같은 기타 변형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기타 절편을 갖고 있다. 변형된 주쇄 및 혼합 주쇄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정확한 서열은 표적 커넥신 단백질에 좌우될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적합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표 1에 제시된 다음 서열 중에서 선택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와 같은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3
본원에 기재된 조합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한 폴리뉴클레오티드에는,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커넥신 43에 대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26, 30, 31.1, 32 및 37에 대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정확한 서열은 표적 커넥신 단백질에 좌우될 것이지만, 커넥신 43의 경우에는 다음 서열을 갖는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4
예를 들어, 커넥신 26, 31.1 및 32에 대한 적합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다음 서열을 갖는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5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유용한 기타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6
커넥신 단백질에 대해 지시된 폴리뉴클레오티드 (ODN 포함)는 편리하고 통상적인 임의의 접근 방식에 의해 그들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측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맥벡터(MacVector) 및 올리고테크(OligoTech) (미국 오레곤주 유진 소재의 올리고스(Oligos) 등으로부터 입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선택되면, DNA 합성기를 사용하여 ODN를 합성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상동체
상동성 및 상동체가 본원에서 논의된다 (예를 들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mRNA 내의 서열에 대한 보체의 상동체일 수 있음).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약 15개 이상, 약 20개 이상, 약 40개 이상, 약 100개 이상의 연속되는 뉴클레오티드 (상동성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영역 전반에 걸쳐, 관련 서열과의 상동성이 약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 약 90% 이상, 약 95% 이상, 약 97% 이상 또는 약 99% 이상이다.
상동성은 당업계에서의 임의 방법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WGCG 패키지는 상동성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BESTFIT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것의 디폴트 세팅으로 사용됨) (문헌 [Devereux et al. (1984) Nucleic Acids Research 12, p387-395]). PILEUP 및 BLAS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문헌 [Altschul S. F. (1993) J Mol Evol 36: 290-300]; [Altschul, S, F et al (1990) J Mol Biol 215: 403-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동성 또는 한 줄로 늘어선 서열을 계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그들의 디폴트 세팅으로 함).
BLAST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미국 국립 생물공학 정보 센터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로부터 공개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http://www.ncbi.nlm.nih.gov/). 이러한 알고리즘은 먼저, 데이터베이스 서열 내의 동일한 길이의 단어와 정렬되는 경우에 몇몇 양성 값의 역치 점수 T와 매칭되거나 이를 만족시키는 질의 서열 내의 길이 W의 짧은 단어를 확인함으로써 높은 점수의 서열 쌍 (HSP)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T는 이웃 단어 점수 역치로서 지칭된다 (상기 문헌 [Altschul et al]). 이들 개시 이웃 단어 일치값은 이를 함유하는 HSP를 발견하기 위한 조사를 개시하기 위한 시드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단어 일치값은 누적 정렬 점수가 증가할 수 있는 한은 각 서열을 따라 양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방향에서 단어 일치값에 대한 연장은 누적 정렬 점수가 그의 최대 달성값으로부터 양적으로 X 정도 감소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음성 점수 잔여 정렬의 축적으로 인해, 누적 점수가 0 또는 그 이하로 되는 경우; 또는 어느 한 서열의 말단에 도달하는 경우에 중지된다.
BLAST 알고리즘 파라미터 W, T 및 X는 정렬의 민감도와 속도를 결정해준다. BLAST 프로그램은 디폴트로서 단어 길이 (W), BLOSUM62 점수 매트릭스 (문헌 [Henikoff and Henikoff (1992) Proc. Natl. Acad. Sci. USA 89: 10915-10919] 참고) 정렬 (B) 50, 예상치 (E) 10, M=5, N=4, 및 양 가닥의 비교를 사용한다.
BLAST 알고리즘은 두 서열 간의 유사성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문헌 [Karlin and Altschul (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 5873-5787]을 참고한다. BLAST 알고리즘에 의해 제공된 유사성의 한 가지 측정치는 두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 간의 매치가 우연히 일어날 수 있는 확률의 지표를 제공해 주는 가장 작은 합 확률 (P(N))이다. 예를 들어, 제2 서열에 대한 제1 서열의 비교에서 가장 작은 합 확률이 약 1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미만인 경우에, 특정 서열은 또 다른 서열과 유사한 것으로 간주된다.
상동성 서열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2, 5, 10, 15, 20개 이상 (또는 이하)의 돌연변이 (이는 치환, 결실 또는 삽입일 수 있음)에 의해 관련 서열과 상이하다. 이들 돌연변이는 상동성 계산과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에 걸쳐 측정할 수 있다.
상동성 서열은 전형적으로는, 배경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본래의 서열과 선택적으로 혼성화한다. 선택적 혼성화는 전형적으로, 중간 내지 높은 엄격도 조건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60℃에서 0.03 M 염화나트륨 및 0.03 M 나트륨 시트레이트)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혼성화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조건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Sambrook et al.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참고). 예를 들어, 높은 엄격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한 조건에는 60℃에서의 0.2 x SSC가 포함된다. 보다 낮은 엄격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한 조건에는 60℃에서의 2 x SSC가 포함된다.
투여 형태 및 제형 및 투여
본 발명의 작용제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 예를 들어 본원에 언급된 상처 중 임의의 것을 갖는 대상체에게 투여할 수 있다. 이로써 대상체의 상태가 개선될 수 있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치료요법에 의해 대상체의 신체를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본원에 언급된 상처 중 임의의 것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실질적으로 단리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생성물을 이러한 생성물의 의도한 목적을 방해하지 않고 여전히 실질적으로 단리된 것으로 간주될 담체 또는 희석제와 혼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제제의 무수 중량으로 약 80%, 85% 또는 90%, 예를 들어 약 95% 이상, 약 98% 이상 또는 약 99% 이상을 포함할 것이다.
의도한 투여 경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품, 제약 조성물, 조합 제제 및 의약은, 예를 들어 용제, 현탁제, 점적주입제, 분무제, 고약, 크림, 겔, 발포제, 연고, 에멀션, 로션, 페인트, 지속 방출 제형 또는 산제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약 0.01% 내지 약 1%의 활성 성분(들), 약 1%-50%의 활성 성분(들), 약 2%-60%의 활성 성분(들), 약 2%-70%의 활성 성분(들), 또는 약 90% 이하의 활성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기타 적합한 제형에는 플루로닉 겔 기제의 제형,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CMC) 기제의 제형,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HPMC) 기제의 제형이 포함된다. 기타 유용한 제형에는 서방출 또는 지연 방출 제제가 포함된다.
겔 또는 젤리는 젤라틴, 트라가칸드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적합한 겔화제를 사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고, 이것은 보습제, 연화제 및 방부제로서 글리세롤을 포함할 수 있다. 연고는 지방성, 왁스성 또는 합성 기제 내로 혼입된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반고체 제제이다. 적합한 크림의 예에는 유중수 및 수중유 에멀션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중수 크림은 지방 알코올, 예컨대 세틸 알코올 또는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유화 왁스 (이에 제한되지 않음)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적합한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제형화할 수 있다. 수중유 크림은 세토마크로골 유화 왁스와 같은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적합한 특성에는 에멀션의 점도를 변형시킬 수 있는 능력, 및 광범위한 pH에 걸친 물리적 안성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포함된다. 수용성 또는 수 혼화성 크림 기제는 방부 시스템을 함유할 수 있고, 허용 가능한 생리학적 pH를 유지하도록 완충시킬 수도 있다.
발포 제제는 불활성 추진체를 사용하여 적합한 투약기를 통해서 가압 에어로졸 캐니스터로부터 전달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발포 기제의 제형화에 적합한 부형제에는 프로필렌 글리콜, 유화 왁스,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잠재적 방부제에는 메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작용제를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하여 제약 조성물을 생성시킨다. 적합한 담체 및 희석제에는 등장성 식염수, 예를 들어 인산염 완충 식염수가 포함된다. 적합한 희석제 및 부형제에는 또한, 예를 들어 물, 식염수,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등, 및 이들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습윤제 또는 유화제, 안정화제 또는 pH 완충제도 존재할 수도 있다.
용어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는 그 자체로는 해당 조성물이 투여된 개체에서 해로운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지 않고 과도한 독성 없이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제약 담체를 지칭한다. 적합한 담체는 크고 느리게 대사되는 거대분자, 예컨대 단백질, 다당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중합체성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 예를 들어 무기산 염, 예컨대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마이드, 포스페이트, 술페이트 등; 및 유기산 염, 예컨대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말로네이트, 벤조에이트 등이 제시될 수도 있다.
적합한 담체 물질에는 국소 투여용의 크림, 로션, 분무제, 발포체, 겔, 에멀션, 로션 또는 페인트에 대한 기제로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비히클이 포함된다. 그 예에는 유화제, 불활성 담체, 예컨대 탄화수소 기제, 유화 기제, 비-독성 용매 또는 수용성 기제가 포함된다. 특히 적합한 예에는 플루로닉, HPMC, CMC 및 기타 셀룰로스-기제 성분, 라놀린, 경질 파라핀, 액상 파라핀, 연질 황색 파라핀 또는 연질 백색 파라핀, 백색 밀랍, 황색 밀랍,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디메티콘, 유화 왁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미세결정성 왁스, 올레일 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비히클은 겔, 적합하게는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겔, 예를 들어 플루로닉 겔, 바람직하게는 플루로닉 F-127 (바스프 코포레이션)이다. 이러한 겔은 저온에서는 액체 상태지만, 생리적 온도 하에서는 신속하게 경화되어, 작용제가 적용 부위 또는 적용 부위 바로 인근으로 방출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보조제, 예컨대 카세인, 젤라틴, 알부민, 아교, 나트륨 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이 본 발명의 제형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기타 적합한 제형에는 플루로닉 겔 기제의 제형,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CMC) 기제의 제형,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HPMC) 기제의 제형이 포함된다. 조성물은 국소, 점적주입, 비경구, 근육내, 피하 또는 경피 투여를 포함한 임의의 목적한 전달 형태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기타 유용한 제형에는 서방출 또는 지연 방출 제제가 포함된다.
투여되는 제형은 형질감염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제의 예에는 양이온성 작용제 (예를 들어, 인산칼슘 및 DEAE-덱스트란) 및 리포펙탄트(lipofectant) (예를 들어, lipofectam™ 및 transfectam™), 및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형은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포 침투를 도와주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임의의 적합한 부하제를 함유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비-독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DMSO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르게는, 경피 침투제, 예컨대 우레아가 포함될 수 있다.
