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344A -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344A
KR20090115344A KR1020080041152A KR20080041152A KR20090115344A KR 20090115344 A KR20090115344 A KR 20090115344A KR 1020080041152 A KR1020080041152 A KR 1020080041152A KR 20080041152 A KR20080041152 A KR 20080041152A KR 20090115344 A KR20090115344 A KR 2009011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video signal
camera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08004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344A/ko
Publication of KR2009011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방송국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신호를 시청자가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방송 시청자가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를 암기하지 않더라도 각 방송국 카메라에 따른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촬상장치로부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제1영상신호를 주 방송채널로 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각 촬상장치별 영상신호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에 따라 촬상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영상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촬상장치, 선택, 카메라 식별자, 멀티채널, 셋탑 박스, 방송 시스템

Description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User Chosen Camera Based Imag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는 다수의 카메라가 생성하는 영상신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카메라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시청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등의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타 카메라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타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텔레비전)로 전송되는 영상신호는 방송국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일 방향 전송된다. 이 경우, 방송 콘텐츠는 여러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된 영상신호 중, 편집자가 선택한 카메라의 영상신호들이 조합된 것이며,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없다. 이러한 특징은 공중파 방송 이외에도, 케이블 방송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시청자는 편집자가 선택한 카메라의 영상신호만을 볼 수 있다. 현재, 미국에는 다양한 케이블 방송국이 시청자에게 스포츠 중계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케이블 방송 국들이 중계하는 스포츠 중계방송 중 프로야구 중계방송은 1루, 2루, 3루, 베이스, 우익수 좌익수, 중견수 방향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그라운드를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신호는 중계차나 방송국에서 편집되어 시청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시청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를 지속적으로 보고자 할 수 있으며, 자신이 좋아하는 투수의 투구 폼(form)을 지속적으로 보고자 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특정한 카메라에서 입수되는 영상신호를 시청하고 싶어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계차나 방송국에서 편집된 영상신호는 시청자의 의도를 모두 반영할 수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방송국(또는 중계차)에서 편집된 영상을 시청자가 시청하면서, 시청자가 원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기 위한 복수의 방송국 카메라에서 생성되는 영상신호를 시청자가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케이블 망을 이용한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도 각 카메라에 따른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패킷에 여러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담고, 이를 브로드 캐스팅 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촬상장치로부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영상신호를 주 방송채널로 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각 촬상장치별 영상신호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촬상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영상신호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영상신호, 및 상기 영상 촬상장치들에 대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촬상장치로부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영상신호를 주 방송채널로 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 촬상장치별 영상신호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촬상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시,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영상신호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되며, 시청자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명령어가 상기 장치 식별자에 대응될 때,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며, 시청자가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 시, 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채널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셋톱 박스이며,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리모트 콘트 롤러에서 전송되는 채널번호가 미리 약정된 숫자열인 경우, 명령어 수신모드(command receive mode)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명령어 수신모드일 때, 상기 사용자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방향키가 입력되는 회수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타 영상 촬상장치의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순차로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정된 숫자열은, 상기 셋톱 박스에서 수신 불가능한 채널 주파수에 대한 채널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촬상장치, 및 제2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제1 영상신호와 제2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영상신호에 주 방송채널을 할당하고, 이를 유선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주 방송채널을 수신 중,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요청 시,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해 할당되는 방송채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영상신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촬상장치, 및 제2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제1 영상신호와 제2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영상신호에 주 방송채널을 할당하고, 이를 유선 접속 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주 방송채널을 수신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요청 정보를 입수받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요청 정보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부터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상기 영상소스에 대한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각 영상신호에 방송채널을 할당하여 케이블 망에 공급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케이블 접속되는 가입자 단말기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후,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 시,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상기 타 영상신호에 대한 채널정보를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 처리부에서 제공한 채널 정보에 따라 수신 채널 주파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각 영상 소스와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한 연관정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압축(compress) 및 스크램블링(scrambling)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상기 영상소스에 대한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각 영상신호에 방송채널을 할당하여 케이블 망에 공급하는 비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으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과 케이블 접속되며,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후,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송 처리부로부터 상기 타 영상신호에 대한 채널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전송 처리부에서 제공한 채널 정보에 따라 수신 채널 주파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며, 시청자가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 시, 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전송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송 처리부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에 대한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셋톱박스이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 치와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전송 처리부는, 케이블 망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케이블 망은, 방송신호, 및 네트워크 패킷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하나의 전송 패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전송 패킷을 브로드 캐스팅하는 네트워크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송 패킷은, 헤더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영상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스크램블(scramble)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송 패킷은, 네트워크 접속되는 전송대상 노드의 타겟 아이피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대상 노드에서 브로드 캐스팅(broadcast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송대상 노드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라우터가 마련되며,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전송 패킷을 로컬 네트워크에 소속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헤더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장치 식별자의 배치 순서, 및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영상신호의 기록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하나의 전송 패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패킷을 전송받으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 상기 복수의 영상 촬상 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제공하며, 스크램블 처리된 데이터 영역을 디-스크램블 처리하기 위한 카드가 내장되며, 상기 전송 패킷은, 헤더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영상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스크램블 된 상기 데이터를 디-스크램블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퍼스널 컴퓨터, 및 상기 데이터를 디-스크램블 하기 위한 카드가 설치되는 퍼스널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스크램블 된 상기 데이터를 디-스크램블 하기 위한 셋톱 박스; 및 상기 셋톱 박스를 통해 디-스크램블 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하나의 전송 패킷으로 결합하고, 상기 전송 패킷은 멀티 캐스트 패킷으로 생성하며,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전송 패킷의 헤더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소속되는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라우터는, 상기 멀티 캐스트 패킷을 로컬 네트워크에 소속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식별자를 디코딩하여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신호를 브로드 캐스트 패킷으로 결합하고 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디오 처리부를 통해 수행되며,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브로드 캐스트 패킷의 헤더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트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소속되는 라우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브로드 캐스트 패킷에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를 스크램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기와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하는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비디오 처리부를 통해 수행되며, 하나의 촬영장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 후, 상기 선택한 영상신호와 연관된 타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요청 시, 이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를 인코딩, 및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채널정보에 의해 수신채널이 변경된다.
