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808A - 래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래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808A
KR20090115808A KR1020097019769A KR20097019769A KR20090115808A KR 20090115808 A KR20090115808 A KR 20090115808A KR 1020097019769 A KR1020097019769 A KR 1020097019769A KR 20097019769 A KR20097019769 A KR 20097019769A KR 20090115808 A KR20090115808 A KR 20090115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awl
pivot pin
latch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겔 빅터 스퍼
로버트 톨리
피터 콜맨
도미니크 아태나시오
소운 갤로웨이
앤드류 마티에
키산 쿠마
데니스 꺄발루시
스테판 바비엘
Original Assignee
메리터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터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메리터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9011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Devices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4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77Cam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샤시, 상기 샤시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위치와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기 위한 개방위치를 가진 래치볼트(latch bolt), 폴을 가지고, 상기 폴은 상기 래치볼트를 밀폐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폴이 래치볼트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폴이 상기 래치볼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분리위치를 가지는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폴이 폴 피봇 핀에 의해 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폴 피봇 핀은 폴 축에서 제 1 반경을 가진 제 1 원호부를 포함하고, 폴축의 수직방향으로 폴 피봇 핀의 단면적은 제 1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래치 조립체, 래치볼트, 폴, 편심체, 폴 피봇 핀

Description

래치 조립체 {LATCH ASSEMBLY}
본 발명은 래치 조립체들 및 특히 차량 도어(door)들 및 차량 부트(boot)들에서 이용되는 래치 조립체들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를 밀폐 위치에 구속해제될 수 있게 고정하기 위한 래치 조립체들이 알려져 있다. 내부의 도어핸들(door handle)과 외부의 도어핸들이 작동하여 래치를 구속해제하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계속되는 도어의 닫힘은 래치를 자동으로 다시 구속시킨다. 흔히, 차량 래치들을 구속해제하기 위해 차량 래치들내에 전기식 액츄에이터들이 채용된다. 도어를 밀폐 위치(closed position)에 유지하기 위하여, 공지된 래치들은 회전가능한 클로우(claw)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우는 마주보는 표면(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 프레임(door frame))상에 장착된 스트라이커(striker)와 결합된다. 상기 회전식 클로우는 자주, 역시 회전부품인 폴(pawl)에 의해 적소(in position)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폴이 결합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클로우가 구속해제되고, 폴은 상기 클로우와 연결되고 분리(disengaged)위치에 유지되며, 분리위치에서 상기 클로우는 자유롭게 회전한다. 상기 폴의 운동이 종종 전기식 액츄에이터들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폴을 결합위치로부터 분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하중량을 감소시켜서 전기식 액츄에이터의 크기가 감소 되고 중량과 부품비용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단순 래치 조립체들은 단일 축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폴을 포함한다. 상기 폴들은, 폴내부에서 원형의 폴 핀 오리피스내부로 삽입되고 사실상 원통형인 폴 피봇 핀(pivot pin)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폴 피봇 핀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및 고하중의 충격이 발생할 때에도 래치가 겪게 될 수 있는 하중들을 견디도록 일정한 반경을 가져야 한다.
상기 형태의 공지된 래치가 가지는 문제점은, 설명한 것과 같이 하중을 견디기 위해 일정한 크기를 가져야 하는 폴 피봇 핀의 반경이 폴와 폴 피봇 핀사이의 접촉영역 크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두 부품들사이의 마찰량이 부품들사이에서 누적되는 먼지와 오염물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접촉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중인 래치내에서 마찰수준이 또한 증가되고, 상기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작동력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크고 비싼 액츄에이터들이 이용되며 바람직하지 않다.
문헌 제 GB 2409706 호는 제 1 폴(pawl)(140)을 포함하는 (제 1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 에너지 방출 래치(100)를 도시하고, 상기 제 1 폴은 토글 링크(toggle link)(130) 및 상기 토글 링크(13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 2 폴(160)에 피봇운동가능하게 부착된다. 클로우(120)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차량도어 밀봉하중(seal load)에 의해 높은 수준의 하중이 상기 제 1 폴(140)에 작용한다. 상기 밀봉하중은 상기 토글 링크와 폴을 떨어지게(collapse) 작용하며, 이러한 작용은 제 1 도에서 제 1 폴(140)과 제 2 폴(160)의 상호작용에 의해 방지된다. 그러므 로 제 2 폴(16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100)가 구속해제되고 다음에 제 1 폴(140)이 구속해제된다.
문헌 제 WO/2006/087578 호는, 제 1 폴(16)이 크랭크 샤프트(50)위에 장착된 (제 1 도의) 장치를 공개한다. 도어 밀봉하중은 클로우(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은 폴(16)에 의해 방해된다. (제 1B 도에서) 구속해제 레버(52)위에 작용하는 구속해제 판(72)에 의해 크랭크샤프트(18)가 회전운동에 대해 구속되고, 하중(FP)이 작용하여 시계방향의 토크가 크랭크샤프트(18)위에 발생하도록 상기 폴(16)이 크랭크샤프트(18)위에 장착된다. 구속해제 판(72)이 작동하여 구속해제되면 래치가 개방될 수 있도록 크랭크샤프트(50)가 회전하고 폴이 하중(FP)을 받으며 이동할 수 있다.
문헌 제 WO/2006/087578 호에서, 폴(16)이 크랭크 핀(54)에서 회전하는 반경은, (제 1C 도에서) 원통형 핀(56)을 포함하도록 필연적으로 크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 핀(54)의 반경은 적어도, 크랭크 핀 축(Y)과 크랭크샤프트 축(A)사이의 거리 및 원통형 핀(56) 반경의 합과 동일(즉 최소요구 반경, rmin)해야 한다.