주어진 대상체에 대한 유효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집단의 50% 이상에 대해 치료적으로 유효하고 이 수준에서 독성을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는 투여량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 이용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각각의 유효 투여량은 다수의 요인, 예컨대 이용된 특정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투여 방식, 투여 횟수, 치료할 상처, 치료할 상처의 중증도, 투여 경로, 치료할 환자 아집단의 요구 또는 개개 환자의 요구 (상이한 요구는 연령, 성별, 체중, 환자에 대해 특이적인 관련 의학적 상처에 기인할 수 있음)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적합한 투여량은 약 0.001 내지 약 1 mg/체중 kg, 예컨대 약 0.01 내지 약 0.4 mg/체중 kg일 수 있다. 그러나, 적합한 투여량은 약 0.001 내지 약 0.1 mg/체중 kg, 예컨대 약 0.01 내지 약 0.050 mg/체중 kg일 수 있다. 약 1 내지 100, 200, 300, 400 및 500 마이크로그램의 투여량이 적당하다. 본원에서 인지된 바와 같이, 반복 적용이 고려된다. 반복 적용은 전형적으로 주당 약 1회, 또는 상처 치유가 지체되거나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기타 투여량 수준은 1일당 본원에 기재된 각각의 작용제 약 1 나노그램 (ng)/체중 kg 내지 약 1 mg/체중 kg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 화합물 각각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약 1 ng 내지 약 1 마이크로그램/체중 kg, 약 1 ng 내지 약 0.1 마이크로그램/체중 kg, 약 1 ng 내지 약 10 ng/체중 kg, 약 10 ng 내지 약 0.1 마이크로그램/체중 kg, 약 0.1 마이크로그램 내지 약 1 마이크로그램/체중 kg, 약 20 ng 내지 약 100 ng/체중 kg, 약 0.001 mg 내지 약 100 mg/체중 kg, 약 0.01 mg 내지 약 10 mg/체중 kg, 또는 약 0.1 mg 내지 약 1 mg/체중 kg의 범위일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 화합물 각각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약 0.001 mg 내지 약 0.01 mg/체중 kg, 약 0.01 mg 내지 약 0.1 mg/체중 kg, 약 0.1 mg 내지 약 1 mg/체중 kg의 범위, 또는 약 1 mg/체중 kg일 것이다. 하나 초과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는 경우, 각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투여량이 반드시 다른 것과 동일한 범위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투여량은 약 0.01 mg 내지 약 1 mg/체중 kg일 수 있고, 또 다른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투여량은 약 0.1 mg 내지 약 1 mg/체중 kg일 수 있다. 본원에서 인지된 바와 같이, 반복 적용이 고려된다. 반복 적용은 전형적으로 주당 1회, 또는 상처 치유가 지체되거나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다른 유용한 투여량은 약 1 내지 약 1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범위이다. 특정 투여량은 약 1-2, 약 1-5, 약 2-4, 약 5-7 및 약 8-1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일 것이다. 다른 유용한 투여량은 약 1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초과, 예컨대 약 15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2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25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3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35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4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5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및 약 10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이다. 다른 유용한 투여량은 약 15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20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약 25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 또는 약 500 마이크로그램/상처 크기 ㎠이다. 본원에서 인지된 바와 같이, 반복 적용이 고려된다. 반복 적용은 전형적으로 주당 1회, 또는 상처 치유가 지체되거나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양태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은 치료 부위 및/또는 치료 부위 인접 부위에 약 0.01 마이크로몰 (μM) 또는 0.05 μM 내지 약 200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은 약 0.05 μM 내지 약 100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은 약 1.0 μM 내지 약 50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은 약 5-10 μM 내지 약 30-50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된다. 부가적으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은 약 8 μM 내지 약 20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되고, 다르게는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은 약 10 μM 내지 약 20 μM의 최종 농도, 또는 약 10 μM 내지 약 15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된다. 특정의 기타 실시양태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약 10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조성물은 약 1-15 μM의 최종 농도로 적용된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투여량에는, 예를 들어 약 0.1-1, 1-2, 2-3, 3-4 또는 4-5 마이크로그램 (㎍), 약 5 내지 약 10 ㎍, 약 10 내지 약 15 ㎍, 약 15 내지 약 20 ㎍, 약 20 내지 약 30 ㎍, 약 30 내지 약 40 ㎍, 약 40 내지 약 50 ㎍, 약 50 내지 약 75 ㎍, 약 75 내지 약 100 ㎍, 약 100 ㎍ 내지 약 250 ㎍ 및 250 ㎍ 내지 약 500 ㎍이 포함된다. 상기 인지된 바와 같이, 0.5 내지 약 1.0 밀리그램 또는 그 이상의 투여량 또한 제공된다. 투여량 용적은 치료할 부위의 크기에 좌우될 것이고, 예를 들어 약 25-100 ㎕ 내지 약 100-200 ㎕, 약 200-500 ㎕ 내지 약 500-1000 ㎕의 범위일 수 있다. 밀리리터 용량은 보다 큰 치료 부위에 또한 적당하다. 본원에서 인지된 바와 같이, 반복 적용이 고려된다. 반복 적용은 전형적으로 주당 1회, 또는 상처 치유가 지체되거나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편리하게,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투여 후 약 0.5 내지 1시간 이상, 약 1 내지 2시간 이상, 약 2 내지 4시간 이상, 약 4 내지 6시간 이상, 약 6 내지 8시간 이상, 약 8 내지 10시간 이상, 약 12시간 이상 또는 약 24시간 이상 동안 커넥신 단백질의 발현을 하향조절하거나 갭-정션 형성을 조정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각각의 투여량은 그것이 적용될 영역의 크기, 길이, 깊이, 면적 또는 용적에 대한 조성물의 농도를 참고로 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국소 및 기타 적용, 예를 들어 점적주입에서 제약 조성물의 투여량은 적용 영역의 길이, 깊이, 면적 또는 용적당 제약 조성물 중의 농도 (예: ㎍/㎕) 또는 질량 (예: 마이크로그램)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투여된 초기 투여량 및 임의의 후속 투여량은 본원에 언급된 인자에 좌우될 것이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따라, 투여를 위한 프로토콜 및 투여량은 다양할 것이고, 투여량은 또한, 선택된 투여 방법, 예를 들어 국부 또는 국소 투여에 좌우될 것이다.
투여량은 단일 또는 분할 적용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은 한 번에 투여할 수 있거나 적용을 반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로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작용제는 치료 과정 동안 상이한 시간에 별개로 투여할 수 있거나, 분할 또는 단일 조합 형태로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처 치유에 유용한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고체 지지체 (예컨대, 드레싱 및 기타 매트릭스) 및 의료 제형 (예켄대, 겔, 혼합물, 현탁제 및 연고)을 사용하는 국소 투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국소 투여 (부위에 대한 말초적 또는 직접 투여)에 의해 전달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고체 지지체는 생분해성 막 또는 치료 부위 내로의 삽입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고체 지지체는 드레싱 또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고체 지지체 조성물은 서방출 고체 지지체 조성물일 수 있는데, 여기서는 상처 치유에 유용한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서방출 고형 매트릭스, 예컨대 알기네이트, 콜라겐 또는 합성 생흡수성 중합체의 매트릭스에 분산시킨다. 바람직하게, 고체 지지체 조성물은 멸균성이거나 생-부하량이 낮다. 한 실시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세척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일정 기간에 걸쳐 전달할 수도 있는데, 몇몇 경우에는 약 0.5시간, 1-2시간, 약 2-4시간, 약 4-6시간, 약 6-8시간, 또는 약 24시간 또는 그 이상이 보다 중증의 상처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세포 상실이 처치 부위를 넘어 주변 세포로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상실은 처음 처치한 지 24시간 내에 일어날 수 있고, 갭-정션 세포-세포 소통에 의해 매개된다.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들)를 투여하는 것이 세포간의 소통을 조정하거나, 부가의 세포 상실 또는 손상 또는 손상 결과를 최소화할 것이다.
전달 기간은 하향조절을 유도시켜야 하는 부위와 목적하는 치료 효과 둘 다에 의해 좌우될 것이지만, 약 0.5시간, 약 1-2시간, 약 2-4시간, 약 4-6시간, 약 6-8시간, 또는 약 24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의 연속 방출 또는 서방출 전달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비히클과 함께 제형, 특히 연속 방출 또는 서방출 투여를 위한 제형의 형태에 포함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인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작용제는, 예를 들어 상처 형성 전, 동안, 직후, 또는 예를 들어 상처 형성 후 약 180일 이상, 약 120일, 약 90일, 약 60일 또는 약 30일 이내에 투여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투여 경로 및 투여량은 단지 하나의 지침으로서 의도된 것인데, 이는 숙련된 내과의가 임의의 특정 환자 및 상처에 대한 최적의 투여 경로 및 투여량을 결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원에 기재되거나 참고된 질환, 장애 및/또는 상처를 갖고 있거나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어떠한 방법도 본원에 기재된 모든 투여량, 투여 형태, 제형 및/또는 조성물의 투여를 활용할 수 있다.
드레싱 및 매트릭스
한 국면에서,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드레싱 또는 매트릭스의 형태로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작용제는 직접 적용하기 위한 액체, 반고체 또는 고체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조성물은 고체 접촉층, 예컨대 드레싱 거즈 또는 매트릭스의 표면에 적용되거나 그것의 내부로 혼입된다. 드레싱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체 또는 겔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국소 적용에 통상적인 제약 부형제와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에는 플루로닉 겔, 폴락사머 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셀룰로스 유도체를 함유하는 히드로겔; 및 폴리아크릴산을 함유하는 히드로겔 (카르보폴)이 포함된다. 적합한 담체에는 또한, 국소 제약 제제에 사용되고 있는 크림/연고, 예를 들어 세토마크로골 유화 연고 기제의 크림이 포함된다. 상기 담체에는 알기네이트 (점증제 또는 자극제로서), 방부제, 예컨대 벤질 알코올, pH를 제어하기 위한 완충제, 예컨대 인산수소 이나트륨/인산이수소 나트륨, 삼투압을 조정하기 위한 작용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및 안정화제, 예컨대 EDTA가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커넥신 43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천연 또는 합성 매트릭스 상에 투여된다.
적합한 드레싱 또는 매트릭스에는, 예를 들어 하기의 것들이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항-커넥신 43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항-커넥신 43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바람직하다.