상기 촬영장은, 농구장, 야구장, 미식축구장, 골프장, 테니스장, 스튜디오, 및 실내 세트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이, 방송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상기 영상 촬상 장치에서 입수된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촬상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위 치 정보와 상기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서 촬상한 영상은 상기 영상 촬상장치 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정보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의 입수는 상기 식별정보를 입수받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정보의 제공은 1)유선 케이블 망, 2) 방송망, 3)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망, 4) 무선 네트워크 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망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셋톱 박스, IPTV, 셋톱 박스를 내장하거나 외부에서 연결되는 디지털 TV, 개인용 컴퓨터(PC), 및 게임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또 다른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또 다른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상기 영상 촬상 장치에서 입수된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가 생성한 모든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 정보가 입수 받은 영상 촬상장 치에서 입수된 영상은 상기 모든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방송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부터 상기 상기 선택 정보를 전송한 상기 영상 촬상 장치에서 입수된 영상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방송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가 생성하는 모든 영상을 제공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영상 중에서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받은 영상을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신호를 시청자 가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전송 패킷을 타겟 노드로 브로드 캐스팅함으로써 각 카메라별 영상신호를 개별 전송하는데 비하여 네투워크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케이블 망을 이용하여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전송하며, 시청자가 각 카메라의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를 암기하지 않더라도 각 카메라에 따른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셋탑 박스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가 명령어 모드(명령어 모드는 시청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선택하는 번호가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하는 제어모드를 나타낸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시청자로 하여금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다양한 시점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는 하나의 방송 채널이 할당되며, 시청자는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콘텐츠는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측이 결정한 카메라로부터 입수되는 영상에 따라 만들어지며,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카메라에서 입수되는 영상의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다. 통상적으로 스포츠 중계, 쇼 프로그램, 생방송, 기타 녹화 방송 등에는 여러 대의 카메라가 동원되며, PD 등은 실시간 또는 비 실시간으로 여러 대의 카메라에서 입수하는 영상을 편집하여 시청자들이 특정 시점에 시청할 방송 내용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PD 들은 여러 대의 카메라에서 입수되는 거의 모든 영상 시청할 수 있는 반면, 시청자들은 그렇지 못하게 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A"는 시청자가 방송채널을 선택 시, 방송 채널에서 제공하는 주 영상신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시청자가 시청중인 영상신호(A)를 영상신호(B), 또는 영상신호(C)로 전환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청자는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다양한 카메라 시점에 따라 시청할 수 있다.
물론, 각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A → B → C의 순서로 전환하기 위해 시청자가 B 영상신호와 C 영상신호에 채널번호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 카메라별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영상신호에 할당되는 채널번호를 선택하거나, 별도의 메뉴를 요구하지 않으며, 시청자는 영상신호의 전환을 요청하는, 최소한의 동작을 통해 카메라 시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시청자는 야구장의 1루 측 방향에서 촬상된 영상신호(A)를 시청하거나, 투수의 등 쪽에서 촬상된 영상신호(B)를 시청하거나, 포수의 뒤쪽에서 촬상되는 영상신호(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는 카메라는 복수이며, 서로 그 위치가 달라야 한다.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야구장에 카메라가 배치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카메라(10a ∼ 10c)는 하나의 방송 콘텐츠(야구 중계방송)를 생성하기 위해 3개의 카메라(10a ∼ 10c)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 카메라(10a ∼ 10c)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며, 다양한 각도, 다양한 위치에서 야구장 내를 촬상하고 이를 방송국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여러 개의 촬상장치(카메라가 그 한 예가 될 수 있다.)가 할당되는 야구장, 농구장, 미식축구장, 골프장, 테니스장, 스튜디오, 및 방송국 내의 스튜디오와 같은 장소에서 다수의 영상신호를 획득 가능한 방송 콘텐츠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각 카메라(10a ∼ 10c)에서 촬상된 영상신호를 방송에 적합하게 하나의 영상신호로 편집한 것을 주 방송채널에 할당하고, 각 카메라(10a ∼ 10c)에서 촬상된 영상신호는 시청자가 원할 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출원인은 복수의 촬상장치(카메라)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상호 연관성을 가지는 여러 영상신호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개념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한 각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비디오 처리부(110), 전송 처리부(120), 및 인증 처리부(130)를 구비한다.
인증 처리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1a ∼ 11n)에 부여되는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이용이 허용된 시청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 단말기가 셋탑 박스인 경우, 인증 처리부(130)는 셋탑 박스에 부여되는 제조번호, 고유번호, 셋탑 박스에 장착 및 탈착되는 디-스크램블 카드(de-scramble card)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시청자를 인증하며,
사용자 단말기가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청자가 설정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해 시청자를 인증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각 촬상장치에서 촬상된 영상신호에 카메라 식별자를 부여하며, 디지털 영상신호로 처리 후, 압축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의 압축 방법은 MPEG-2 또는 MPEG-4가 적합하나, 이 외에 타 압축방식에 따라 영상신호가 압축 처리되어도 무방하다.
전송 처리부(120)는 비디오 처리부(110)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에 EPG(Electrical Program Guide)정보를 삽입하며, EPG가 삽입된 영상신호를 네트워크 패킷으로 변환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1a ∼ 11n)로 제공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1a ∼ 11n)가 시청중인 영상신호의 교체를 요청 시, 사용자 단말기(11a ∼ 11n)가 시청을 원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1a ∼ 11n)는 시청을 원하는 영상신호의 카메라 식별자를 전송 처리부(120)로 통보하고, 전송 처리부(120)는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110)로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11a ∼ 11n)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처리부(110)는 식별자 처리부(111), 인코더(112), 및 압축부(113)를 구비한다.
식별자 처리부(111)는 각 카메라(10a ∼ 10n)에서 획득된 영상신호에 카메라 식별자를 부여한다. 카메라 식별자는 카메라(10a ∼ 10n)에 할당되는 번호나 기호가 적용될 수 있으며, 숫자열, 및 기타 카메라(10a ∼ 10n)를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식별자 처리부(111)는 각 카메라(10a ∼ 10n)의 상호 위치 관계를 참조하며, 어느 하나를 기준 카메라로 설정하고, 기준 카메라와 인접한 순서에 따라 순차로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2에서 카메라(10a)가 기준 카메라라면, 기준 카메라(10a)와 인접한 카메라(10b), 및 카메라(10c)의 순서로 카메라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다.
카메라 식별자는 영상신호에 포함되므로, 사용자 단말기(11a ∼ 11n)는 카메라 식별자를 전송 처리부(120)로 피드백하여 원하는 영상신호를 요청할 수 있고, 전송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1a ∼ 11n)가 비디오 처리부(110)로 카메라 식별자에 대한 영상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송 처리부(120)는 MUX(121), 네트워크 스위치(123), 및 채널 전환부(124)를 구비한다.
MUX(121)는 각 사용자 단말기(11a ∼ 11n)로 제공할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인 EPG를 영상신호에 삽입한다. 네트워크 스위치(123)는 사용자 단말기(11a ∼ 11n)의 채널 요청에 응답하여 비디오 처리부(110)에서 제공되는 각 카메라(10a ∼ 10n)별 영상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1a ∼ 11n)로 제공한다. 네트워크 스위치(123)는,
1) 각 방송 채널에 따른 영상신호를 제공하거나,
2) 하나의 방송 채널에 대해 다수의 카메라가 할당되는 경우, 각 카메라별 영상신호를 제공한다.
이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네트워크 스위치(123)와 사용자 단말기(11a ∼ 11n) 사이에 발생하는 영상신호 전송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에서, 네트워크 스위치(123)가 사용자 단말기(10a)로 영상신호 AV_1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b)로 영상신호 AV_2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10c)로는 영상신호 AV_3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영상신호 AV_1, AV_2, 및AV_3는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영상신호이며, 서로 다른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것이다.