상기 큰 회전반경은, 피봇 구멍(pivot hole)(46)의 페리미터(perimeter)가 중요한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피봇구멍(46)의 반경은 9 밀리미터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이것은, 먼지오염물이 폴(16)과 크랭크 샤프트(52)사이의 과도한 마찰을 야기시켜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작용력(effort)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이것은, 두 개의 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액츄에이터들이 요구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크랭크 샤프트(52)의 반경을 최소요구거리 rmin이하로 감소시키려는 시도는, 크랭크축을 상당히 약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상기 부품의 파손 가능성을 야기할 수 있다.
문헌 제 WO/2006/087578 호를 참고할 때, 하중 작용선(FR)이 축(A)과 오프셋됨에 따라 편심체(eccentric)(54)에 토크가 가해진다. 상기 토크가 가해지는 레버 암(lever arm)의 크기는 (즉 밀폐 위치에 있는) 편심체(54)의 개시각도(start angle)에 의해 결정된다. 개시각도의 의미를 설명하면, 개시각도 0도 및 180도에서 상기 편심체(54)는 각각 상사점(top dead centre)( 불안정 평형) 및 하사점(bottom dead centre)( 안정 평형)에 위치한다. 상기 각도가 90도에 도달할 때, 레버 암은 최대 토크까지 증가되고, 주어진 하중(FP)에 대한 최대 토크가 상기 편심체에 대해 가해진다.
상기 개시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편심체(54)위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상기 레버암은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각도가 너무 작으면(즉, 최소 백드라이브(backdrive) 각도이하), 상기 레버암과 하중(FP)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가 시스템내부의 마찰을 극복하고 상기 편심체(54)를 회전시키며 래치를 개방하기엔 불충분할 것이다. 공지된 래치 장치내에서, 상기 개시각도는 전형적으로 54도인 최소 백드라이브 각도보다 커야 한다.
상기 최소 백드라이브 각도는, 래치 조립체내에 형성된 마찰을 나타내고 따라서 래치조립체를 개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토크를 나타낸다. 마찰이 감소되면, 상대적으로 작은 토크가 래치를 개방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이것은, 래치를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작용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저에너지 구속해제 래치(lower energy release latch)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견해에 의하면, 샤시, 상기 샤시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위치와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기 위한 개방위치를 가진 래치볼트(latch bolt), 폴을 가지고, 상기 폴은 상기 래치볼트를 밀폐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폴이 래치볼트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폴이 상기 래치볼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분리위치를 가지는 래치조립체가 제공되고, 상기 래치조립체내에서 상기 폴이 폴 피봇 핀에 의해 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폴 피봇 핀은 폴 축에서 제 1 반경을 가진 제 1 원호부를 포함하고, 폴 축의 수직방향인 폴 피봇 핀의 단면적은 제 1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크다.
폴 피봇 핀 단면적을 제 1 원호부(first arcuate portion)의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사실상 더 크게 만드는 것에 의해, 폴 피봇 핀의 강도를 손상(compromising)하지 않고도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원호부를 가질 수 있다. 제 1 원호부가 가지는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은, 폴 피봇 핀과 폴 피봇 핀이 회전하는 표면사이의 결합영역이 감소함에 따라 먼지와 오염물의 치명적인 영향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은 공지된 래치들과 비교하여 최소 백드라이브(bakcdrive) 각을 감소시킨다.
상기 폴 피봇 핀은 제 2 원호부를 포함한 폴 핀 오리피스내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원호부는 폴 축에서 사실상 제 1 반경과 동일한 제 2 반경을 가지며, 폴축에 대해 수직방향인 폴 핀 오리피스의 단면적은 제 2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큰 것이 선호된다.
상기 장치는, "라이브(live)" 피봇( 즉 폴 피봇 핀이 상기 폴과 연결되고 폴 핀 오리피스가 근접한 부품, 예를 들어, 샤시 또는 편심체내에 형성된다) 또는 "데드(dead)" 피봇( 폴 피봇 핀이 샤시 또는 편심체에 연결되고 폴 핀 오리피스가 상기 폴내에 형성된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견해에 의하면, 샤시, 상기 샤시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위치와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기 위한 개방위치를 가진 래치볼트(latch bolt), 폴을 가지고, 상기 폴은 상기 래치볼트를 밀폐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폴이 래치볼트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폴이 상기 래치볼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분리위치를 가지는 래치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폴이 폴 피봇 핀에 의해 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폴 피봇 핀은 폴 핀 오리피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폴 핀 오리피스는 폴 축에서 제 2 반경을 가진 폴 핀 오리피스 원호부를 포함하고, 폴 축에 대해 수직인 상기 폴 핀 오리피스의 단면적은 상기 제 2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크다.
폴 핀 오리피스의 단면적을 제 2 원호부의 반경을 가진 원의 단면적보다 크게 만들면, 폴 피봇 핀의 전체 페리미터(perimeter)보다 작게 폴 핀 오리피스와 접촉하는 것이 확실해진다. 그러므로, 폴 피봇 핀과 폴 핀 오리피스사이의 접촉영역은 공지된 배열과 비교하여 감소되고, 따라서 먼지와 오염물의 영향이 감소된다. 또한 폴 핀 오리피스의 면적이 폴 피봇 핀의 면적보다 상당히 크다는 사실에 의해, 먼지 및 오염물들이 탈출하고 기구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간격(gap)이 남는다. 상기 방법에 의해 래치내부의 마찰량이 감소되고 그 결과 액츄에이터의 크기 또한 감소된다. 또한 먼지 또는 오염물들로부터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래치가 고착(stuck)되거나 꼼짝 못 할(jamming) 가능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이 단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예로서 설명된다.