1) 흡수제: 적합한 흡수제에는 예를 들어, 예를 들면 셀룰로스, 면 또는 레이온과 같은 고도로 흡수성인 섬유 층과 합한, 반-부착성 또는 비-부착성 층을 제공할 수 있는 흡수성 드레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르게는, 흡수제는 일차 또는 이차 드레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2) 알기네이트: 적합한 알기네이트에는, 예를 들어 해초로부터 유래된 제로겔(xerogel) 또는 천연 다당류 섬유로 구성된 부직의 비-부착성 패드 및 리본인 드레싱이 포함된다. 적합한 알기네이트 드레싱은, 예를 들어 삼출물과의 접촉시 이온 교환 과정을 통하여 습윤 겔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알기네이트 드레싱은 부드럽고 편안하며, 불규칙한 모양의 영역 전반에 걸쳐 패킹하거나, 둘러싸거나, 적용하기에 용이하도록 설계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알기네이트 드레싱을 제2 드레싱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3) 항미생물 드레싱: 적합한 항미생물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예를 들면 은 및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PHMB)와 같은 생체 활성제의 전달을 촉진시켜, 이것이 요구되거나 바람직한 곳에서 감염에 대한 효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드레싱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적합한 항미생물 드레싱은, 예를 들어 스폰지, 함침된 직조 거즈, 필름 드레싱, 흡수 제품, 아일랜드 드레싱, 나일론 직물, 비-부착성 장벽, 또는 복합 재료로서 이용가능할 수 있다.
4) 생물학적 & 생합성 드레싱: 적합한 생물학적 드레싱 또는 생합성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천연 공급원으로부터의 겔, 용액 또는 반-투과성 시트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겔 또는 용액을 치료 부위에 적용하고 장벽 보호를 위한 드레싱으로 덮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시트를 막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일계 내에 놓아, 단일 적용 후에도 원위치에 남아있도록 한다.
5) 콜라겐: 적합한 콜라겐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소, 돼지 또는 조류 공급원 또는 기타 천연 공급원 또는 공여자로부터 유래된 겔, 패드, 입자, 페이스트, 분말, 시트 또는 용액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콜라겐 드레싱은 치료 부위 삼출물과 상호 작용하여 겔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콜라겐 드레싱을 이차 드레싱과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6) 복합물: 적합한 복합물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별개의 성분을 단일 생성물로 합하여 예를 들어 세균 장벽, 흡수 및 부착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해 주는 드레싱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복합물 드레싱은, 예를 들어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반-부착성 또는 비-부착성 패드를 혼입시킨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복합물에는, 예를 들어 부직포 테이프 또는 투명 필름의 부착성 테두리가 포함될 수 있다.
7) 접촉층: 적합한 접촉층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치료 부위에 적용된 기타 작용제 또는 드레싱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한 영역 상에 놓는 비-부착성 박막 시트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접촉층은 치료 부위 영역의 모양에 맞도록 배치시킬 수 있고, 덮어진 이차 드레싱에 의한 흡수를 위해 삼출물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이다.
8) 탄성 붕대: 적합한 탄성 붕대에는, 예를 들어 신체 윤곽에 맞도록 신장되는 드레싱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직물 조성물에는, 예를 들어 면,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또는 나일론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기타 실시양태에서, 탄성 붕대는, 예를 들어 제2층 또는 드레싱으로서의 흡수를 제공하여 커버를 제위치에 유지시켜 주거나, 압력을 가하거나, 치료 부위에 쿠션을 제공해줄 수 있다.
9) 발포체: 적합한 발포성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유체를 유지시킬 수 있는 소형의 개방 셀을 갖는 발포성 중합체 용액 (폴리우레탄 포함)의 시트 및 기타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발포체는, 예를 들어 기타 재료와 함께 함침되거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흡수 능력은 발포체의 두께 및 조성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특정의 기타 실시양태에서, 치료 부위와 접촉하고 있는 영역은 용이한 제거를 위해 비-부착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발포체를 부착성 테두리 및/또는 항감염성 장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투명 필름 코팅과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10) 거즈 & 부직 드레싱: 적합한 거즈 드레싱 및 직조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흡수도가 다양한 건조 직조 또는 부직 스폰지 및 랩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직물 조성물에는, 예를 들어 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레이온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거즈 및 부직 드레싱은 부착성 테두리를 갖거나 갖지 않는 벌크 형태의 멸균성 또는 비-멸균성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거즈 드레싱 및 직조 드레싱은 각종 상처 치료 부위를 청결하게 하고, 패킹하고, 덮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11) 히드로콜로이드: 적합한 히드로콜로이드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젤라틴, 펙틴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로 구성된 웨이퍼, 분말 또는 페이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웨이퍼는 자가-부착성이고, 부착성 테두리를 갖거나 갖지 않고, 광범위한 형태와 크기로 이용가능하다. 예시적인 히드로콜로이드는 윤곽 형성을 요구하는 영역에 유용하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는, 분말 및 페이스트 히드로콜로이드를 이차 드레싱과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12) 히드로겔 (무정형): 적합한 무정형 히드로겔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수분을 제공하고 습윤 치유 환경을 유지하고/하거나 치료 부위를 재수화시키도록 설계된, 물, 중합체 및 형태가 없는 기타 성분의 제형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는, 히드로겔을 이차 드레싱 커버와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13) 히드로겔: 함침형 드레싱: 적합한 함침형 히드로겔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무정형 히드로겔로 포화시킨 거즈 및 부직 스폰지, 로프 및 스트립이 포함될 수 있다. 무정형 히드로겔에는, 예를 들어 건조 치료 부위에 수분을 제공하고 습윤 치유 환경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물, 중합체 및 형태가 없는 기타 성분의 제형이 포함될 수 있다.
14) 히드로겔 시트: 적합한 히드로겔 시트에는, 예를 들어 물에 불용성이고 팽윤에 의해 수용액과 상호 작용하는 가교 결합된 친수성 중합체의 3차원적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히드로겔은 고도로 적합성이 있고 투과성이며, 그것의 조성에 따라서 다양한 양의 배농을 흡수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히드로겔은 치료 부위에 대하여 비-부착성이거나, 용이한 제거를 위해 처리된다.
15) 함침형 드레싱: 적합한 함침형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용액, 에멀션, 오일, 겔 또는 몇몇 기타 제약상 활성인 화합물 또는 담체, 예컨대 식염수, 오일, 아연 염, 광유, 제로폼(xeroform) 및 스칼렛 레드뿐만 아니라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로 포화시킨 거즈 및 부직 스폰지, 로프 및 스트립이 포함될 수 있다.
16) 실리콘 겔 시트: 적합한 실리콘 겔 시트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메쉬 또는 직물로 강화되거나 이것과 결합된 가교 결합된 중합체로 구성된 연질 커버가 포함될 수 있다.
17) 용액: 적합한 액상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다단백질 물질의 혼합물 및 세포외 매트릭스에서 발견된 기타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는, 예시적인 용제를 괴사조직 제거 및 청결화 후에 치료 부위에 적용한 다음, 흡수성 드레싱 또는 비-부착성 패드로 덮을 수 있다.
18) 투명 필름: 적합한 투명 필름 드레싱에는 흡착제가 있는 한 측면 상에 피복된 다양한 두께의 중합체 막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투명 필름은 액체, 물 및 세균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이지만, 습윤 증기 및 대기 가스에 대해서는 투과성이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투명성은 치료 부위를 가시화시켜 줄 수 있다.
19) 충전제: 적합한 충전제 드레싱에는, 예를 들어 비드, 크림, 발포체, 겔, 연고, 패드, 페이스트, 필로우, 분말, 스트랜드 또는 기타 제형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양태에서, 충전제는 비-부착성이고 시간 방출형 항미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충전제는 습윤 환경을 유지시키고, 삼출물을 관리하며, 예를 들어 패킹이 요구되는 부분층 및 전층 상처, 감염 상처, 배농 상처 및 심부 상처를 치료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치료를 위해 일시적이고 부위-특이적인 방식으로 세포-세포 소통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제형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형은 치료 방법에 적용된다.
상처 치료
조직 손상 (특히 지연된 치유를 특징으로 하는 상처 및 만성적 상처에 의한 것)의 경우에, 본 발명의 제형은 상처 치유 과정을 증진시키고, 염증을 감소시키며, 반흔 조직 형성을 최소화하는 데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형은 외부적인 외상, 또는 질환 상태 (예컨대 당뇨병성 궤양) 또는 질병 (예컨대, 정맥성 궤양, 동맥성 궤양 및 혈관염성 궤양) 또는 물리적 과정 (예컨대, 압박성 궤양)의 결과인 것에 상관없이,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치료에서 명백한 이점을 가진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로 고통받고 있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투여는 육아 조직 침착을 감소시키고, 세포 이동을 증진시켜 상처 폐쇄 및 치유를 가속화하고, 상피 성장을 촉진시키는 데 유효하거나, 이들의 임의 조합에 대해 유효하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에서 상피 기저 세포 분열 및 성장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피 기저 세포 분열 및 성장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26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에서 외층 각질 분비를 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외층 각질 분비를 조절하기에 유효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31.1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로 고통받고 있는 대상체에서 조직 손상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거나 또는 회복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지속 투여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약 1-24시간 이상, 약 0.5시간 이상, 약 1시간 이상, 약 2시간 이상, 약 3시간 이상, 약 4시간 이상, 약 5시간 이상, 약 6시간 이상, 약 7시간 이상, 약 8시간 이상, 약 9시간 이상, 약 10시간 이상, 약 11시간 이상, 약 12시간 이상 또는 약 24시간 이상 동안 투여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커넥신 발현은 지속적인 기간 동안 하향조절된다. 바람직하게, 커넥신 43 발현은 지속적인 기간 동안 하향조절된다. 편리하게, 커넥신 43 발현은 적어도 약 0.5, 1, 2, 4, 6, 8, 10, 12 또는 24시간 동안 하향조절된다. 완전한 커넥신 회복은 일반적으로 발현의 하향조절 후 적어도 약 48-72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적합한 대상체에는 당뇨병 대상체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갖는 기타 대상체가 포함된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지속 투여를 포함하는,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지속 투여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추가의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상처 영역에서의 재상피화 속도를 증가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상처 영역에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및/또는 커넥신 31.1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지속 투여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들)은 지속 방출 제형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들)은 지속적인 기간 동안 투여된다. 편리하게, 조성물은 커넥신 43 및/또는 31.1 수준 또는 발현을 적어도 약 24시간 이상 동안 감소시키기에 유효하다. 치료될 수 있는 대상체에는 당뇨병 대상체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갖는 기타 대상체가 포함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상피 기저 세포 분열 및 성장을 조절하기에 유효하고/하거나 외층 각질 분비를 조절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상처 영역에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상피 기저 세포 분할 또는 성장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커넥신 26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외층 각질화를 조절하기에 유효한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커넥신 31.1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들)은 지속 방출 제형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들)은 지속적인 기간 동안 투여된다. 편리하게, 조성물은 커넥신 43, 26 및/또는 31.1 수준 또는 발현을 약 24시간 이상 동안 감소시키기에 유효하다. 치료될 수 있는 대상체에는 당뇨병 대상체가 포함된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상기 상처 또는 상기 상처와 연관된 조직에 투여되는 유효량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만성적 상처,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만성적 상처는 만성적 피부 상처이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한 기간 동안 상기 대상체의 피부 또는 피부와 연관된 조직에 투여된다. 편리하게, 조성물은 적어도 약 0.5시간, 약 1-2시간, 약 2-4시간, 약 4-6시간, 약 4-8시간, 약 12시간, 약 18시간 또는 약 24시간 동안 커넥신 43 수준을 감소시키거나, 커넥신 43 헤미채널 개방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기에 유효하다. 치료에 적합한 만성적 피부 상처는, 예를 들어 압박성 궤양, 당뇨병성 궤양, 정맥성 궤양, 동맥성 궤양, 혈관염성 궤양, 및 혼합 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 동맥 봉쇄로부터 비롯되는 궤양화를 포함하는 동맥성 궤양일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정맥 판막의 기능장애 및 이와 연관된 혈관 질환으로부터 비롯되는 궤양화를 포함하는 정맥 울혈성 궤양일 수 있다. 만성적 상처는 외상-유도성 궤양일 수 있다. 대상체는 정맥성 궤양 및 본원에 기재되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것들을 포함한 기타 궤양을 앓는다.