만일, 사용자 단말기(10b)에서 영상신호(AV_2)를 시청 중, 네트워크 스위치(123)로 타 영상신호(AV_1, 또는 AV_3)를 요청한다면 네트워크 스위치(123)는 비디오 처리부(110)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들(AV_1 ∼ AV_n) 중 사용자 단말기(10b)가 요청한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기(10b)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b)는 영상신호(AV_2)에 대응되는 카메라 식별자를 네트워크 스위치(123)로 전송하며, 네트워크 스위치(123)는 이를 채널 전환부(124)로 제공하고, 채널 전환부(124)는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110)로 요청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채널 전환부(124)에서 요청된 카메라 식별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네트워크 스위치(123)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스위치(123)는 이를 사용자 단말기(10b)로 전송한다. 도면에는, 퍼스널 컴퓨터가 사용자 단말기(11a ∼ 11n)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 단말기(11a ∼ 11n)는 LCD, PDP, 및 CRT 브라운관 텔레비전과 결합 되는 셋탑 박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11a ∼ 11n)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셋탑 박스 중 어느 하나이며, 이 외에도,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고, 영상신호를 재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네트워크 스위치(123)는 사용자 단말기(10b)의 아이피나 맥 어드레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b)를 인식하며, 사용자 단말기(10b)가 영상신호(AV_2)를 수신 중 타 카메라의 영상신호(예컨대 AV_3)를 요청 시, 영상신호(AV_3)를 사용자 단말기(10b)의 아이피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b)는 자신의 아이피로 여러 영상신호(AV_1, AV_2, 및 AV_3)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스위치(123)는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여러 영상신호(AV_1, AV_2, 및 AV_3)를 독립적인 아이피에 할당할 필요가 없다.
채널 전환부(124)는 각 사용자 단말기(11a ∼ 11n)에서 전송되는 카메라 식별자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a ∼ 11n)에서 요청되는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110)에 요청한다. 또한, 채널 전환부(124)는 비디오 처리부(110)에서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네트워크 스위치(123)로 제공 시, 네트워크 스위치(123)를 제어하여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사용자 단말기(11a ∼ 11n)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영상신호는 네트워크 패킷의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 단말기(11a ∼ 11n)는 고유의 아이피(IP), 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가지는 셋탑 박스(set top box), 또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 다.
여기서, 비디오 처리부(110), 인증 처리부(130), 및 전송 처리부(120)는 각각이 하나의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처리부(110)는 비디오 처리 서버로 구현되고, 인증 처리부(130)는 인증 처리 서버로 구현되며, 전송 처리부(120)는 전송 처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각 처리 유닛(비디오 처리부, 인증 처리부, 및 전송 처리부)의 기능을 상호 분할함으로써 각 유닛(비디오 처리부, 인증 처리부, 및 전송 처리부)에 가해지는 부하(Load)를 경감시킨다. 물론, 비디오 처리부(110), 인증 처리부(130), 및 전송 처리부(120)를 하나의 서버에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중 셋탑 박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셋탑 박스는 튜너(310), 디코더부(320), 제어부(330), 센서(370), 및 PHY 처리부(360)를 구비한다.
튜너(310)는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되어 수신 채널을 선국한다. 튜너(310)는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와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여 방송신호를 추출하는 디지털 튜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날로그 튜너와 디지털 튜너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도록 한다.
디코더부(320)는 튜너(310)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 호로 분리하며, MPEG 압축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압축 해제한다. 이때, 디코더부는 아래의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신호 압축을 수행한다.
3) 비 휘발성 메모리(ROM)에 압축 해제를 위한 디코딩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디코더부(320)가 이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
4) 디-스크램블 카드(50)에 디코딩을 위한 알고리즘이 마련되며, 디코더부(320)가 디-스크램블 카드(50)에 마련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디코더부(320)는 디-모듈레이터(321), 디-먹스(322), 및 신호처리부(323)를 구비한다.
디-모듈레이터(321)는 튜너(3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가 변조된 신호(modulated signal)인 경우, 영상신호에서 반송파(carrier frequency)를 제거한다. 반송파가 제거된 영상신호는 MPEG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형태를 갖는다. 디-먹스(322)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고, 이를 신호처리부(323), 및 제어부(330)로 제공한다.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EPG(Electronical Program Guide), 및 카메라 식별자가 포함된다. 신호처리부(323)는 비디오 처리부(323a), 및 오디오 처리부(323b)를 구비하며, 비디오 처리부(323a)는 디-먹스(322)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ideo stream)을 MPEG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장치(340)로 제공하고, 오디오 처리부(323b)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Audio stream)을 MPEG 복호화하여 스피커(350)로 제공한다.
제어부(330)는 셋탑 박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센서(370)를 통해 시청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명령을 처리한다. 제어명령은 채널전환, 볼륨조절, 외부입력 선택, 셋탑 박스의 온-오프, 및 화면조정을 포함하며, PHY 처리부(360)와 접속되어 네트워크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때, PHY 처리부(360)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 카메라 식별자를 전송하거나 채널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시청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무선 전송하는 숫자열(또는 문자열)에 응답하여 셋탑 박스를 명령어 모드(command mode)로 전환한다. 명령어 모드는 시청자의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미리 약정된 특정 숫자열이 전송되면, 이후 시청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숫자를 채널번호에 대응시키지 않고,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시키는 처리 모드(processing mode)를 의미한다. 이는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셋탑 박스의 명령어 모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IR"은 적외선 수신부(도 6의 도면의 참조부호 "370")를 의미한다. 만일, 셋탑 박스를 명령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숫자열이 "555"이고, 명령어 모드를 해제하는 숫자열이 "999"이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가용 가능한 채널의 범위가 0 ∼ 100 이라고 가정하면,
셋탑 박스가 센서(370)를 통해 수신되는 숫자열이 100을 초과 시, 이는 채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시청자가 실수로 선택한 숫자열에 의해 셋탑 박스가 명령어 모드로 전환되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셋탑 박스는 시청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숫자열 555를 통보 시, 셋탑 박스를 명령어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셋탑 박스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장치(예컨대, TV, LCD, 및 PDP 등, 도면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음.)의 화면에는 시청자가 선택 가능한 카메라의 위치, 또는 카메라 식별자가 표시된다. 이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시청자가 명령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에는 프로야구 중계방송이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11a ∼ 11n)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좌측 상단에는 1루, 2루, 3루, 및 홈(home)의 위치를 표시하는 식별자(◇)가 도시되고, 그라운드 주변에는 ① ∼ ⑥의 카메라 식별자가 표시된다. 카메라 식별자(① ∼ ⑥)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숫자키와 대응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아래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하고, 선택한 카메라 식별자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 아래 -
5)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숫자열 "555"를 입력하여 셋탑 박스를 명령어 모드로 전환한다.
6)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① ∼ ⑥에 대응되는 숫자키를 입력하여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한다.