도 1은 밀폐 위치에 있고 본 발명을 따르는 래치조립체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도시한 후방판 측면도.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폴(pawl)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폴의 래치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구속해제된 위치(released position)에 있고 도 1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반 밀폐위치에 있고 도 1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의 반 밀폐위치(semi closed position)와 제 1 안전위치사이에 있고 도 1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제 1 안전위치와 밀폐위치사이에서 반 밀폐위에 있고 도 1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3D는 완전히 밀폐된 위치에 있고 도 1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종래기술의 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1의 래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밀폐된 위치에 있고 본 발명을 따르는 래치조립체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밀폐된 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유지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구속해제된 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유지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구속해제된 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개방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9A는 반 밀폐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제 1 안전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9C는 제 1 안전위치와 밀폐위치사이에서 반 밀폐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9D는 완전히 밀폐된 위치에 있고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따르는 래치 조립체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래치의 유지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밀폐된 위치에 있고 본 발명을 따르는 래치의 제 4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구속해제된 위치에 있고 도 12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A는 밀폐된 위치에 있고 본 발명을 따르는 래치의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B는 밀폐된 위치에 있고 도 14A에 도시된 래치의 유지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C는 본 발명을 따르는 래치의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분해도.
도 15A는 개방된 위치에 있고 본 발명을 따르는 래치조립체의 제 7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후방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B는 개방된 위치에 있고 도 15A에 도시된 래치의 유지판 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을 참고할 때, 래치 샤시(latch chassis)(12), 회전 클로우(claw)(14) 형태의 래치 볼트(latch bolt), 폴(16) 및 폴 피봇핀(pawl pivot pin)(18)을 포함한 래치 조립체(10)가 도시된다. 래치조립체(10)는 (도 1에만 도시된) 도어(8)위에 장착된다.
상기 래치 샤시(12)의 주요 구성부품들은 (도 1에서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유지 판(20)과 후방 판(backplate)(23)이다. 후방판 쪽에서 본 모습(view)이 래치조립체(10)의 유지판 쪽에서 본 모습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상기 후방판(23)은 래치조립체(10)의 마주보는 측부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유지 판(20)은, 평평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도어 프레임(door frame)에 일반적으로 부착되는 스트라이커(striker)를 수용하기 위한 마우스(mouth)(22)를 포함한다. 클로우 피봇 핀(claw pivot pin)(26), 폴 피봇 핀(pawl pivot pin)(28) 및 스톱 핀(stop pin)(30)이 상기 유지 판(20)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폴 피봇 핀(18)은 원통형 몸체(52) 및, 일반적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로부터 오프셋(offset) 구성되고 반경(A)의 제 1 원호부분(56)을 포함한 러그(lug)(5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폴 피봇 핀(18)은 회전할 수 없게 상기 래치 샤시(1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유지판(20)은 상기 스트라이커(24)를 수용하기 위한 마우스(34)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지판(20)은, 상기 도어(8)에 래치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 구멍(36)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회전 클로우(14)가 상기 클로우 피봇 핀(26)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트라이커(24)를 수용하기 위한 마우스(3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클로우(14)는 또한 제 1 안전 지지부(38) 및 밀폐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폴(16)은 일반적으로 평평하고 클로우 지지부(46) 및 샤시 지지부(48)를 포함한다. 상기 폴(16)은 또한 폴 피봇 핀 오리피스(50)를 포함한다. 폴 피봇 핀 오리피스(50)은 반경 B의 제 2 원호부(58) 및 반경 C의 제 3 원호부(60)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할 때, 상기 원호부들과 원호부들의 반경들이 상세히 도시된다. 세 개의 모든 원호부들은, 폴(16)이 주위에서 회전하는 폴 축(X)인 사실상 공통의 원점을 가지는 것을 알게 된다. 반경(A)과 반경(B)은 사실상 유사하여, 폴(16)은 폴 축(X)에서 상기 폴 피봇 핀(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면부호 6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액츄에이터 로드(rod)(64)와 연결된 액츄에이터가 도시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로드는 차례로 폴(16)과 연결된다. 액츄에이터(62)가 작동하여 액츄에이터 로드(64)를 수축시켜서, 상기 폴(16)은 스프링(66)의 편향작용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는 구속해제된 위치에 있는 래치조립체(10)를 도시하고, 클로우(14)가 클로우 피봇 핀(26)의 폴 축(X)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62)는 폴(1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회전운동에 의해 스트라이커(24)는 래치조립체(10)로부터 구속해제될 수 있다(밀폐위치에 있는 폴(16)의 위치가 비교를 위해 점선으로 도시된다).
클로우의 밀폐지지부(40)가 폴(16)의 클로우 지지부(46)를 지나 회전한 후에, 폴(16)은 레스트(rest)위치로 귀환한다. 이 경우 상기 레스트 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되며 밀폐위치와 동일하다. 스프링(66)에 의해 밀폐위치로 귀환된다. 폴(16)이 레스트위치로 귀환하도록 액츄에이터(62)는 선택적이거나 부가적으로 반대(reverse)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3A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구속해제 위치로부터 도 1과 도 3D에 도시된 밀폐위치로 이동하는 래치조립체(10)를 도시한다. 도 3A내지 도 3D를 볼 때 상기 스트라이커(24)가 상기 래치조립체(10)에 대해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가 밀폐될 수 있다. 이것은 도어의 밀폐에 해당한다. 도 3A에서 볼수 있듯이, 스트라이커(24)의 운동은 클로우(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한다. 차례로 이것은, 제 1 안전 지지부(38)가 폴(16)의 클로우지지부(46)를 통과할 때까지, 스프링(66)의 편향작용에 대해 도 2의 레스트 위치로부터 상기 폴(1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3B에 도시된 위치에서, 래치조립체(10)는 제 1 안전위치로 접근하고 상기 제 1 안전 지지부(38)는 막 클로우지지부(46)와 연결된다.
상기 스트라이커(24)가 도 3C에서 더욱 왼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로우가 도 3D에 도시된 밀폐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폴(16)은 스프링(66)의 편향작용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기 시작하고, 스프링(66)의 편향작용은 상기 폴(16)을 밀폐위치로 귀환시키며, 상기 클로우 지지부(46)는 상기 클로우(18)의 밀폐 지지 부(40)와 연결된다. 상기 폴(16)의 샤시 지지부(48)는 스톱 핀(30)과 연결되어 상기 폴(16)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지금 상기 래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폐위치로 돌아와 있다.