조성물
본 발명은 제약 조성물이 치료적 유효량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제형, 및 이들의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유 증진 요법으로는 치유가 느리거나 난치성일 수 있는 상처를 포함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치유를 개선시키거나 증진시키는 데 유용하다.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의 커넥신 단백질만의 mRNA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신 단백질은 커넥신 43이다.
다르게는, 조성물은 하나 초과의 커넥신 단백질에 대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지시되는 커넥신 단백질 중의 하나는 커넥신 43이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지시되는 기타 커넥신 단백질에는, 예를 들어 커넥신 26, 30, 31.1, 32 및 37이 포함될 수 있다. 각종 커넥신에 대해 지시되는 적합한 예시적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ODN)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국면은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를 참고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기타 적합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예컨대, RNA 폴리뉴클레오티드)도 이들 국면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기타 항-커넥신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RNAi 및 siR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따라서,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치료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한다.
키트 , 의약 및 제조품
임의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또한 의약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치료적 유효량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조성물 또는 제형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키트는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형을 함유하는 용기 및 대상체의 치료에 관한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제조품이 또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커넥신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용기, 및 만성적, 지연 치유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로 고통받고 있는 대상체의 치료에 관한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제조품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용기, 및 만성적 상처 또는 지연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갖는 대상체의 치료에 관한 사용을 포함한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용기, 및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만성적 상처 또는 지연되거나 불완전한 상처 치유, 또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기타 상처를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을 갖고 있거나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대상체의 치료에 관한 사용을 포함한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포함한다.
인지된 바와 같이, 당뇨병 환자에서는 상처 치유가 느려서, 절단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감염 또는 만성적 상처를 흔하게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갭-정션 단백질 커넥신 43을 통한 세포-세포 소통 및 커넥신 43 발현의 동적인 조절이 상처 치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정상 조직, 예컨대 피부에서는, 상처 형성 후 첫 24시간 내에, 상처 가장자리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커넥신 43이 정상적으로 하향조절되고, 커넥신 26이 상향조절되는데, 그것은 이들이 이동성 표현형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히 당뇨병 조직, 일반적으로 피부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처 형성 직후에 커넥신 43이 상향조절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당뇨병 래트에서의 상처 치유를 만성적 상처의 한 모델로서 이용하였다. 실시예 1은 당뇨병 래트에서의 상처-치유 부전을 개선하기 위한 항-커넥신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용도를 입증한다. 실시예 1에서, 래트에서의 급성, 스트렙토조토신-유도된 당뇨병은 표피에서의 커넥신 43 및 커넥신 26 단백질 및 소통을 감소시키고 진피에서의 커넥신 43 단백질 및 소통을 증가시키면서 피부에서의 커넥신 발현을 변경한다. 실시예 1은 당뇨병이 상처 치유와 관련된 커넥신의 동적 변화를 변경함을 입증한다. 24시간 이내에, 커넥신 43은 (이동성 세포의 얇아지는 과정을 형성하였던 대조군에서와 같이 하향조절되기 보다는) 상처 가장자리의 각질형성세포의 비후 구상부 (bulb)에서 상향조절된다. 커넥신 43 쇠퇴는 48시간까지 지연되고, 그 다음 재상피화가 개시되었다. 커넥신 26은 당뇨병에서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상향조절되지만, 상처 가장자리에서의 그의 분포는 보다 광범위하여 비정상적이었다. 실시예 1은 커넥신 43-특이적 안티센스 겔의 당뇨병 상처에의 적용과 상기 겔의 상응하는 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에의 적용의 비교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은 커넥신 43 발현의 비정상적 동역학 및 지연된 재상피화 간의 관계를 추가로 제시한다. 이러한 치료는 커넥신 43의 비정상적 상향조절을 예방하고 재상피화의 속도를 대조군 (비-당뇨병) 수준 이상으로 배가시켰다.
실시예 1에 보고된 결과는 커넥신 발현 동역학에서의 당뇨병-유도된 변화가 지연된 상처 치유의 원인이 되고 당뇨병 및 다른 만성적 상처의 치유를 증진시키는 수단으로서 커넥신 43 발현을 표적화하는 것이 잠재적인 치료적 가치가 있다는 개념을 지지한다.
실시예 2는 인간 대상체에서의 비-치유성 피부 궤양의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항-커넥신 43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성공적인 적용을 입증한다.
실시예 3은 인간 대상체에서의 비-치유성 정맥성 궤양의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항-커넥신 43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성공적인 적용을 입증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이제 하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할 것이며,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를 하기 서열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7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 스트렙토조토신 65 mg/kg를 함유하는 단일 복강내 주사액에 의해 성체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래트 (350-40O g)에서 당뇨병을 유도하였다 (문헌 [Shotton HR, et al. (2003) Diabetes. 52:157-64)] (N= 6마리 당뇨병, 6마리 대조군). 대부분의 당뇨병 상처-치유 연구는 당뇨병 유도 2주 후에 수행되 었으며 동일 시점을 본 상처 치유 연구에서도 사용하였다. 그러나, 당뇨병 래트 피부에서의 커넥신 발현을 또한 8주째에 조사하여 (N= 6마리 당뇨병, 6마리 대조군) 2주째에 검출된 변화가 동일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문헌 [Saitongdee et al. (2000). Cardiovascular Res. 47, 108-115]에서와 같이 정상 등 피부를 절제하여, 냉동절편하고, 커넥신에 대해 면역염색한 다음, 공초점 현미경에 의해 영상화하고 염색을 정량화하였다.
래트를 할로테인으로 마취시키고 이들의 등을 면도하였다. 2쌍의 5x5 mm 전층 절제 상처를 만들고, 플루로닉 F-127 겔 중 10 μM 커넥신 43-특이적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를 한 상처에 적용하고 대조군 (센스) 겔을 다른 상처에 적용하였다 (문헌 [Qiu C, et al. (2003) Cell Biol. Int. 27:525-541)]. 조직을 상처형성 후 1, 2, 5, 10 및 15일째에 수집하고, 커넥신 면역세포화학 또는 H&E 염색 (상기 문헌)용 제제에 절편화하였다. 커넥신 발현에서의 동적 변화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의 주요 사건과 상관관계가 있다. N= 시점당 6마리 당뇨병, 6마리 대조군 래트.
세포간 소통은 겔폼 가제로 루시퍼 옐로우 CH(Lucifer Yellow CH) (Sigma)의 4% 용액을 신선한 전층 피부 절개에 적용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염료를 겔폼의 제거 및 조직의 고정 전에 5분 동안 이동시켰다. 손상된 세포에는 진입하나 갭-정션은 통과하지 못하는 10 kD Kd FITC-덱스트란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조직을 냉동절편하고 레이카(Leica) SP2UV (Leica, Milton Keynes, UK; N= 4마리 당뇨병 및 4마리 대조군) 상에서의 공초점 현미경에 의해 영상화하였다.
이동된 염료 및 커넥신 면역염색은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최적의 게인(gain) 및 오프셋(offset)을 미리 설정하고 영상 획득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일련의 단일 광학적 절편 영상을 찍어 단면으로부터 피부의 몽타쥬를 생성하였다. 디지털 영상은 8비트이며 이미지-J(Image-J) 소프트웨어 (NIH)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염료 이동을 평가하기 위해, 1500x30 픽셀 관심 영역 박스를 중부 진피에서의 절단연으로부터 위치시키고 박스를 가로질러 영상 강도 그래프를 생성하였다. 50 미만의 회색 수준 강도 강하를 루시퍼 옐로우가 이동하는 지점으로서 임의로 취하였다. 유사하게, 표피에서, 단면으로부터 루시퍼 옐로우 신호가 50 미만으로 강하하는 이동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기록하였다. 최소 3개의 영상을 각각의 동물로부터 분석하였다. 커넥신 단백질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진피 또는 표피의 6개의 단일 광학적 절편 영상을 각각의 상처에 대해 상이한 절편으로부터 찍었다. 레이저 파워, 핀홀, 게인/오프셋 및 대물렌즈의 모든 파라미터는 대조군 및 당뇨병 군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커넥신 발현을 이미지-J 소프트웨어 (NIH)를 이용하여 문헌 [Saitongdee et al. (2000) 상기]에서와 같이 정량화하였다. 역치값을 최소 배경 노이즈로 갭-정션 플라크를 검출하도록 설정한 다음 모든 영상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커넥신 플라크의 수 및 크기를 각각의 영상에 대해 기록하고 표피 100 ㎛ 또는 진피 10000 ㎛2에 대해 나타내었다. 이러한 접근법은 세포 수준에서 단백질 발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웨스턴 블롯(Western blot)보다 훨씬 더 정확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웨스턴 블롯은 표피 및 진피 세포 사이를 구별하거나 상처 가장자리에 대한 근접 효과를 검출하기가 불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상처 가장자리 (WE)에서의 구역 및 500 ㎛ 떨어진 구역 (AD)에서의 각질형성세포 내 커넥신 수준은 상처형성 후 1일 또는 2일째에 정량화가능하였다. 상처형성 후 5일째에 초기 표피의 선도 가장자리 (LE)의 추가의 구역을 또한 영상화하였다. H&E 염색의 영상을 DC300F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레이카 DMLFS 현미경으로 찍었다. 재상피화 속도에 대한 측정법은 이미 문헌 [Qiu C, et al. (2003) 상기 문헌]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처리간의 모든 수치적 차이는 스타트뷰(Statview) 5.0.1에서 실행되는 윌콕슨 대응쌍 부호-순위 검증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유의도에 대해 검증하였다.