*예컨대 시청자가 숫자키 "2"를 누르면 2루 쪽 방향의 카메라(②)를 선택하는 것이고, 시청자가 숫자키 "4"를 누르면 1루 쪽 방향의 카메라(④)를 선택하는 것이다. 시청자가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 시(예컨대 "④"),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식별자(예컨대 "④")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통보하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 식별자(예컨대 "④")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셋탑 박스이면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장치(예컨대 CRT, LCD, 및 PDP 등)로 제공하며,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되는 네트워크 인털페이스 카드(통상 랜카드,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음)는 이를 수신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마련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이를 모니터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식별자는 숫자((예컨대 "④")인 것이 예시되고 있으나, 리모트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문자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리모트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방향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에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방향키가 도시되어 있다.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숫자열 "555"를 눌러 셋탑 박스를 명령어 모드로 전환 후, 방향키(◀, ▼, ▶, 및 ▲)를 눌러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만일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식별자가 ① ∼ ⑥ 이고, 시청자가 시청중인 영상신호의 카메라 식별자가 ⑤라고 가정하면,
시청자가 방향키(◀)를 누를 때, 셋탑 박스는 카메라 식별자(⑤)의 좌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식별자(⑥)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통보하고 카메라 식별자(⑥)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요청하며, 이 상태에서 시청자가 방향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셋탑 박스는 카메라 식별자(①)를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통보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셋탑 박스는 시청자가 누르는 방향키에 응답하여 이웃하는 카메라 식별자를 순차로 선택하고 이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통보한다. 반대로, 시청자가 방향키(▶)를 누르면 시청자가 시청중인 영상신호의 카메라 식별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식별자가 선택된다.
한편, 시청자가 명령어 모드의 해제를 원하는 경우,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숫자열 "999"를 입력한다. 셋탑 박스는 숫자열 "999"를 명령어 해제 명령으로 인식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셋탑 박스의 제어부(330)는 센서(370)를 통해 수신되는 숫자열에 따라 셋탑 박스를 명령어 모드, 및 일반 모드(리모트 콘트롤러를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모드, 일반 모드에서는 숫자열이 채널전환에 사용되며, 방향키는 음량조절, 및 채널 전환에 이용된다.)
또한, 제어부(330)는 셋탑 박스가 명령어 모드로 전환될 때, 센서(370)를 통 해 수신되는 번호를 카메라 식별자로 인식하고, 이를 PHY 처리부(360)로 통보한다. PHY 처리부(360)는 네트워크 통신을 담당하며, 튜너(310)와 접속되는 케이블(Cable)을 통해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카메라 식별자를 통보한다. 이때, PHY 처리부(360)는 카메라 식별자, 및 디-스크램블 카드(50)의 고유번호를 통보한다. 즉, PHY 처리부(360)는 맥 어드레스 정보(또는 아이피 정보), 디-스크램블 카드정보, 및 카메라 식별자 정보를 통보함으로써,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이 단일 콘텐츠에 대한 멀티 채널 시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복수의 카메라(11a ∼ 11n)가 단일 방송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영상신호에 대해 전송 채널을 부여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각 카메라(11a ∼ 11n)의 영상신호를 저장, 및 버퍼링하는 영상신호 데이터베이스(201c)를 구비하며, 사용자 단말기(80)가 전송하는 카메라 식별자에 응답하여 카메라 식별자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1a ∼ 11n)로 전송한다.
도시된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201)은 비디오 처리부(201), 및 전송 처리부(202)를 구비한다.
비디오 처리부(201)는 각 카메라(11a ∼ 11n)에서 촬상된 영상신호를 인코딩, 및 압축하여 영상신호 데이터베이스(201c)에 저장한다. 전송 처리부(202)는 채널 전환부(202b), 및 네트워크 스위치(202a)를 구비하며, 채널 전환부(202b)는 네트워크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80)가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요청 시, 비디오 처리부(201)에 이를 요청하며, 네트워크 스위치(202a)를 제어하여 영상신호 데이터베이스(201c)에서 제공된 영상신호를 사용자 단말기(80)에 전송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처리부(201)는 각 카메라(11a ∼ 11n)에서 촬상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더(201a), 디지털 영상신호를 MPEG 부호화하는 압축부(201a), 및 MPEG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각 카메라별 저장하는 영상신호 데이터베이스(201c)를 구비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202)는 사용자 단말기(80)에서 요청된 각 카메라(11a ∼ 11n)의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201)에 요청하는 채널 전환부(202b), 및 채널 전환부(202b)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단말기(80)로 해당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스위치(202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디오 처리부(201)는 각 카메라(11a ∼ 11n)에서 촬상된 영상신호를 저장해두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먼저 저장된 영상신호가 먼저 삭제되는 방식)에 따라 영상신호를 삭제한다.
인증 처리부(203)는 사용자 단말기(80)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사용자 단말기(80)에서 인증을 요청 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80)가 영상신호를 요청 시, 사용자 단말기(80)를 인증하며, 사용자 단말기(80)가 인증되면, 사용자 단말기(80)가 채널 전환부(202b)로 요청한 채널정보, 또는 카메라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인증 처리부(203)는 사용자 단말기(80)에 부여된 고유번호, 사용자 단 말기(8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같은 인증 정보를 구비하며, 사용자 단말기(80)가 셋탑 박스인 경우, 셋탑 박스에 착탈되는 디-스크램블 카드의 카드번호, 셋탑 박스에 부여된 고유번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80)를 인증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80)가 전송하는 카메라 식별자에 따라 영상신호를 제공하며, 카메라 식별자는 도 7에 도시된 형태에 따라 시청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80)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셋탑 박스와 같이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80)가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는 도 7에 도시된 형태에 따라 카메라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시청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직접 선택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타이핑하여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80)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무선망, 케이블 망, 및 전화망을 이용하여 접속될 수 있으나, 현재는 케이블 망이 가장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망을 본 실시예에 적용 시, 사용자 단말기(80)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영상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기(80)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 카메라 식별자나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정보를 손쉽게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도 10과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통상의 케이블 망의 주파수 대역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사용자 단말기(80)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이 영 상신호와 카메라 식별자를 상호 전송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10을 보면, 기존의 케이블 망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50㎒ ∼ 860㎒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며, 50㎒ ∼ 860㎒의 주파수 대역은 기존의 케이블 망이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한 영역이다. 따라서,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기(80)가 네트워크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0㎒ ∼ 50㎒, 870㎒ ∼ 1560㎒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 통상, 전송 속도가 느린 0㎒ ∼ 50㎒은 업로드(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패킷을 전송하는 방향)를 위해 사용되고, 870㎒ ∼ 1560㎒은 다운로드(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네트워크 패킷을 전송하는 방향)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주파수 대역은 일 예에 불과하며,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위해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은 각 나라나 지역에 따라 다소의 편차가 존재하며, 본 실시예는 상기 언급된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11에서, 사용자 단말기(80)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F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공받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7)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를 F1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사용자 단말기(8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80)와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채널 정보, 및 카메라 식별자를 송수신하는 방법.