도 4A와 도 4B를 비교할 때, 도 4A는 반경 D의 폴 피봇 핀(19)을 통해 폴(17)을 래치샤시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개략도를 보여준다. 폴 피봇 핀(19)의 반경 D는, 정상적인 이용 및 예를 들어 차량충돌사고와 같은 고하중 사고시 래치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견딜 만큼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반경 D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폴 피봇 핀과 폴(17)사이의 유효접촉영역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 개 부품들사이의 접촉영역이 증감됨은, 래치의 사용수명동안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먼지와 오염물들이 접촉영역으로 스며들어, 래치를 구속해제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폴(17)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지금, 도 4B를 참고할 때, 폴 피봇 핀(18)과 폴(16)사이의 접촉반경은 상기 폴 피봇 핀(18)의 제 1 원호부(56)의 반경 A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상기 제 1 원호부(56)의 반경 A에 의해 정의되는 원의 일부분만이 상기 폴 피봇 핀(18)과 폴(16)사이에 접촉하도록 폴 핀 오리피스(50)가 기하학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접촉영역 및 결과적으로 먼지와 오염물이 유입되는 효과가 상당히 감소되고 폴(16)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중이 감소되며 따라서 액츄에이터(62)의 크기가 감소된다.
또한, 단순하게 공지된 폴 피봇 핀(19)의 반경 D가 감소되면 래치 조립체(9)의 부하요건을 견디기 위해 목표강도(required strength)가 달성되지 못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당한 크기의 폴 피봇 핀(18)에 원통형 몸체(52)와 제 1 원호부가 형성되는 러그(54)를 제공하여 상기 문제를 극복한다. 따라서, 폴 피봇 핀(18)이 목표 부하(required loading)를 견디는 반면에, 또한 폴 피봇 핀과 폴(16)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래치조립체(11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래치조립체(110)는 래치조립체(10)과 유사하며, 공통의 부품들은 래치조립체(10)의 도면부호들을 가지지만 100이 더 크다.
상기 래치조립체(110)는 래치조립체(10)의 폴(16)과 사실상 동일한 폴(116)을 포함한다. 그러나, 폴 피봇 핀이 래치샤시(112)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피봇 축(Y)에서 회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폴 피봇 핀(168)은 폴 피봇 핀(18)과 다르다( 상기 설명과 같이, 상기 폴 피봇 핀(18)은 래치 샤시(12)에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된다). 도 6을 참고할 때, 상기 회전운동은 유지판(20)을 통과하는 폴 피봇 핀(168)의 원통형 부분(170)(원통형 몸체(152)의 연장부)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폴 축(X)과 피봇 축(Y)이 오프셋 구성되므로 상기 폴 피봇 핀(168)은 편심체(eccentric)를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172)는 폴(116)과 마주보는 유지판(120)의 한 측부위에서 폴 피봇 핀(168)의 원통형 부분(170)과 연결된다. 레버(172)는 액츄에이터(176)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지지부(174)에 의해 적소에 고정된다. 상기 레버(172)가 레버지지부(178)에 의해, 도 6을 볼 때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밀폐위치에서, 도어와 차량 프레임사이의 밀봉하중은 스트라이커(124)가 클로우(114)의 마우스(132)위에 하중(F)을 작용하게 만든다. 이것은 차례로 클로우(114)의 밀폐지지부(140)에 의해 폴(116)의 클로우 지지부(146)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형성한다. 도 5에서 상기 하중이 G로 표시된다. 하중(G)은 피봇축(Y)을 통과하지 못하고, 따라서, 도 5에 대하여 토크가 시계방향으로 폴 피봇 핀(168)에 가해진다. 이것은 도 6을 볼 때 폴 피봇 핀(168) 및 결과적으로 레버(172)위에 반시계 방향의 토크를 형성한다. 상기 운동이 이동 지지부(174)의 존재에 의해 방해되고, 따라서 래치는 밀폐위치에 유지된다. 래치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지지부(174)가 레버(172)와 떨어져 운동하도록 액츄에이터(176)가 작동된다. 그러므로 하중(G)이 작용할 때, 레버(172)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레버의 반시계 방향은 도 7B를 볼 때 폴 피봇 핀(168)의 시계방향 회전에 해당한다. 상기 운동은 도 5와 도 7B에서 폴축(X)의 위치를 비교하여 알 수 있다.
폴(pawl)(116)의 결과 운동(resulting motion)은 클로우 지지부(146)를 이동시켜 밀폐지지부(140)와 분리시키고 클로우(1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트라이커(124)를 구속해제시킬 수 있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래치조립체(110)는 클로우(114)가 회전될 때 개방상태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트라이커가 구속해제된다. 상기 레버(172)는 레버 지지부(178)에 대해 최초위치로 귀환한다. 레버(172)가 최초위치로 귀환하는 메카니즘은, 클로우위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셋(reset)지지부에 의한 것 이고 폴 피봇 핀을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최초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리셋 시퀀스(reset sequence)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이 (도 18 및 도 19에 대해 ) 하기에 제공된다.
이동 지지부(174)는 또한 레버(172)를 구속하기 위해 최초위치로 귀환한다. 폴 축(X)은 도 5와 도 8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알게 된다.
폴(116)위에 작용하는 하중 G가 없기 때문에, 샤시 지지부(148)를 스톱 핀(stop pin)(130)에 대해 고정시키는 스프링(166)의 편향작용에 의해 상기 폴이 적소에 유지된다. 래치가 구속해제되는 동안 샤시지지부(148)와 스톱핀(130)은 일정한 접촉상태에 있고 사실상 폴(116)은 상기 두 개의 구성부품들사이의 접촉점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알게 된다.