도 1A 및 1B는 당뇨병 유도 2주 후 (도 1A) 및 8주 후 (도 1B)에 정상 및 STZ 당뇨병 래트 피부에서의 커넥신 43 및 26 염색을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는 표피 및 진피에서의 플라크의 수를 나타낸다. 커넥신 43 및 커넥신 26 염색은 당뇨병 표피에서는 상당히 감소한 반면, 진피에서는 커넥신 43 염색이 당뇨병 유도 후 2주 정도로 빨리 증가하였으며, 8주째에 더 이상 추가의 변화는 없었다. 도 1C는 8주째 대조군 (C) 및 당뇨병 (D) 피부에서의 전형적인 커넥신 43 및 커넥신 26 면역염색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화살촉은 표피와 진피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다. 스케일 바 25 ㎛. 도 1D: 갭-정션-투과성 염료인 루시퍼 옐로우가 대조군 및 당뇨병 래트의 표피 및 진피에 5분 내 이동 거리의 정량화. 염료 이동은 당뇨병 표피에서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당뇨병 진피에서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전형적으로 점상 커넥신 43 면역염색이 표피의 기저층에서, 및 진피 섬유아세포, 모공, 혈관 및 부속기에서 발견되었다 (도 1A 내지 1D). 그러나, 당뇨병 피부에서, 커넥신 43 염색은 표피에서 갭-정션 플라크의 크기 및 수와 관련하여 모두 상당히 감소하였다 (도 1A). 표피의 상부층에서의 커넥신 26에 대한 염색은 유사하게 당뇨병 표피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도 1A). 그러나, 이는, 대비 효과가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관찰되었기 때문에, 즉 이들에서 커넥신 43-양성 플라크의 크기 및 수에서의 명백한 증가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당뇨병에 반응한 커넥신의 전체적인 하향조절은 아니었다. 커넥신 발현에 대한 유사한 효과가 당뇨병의 STZ 유도 2주 후 및 8주 후에 피부에서 나타났다 (도 1B).
당뇨병 표피 및 진피에서의 세포-세포 소통을 평가하기 위해, 갭-정션-투과성 염료 루시퍼 옐로우의 조직을 통한 5분 내 이동의 범위를 조사하였다. 이에 의해, 커넥신 단백질 발현에서의 변화와 일치하여, 당뇨병 표피에서의 상당히 감소된 소통, 그러나 진피에서의 상당히 증가된 소통이 나타났다. 인간 당뇨병 섬유아세포에서의 커넥신 43 단백질의 상승된 발현 및 증가된 소통이 보고되어 있으며 (문헌 [Abdullah KM, et al. (1999) Endocrine 10:35-41]) 당뇨병에 대한 상이한 커넥신의 혼합된 반응이 신장계 (문헌 [Zhang J, Hill CE. (2005) Kidney Int. 68:1171-1185]) 및 방광 (문헌 [Poladia DP, et al. (2005) Acta Diabetol. 42:147-152])에서 주목되었다.
도 2A 내지 2D는 대조군 및 당뇨병 표피에서의 손상 후 재상피화 속도 및 커넥신 43 및 커넥신 26 단백질의 반응 수준을 도시한 것이다. 상처 가장자리 (WE) 에서의 표피 및 500 ㎛ 떨어진 인접 (AD) 표피에 상처형성 후 1일 및 2일째에 플라크를 계수함으로써 염색을 정량화하였다 (도 2A). 5일째에, 초기 표피의 선도 가장자리 (LE)에서 추가의 구역을 정량화하고 데이터를 또한 포함시켰다. 재상피화의 속도는 모든 시점: 상처형성 후 1일, 2일 및 5일째에 대조군 (C)과 비교하여 당뇨병 래트 (D)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도 2B). 구역 WE 내 커넥신 43 염색은 손상 후 처음 24시간 내에 통상적으로 감소하나, 당뇨병 피부에서 이는 상당히 증가하여 2 dpw까지는 대조군 수준 가까이 회복하고, 모든 3구역 5 dpw에서는 상당히 감소된 수준으로 나타났다 (도 2C). 손상에 대한 커넥신 26의 정상 반응은 WE에서 염색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이는 1 dpw에 대조군 및 당뇨병 동물 둘 다에서 발견되었다 (도 2D). 그러나, 2 dpw에 당뇨병 피부에서, 커넥신 26 염색이 WE 및 AD 구역 둘 다에서 상당히 상승하였으며, 단지 5 dpw에만 이들 구역에서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a 내지 3f 및 3a' 내지 3f'는 상처-치유 과정 동안 대조군 및 당뇨병 피부의 표피 상처 가장자리에서의 커넥신 43 (a, a', c, c', e, e') 및 커넥신 26 (b, b', d, d', f, f') 염색 (녹색) 및 핵 염색 (청색)을 도시한 것이다. 1일째에, 커넥신 43 단백질 발현은 대조군 래트의 선도-가장자리 각질형성세포에서는 하향조절되나 (도 3a) 당뇨병 동물에서는 종창성인 것 같은 이들 구역에서 상향조절되었다 (도 3a'). 커넥신 26은 대조군 (도 3b) 및 당뇨병 (도 3b') 표피 둘 다에서 유사하게 상향조절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일째에, 커넥신 43 염색은 당뇨병 선도-가장자리 각질형성세포에서 감소되었고 (도 3c') 대조군의 것과 유사한 반면 (도 3c), 커넥신 26은 모든 당뇨병 각질형성세포 (도 3d')에서 대조군 (도 3d)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상처형성 후 5일째에 대조군 (도 3e) 및 당뇨병 (도 3e')의 초기 표피는 각질형성세포 사이에서 점상 커넥신 43 염색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반면, 커넥신 26 염색은 대조군 상처 (도 3f)와 비교하여 당뇨병 상처 (도 3f')에서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 화살촉은 상처의 가장자리를 표시한다. 스케일 바 a, c, e, 50 ㎛; b, d, f 100 ㎛.
손상에 대한 커넥신 발현의 동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상처 가장자리 (WE) 및 500 ㎛ 떨어진 인접 구역 (AD)에서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커넥신 염색을 상처형성 후 1일 및 2일째에 정량화하는 한편, 5일 후에는 선도 가장자리 (LE) 각질형성세포 (도 2A)를 영상화하였다. 상처형성 후 1일째에 대조군 각질형성세포에서는 커넥신 43 염색에서의 상당한 감소가 AD에 비해 WE 구역에서 발견되었다 (도 2C, 3a 및 3a'). 현저히 대조적으로, 당뇨병 동물에서는 커넥신 43 염색에서의 상당한 증가가 AD와 비교하여 WE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정상 상처-치유 반응과는 반대이며 커넥신 43 수준이 무손상 당뇨병 피부에서는 상당히 감소하기 때문에 놀라웠다. 커넥신 26의 동적 반응은 당뇨병 및 대조군 피부에서 WE 구역 내 염색에서의 상당한 증가로 유사하지만 (도 2D, 3b 및 3b'), 당뇨병 피부에서는, 커넥신 26 염색의 상승이 대조군에서와 같이 WE 구역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 거리만큼 AD 구역까지 미치며, 이는 손상에 대한 반응에서의 보다 큰 확장을 의미한다. 또한, 상처 가장자리에서의 각질형성세포는 당뇨병 조직에서는 비후 구상부를 형성하는 반면, 대조군에서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해서 이동하기 전에 얇아졌다.
2일째 대조군 상처는 재상피화를 시작하였으나 (12% 폐쇄) 당뇨병 상처는 지연되었으며 (5% 폐쇄), 단지 최근에 이동성 형태를 채택하였다. 이러한 당뇨병 각질형성세포 형태 변화를 수반하면서, WE 구역 내에서 커넥신 43 염색에서의 상당한 감소가 있었으며, 이들 단계에 의한 것은 대조군의 것과 유사하였다 (도 2C, 3c 및 3c'). 그러나, 당뇨병 피부 상처에서는, 커넥신 26 염색의 수준이 WE 및 AD 구역 둘 다에서 계속 증가하였으며 (도 2D, 3d 및 3d'), 이는 손상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조직 반응을 나타낸다.
5일째에, 재상피화는 당뇨병 군 및 대조군 둘 다에서 잘 진행되지만, 당뇨병 상처는 상당히 지연되었다 (대조군에서의 33%와 비교하여 20% 폐쇄; P< 0.008; 윌콕슨 대응쌍 부호-순위 검증; 도 2C). 당뇨병 군 및 대조군 둘 다에서, LE 각질형성세포는 명백하게 커넥신 43 염색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커넥신 43 염색은 WE 및 AD 구역에서는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무손상 피부와 같이, 대조군보다 커넥신 43을 덜 발현하는 당뇨병 피부에서 덜 증가하였다 (도 2C, 3e 및 3e'). 이러한 단계에서, LE에서의 커넥신 26 염색은 당뇨병 및 대조군 피부에서 유사하게 증가하였다 (도 2D, 3f 및 3f'). 당뇨병 WE 및 AD 구역에서 이전에 상승된 커넥신 26 염색은 보다 더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재상피화는 10일째까지 대조군 및 당뇨병 동물 둘 다에서 완료되었으며, 이때 커넥신 43의 높은 수준이 증식성의 과도하게 비후화된 표피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커넥신 43 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대조군 ("sODN")과 비교한, 상처형성 후 1일째의 커넥신 43 발현 및 1일, 2일 및 5일째의 재상피화 속도에 대한 커넥신 43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Cx43asODN") 처리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상승된 수준의 커넥신 43 염색 (녹색 점)은 1 dpw에 당뇨병 상처 가장자리에서의 종창성 표피 구상부 (도 4A)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커넥신 43 단백질 발현에서의 이러한 상승은 커넥신 43asODN로의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고, 이는 또한 세포의 구상부보다는 오히려 대조군 동물과 보다 유사하게 보이는 각질형성세포의 보다 얇은 층을 생성한다 (도 4B). 대조군 및 당뇨병 피부에서의 상처의 asODN 또는 대조군 sODN로의 처리 쌍은 조사된 모든 시점에서 asODN 적용 후에 재상피화 속도를 2배로 만들었다 (도 4C). 당뇨병 asODN 처리된 피부의 재상피화의 속도는 1 dpw 및 2 dpw에서의 sODN 처리된 대조군 피부의 것과 근사하나, 5 dpw에서는 상당히 더 빠르다. 스케일 바 50 ㎛.