8) 영상신호, 채널정보, 및 카메라 식별자를 주파수 대역 F1을 통해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패킷에 여러개의 영상신호를 수납하고, 각 패킷에는 카메라 식별자가 삽입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하여 영상신호를 선택한다. 카메라 식별자, 및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하나의 전송 패킷으로 결합하며, 전송 패킷은 타겟 노드로 브로드 캐스팅된다. 타겟 노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셀(cell)을 의미하며, 셀에는 셀에 포함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네트워크 패킷을 중계, 및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리피터, 및 분배기 등)가 배치된다.
전송 패킷은 헤더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구비한다. 전송 패킷은 패킷 생성부(411)에서 생성되며, 복수의 카메라(12a ∼ 12n))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각각에 카메라 식별자를 부여하고, 각 카메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하나의 패킷에 수납한다.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에는 각 카메라(12a ∼ 12n)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데이터 영역에는 각 카메라 식별자의 배치 순서에 맞추어 일정 크기의 영상신호가 배치된다. 이는 도 13과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90a ∼ 90n)로 브로드 캐스팅되는 전송 패킷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전송 패킷을 보면,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은 카메라 12a, 12b,... 12n 에 대해 각각 카메라 식별자 ID_11, ID_21,..., ID_n1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송 패킷의 데이터 영역은 카메라 식별자 ID_11, ID_21,..., ID_n1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data_11, data_21,...data_n1이 배치된다. 여기서 data_11, data_21,...data_n1은 해당하는 카메라 식별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영상신호(예컨대 data_11)는 카메라 식별자(예컨대 ID_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패킷에는 서로 다른 카메라(12a ∼ 12n 중 어느 하나)에서 촬상된 영상신호가 함께 내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90a ∼ 90n)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전송 패킷을 분석하여 카메라 식별자를 추출하고, 시청자가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 시, 수신된 전송 패킷에서 선택된 카메라 식별자에 따른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재생한다.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전송 패킷을 타겟 노드로 브로드 캐스팅 후, 도 14에 도시된 형태의 전송 패킷을 재차 타겟 노드로 브로드 캐스팅한다. 도 14에 도시된 전송 패킷을 보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에서, 헤더 영역의 카메라 식별자는 동일하게 적용되나,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는 앞서 도 13에 도시된 영상신호의 다음번 영상신호를 나타낸다. 즉, 도 13의 카메라 식별자 ID_11에 해당하는 첫 번째 영상신호가 data_11 에 수납된다면 그 다음번 영상신호는 data_12에 수납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는 하나의 전송 패킷을 통해 타겟 노드 전체에 각 카메라별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90a ∼ 90n)는 전송 패킷을 수신 시, 전송 패킷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통보하여야 하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이를 통해 과금 정보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코더(412), 압축부(413), 전송 처리부(420), 및 인증부(430)는 앞서 도 9를 통해 설명된 것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전송 처리부(420)는 앞서 도 9를 통해 설명된 전송 처리부(참조부호 202)와는 달리 전송 패킷을 타겟 노드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는 실시간 방송 뿐만 아니라 녹화 방송에 대해서도 본 발명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카메라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선택된 카메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전송/방송해 준다. 상기 각 카메라에서 입수되는 영상은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저장 장치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기설정된 저장 수단에 임시 또는 상당 기간 동안 저장된다. 녹화 방송의 경우라도 상기 각 카메라별로 녹화된 영상은 기설정된 저장 장치에 저장될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은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시청자들이 볼 수 있도록 된 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그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시청자/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카메라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수되면, 상기 선택 정보가 입수된 카메라에서 입수되는 특정 시점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를 위 해서, 복수 개의 개별 카메라 정보와 상기 카메라 정보에서 입수되는 영상 정보에 대하여 씽크(sync)/동기화가 되어 있어야 한다. 즉, 특정 시점 또는 특정 시간대를 기준으로 1번 카메라 정보는 #1에 저장된 것이다라는 것이 매칭이 되어 있어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1번 카메라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있을 경우, #1에 있는 영상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동기화는 특정 시점 기준, 또는 특정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간 동안을 기준으로 매칭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예를 들면, a1이라는 1시간 짜리 방송이 있을 때, 특정 시점(예를 들면 방송 시작 후 15분30초)에 특정 카메라의 영상 정보가 요청되었을 때, 그 시점에 특정 카메라가 입수하는 특정 영상이 매칭/동기화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상기 매칭은 여러 대의 카메라들이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각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 정보를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녹화 방송일 경우에도, 특정 시점에 사용자가 특정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선택할 경우, 그 시점의 선택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매칭은 특히 녹화 방송일 수록 더욱 더 중요하며, 실시간 생방송이더라도 매칭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IPTV일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P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한 영상 정보를 전송해 준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셋톱 박스가 내장되거나, 외장된 디지털 TV나 IPTV, PC나 컴퓨터, 휴대 전화기, 게임기, 셋톱 박스 그 자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셋톱 박스/사용자 단말기(사용자 단말기에는 개념상 셋톱 박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에 풍부한 저장 공간이 있는 경우, 또는 채널 용량이 넉넉하거나, 대역폭이 충분할 경우, 상기 셋톱 박스 또는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모든 영상 정보를 자신의 저장 공간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이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입수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셋톱 박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셋톱 박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된 영상 정보가 채널별, 카메라 정보별로 저장되는 영상 저장 장치(RAM, Hard disk, 기타 저장 장치)와 수신된 영상 정보를 영상 저장 장치에 논리적으로 분리가능한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영상 수신 모듈과 출력대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특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RGB 신호와 음성을 복호화(Decoding)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시청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입력장치(리코콘, 터치스크린, 단말기에 구성된 버튼, 음성입력기)와 입력 된신호를 전기적신호로 감지하는 제어신호수신부, 제어신호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신호를 판단하는 명령어처리부, 셋톱 박스의 전체 구성요소를 통제하는 제어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서버)에 특정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방송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부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사상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메라에 관련된 영상 정보를 매개로 한 통상의 VOD(video on deman) 서비스, IPTV 방송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 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 사상이 구현되는 일 실시예적 구성 개념도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유선방송(인터넷, 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1)스포츠경기 현장에 설치된 n개의 카메라가 각각 촬영하여 방송국으로 전송한 영상과 전송된 영상을 편집한 아날로그 영상(디지털 화상 촬영 장치로 촬영한 경우에는 디지털 영상이 된다.)을 카메라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2)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단말기에 송출하는 방송 서버 (3)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에 대한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요청된 영상 데이터를 방송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에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 (4)상기 송출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이 요청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특정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에 대한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측에 구성된 스위칭 수단으로서의 셋톱 박스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스포츠 경기 등은 통상 여러 대의 카메라를 경기 현장에 설치하고, 각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경기현장에 설치된 중계 차량을 통해 위성 또는 유선망으로 방송국에 전송하고 방송국은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편집하여 시청자에게 전송하거나(상기 영상 편집은 중계 차량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편집된 영상(영상이라 함은 통상 화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포함한 형태를 말한다.)을 인터넷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IPTV 또는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청자에게 방송된다.