도 9A내지 도 9D를 참고할 때, 도 8에 도시된 개방위치로부터 도 9D에 도시된 밀폐위치로 이동하는 래치조립체(110)가 도시된다. 도 9A에서, 스트라이커(124)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클로우(11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 1 안전 지지부(138)와 클로우 지지부(146)사이의 접촉에 의해 폴(116)은 폴 축(X)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폴(116)은 스프링(166)의 편향작용에 대해 회전한다.
도 9B는, 제 1 안전 지지부(138)가 클로우 지지부(146)를 통과하고 따라서 샤시지지부(148)가 스톱 핀(130)과 접촉할 때 상기 폴(116)이 폴의 리셋위치로 귀환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라이커(124)가 더욱 진입(ingress)하면 클로우(114)는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운동하여, 밀폐 지지 부(140)는 폴(116)을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 클로우 지지부(146)위에 작동한다. 밀폐 지지부(140)가 클로우 지지부(146)를 통과하고 도 9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116)이 폴의 레스트 위치로 귀환할 때까지 회전운동이 발생된다. 현재, 도어가 밀폐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밀봉부하(F)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원되고 래치 조립체(110)는 구속해제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8의 위치로부터 도 9A, 9B, 9C의 위치들을 통해 도 9D의 위치로 이동할 때 폴 축(X)은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알게 된다.
래치조립체(10)에 관한 상기 이유 때문에, 래치조립체(110)내에서 폴 피봇 핀(168)에 대해 폴(116)을 회전시키는 것과 관련된 마찰이 상당히 감소되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그러므로 래치의 개방(즉,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은 상대적으로 작은 마찰력을 포함하며 래치가 밀폐위치에 고착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9A내지 도 9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폐되는 동안 폴(116)과 폴 피봇 핀(168)사이의 상대회전이 감소되고 래치를 밀폐시키는 것이 상당히 용이해진다.
상기 장점들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그(lug)(154)위에 제 1 원호부(156)의 반경을 감소시켜서 구해진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폴 피봇 핀(168)이 원통형 몸체(152)와 러그(154)를 일체화(incorporating)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폴 피봇 핀(168)의 관련 강도손실은 없다.
시스템내부의 마찰 감소는 상기 최소 백드라이브(backdrive) 각도의 감소를 가져온다.도 5에서 래치조립체(101)의 개시각도가 H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각도는 공지된 래치들보다 (예를 들어, 54도 크기의 최소 백드라이브 각도를 가진 종래기술의 래치들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된 정도로 (즉, 최소 백드라이브 각도가 감소되고) 14.4도의 크기까지 감소된다.
래치 조립체(110)는, 도 5에서 하중 G가 피봇 축(Y)의 좌측에 작용하는 배열인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래치(latch)는 단지, 레버(172)위에 작용하는 레버지지부(178)의 존재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고정된다. 하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안정한 래치로 확대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래치조립체(210)는 래치조립체(110)와 사실상 유사하며, 공통의 부품들은 100이 더 큰 도면부호들을 가진다. 래치조립체(110)와 래치조립체(210)사이의 주요차이는, 폴 피봇 핀 오리피스(282)와 러그(284)가 폴 피봇 핀 오리피스(150)와 러그(154)에 대해 상이한 방향을 향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스트라이커(224)로부터 작용하는 하중 F는 밀폐지지부(240)와 클로우지지부(246)사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형성되는 하중 G을 발생시켜서, 하중 G이 폴 축(X)과 피봇 축(Y)을 통해 직접 작용하도록 래치조립체(210)가 구성된다. 따라서, 폴 피봇 핀(218)은 상사 중심위치(top dead centre position)에서 즉 불안정한 평형상태로 크랭크아암(crank arm)으로서 작용한다. 하중 G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가 폴(216) 또는 폴 피봇 핀(218)위에서 감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피봇 축(Y)의 양쪽 측부로 하중 G의 이동은, 폴(116)위에서 토크를 형성할 것이다.
도 11을 참고할 때, 작동부재(actuation member)(288)를 포함한 액츄에이터(286)가 레버(272)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272)는 래치 유지판(220)위에 장착된 레버지지부(270)에 대해 배열된다.
래치를 구속해제하기 위하여, 작동부재(288)가 도 11을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레버아암(27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86)가 작동된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피봇축(Y)에서 폴 피봇 핀(218)이 회전한다. 그러므로, 하중 G의 작용선은 피봇 축(Y)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래치조립체(110)에 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래치(210)를 구속해제하기 위해 폴 피봇 핀(218)을 추가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한다. 상기 래치는 래치조립체(110)와 동일한 방법(따라서, 도 18 및 도 19에 관하여 하기 설명과 같이)으로 리셋(reset)된다.
상기 래치(210)는 래치조립체(110)와 사실상 동일한 방법으로 밀폐된다. 폴 피봇 핀(218)이 상사점위에 배열되고 즉, 하중 G는 피봇축(Y)의 우측으로 작용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 피봇 핀(218)이 상사점에 고정된 배열뿐만 아니라 레버지지부(270)가 재배치(relocate)된다. 이것은 훨씬 더 안정한 배열을 제공하고, 래치를 풀어주기 위해 하중(G)의 작용선이 피봇축(Y)을 통과하고 지나(beyond)도록 폴 피봇 핀(218)을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래치조립체(10,110)들에서 설명한 것처럼, 래치조립체(210)는 러그(284)의 존재가 가지는 유리한 효과를 동일하게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래치마찰이 감소되고, 따라서 래치는 작동하기 더욱 용이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액츄에이터들을 요구하여 래치크기를 감소시킨다.