당뇨병 상처에서의 커넥신 면역염색, 갭-정션 소통 및 형태학적 반응을 관찰하면서, 당뇨병 WE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커넥신 43 단백질의 비정상적 증가의 효과를 손상시 상처에 적용된 커넥신 43-특이적 안티센스 겔로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이는 커넥신 43에서의 증가를 유효하게 억제하였고 (도 4A), 또한 상처-치유 속도를 2배로 개선시켜, 비처리된 대조군의 수준 또는 그 이상에 이르게 하였으나 (도 4B) 치유 속도는 대조군 래트에서의 안티센스-처리된 상처에서 훨씬 더 높았다.
당뇨병이 상이한 커넥신 단백질에 대한 차별적 효과로 커넥신의 발현을 변경하는 메카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고혈당증 및/또는 고혈당증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당뇨병의 다른 합병증, 예컨대 신경병증 및 혈관병증의 발병에 연 관되어 있다 (문헌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999)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diabetic foot wound care: 7-8 April 1999, Boston, Massachussets]). 시험관내 고농도 글루코스 및 산화적 스트레스 둘 다가 각종 상이한 세포 유형에서 커넥신 발현 및/또는 갭-정션 소통을 변경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문헌 [Fukuda T, et al. (2000) J. Gastroenterol 35:361-368]; [Cho JH, et al. (2002), Carcinogenesis. Jul;23(7): 1163-9]; [Rouach N, et al. (2004) Glia. 1;45(1):28-38]), 커넥신 43 및 커넥신 26은 상이한 프로모터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문헌 [Hennemann H, et al. (1992) Eur. J. Cell Biol. 58(1):81-9]; [Chen ZQ, et al. (1995) J Biol Chem. 270(8):3863-8]).
그러나, 상처 치유 부전은 신경병증 또는 혈관병증이 발병하기 전에 당뇨병 유도 후 1주일 정도로 빨리 래트에서 나타났다 (문헌 [Witte MB, et al. (2002) Br. J. Surg. 89:1594-1601)]; [Shi HP, et al. (2003) Wound Repair Regen. 11:198-203]). 따라서, 이들 실험에서 2주 내에 관찰된 변화는 아마도 장기간 당뇨병성 합병증의 이차적인 결과보다는 오히려 당뇨병성 상태의 직접적인 결과일 것이다.
중요한 발견은 당뇨병에서 표피 상처 가장자리에서의 커넥신 43의 비정상적 상향조절이었다.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처 폐쇄의 과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갖는다. 재생하는 표피 내 소통 구획의 형성은 상처 치유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다 (문헌 [Martin P (1997) Science 276:75-81]; [Lampe PD, et al. (1998) J Cell Biol. 143(6):1735-47]; [Hodgins M (2004) J. Invest. Dermatol. 122: commentary]). 구획화는 선도 가장자리 세포에서의 커넥신 26의 발현 및 커넥신 43의 제거에 의해 정상 상태를 유효하게 불러일으킬 수 있었으며, 이는 이들 커넥신이 서로 정션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뇨병에서 상처 치유에서의 지연은 상기 구획화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으로 커넥신 43 발현을 하향조절하는 데 필요한 추가의 시간을 반영할 수 있었다. 달리, 커넥신 43의 C-테일은 세포골격 성분 또는 P120ctn/Rho GTPase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데, 따라서 커넥신 43의 하향조절은 상처 가장자리에서 각질형성세포의 이동성을 변화시켜 각질형성세포를 이동시키고 상처를 폐쇄할 수 있게 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다 (문헌 [Wei CJ, et al. (2004) Annu Rev Cell Dev Biol. 20:811-38]). 이와 관련하여, 커넥신 43 발현이 높은 상처형성 후 1일째에 당뇨병 각질형성세포는, 평평해져서 상처를 가로질러서 이동하기를 시작하지 않고 상처 가장자리에서 비후 구상부를 형성하였음에 주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처형성 시에 커넥신 43-특이적 안티센스 겔의 단일 적용에 의해 커넥신 43 발현을 넉다운시키면 초기 이동으로부터 완전 상처 폐쇄까지의 전체 과정을 당뇨병성 상태의 지속적 존재에도 불구하고 정상 및 그 이상의 속도로 발생시킬 수 있음을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였다. 따라서, 항-커넥신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치료, 예를 들어, 안티센스 치료는 당뇨병 및 다른 환자에서의 만성적 상처를 비롯한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의 치료에 대한 신규한 접근법으로서 상당한 가능성을 갖는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동정적 사용 기준으로 혈관염성 궤양 사례에서 큰 만성적 상처를 가진 인간 대상체를 치료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내재성 말초 혈관 질환을 가진 49세 남성이 먼저 비-폐쇄 다리 상처로부터 발생하는 합병증에 대해 제시되었다. 이 환자는 낙상의 결과로서 후속적으로 열개된 외상으로 인한 좌측 하퇴 절단을 겪었다. 6개월 기간보다 더 오래 상처는 모든 형태의 확립된 케어에 미반응성이었다. 상기 환자는 상처 치유를 위한 시도로 성장 인자, 항미생물성 드레싱, VAC (진공 보조 폐쇄), 이종이식편 드레싱을 비롯한 다양한 국소 치료를 받았으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환자는 약화되었고 상처 부위가 추가로 손상되었다. 이에 다중 수술적 데브리망 및 이종이식편의 대체가 수반되었다. 상처는 지속적으로 크기가 증가되었고 사지 위협적이 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상처의 특성 및 절단의 정도 및 유형으로 인해, 환자는 상퇴 절단을 겪는 것을 제외한 대체 치료 옵션은 가지지 못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FDA의 피부과는 상기 환자에 대해 응급상황 사용 IND 하에 본 출원인의 실험 약물 (서열 1)의 사용을 승인하였다. 상처를 플루로닉 겔 중의 서열 1의 20 μM 제제 2 mL (총 투여량 400 ㎍)로 후속적으로 치료하였다. 적용시 상처는 대략 3-4 mm 깊이로 대략 7 cm x 5 cm (약 35 ㎠)였다. 따라서, 서열 1을 약 12 ㎍/㎠로 투여하였다. 상처를 드레싱하고 7일 동안 덮어 두었다. 7일째에 벗겨내었을 때, 의사는 부종 및 홍반이 둘 다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상처는 치수 (길이 및 너비)가 이 시기에 거의 동일하더라도 육아조직화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제2 치료 (총 투여량 400 ㎍)를 적용하였다. 이 치료에 이어서, 상처를 지속적으로 치유하였고 그 결과로서 병변 깊이가 1 mm (3 내지 4배 감소)이며 모든 가장자리에 1-1.5 cm의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었음이 후속적으로 보고되었다. 상처는 청결하였고 외관상 "건강한" 육아 조직이었다. 환자는, 다른 조직, 예를 들어, 대퇴 조직이 이식에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 "이식-준비 상태"인 것으로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는 그의 내재성 말초 혈관 질환으로 인해 상기 환자에 대한 옵션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이들 실험 치료 후 안전성 염려는 없는 것이 명백하였거나 이와 같이 보고되었다. 환자를 2달째에 다시 평가하였으며 상처는 지속적으로 크기가 감소하였다. 상처의 대략적 크기는 5 ㎠로 7배 정도 감소하였으며, 상처를 평가하는 의료진은 상처가 완전 폐쇄까지 진행될 것으로 결론내렸다. 상퇴 절단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은 정맥성 만성적 상처를 가진 인간 대상체를 치료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내재성 말초 혈관 질환을 가진 86세 남성은 5개월된 비-치유성 만성적 정맥성 궤양으로부터의 합병증을 갖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 기간에 걸쳐 상처는 커뮤니티에서 확립된 케어의 모든 형태에 미반응성이었다. 상기 환자는 상처 치유를 위한 시도로 항미생물제 및 부종 감소를 위한 압박 붕대의 적용을 비롯한 다양한 국소 치료를 받았다. 이 기간에 걸쳐 상처는 지속적으로 크기가 증가되었다. 환자는 슬관절 대치술을 받을 것으로 계획되었으나, 개방성 만성적 상처의 존재 하에는 수술을 진행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
따라서, 상처 기저부 내 및 특히 가장자리에서 또한 염증이 일어나고 종창성인 상처의 특성으로 인해, 환자는 동정적 사용 사례로 고려되었으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전 동의를 얻었다. 상처를 플루로닉 겔 중의 서열 1의 10 μM 제제 200 ㎕ (총 투여량 대략 20 ㎍)로 후속적으로 치료하였다. 적용시 상처는 대략 2-3 mm 깊이로 대략 3 cm x 3 cm (약 9 ㎠)였다. 따라서, 적용된 총 투여량은 ㎠당 2.2 ㎍였다. 이어서, 상처를 비접착식 드레싱으로 24시간 동안 드레싱하였다.
24시간째에 벗겨내었을 때, 염증 및 종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으며 상처는 건성이었다. 이어서 상처를 치료후 72시간까지 노출시켜 놓았으며, 이때 이전에 비-치유성인 피부 궤양 상처가 완전히 건조되고 딱지가 전체 상처에 걸쳐 형성되었다. 후속적으로, 상처를 드레싱하고 1주일째에 재조사하였으며, 이때 상처 치수 (길이 및 너비)는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염증 및 종창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처는 치유되고 폐쇄로 진행되고 있었다.
제2 치료 (서열 1의 총 투여량 대략 20 ㎍)를 폐쇄에 대한 중지를 유발한 상처에 대한 추가 손상 후 1달째에 적용하였다. 이 치료에 이어서, 부종 감소를 위해 압박 붕대를 적용하였으며 상처는 신속하게 다시 치유되기 시작하였다. 병변은 깊이, 너비 및 길이에서 감소되었고 상처가 치유된 새로운 조직은 외관상 건강하였다.