또한, 방송의 형태에 따라 VOD(주문형 비디 오시스템)와 같이 시청자가 온라인을 통해 요청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이나, 생방송을 멀티캐스팅 기법으로 시청자에게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방법 등 다양한 형태의 방송이 존재한다.
도 16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서버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이 포함하는 방송 서버는 n개의 카메라의 영상과 방송국의 편집 영상을 입력 받아 실시간 송출이 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방송채널별로 저장하는 다중영상처리모듈과 다중영상처리모듈을 통해 변환된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받은 시청자의 방송채널 및 특정 시점의 영상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채널(특정 채널과 요청된 특정 영상이 매칭되어 있는 경우)의 영상을 전송하는 방송서비스모듈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송 서버는 IP 네트워크로 특정 영상 정보를 보낼 경우에는 채널이 아닌 특정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IP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서버는 스포츠 중계 현장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카메라의 영상과 방송국에서 편집한 영상이 동시에 저장되고 시청자에게 전송되는 장치이다. 상기 방송 서버는 촬영된 카메라 영상 및 편집된 아날로그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부호화(인코딩)하는 디지털 영상 변환 장치로부터 동시에 다중 인코딩 영상을 입력 받아 이 영상을 각각의 카메라 위치 정보를 추가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은 방송 송신측과 수신측이 특정주파수에 동기 하여 송, 수 신을 하도록 장치를 구성하고 이러한 주파수를 채널이라 한다. 1개의 채널은 1개의 영상+음성신호가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영상+음성신호를 송신측과 수신측간에 약속된 방법에 따라 송수신함에 있어 1개의 채널로 인식하도록 구성하며, 이러한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동일채널에서 다양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동시에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구성의 일실시예적 개념도에 대해서는 도 22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특정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주파수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한 특정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패킷 단위의 처리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패킷 단위의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요청된 특정 카메라의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스포츠 중계 현장이나 녹화 현장, 생방송 현장 등에 설치된 카메라는 고유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통상 1번, 2번, ..., 라 등으로 지정된다. 카메라가 동작하게 되면 중계 현장에 설치된 전체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는 방송국 또는 중계차의 여러 대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따라서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는 물리적, 논리적으로 구분 가능한 상태에서 전송되므로 방송국에 전송된 각각의 카메라 영상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리적,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각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n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이러한 영상을 조합하여 편집된 영상은 디지털 영상 변환 장치를 거쳐 방송 서버에 전송된다.(물론,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로 입수되는 영상의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영상 변화 장치를 거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변환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서버측의 입력은 n+1개의 물리적 연결(케이블)을 통해 수행되고 입력된 영상은 방송 서버 내에 구성된 다중영상처리모듈을 통해 각각 해당 방송 채널 정보, 카메라 위치 정보, 일련된 시간 경과 정보를 표시하는 타이밍 시리얼(레코드마다 독립적이다.), 영상 데이터로 구성된 일정 크기의 레코드로 가공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17은 이러한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일 실시예적 개념도이다. 각각의 레코드는 시청 시 화면에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프레임이며, 통상 1초당 28프레임 이상의 프레임 레코드로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된 영상 레코드는 고속으로 읽혀져, 재생될 수 있으며, 전송 시 단위 시간 당(예:1초) 화면에 출력되는 연속적인 레코드를 1개의 단위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방송 서버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 모듈의 작동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서 예시하고 있듯이, 방송 서버의 방송 서비스 모듈은 방송 서버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에 대한 방송 요청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엄밀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는 셋톱 박스에서 사용자 단말기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정보가 특정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에 대한 방송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방송 서버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에 대한 방송 요청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측의 셋톱 박스에 구성되어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MAC주소, 사용자 단말기측의 IP주소, 전송을 요청한 영상의 채널, 영상 시점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전송 단계를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청자로부터 채널 및 해당 영상의 시점 정보가 방송 서버로 전송 (예: 현재 방영중인 스포츠채널xx +현재시점)된다. 이때 시청자의 IP, MAC주소, 개방된 PORT번호 등이 방송 서버의 방송서비스모듈에 의해 확인되고, 시청자의 IP를 인증한다. 2) 인증된 시청자인 경우 방송 서버 내에 구성된 방송서비스모듈이 사용자 단말기측으로부터 전송된 특정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에 대한 방송 요청 정보의 채널+특정 시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요청된 데이터를 찾아 실시간으로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측에(해당 IP) 전송을 시작한다. 이때, 동일한 채널 속성을 가진 각각의 카메라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측에 전송된다.
도 19는 도 15 내지 도 22에 예시된 본 발명 사상을 위해서 제시되는 셋톱 박스의 일 실시예적 구성도이다. 방송 서버로부터 시청자의 IP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인터넷 또는 CATV 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측에 설치된 셋톱 박스로 전송된다. 셋톱 박스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MAC주소를 갖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있고, 방송 서버로부터 셋톱 박스의 네트워크인터네이스까지의 물리적 연결은 기존 인터넷 또는 CATV 망과 동일하여 양단에 라우터 및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들이 존재한다. 셋톱 박스는 사용자 단말기기 내에 구성될 수 있고 외부에 별 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셋톱 박스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된 영상 정보가 채널별, 카메라 정보별로 저장되는 영상 저장 장치(RAM, Hard disk, 기타 저장 장치)와 수신된 영상 정보를 영상 저장 장치에 논리적으로 분리가능한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영상 수신 모듈과 출력대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특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RGB 신호와 음성을 복호화(Decoding)하여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시청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입력장치(리코콘, 터치스크린, 단말기에 구성된 버튼, 음성입력기)와 입력된신호를 전기적신호로 감지하는 제어신호수신부, 제어신호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신호를 판단하는 명령어처리부, 셋톱 박스의 전체 구성요소를 통제하는 제어부, 방송 서버에 특정 카메라가 입수한 영상에 대한 방송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부 등으로 구성된다..
도 20은 도 15 내지 도 22에 예시된 본 발명 사상을 위해서 제시되는 카메라의 선택 및 화면 표시 방법의 일 실시예적 구성이다.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단말기가 인식하는 특정주파수의(예:60Hz) RGB형식의 데이터로 출력하게되는데, 이 영상은 셋톱 박스의 영상출력부에서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 카메라선택아이콘 등과 카메라의 화면 또한 셋톱 박스의 영상출력부에서 가공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사용자 단말기은 완전가공되어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의 좌측상단에 경기장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가 표시되고 화 현재 활성화(표시중)된 카메라는 역상 등으로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한편, 셋톱 박스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있는 영상은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의 검색하여 동일채널레코드 중 타임시리얼이 사용자가 지정한 요청 전 송시간과 일치하는 것을 찾아 이로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동일채널에 동일타임시리얼데이터 중 카메라 정보가 서로 다른 데이터가 다수 존재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에서 카메라 정보를 파악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카메라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설정되어있는경우 이 데이터를 설정된 위치에 출력하고 만약 해당카메라의 영상이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는, 현재 해당 카메라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영상 데이터에 그 시점의 해당카메라 영상이 없 는경우 화면에 표시된 해당카메라의 창은 일시적으로 닫히거나 (NA)와 같은 표시로서 해당 영상이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 측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에는 터치스크린을 설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설치하는 경우 선택 등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기이 감지하여 셋톱 박스로 전송하거나 셋톱 박스의 제어신호수신부와 연결하여 구성, 처리할 수 있다.