폴 피봇 핀과 폴(16,116,216)사이의 상대운동을 허용하고 제한하기 위해 폴피봇 핀(18,168,218)과 폴 피봇 핀 오리피스(50,150,282)의 상대적인 크기가 변화 될 수 있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상기 모든 실시예들에서 도시되고 구체적으로 래치조립체(10)를 참고하여, 폴 피봇 핀(18)은 러그(54)와 떨어진 접촉점(21)에서 폴(16)과 접촉한다. 래치배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폴 피봇 핀(18)과 폴(16)사이의 과도한 상대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점(21)은 제 3 원호부(60)를 가로질러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래치조립체(310)가 도시된다. 래치조립체(310)는 래치조립체(110)와 사실상 동일하게 작동하고 클로우 핀(316)에서 회전하는 클로우(314), 토클핀(toggle pin)(320)에서 회전하는 토글 부재(318) 및 토글 부재(318)위에 장착된 폴 피봇 핀(324)에서 회전할 수 있는 폴(322)이 장착되는 래치샤시(312)를 포함한다.
토글(318)은 토글 지지부(326)를 포함하고, 지지부 축(Z)에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330)에 의해 상기 토글 지지부가 래치샤시(312)위에 장착된 이동지지부(328)와 연결된다. 스프링(332)에 의해 상기 폴(332)과 토글(318)이 도 12에 도시된 위치로 편향된다. 공지된 배열(예를 들어, GB 2409706)에 있어서, 종종 원형이고 폴 피봇 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폴 핀 오리피스내에서 폴 피봇 핀이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원형(obround)의 폴 핀 오리피스(334)가 제공되고, 상기 폴 핀 오리피스는 폴 피봇 핀(324)의 직경과 사실상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마주보는 단부 반원 부분(336)들을 가진다. 폴 핀 오리피스(334)는 또한 폴 피봇 핀(324)의 직경보다 사실상 작은 폭을 가진 넥(neck)(338)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폴 피봇 핀(324)은 폴(322)에 대해 적소에 고정된다. 이것은 비교하는 도 12와 도 13에 도시되고, 이동 지지부(328)가 토글 지지부(326)의 경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며, 클로우(314)가 클로우와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회전시키고 구속해제시킬 수 있는 위치로 토글 부재(318)와 폴(322)이 이동지지부에 의해 떨어질(collapse)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330)가 작동된다.
폴 핀 오리피스(334)가 원형이라면 폴 피봇 핀(324)과 폴 핀 오리피스(334)사이의 접촉영역은 사실상 더 작은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결합부(joint)내에서 먼지와 오염물들의 마찰효과는 사실상 감소되고 상기 래치를 개폐하기 위한 노력 또한 감소된다. 폴 피봇 핀(324)의 필요한 크기가 감소되지 않고, 단지 폴 핀 오리피스(334)의 크기가 증가된다. 폴 핀 오리피스(334)내에서 폴 피봇 핀(324)의 회전작용은, 두 부품들의 결합영역으로부터 발생된 먼지와 오염물들이 넥(338)과 근접한 폴 핀 오리피스(334)의 빈 부분들로 가압(force)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될 것이다.
모든 상기 실시예들은 데드 피봇(dead pivot)들을 이용한다. 즉 상기 폴은, 폴에 대해 폴 피봇 핀이 회전하는 폴 핀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내에서 상기 폴 핀 오리피스가 폴(pawl)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라이브(live) 피봇 배열로 연장되고, 즉 폴 피봇 핀이 폴에 고정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일체로 구성되는 한, 폴 피봇 핀은 회전하거나 폴에 대해 운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폴 핀 오리피스는 폴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부품(예를 들어, 래치 샤시, 편심체(eccentric) 또는 토글)내에 형성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래치 조립체(410)는 라이브 피봇 배열을 이용한다. 부품들은 사실상 래치조립체(10)와 동일하며, 유지판(420)과 폴(416)을 제외하면 부품들은 래치조립체(10)의 도면부호들을 가지지만 400이 더 크다. 래치조립체(410)의 경우, 폴(416)은 (도 14B에서 볼 수 있듯이) 래치조립체의 유지판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폴 피봇 핀(468)과 일체구성된다. 상기 유지판(412)은 폴 핀 오리피스(482)를 포함하고, 상기 폴 핀 오리피스는, 비록 유지판(412)위에 형성되고 제 2 원호부(58)와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는 제 2 원호부를 가지지만, 폴 핀 오리피스(5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작동시, 래치조립체(410)는, 폴 피봇 핀(468)은 래치유지판(420)에 대해 회전하고 폴(416)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점을 제외하면, 사실상 래치조립체(10)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도 14C에 도시된 래치조립체(500)는 또한 라이브(live) 피봇 배열을 이용한다. 폴(502)은 폴 피봇 핀(504)을 가지고, 상기 폴 피봇 핀은 편심체(508)내에 형성된 폴 핀 오리피스(506)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폴은 폴 축(X)에서 회전하게 된다. 편심 핀(512) 및, 샤시내에 형성된 편심 오리피스(514)의 상호작용에 의해 편심체(508)는 샤시(510)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편심체 핀(512)은 피봇 축(Y)에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열은 래치 조립체(110)내에 도시된 데드(dead) 피봇 배열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래치조립체(1110)에 관한 리셋 기구(reset mechanism)의 예가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되며, 상기 래치조립체는 래치조립체(110)와 동일하며 1000이 더 큰 도 면부호들을 가진다. 래치조립체(110)이외에, 래치조립체(1110)는 클로우(1114)위에 형성된 리셋 핀(reset pin)(1500)과 상기 폴 피봇 핀(1168)에 단단히 장착된 리셋 레버(1502)를 가져서, 리셋레버는 폴 피봇 핀(1168)과 피봇축(Y)에서 회전한다. 리셋 레버위에 리셋 지지부(1504)가 형성된다.