이들 실험 치료 후 안전성 염려는 없는 것이 명백하였거나 이와 같이 보고되었다. 환자를 6주째에 다시 평가하였다. 상처는 원래 크기의 대략 1/4 크기로 감 소되었고, 폐쇄로 진행되고 있었다.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8
Figure 112009042157552-PCT00019
본원에 참고되고 언급된 모든 특허, 공개공보, 과학지, 웹 사이트, 및 기타 문헌 및 물질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전문가의 기술 수준의 지표이고, 이러한 각각의 참고 문헌 및 물질은 이것이 완전히 개별적으로 참고로써 도입되거나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제시되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참고로써 도입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모든 특허, 공개공보, 과학지, 웹 사이트, 전자적으로 입수 가능한 정보, 및 기타 참고 물질 또는 문헌으로부터의 모든 물질 및 정보를 본 명세서 내로 물리적으로 도입할 권리를 갖고 있다.
본원에 기재된 구체적 방법 및 조성물은 대표적인 바람직한 실시양태이고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기타 목적, 국면 및 실시양태들이 본 명세서를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일어날 것이며, 이는 청구의 범위로써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 내에 포괄된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치환 및 변형이 본원에 기재된 발명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예시적으로 기재된 본 발명은 본원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모든 요소(들), 또는 제한 사항(들)의 부재 하에서도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원의 각 경우, 본 발명의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에서, 용어 "포함하는",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및 "~으로 이루어진"은 본 명세서 내의 다른 두 용어 중의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하는", "포함한", "함유하는" 등은 제한없이 광범위하게 판독되어야 한다. 본원에 예시적으로 기재된 방법 및 과정은 상이한 순서의 단계로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고, 본원 또는 청구의 범위에 표시된 단계 순서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원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형태에는 달리 명백히 표시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가 포함된다. 어떠한 상황 하에서도, 본 특허가 본원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 또는 실시양태 또는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어떠한 상황 하에서도, 본 특허는 모든 심사관 또는 특허상표청의 기타 모든 관리 또는 고용인에 의해 작성된 설명서가 구체적이고도 무조건적으로 출원인에 의해 작성된 답변서에 명백히 채택되지 않는 한은, 이러한 설명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이용된 용어 및 표현은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및 표현이 본원에 제시되고 기재된 특징의 모든 등가 또는 그의 일부를 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양태 및 임의의 특징으로써 구체적으로 기재되긴 하였지만, 본원에 기재된 개념의 변형 및 변동이 당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 및 변동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로써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광범위하고도 총체적으로 기재되었다. 총체적 설명에 속하는 보다 협소한 종 및 서브클래스 그룹 각각이 또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에는 삭제된 물질이 본원에 구체적으로 인용되든지 아니든지 간에 상관없이, 해당 부류으로부터 모든 사항을 제거하는 단서 또는 소극적 제한을 둔 본 발명의 총체적 기재 내용이 포함된다.
기타 실시양태가 다음 청구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 또는 국면이 마쿠쉬 군으로 기재되는 경우, 당업자는 본 발명이 마쿠쉬 군의 모든 개별적 구성원 또는 구성원의 아군으로도 또한 기재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110> CoDa Therapeutics Becker, David L Green, Colin R Duft, Bradford J <120>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130> E3697-00094 <140> 12/001,498 <141> 2007-12-11 <150> US 60/874,404 <151> 2006-12-11 <160> 14 <170> PatentIn version 3.4 <210> 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1 gtaattgcgg caagaagaat tgtttctgtc 30 <210> 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2 gtaattgcgg caggaggaat tgtttctgtc 30 <210> 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3 ggcaagagac accaaagaca ctaccagcat 30 <210> 4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4 tcctgagcaa tacctaacga acaaata 27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5 catctccttg gtgctcaac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6 ctgaagtcga cttggcttgg 20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7 ctcagatagt ggccagaatg c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8 ttgtccaggt gactccaagg 20 <210> 9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9 cgtccgagcc cagaaagatg aggtc 25 <210> 1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10 agaggcgcac gtgagacac 19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11 tgaagacaat gaagatgtt 19 <210> 1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ammalian-derived <400> 12 tttcttttct atgtgctgtt ggtga 25 <210> 13 <211> 1314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3 ggcttttagc gtgaggaaag taccaaacag cagcggagtt ttaaacttta aatagacagg 60 tctgagtgcc tgaacttgcc ttttcatttt acttcatcct ccaaggagtt caatcacttg 120 gcgtgacttc actactttta agcaaaagag tggtgcccag gcaacatggg tgactggagc 180 gccttaggca aactccttga caaggttcaa gcctactcaa ctgctggagg gaaggtgtgg 240 ctgtcagtac ttttcatttt ccgaatcctg ctgctgggga cagcggttga gtcagcctgg 300 ggagatgagc agtctgcctt tcgttgtaac actcagcaac ctggttgtga aaatgtctgc 360 tatgacaagt ctttcccaat ctctcatgtg cgcttctggg tcctgcagat catatttgtg 420 tctgtaccca cactcttgta cctggctcat gtgttctatg tgatgcgaaa ggaagagaaa 480 ctgaacaaga aagaggaaga actcaaggtt gcccaaactg atggtgtcaa tgtggacatg 540 cacttgaagc agattgagat aaagaagttc aagtacggta ttgaagagca tggtaaggtg 600 aaaatgcgag gggggttgct gcgaacctac atcatcagta tcctcttcaa gtctatcttt 660 gaggtggcct tcttgctgat ccagtggtac atctatggat tcagcttgag tgctgtttac 720 acttgcaaaa gagatccctg cccacatcag gtggactgtt tcctctctcg ccccacggag 780 aaaaccatct tcatcatctt catgctggtg gtgtccttgg tgtccctggc cttgaatatc 840 attgaactct tctatgtttt cttcaagggc gttaaggatc gggttaaggg aaagagcgac 900 ccttaccatg cgaccagtgg tgcgctgagc cctgccaaag actgtgggtc tcaaaaatat 960 gcttatttca atggctgctc ctcaccaacc gctcccctct cgcctatgtc tcctcctggg 1020 tacaagctgg ttactggcga cagaaacaat tcttcttgcc gcaattacaa caagcaagca 1080 agtgagcaaa actgggctaa ttacagtgca gaacaaaatc gaatggggca ggcgggaagc 1140 accatctcta actcccatgc acagcctttt gatttccccg atgataacca gaattctaaa 1200 aaactagctg ctggacatga attacagcca ctagccattg tggaccagcg accttcaagc 1260 agagccagca gtcgtgccag cagcagacct cggcctgatg acctggagat ctag 1314 <210> 14 <211> 1149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4 atgggtgact ggagcgcctt aggcaaactc cttgacaagg ttcaagccta ctcaactgct 60 ggagggaagg tgtggctgtc agtacttttc attttccgaa tcctgctgct ggggacagcg 120 gttgagtcag cctggggaga tgagcagtct gcctttcgtt gtaacactca gcaacctggt 180 tgtgaaaatg tctgctatga caagtctttc ccaatctctc atgtgcgctt ctgggtcctg 240 cagatcatat ttgtgtctgt acccacactc ttgtacctgg ctcatgtgtt ctatgtgatg 300 cgaaaggaag agaaactgaa caagaaagag gaagaactca aggttgccca aactgatggt 360 gtcaatgtgg acatgcactt gaagcagatt gagataaaga agttcaagta cggtattgaa 420 gagcatggta aggtgaaaat gcgagggggg ttgctgcgaa cctacatcat cagtatcctc 480 ttcaagtcta tctttgaggt ggccttcttg ctgatccagt ggtacatcta tggattcagc 540 ttgagtgctg tttacacttg caaaagagat ccctgcccac atcaggtgga ctgtttcctc 600 tctcgcccca cggagaaaac catcttcatc atcttcatgc tggtggtgtc cttggtgtcc 660 ctggccttga atatcattga actcttctat gttttcttca agggcgttaa ggatcgggtt 720 aagggaaaga gcgaccctta ccatgcgacc agtggtgcgc tgagccctgc caaagactgt 780 gggtctcaaa aatatgctta tttcaatggc tgctcctcac caaccgctcc cctctcgcct 840 atgtctcctc ctgggtacaa gctggttact ggcgacagaa acaattcttc ttgccgcaat 900 tacaacaagc aagcaagtga gcaaaactgg gctaattaca gtgcagaaca aaatcgaatg 960 gggcaggcgg gaagcaccat ctctaactcc catgcacagc cttttgattt ccccgatgat 1020 aaccagaatt ctaaaaaact agctgctgga catgaattac agccactagc cattgtggac 1080 cagcgacctt caagcagagc cagcagtcgt gccagcagca gacctcggcc tgatgacctg 1140 gagatctag 1149

Claims (61)

  1.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에 유효량의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상된 속도로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RNAi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약 0.5시간 이상, 약 1-2시간 이상, 약 2-4시간 이상, 약 4-6시간 이상, 또는 약 6-8시간 이상 동안 투여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열개된 상처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불완전 치유 상처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만성적 상처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혈관염성 궤양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정맥성 궤양 또는 정맥 울혈성 궤양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동맥성 궤양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압박성 궤양 또는 욕창성 궤양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당뇨병성 궤양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외상으로부터 비롯된 피부 궤양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처가 화상으로부터 비롯된 피부 궤양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당뇨병 환자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비-인간 동물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동물이 말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동물이 개인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동물이 고양이인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약 1 내지 약 100 ㎍/상처 크기 ㎠ 범위의 양으로 투여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투여를 반복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투여를 주당 약 1회 반복함으로써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
  25.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에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함으로써 커넥신 43 발현을 지속적인 기간 동안 하향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커넥신 43 발현을 약 0.5시간 이상, 약 1-2시간 이상, 약 2-4시간 이상, 약 4-6시간 이상, 또는 약 6-8시간 이상 동안 하향조절하는 방법.
  27.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의 상처 영역에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함으로써 상기 상처 영역에서의 커넥신 43 수준을 약 0.5시간 이상, 약 1-2시간 이상, 약 2-4시간 이상, 약 4-6시간 이상, 또는 약 6-8시간 이상 동안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
  28. 커넥신 43 발현을 지속적인 기간 동안 하향조절하기에 유효한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치료적 유효량을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커넥신 43 발현을 약 0.5시간 이상, 약 1-2시간 이상, 약 2-4시간 이상, 약 4-6시간 이상, 또는 약 6-8시간 이상 동안 하향조절하는 방법.
  30.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의 상처 영역에서 재상피화 속도를 증가시키기에 유효한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상처 영역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속 방출 제형으로 투여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속적인 기간 동안 투여하는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수준을 약 0.5시간 이상, 약 1-2시간 이상, 약 2-4시간 이상, 약 4-6시간 이상, 또는 약 6-8시간 이상 동안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것인 방법.
  34. 재상피화를 증진시키기에 유효한 양의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상처의 재상피화를 증진시키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36.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커넥신 31.1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연 치유 상처, 불완전 치유 상처 또는 만성적 상처를 갖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방법.