화면 좌측은 현재 선택된 카메라의 화면이 작은 창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특정 카메라의 화면을 주 영상 정보의 화면으로 대체할 수도 있고 도 20에서 처럼 측면에 조그맣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어, 본 발명 사상과 관련되는 몇가지 응용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설정에 따라 여러가지 선택옵션을 부여할 수 있다. 선택옵션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카메라 위치 정보 비활성화
화면에 카메라 위치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메뉴를 구성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국에서 편집한 화면이 주 영상 정보의 화면이 되어 일반 TV를 시청할 때와 동일한 화면을 시청하게 된다.
2) 카메라 위치 정보 수동설정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시청자가 특정 위치에서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출력하도록 수동 설정한다.
3) 카메라 위치 정보 자동표시설정
방송시 특정 카메라의 입력신호가 불량하거나, 방송에 부적합한 내용이 촬영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녹화 영상인 경우는 편집 과정에서 부적합한 영상을 삭제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해당 카메라의 영상 정보 중 해당시간의 영상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사용자측에 설치된 셋톱 박스는 존재하지 않는 영상 정보에 대해 해당 카메라를 비활성으로 자 동표시할 수 있다. 생방송의 경우 방송 서버의 전단계인 편집 과정에서 해당 영상 정보를 차단하고 이후의 과정은 상기와 같다.
그리고, 편집 과정에 있어 축구경기를 예로 들면 공격수가 골 문전으로 쇄도해 가는 경우 해당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영상 정보가 자동으로 활성화 되도록 설계할 수 있는데 촬영 과정에서 골대 근처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정보를 방송 서버에 전송치 아니하고 골문 근처로 공격수가 쇄도해 들어가는 경우 편집자가 해당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스위칭하여 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공한다. 방송 서버는 이러한 영상 정보를 상기에 서술한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셋톱 박스가 상기 서술한 방법데로 화면을 자동표시하게 되는데, 특정 카메라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창을 표시하여 특정 카메라 정보를 표시하고, 수신이 해제되면 창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5 내지 도 22에 예시된 본 발명 사상이 구현되는 방송 서버와 셋톱 박스의 동작 및 데이터 흐름도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본 발명 사상은 다양한 수익 모델과 관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특히, 방송 산업에 이용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면, 방송사는 방송 서버를 구축하여 온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서비스 수요자를 시청자인 경우와, CATV 사업자인 경우, 인터넷 방송 사업자인 경우 등으로 구분하여 수익 모델을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최종 시청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단계까지의 경로 상에 참여할 수 있는 각각의 사업주체 별 역할은 다음과 같다.
하기 1) 내지 4)는 방송국의 수익 모델이 될 수 있다.
1)스포츠 등의 영상을 직접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방송 서버운영, 시청자를 모집하고 IPTV 또는 PC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이다. 통상적인 영상은 무료 또는 기본 요금에 포함시키고, 본 발명 사상에 해당되는 서비스는 유료 또는 프레미엄 요금으로 서비스 할 수 있을 것이다.
2)방송 서버를 운영하여 CATV사업자 또는 인터넷방송사업자에게 가공된 디지털 데이터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이다.
3)아날로그/디지털 편집 영상 및 카메라별 영상을 CATV 사업자 또는 인터넷방송사업자에게 판매하여 판매수익을 취하는 방법이다.
4)스포츠경기 외에 오락프로그램, 드라마 등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 편집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하기 1) 내지 2)는 CATV사업자, 인터넷 방송 사업자의 수익 모델이 될 수 있다.
1)가입자와의 약정을 통해 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셋톱 박스를 설치하고 방송국으로부터 카메라 위치 정보기반 영상 데이터를 공급받아 특정 스포츠 채널 등을 카메라 위치 정보기반 서비스로 제공하고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이다.
2)인터넷사업자의 경우 셋톱 박스가 필요없고, PC 상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하므로 진입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음. 따라서 서비스는 무료로 하고 광고를 유치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야구장에 카메라가 배치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의 블록개념도,
도 4는 네트워크 스위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발생하는 영상신호 전송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중 셋탑 박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셋탑 박스의 명령어 모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시청자가 명령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카메라 식별자를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
도 10은 통상의 케이블 망의 주파수 대역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이 영상신호와 카메라 식별자를 상호 전송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13과 도 14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 캐스팅되는 전송 패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 사상이 구현되는 일 실시예적 구성 개념도,
도 16은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서버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일 실시예적 개념도,
도 18은 방송 서버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 모듈의 작동에 관한 일 실시예적 개념도,
도 19는 도 15 내지 도 22에 예시된 본 발명 사상을 위해서 제시되는 셋톱 박스의 일 실시예적 구성도,
도 20은 도 15 내지 도 22에 예시된 본 발명 사상을 위해서 제시되는 카메라의 선택 및 화면 표시 방법의 일 실시예적 구성도,
도 21은 도 15 내지 도 22에 예시된 본 발명 사상이 구현되는 방송 서버와 셋톱 박스의 동작 및 데이터 흐름도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
도 22는 동일채널에서 다양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동시에 제공되는 일실시예적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10n : 카메라 110 : 비디오 처리부
111 ; 식별자 처리부 112 : 인코더
113 : 압축부 120 : 전송 처리부
121 : 먹스 123 : 네트워크 스위치
124 : 채널 전환부 130 : 인증 처리부
*11a ∼ 11n : 사용자 단말기

Claims (39)

  1.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촬상장치로부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영상신호를 주 방송채널로 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각 촬상장치별 영상신호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촬상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신호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영상신호, 및 상기 영상 촬상장치들에 대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3.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는 적어도 두 개의 촬상장치로부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영상신호를 주 방송채널로 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 촬상장치별 영상신호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촬상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시,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영상신호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되며, 시청자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명령어가 상기 장치 식별자에 대응될 때,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며,
    시청자가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 시, 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채널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셋톱 박스이며,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전송되는 채널번호가 미리 약정된 숫자열인 경우,
    명령어 수신모드(command receive mode)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명령어 수신모드일 때,
    상기 사용자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마련되는 방향키가 입력되는 회수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타 영상 촬상장치의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순차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된 숫자열은,
    상기 셋톱 박스에서 수신 불가능한 채널 주파수에 대한 채널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9.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촬상장치, 및 제2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제1 영상신호와 제2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영상신호에 주 방송채널을 할당하고, 이를 유선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주 방송채널을 수신 중,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요청 시,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해 할당되는 방송채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신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1.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촬상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촬상장 치, 및 제2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제1 영상신호와 제2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영상신호에 주 방송채널을 할당하고, 이를 유선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주 방송채널을 수신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요청 정보를 입수받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신호에 대한 요청 정보를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부터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12.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상기 영상소스에 대한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각 영상신호에 방송채널을 할당하여 케이블 망에 공급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케이블 접속되는 가입자 단말기가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후,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 시,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상기 타 영상신호에 대한 채널정보를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 처리부에서 제공한 채널 정보에 따라 수신 채널 주파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각 영상 소스와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한 연관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해 압축(compress) 및 스크램블링(scrambling)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5.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상기 영상소스에 대한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각 영상신호에 방송채널을 할당하여 케이블 망에 공급하는 비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으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과 케이블 접속되며,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후,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송 처리부로부터 상기 타 영상신호에 대한 채널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전송 처리부에서 제공한 채널 정보에 따라 수신 채널 주파수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며,