설명한 것과 같이, 개방될 때 일단 클로우(111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안전 지지부(1138)가 폴(1116)을 통과하면, 상기 클로우는 도 1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렇게 할 때, 리셋 핀(1500)이 리셋레버(1502)의 리셋 지지부(1504)와 연결되고 다음에 리셋 지지부를 이동시킨다. 그 결과, 폴 피봇 핀(1168)이 (폴 피봇 핀에 관한) 도 7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5A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어, 폴 축(X)은 도 8에 도시된 (폴 피봇 핀(168)에 관한) 동일한 위치(equivalent position)로 리셋(resetting)된다. 동시에, 도 15B를 참고할 때, 구속해제 레버(1172)는 은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귀환하고 이동 지지부(1174)와 접촉한다. 상기 래치조립체가 리셋된다.
폴 핀 오리피스가 유지판과 전방판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될 수 있고, 최적강도를 위해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라이브 피봇 배열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폴 핀 오리피스가 편심체내에 형성되고 (폴과 일체로 구성된) 폴 피봇 핀이 폴 핀 오리피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Claims (15)

  1. 샤시,
    상기 샤시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위치와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기 위한 개방위치를 가진 래치볼트(latch bolt),
    폴을 가지고, 상기 폴은 상기 래치볼트를 밀폐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폴이 래치볼트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폴이 상기 래치볼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분리위치를 가지는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폴이 폴 피봇 핀에 의해 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폴 피봇 핀은 폴 축에서 제 1 반경을 가진 제 1 원호부를 포함하고, 폴축의 수직방향인 폴 피봇 핀의 단면적은 제 1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축과 떨어진 편심체 축을 형성하는 편심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편심체가 상기 편심체 축에서 회전가능한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폴이 연결위치로부터 분리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편심체 배열이 상기 편심체 축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폴이 연결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치볼트에 의해 상기 폴로 가해지는 하중이 편심체 배열위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한 방향으로 상기 편심체 축에서 회전운동을 형성하며,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편심체 배열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한 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폴 피봇 핀 길이의 제 1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편심체 축에 중심을 가진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폴 피봇 핀 길이의 제 2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원호부를 형성하는 오프셋 러그(offset lug)를 가진 제 1 섹션과 사실상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편심체 배열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지지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4. 전 항들에 있어서, 폴 피봇 핀이 상기 폴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상기 샤시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상기 편심체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7. 전 항들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상기 폴축주위에서 제 2 반경을 가진 제 2 원호부를 포함하는 폴 핀 오리피스내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반경이 사실상 제 1 반경과 동일하며,
    폴 축에 대해 수직인 상기 폴 핀 오리피스의 단면적은 제 2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은 상기 제 2 원호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폴 핀 오리피스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폴 핀 오리피스는 상기 폴 축에서 제 3 반경을 가진 제3 원호부를 포함하고, 제 3 반경은 제 1 및 제 2 반경들보다 크며, 상기 폴 피봇 핀은 제 3 원호부와 계속해서 접촉하며 상기 폴은 연결위치로부터 분리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10. 샤시,
    상기 샤시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트라이커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위치와 스트라이커를 구속해제하기 위한 개방위치를 가진 래치볼트(latch bolt),
    폴을 가지고, 상기 폴은 상기 래치볼트를 밀폐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폴이 래치볼트와 연결되는 연결위치 및 상기 폴이 상기 래치볼트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분리위치를 가지는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폴이 폴 피봇 핀에 의해 폴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폴 피봇 핀은 폴 핀 오리피스내에 장착되며, 상기 폴 핀 오리피스는 폴 축에서 반경을 가진 폴 핀 오리피스 원호부를 포함하고,
    폴 축에 대해 수직인 상기 폴 핀 오리피스의 단면적은 상기 반경을 가진 원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 축으로부터 떨어진 편심체 축을 형성하는 편심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편심체가 편심체 축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폴이 연결위치로부터 분리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편심체 배열이 상기 편심체 축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폴이 연결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래치볼트에 의해 상기 폴로 가해지는 하중이 편심체 배열위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한 방향으로 상기 편심체 축주위에서 회전운동을 형성하며,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편심체 배열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한 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상기 폴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폴 핀 오리피스가 상기 샤시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상기 폴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폴 핀 오리피스가 상기 편심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상기 샤시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폴 핀 오리피스가 상기 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 피봇 핀이 상기 편심체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폴 핀 오리피스가 상기 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KR1020097019769A 2007-02-23 2008-01-31 래치 조립체 KR20090115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703597.5A GB0703597D0 (en) 2007-02-23 2007-02-23 Latch assembley
GB0703597.5 2007-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808A true KR20090115808A (ko) 2009-11-06

Family

ID=3794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769A KR20090115808A (ko) 2007-02-23 2008-01-31 래치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279277B2 (ko)
EP (1) EP2113048B1 (ko)
JP (1) JP2010519436A (ko)
KR (1) KR20090115808A (ko)
CN (1) CN201526205U (ko)
GB (1) GB0703597D0 (ko)
WO (1) WO2008102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3783B1 (en) * 2005-02-18 2016-01-20 Inteva Products USA, LLC Latch assembly
GB0703597D0 (en) 2007-02-23 2007-04-04 Meritor Technology Inc Latch assembley
JP4935612B2 (ja) * 2007-10-09 2012-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FR2940342A1 (fr) * 2008-12-18 2010-06-25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ouvrant de vehicule
US8235428B2 (en) * 2009-07-14 2012-08-07 Kiekert Ag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GB2480490B (en) 2010-05-21 2016-06-08 Inteva Products Usa Llc Latch assembly
GB2480860B (en) 2010-06-04 2014-05-21 Body Systems Usa Llc Latch assembly
US9890562B2 (en) * 2012-03-20 2018-02-13 Piotr Leonard Kowalczyk Locking arrangement