  37.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처를 갖는 당뇨병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RNAi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약 18개 내지 약 32개의 뉴클레 오티드를 갖는 것인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3. 상처 또는 상처 영역에서 비정상적인 커넥신 43 조절을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양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처를 갖는 당뇨병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RNAi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인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약 18개 내지 약 32개의 뉴클레오티드를 갖는 것인 방법.
  49. 유효량의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처를 갖는 당뇨병 대상체에서 상처 폐쇄를 개선시키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RNAi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siRNA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52. 제49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43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인 방법.
  53. 제49항에 있어서,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약 18개 내지 약 32개의 뉴클레오티드를 갖는 것인 방법.
  54. 제49항에 있어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인 방법.
  55. 제1항, 제25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제34항, 제36항, 제37항, 제43항 및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서열 1 또는 2로부터 선택되는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6. 제1항, 제25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제34항, 제36항, 제37항, 제43항 및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서열 1 또는 2와 약 7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것인 방법.
  57. 제1항, 제25항, 제27항, 제28항, 제30항, 제34항, 제36항, 제37항, 제43항 및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중간 내지 높은 엄격도의 조건 하에 커넥신 43 mRNA와 혼성화하는 것인 방법.
  58.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합성 또는 자연 발생적 상처 치유 매트릭스.
  59. 제58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인 상처 치유 매트릭스.
  60. 제58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인 상처 치유 매트릭스.
  61. 제60항에 있어서, 항-커넥신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커넥신 43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인 상처 치유 매트릭스.
KR1020097014484A 2006-12-11 2007-12-11 치유 부전 상처를 치유하는 조성물로서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KR101521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440406P 2006-12-11 2006-12-11
US60/874,404 2006-12-11
PCT/US2007/025446 WO2008073479A2 (en) 2006-12-11 2007-12-11 Anticonnexin polynucleotides as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910A true KR20090118910A (ko) 2009-11-18
KR101521306B1 KR101521306B1 (ko) 2015-05-18

Family

ID=3938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484A KR101521306B1 (ko) 2006-12-11 2007-12-11 치유 부전 상처를 치유하는 조성물로서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5) US8063023B2 (ko)
EP (3) EP2543377A1 (ko)
JP (3) JP5431949B2 (ko)
KR (1) KR101521306B1 (ko)
CN (2) CN103520197B (ko)
AU (1) AU2007333535B2 (ko)
BR (1) BRPI0721094A2 (ko)
CA (1) CA2672220A1 (ko)
DK (1) DK2101791T3 (ko)
ES (1) ES2527131T3 (ko)
HK (1) HK1136213A1 (ko)
PL (1) PL2101791T3 (ko)
PT (1) PT2101791E (ko)
RU (1) RU2521329C2 (ko)
SI (1) SI2101791T1 (ko)
WO (1) WO20080734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66549T3 (es) 2005-02-03 2020-06-12 Coda Therapeutics Ltd Compuestos anticonexina 43 para el tratamiento de heridas crónicas
EP2091557A2 (en) 2006-11-15 2009-08-26 Coda Therapeutics, INC. Improve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BRPI0721094A2 (pt) 2006-12-11 2014-02-11 Coda Therapeutics Inc Composições e tratamentos de cicatrização de ferida prejudicada
US20080249044A1 (en) * 2007-04-03 2008-10-09 Masaya Tanaka Nucleic acid external skin formulation
AU2008335717A1 (en) * 2007-12-11 2009-06-18 Coda Therapeutics, Inc.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treatments
WO2009075882A2 (en) * 2007-12-11 2009-06-18 Coda Therapeutics, Inc.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treatments
EP2237786A2 (en) 2007-12-21 2010-10-13 Coda Therapeutics, Inc. Use of inhibitors of connexin43 for treatment of fibrotic conditions
CA2710387A1 (en) * 2007-12-21 2009-07-09 Cod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fibrotic conditions
WO2012076985A2 (en) * 2010-12-06 2012-06-14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Granzyme b inhibitor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GB201117538D0 (en) * 2011-10-11 2011-11-23 Royal Veterinary College The Methods
SG11201405359YA (en) 2012-03-01 2014-09-26 Firststring Res Inc Topical gels containing alpha connexin c-terminal (act) peptides
CN104736709A (zh) * 2012-03-27 2015-06-24 科达治疗公司 基于钙粘蛋白调节的组合物和治疗
US9156896B2 (en) * 2013-03-15 2015-10-13 Coda Therapeutics, Inc.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treatments
WO2015139047A2 (en) * 2014-03-14 2015-09-17 Coda Therapeutics Treatment of resistant lesions
CA2958879A1 (en) 2014-08-22 2016-02-25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Channel modulators
US10450569B2 (en) * 2015-08-13 2019-10-22 Somagen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of short small hairpin RNAS and microRNAS for wound healing
WO2018060144A1 (en) * 2016-09-27 2018-04-05 Smith & Nephew Plc Wound closure devices with dissolvable portions
US11466069B2 (en) 2017-04-28 2022-10-11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Methods of treatment and novel constructs
CN108588075A (zh) * 2018-05-03 2018-09-28 天德悦(北京)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人Cx43基因干扰序列、shRNA-Cx43病毒及低表达Cx43蛋白的细胞系
RU2754383C1 (ru) * 2020-12-07 2021-09-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Эндокринологии"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у "Нмиц Эндокринологии"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неинфицированного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ого раневого дефекта стопы при отсутствии признаков критической ишемии конечности у больных с нейропатической и нейроишемической формой синдрома диабетической стоп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594Y2 (ko) * 1988-08-05 1993-10-07
US5004810A (en) 1988-09-30 1991-04-02 Schering Corporation Antiviral oligomers
US5166195A (en) 1990-05-11 1992-11-24 Isis Pharmaceuticals, Inc. Antisense inhibitors of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phosphorothioate oligonucleotides
GB9425930D0 (en) 1994-12-22 1995-02-22 Procter & Gamble Silicone compositions
WO1998024797A1 (en) 1996-12-02 1998-06-11 Dyad Pharmaceutical Corporation Antisense inhibition of human adhesion molecules
RU2147240C1 (ru) * 1998-02-16 2000-04-10 Рязанский областной клинический кожно-венерологический диспансер Пре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длительно незаживающих инфицированных язв и ран
DK1621212T3 (da) * 1999-01-27 2012-03-05 Coda Therapeutics Inc Formuleringer omfattende antisense-nukleotider til connexiner
US7250397B2 (en) 2000-02-23 2007-07-31 Zealand Pharma A/S Antiarrhythmic peptides
US20050119211A1 (en) * 2001-05-18 2005-06-02 Sirna Therapeutics, Inc. RNA mediated inhibition connexin gene expression using short interfering nucleic acid (siNA)
JP2005509621A (ja) 2001-10-17 2005-04-14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ウェールズ カレッジ オブ メディスン ギャップ結合ならびにedhf
JP2005516054A (ja) 2002-01-29 2005-06-02 ワイス コネキシンヘミチャンネルを調節する組成物及びその方法
KR20150006902A (ko) 2003-12-03 2015-01-19 코다 테라퓨틱스 (엔지) 리미티드 코넥신에 표적화된 안티센스 화합물 및 그의 사용 방법
DE102004027422A1 (de) 2004-06-04 2005-12-29 Boehringer Ingelheim Microparts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Blut und Abtrennung von Blutbestandteilen
BRPI0519737A2 (pt) 2004-12-21 2009-01-27 Musc Found For Res Dev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promover a cura de feridas e a regeneraÇço de tecidos
ES2766549T3 (es) 2005-02-03 2020-06-12 Coda Therapeutics Ltd Compuestos anticonexina 43 para el tratamiento de heridas crónicas
EP2091557A2 (en) 2006-11-15 2009-08-26 Coda Therapeutics, INC. Improve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BRPI0721094A2 (pt) 2006-12-11 2014-02-11 Coda Therapeutics Inc Composições e tratamentos de cicatrização de ferida prejudicada
EP2162117B1 (en) 2007-05-31 2018-02-21 Anterios, Inc. Nucleic acid nanoparticles and uses therefor
AU2008335717A1 (en) 2007-12-11 2009-06-18 Coda Therapeutics, Inc.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treatments
WO2009075882A2 (en) 2007-12-11 2009-06-18 Coda Therapeutics, Inc.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trea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37745B2 (en) 2017-05-02
AU2007333535B2 (en) 2014-04-17
US8685940B2 (en) 2014-04-01
CA2672220A1 (en) 2008-06-19
CN101835476A (zh) 2010-09-15
KR101521306B1 (ko) 2015-05-18
US20170240905A1 (en) 2017-08-24
CN101835476B (zh) 2016-08-17
JP5911454B2 (ja) 2016-04-27
CN103520197A (zh) 2014-01-22
RU2009126594A (ru) 2011-01-20
US8063023B2 (en) 2011-11-22
JP5431949B2 (ja) 2014-03-05
DK2101791T3 (en) 2015-01-05
US20080242631A1 (en) 2008-10-02
WO2008073479A2 (en) 2008-06-19
US20150315598A1 (en) 2015-11-05
EP2543377A1 (en) 2013-01-09
EP2543378A1 (en) 2013-01-09
PT2101791E (pt) 2014-12-18
HK1136213A1 (en) 2010-06-25
AU2007333535A1 (en) 2008-06-19
EP2101791A2 (en) 2009-09-23
WO2008073479A3 (en) 2008-08-07
RU2521329C2 (ru) 2014-06-27
US20120289579A1 (en) 2012-11-15
JP2013173796A (ja) 2013-09-05
EP2101791B1 (en) 2014-09-10
BRPI0721094A2 (pt) 2014-02-11
JP2015063565A (ja) 2015-04-09
US9029339B2 (en) 2015-05-12
ES2527131T3 (es) 2015-01-20
US20130143952A1 (en) 2013-06-06
SI2101791T1 (sl) 2015-02-27
JP2010512404A (ja) 2010-04-22
PL2101791T3 (pl) 2015-04-30
CN103520197B (zh)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306B1 (ko) 치유 부전 상처를 치유하는 조성물로서의 항-커넥신 폴리뉴클레오티드
US20100279921A1 (en)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treatments
US20110038920A1 (en) Wound healing compositions and treatments
KR20100027091A (ko) 상처 치유를 위한 개선 방법 및 조성물
US20110130710A1 (en) Treatment of abnormal or excessive scars
US20130184220A1 (en) Treatment of abnormal or excessive scars
AU2014204482B2 (en) Anticonnexin polynucleotides as impaired wound heal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