    시청자가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를 요청 시, 이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전송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송 처리부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타 영상신호에 대한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셋톱박스이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와 상기 전송 처리부는,
    케이블 망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케이블 망은,
    방송신호, 및 네트워크 패킷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19.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하나의 전송 패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전송 패킷을 브로드 캐스팅하는 네트워크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송 패킷은,
    헤더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영상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스크램블(scramble)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패킷은,
    네트워크 접속되는 전송대상 노드의 타겟 아이피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대상 노드에서 브로드 캐스팅(broadcas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대상 노드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라우터가 마련되며,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전송 패킷을 로컬 네트워크에 소속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헤더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장치 식별자의 배치 순서, 및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영상신호의 기록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24.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영상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 소스를 수신하며,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하나의 전송 패킷으로 변환하는 비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패킷을 전송받으며,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 상기 복수의 영상 촬상 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제공하며,
    스크램블 처리된 데이터 영역을 디-스크램블 처리하기 위한 카드가 내장되며,
    상기 전송 패킷은,
    헤더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영상 식별자를 구 비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각 영상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마련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진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스크램블 된 상기 데이터를 디-스크램블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퍼스널 컴퓨터, 및 상기 데이터를 디-스크램블 하기 위한 카드가 설치되는 퍼스널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진 단말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스크램블 된 상기 데이터를 디-스크램블 하기 위한 셋톱 박스; 및
    상기 셋톱 박스를 통해 디-스크램블 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진 단말기.
  27.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이,
    방송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상기 영상 촬상 장치에서 입수된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촬상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와 상기 영상 촬상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서 촬상한 영상은 상기 영상 촬상장치 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되어 있으 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의 입수는 상기 식별정보를 입수받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의 제공은 1)유선 케이블 망, 2) 방송망, 3)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망, 4) 무선 네트워크 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망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셋톱 박스, IPTV, 셋톱 박스를 내장하거나 외부에서 연결되는 디지털 TV, 개인용 컴퓨터(PC), 및 게임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또 다른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또 다른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상기 영상 촬상 장치에서 입수된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4.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5.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가 생성한 모든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 정보가 입수 받은 영상 촬상장치에서 입수된 영상은 상기 모든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6.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방송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로부터 상기 상기 선택 정보를 전송한 상기 영상 촬상 장치에서 입수된 영상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7. 제 36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8.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가,
    방송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영상 촬상장치가 생성하는 모든 영상을 제공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촬상장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모든 영상 중에서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받은 영상을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방법.
  39. 제 38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80041152A 2008-05-02 2008-05-02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90115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52A KR20090115344A (ko) 2008-05-02 2008-05-02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52A KR20090115344A (ko) 2008-05-02 2008-05-02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344A true KR20090115344A (ko) 2009-11-05

Family

ID=4155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152A KR20090115344A (ko) 2008-05-02 2008-05-02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34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10B1 (ko) * 2013-07-08 2015-01-06 지승환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5064854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20160026741A (ko) 2014-08-27 2016-03-09 주식회사 큐램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160744A1 (en) * 2015-03-27 2016-10-06 Twitter, Inc. Live video streaming services
KR20170026735A (ko) 2015-08-27 2017-03-09 주식회사 큐램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111189A1 (ko) * 2015-12-24 2017-06-29 주식회사 린소프트 좌석 위치 기반의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9169935A (ja) * 2018-03-21 2019-10-03 スンヒュン キム 消費者志向型マルチカメラ撮影映像の選択視聴サービスシステム
KR20220077781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픽스트리 멀티채널 미디어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10B1 (ko) * 2013-07-08 2015-01-06 지승환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5064854A1 (ko) * 2013-11-01 2015-05-07 주식회사 모브릭 멀티앵글영상서비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메뉴 제공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제공장치
KR20160026741A (ko) 2014-08-27 2016-03-09 주식회사 큐램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160744A1 (en) * 2015-03-27 2016-10-06 Twitter, Inc. Live video streaming services
US10721499B2 (en) 2015-03-27 2020-07-21 Twitter, Inc. Live video streaming services
KR20170026735A (ko) 2015-08-27 2017-03-09 주식회사 큐램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111189A1 (ko) * 2015-12-24 2017-06-29 주식회사 린소프트 좌석 위치 기반의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9169935A (ja) * 2018-03-21 2019-10-03 スンヒュン キム 消費者志向型マルチカメラ撮影映像の選択視聴サービスシステム
KR20220077781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픽스트리 멀티채널 미디어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WO2022119119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픽스트리 멀티채널 미디어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6105C (en) Multi-channel television system with viewer-selectable video and audio
US947980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guides and using recording information in determining program to communications channel mappings
US9560304B2 (en)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for television
US8732734B2 (en)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recording of multiple simultaneously broadcast programs communicated using the same communications channel
US20020095689A1 (en) Hardware decoding of media streams from multiple sources
KR20090115344A (ko)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28848B1 (ko) 멀티 앵글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방법
US20030038893A1 (en) Digital video receiver that generates background pictures and sounds for games
CN105657501B (zh) 一种数字电视直播系统及方法
KR102025157B1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316338B (zh) 一种电视频道查找方法及装置
JP3969770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選択用インターフェイス
KR101351040B1 (ko) 컨텐츠 데이터 전송 방법, 방송 수신기 및 방송 수신 방법
KR101439095B1 (ko) 멀티채널 방송 시스템
KR100748856B1 (ko)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채널 서비스와 인터넷을 통해전달되는 컨텐츠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비스상호간의 이동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KR101164001B1 (ko) 방송 영상의 선택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iptv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3562575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環境の視野を個別化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媒体。
JP2008263434A (ja) テレビ装置および番組情報表示方法
JP2003283450A (ja)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受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R101078701B1 (ko) 아이피티브이 프로그램의 서브 콘텐츠 선택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307531B1 (ko) 방송 채널의 이미지를 포함한 실시간 방송 편성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16966B1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KR101007771B1 (ko) 다화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6787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선택장치 및 방법
KR20110115837A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