DE102012023261A1 (de) * 2012-11-29 2014-06-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JP6222937B2 (ja) * 2013-02-20 2017-11-0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ロック装置
US9657409B2 (en) 2013-05-02 2017-05-23 Melior Innovations, Inc. High purity SiOC and SiC, methods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US10322936B2 (en) 2013-05-02 2019-06-18 Pallidus, Inc. High purity polysilocarb materials, applications and processes
US11091370B2 (en) 2013-05-02 2021-08-17 Pallidus, Inc. Polysilocarb based silicon carbide materials, applications and devices
US9919972B2 (en) 2013-05-02 2018-03-20 Melior Innovations, Inc. Pressed and self sintered polymer derived SiC materials, applications and devices
DE102013109051A1 (de) * 2013-08-21 2015-02-2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GB2518142B (en) * 2013-08-22 2017-06-28 Inteva Products Llc Energy damp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latch assembly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DE102013022059A1 (de) * 2013-12-23 2015-06-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DE102014001160A1 (de) * 2014-01-31 2015-08-06 Kiekert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Kraftfahrzeugtürverschluss mit erhöter Betriebssicherheit
DE102014201799A1 (de) * 2014-01-31 2015-08-06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DE102014107390A1 (de) * 2014-05-26 2015-11-26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FR3026424A1 (ko) * 2014-09-30 2016-04-01 Inteva Products Llc
GB2532969A (en) * 2014-12-01 2016-06-08 Edo Mbm Tech Ltd Small store suspension and release unit
KR101673705B1 (ko) * 2014-12-02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DE102017209376A1 (de) * 2016-06-07 2017-12-07 Magna Closures Inc. Fahrzeugverschluss-Verriegelungsanordnung mit Doppelklinken-Verriegelungsmechanismus
EP3481325A4 (en) 2016-07-11 2020-03-18 Covidien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NTING FOR TRANSPONDER TAGED OBJECTS USED IN CLINICAL ACTS, USING AN ARMORED RECEPTACLE WITH AN ANTENNA
DE102016123659A1 (de) 2016-12-07 2018-06-07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02585A1 (de) * 2017-02-09 2018-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04152A1 (de) 2017-02-28 2018-08-3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CN110130753B (zh) 2018-02-08 2022-03-15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具备具有滚子掣爪组件的闩锁机构的闭合闩锁组件
WO2023172238A1 (en) * 2022-03-07 2023-09-14 The Eastern Company Latch apparatus
DE102019107229A1 (de) * 2019-03-21 2020-09-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Tür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FR3102498B1 (fr) * 2019-10-29 2021-12-10 U Shin France Serrure pour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DE102021119651A1 (de) * 2021-07-28 2023-02-0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7948B2 (ko) * 1972-02-21 1980-07-24
JPS63146066A (ja) 1986-12-10 1988-06-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63146066U (ko) * 1987-03-13 1988-09-27
IT1233062B (it) * 1989-02-03 1992-03-14 Motrol Spa Serratura con incremento del carico di chiusura ed apertura elettrica particolarmente per applicazioni automobilistiche
US5564761A (en) * 1993-01-13 1996-10-15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mechanism
US5474339A (en) * 1993-10-15 1995-12-12 Kelsey-Hayes Company Door latch with double locking antitheft feature
DE19631262A1 (de) 1996-08-02 1998-02-05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od. dgl.
FR2768764B1 (fr) * 1997-09-19 1999-11-26 Valeo Systemes De Fermetures Serrure electrique pour portiere de vehicule
GB2339593A (en) 1998-07-15 2000-02-02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Vehicle door latch with disengageable power release
FR2782110B1 (fr) 1998-08-05 2000-10-06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de porte a assistance electrique
GB0011456D0 (en) 2000-05-13 2000-06-28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assembly and latch arrangement
US6779372B2 (en) 2001-10-16 2004-08-24 Robert Bosch Gmbh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lock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are separate from one another
GB2409706B (en) 2003-12-31 2006-11-08 Honeywell Int Inc Low release energy latch mechanism
DE202004020037U1 (de) 2004-10-21 2006-03-0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schloß
EP1853783B1 (en) 2005-02-18 2016-01-20 Inteva Products USA, LLC Latch assembly
GB0703597D0 (en) 2007-02-23 2007-04-04 Meritor Technology Inc Latch assembley
GB2446804B (en) * 2007-02-23 2011-07-13 Meritor Technology Inc Latch Mechanism
GB2453514A (en) * 2007-06-08 2009-04-15 Meritor Technology Inc Latch with lock link and first and second control members
US8235428B2 (en) * 2009-07-14 2012-08-07 Kiekert Ag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19436A (ja) 2010-06-03
EP2113048A1 (en) 2009-11-04
WO2008102097A1 (en) 2008-08-28
GB0703597D0 (en) 2007-04-04
US20110260475A1 (en) 2011-10-27
EP2113048B1 (en) 2017-03-15
US20150259954A1 (en) 2015-09-17
CN201526205U (zh) 2010-07-14
WO2008102097A8 (en) 2009-10-22
US10113342B2 (en) 2018-10-30
US9279277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5808A (ko) 래치 조립체
EP2776651B1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US8727399B2 (en) Device for prevention of door opening during roll-over
CN108291414B (zh) 具有锁式致动的连接机构的门或其他可关闭的板体
US8056944B2 (en)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door
US8333530B2 (en) Latch device for vehicle seat
US20070085349A1 (en) Inertia-actuated locking device
US20120068480A1 (en) Lock having restricted guidance for a pawl
US20150315824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US20200190865A1 (en) Locking system equipped with a handle and with a remotely situated inertial system
JP4263208B2 (ja) 航空機の操縦室ドアのラッチ装置
US20120061162A1 (en) Handle for a door leaf of an automobile
JP5269884B2 (ja) ドア・ロック
US20150354250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2005036608A (ja) 自動車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US20030057714A1 (en) Door latch device
FI120417B (fi) Lukitusjärjestelmä
US20120074718A1 (en) Door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20060237973A1 (en) Momentary inertial latching device
JP2008019622A (ja) カマ錠
US6932395B1 (en) Window assembly with release mechanism
JP3964702B2 (ja) 航空機の操縦室ドアのラッチ装置
JP7269552B2 (ja) 車両用側部ドア構造
EP1283317A2 (en) Latch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