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10B1 -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410B1
KR101479410B1 KR1020130079452A KR20130079452A KR101479410B1 KR 101479410 B1 KR101479410 B1 KR 101479410B1 KR 1020130079452 A KR1020130079452 A KR 1020130079452A KR 20130079452 A KR20130079452 A KR 20130079452A KR 101479410 B1 KR101479410 B1 KR 101479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
toy
remo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승환
Original Assignee
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승환 filed Critical 지승환
Priority to KR102013007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410B1/ko
Priority to PCT/KR2014/006104 priority patent/WO2015005639A1/ko
Priority to US14/903,808 priority patent/US2016015170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가 식별정보를 구비하는 완구에 센서와 통신수단이 구비된 애드온 장치를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다양한 놀이활동을 하면, 카메라를 통해 이를 촬영하여 화면에 표시하되 완구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인출하여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이때, 애드온 장치의 내장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값과 완구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표시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다양한 완구에 간단히 애드온 장치를 갈아끼는 것만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해당 완구에 부합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완구를 이용하여 놀이 활동을 하면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완구를 가지고서 다양한 동작이나 활동을 할 때, 각 동작이나 활동에 대응되는 증간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USING TOY ATTACHABLE ADD-ON DEVI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술분야에 속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카메라로 촬영된 실제의 영상 및 사진을 재생하여 표시할 때에 각종 정보를 영상이나 사진에 겹쳐서 표시하는 기술을 말한다.
증강현실 기술이 가장 먼저 적용되었던 것은 군수산업 분야에서 파일럿이 시야에 보이는 물체에 각종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했던 파일럿용 전방표시장치(HUDs)라고 한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에 힘입어 LBS(Location Based Service)의 형태로 다시금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용자의 오프라인에서의 액티비티와 연동되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과 결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아동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놀이 또는 게임 상품에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된 미국 특허 제8,384,668호, "Portable gaming device and gaming system combining both physical and virtual play elements"는 현실의 다양한 물체들에 RFID 태그를 부착한 다음, RFID 리더가 구비된 마법지팡이를 이용하여 두드리면, RFID 태그들을 인식하여 화면상에 다양한 효과를 표시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마법지팡이와 현실의 물체간의 상호작용 결과를 증강현실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하고 즐거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아이들의 놀이 과정을 보면 다양한 물품을 인지하고, 직접 가지고서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놀이 활동을 하는데, 선행기술은 RFID 태그를 사물에 부착한 다음 마법 지팡이로 두드리는 수준의 극히 제한적인 놀이 활동만을 지원할 뿐이며, 여러 가지의 다양한 완구를 이용한 아이들의 놀이 활동을 증강현실을 통해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즉, 아이들이 가진 수많은 완구들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첫 번째, 그리고 마법 지팡이로 두드리는 것 이외의 다양한 활동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점이 두 번째 한계점이라고 하겠다.
[문헌 1] 미국 특허 제8,384,668호, "Portable gaming device and gaming system combining both physical and virtual play elements"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14429호, "증강현실 속 캐릭터 이미지를 실물 폐품 장난감 화하는 Web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델"
[문헌 3] KOTRA글로벌윈도우 2011.05.24.자 게시물 "증강현실 기술 도입하는 미 기업 늘어"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21360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아이들이 기성의 완구에 간단히 애드온 장치를 부착한 다음 다양한 동작을 하면서 놀이 활동을 할 때, 이를 촬영하여 증강현실을 통해 완구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론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아이들이 기성의 다양한 완구를 사용하여 놀이활동을 할 때에 다양한 완구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아이들의 완구를 이용한 다양한 활동에 대해 적절한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하여 증강현실을 통해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아이들이 원격지에서 증강현실을 통해 각자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자신의 완구를 가지고서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다양한 놀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그래픽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구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며, 다양한 표시방식을 갖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수단;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와 유무선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하는 통신수단;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상기 완구로부터 독출한 식별정보 또는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그 조합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수단; 및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 장치와 통신 세션을 수립하되, 상기 원격지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원격지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원격지 장치와 통신하는 원격지 애드온 장치가 독출한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를 향해 설치된 원격지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어댑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완구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내장 센서를 통해 판독한 상기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상기 애드온 장치를 향해 설치된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된 완구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영상을 화면 일측에 더 표시하되,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원격지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또는 상기 원격지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또는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완구와 상기 원격지 완구 간 상호작용을 판정하며,
상기 판정된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그래픽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구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며, 다양한 표시방식을 갖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수단;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와 유무선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상기 완구로부터 독출한 식별정보 또는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그 조합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완구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내장 센서를 통해 판독한 상기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상기 애드온 장치를 향해 설치된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된 완구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우선, 다양한 완구에 간단히 애드온 장치를 갈아끼는 것만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해당 완구에 부합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정도의 애드온 장치만으로도 다양한 완구를 이용하여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완구를 가지고서 다양한 동작이나 활동을 할 때, 각 동작이나 활동에 대응되는 증간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를 통해 둘 이상의 사용자들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각자의 완구를 가지고서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다양한 놀이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제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플랫폼은 완구, 애드온 장치 및 컨텐츠를 잇는 매개역할을 하므로, 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컨텐츠 사업자들은 완구의 유형별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을 등록하는 것만으로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완구 제작사들은 식별정보와 애드온 장치의 탈착을 위한 수단을 갖는 완구를 제작하는 것만으로 증강현실에 대응하는 완구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제품군의 개발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완구와 애드온 장치의 외형과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사용자가 애드온 장치가 체결된 완구를 가지고 증강현실 컨텐츠를 이용하여 놀이활동을 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과 완구, 애드온 장치 및 서버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며,
도 5은 원격지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용 증강현실 컨텐츠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이 실시되는 상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완구와 애드온 장치의 개념과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완구(10)에는 애드온 장치(20)가 부착될 공간이 형성된다.
완구(10)는 아동, 청소년이 놀이활동을 할 때 사용하는 장난감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식별정보를 갖는다.
한편, 애드온 장치(20)는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구비되며, 완구(10)에 체결되어 완구의 식별정보를 독출한다.
이러한 애드온 장치(20)는 블루투스, Wifi 등의 알려진 유무선 통신방식에 의하여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와 통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완구(10)의 식별정보와 센서를 통해 감지한 값을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애드온 장치(20)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이러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그대로 표시하는데 이때 완구(10)의 위치에 미리 준비된 그래픽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애드온 장치(20)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위치파악을 위하여 RF통신을 이용하거나, 또는 화상인식 기술을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요소기술은 증강현실 기술분야에서 기 개발된 것을 채택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기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 가운데 애드온 장치(20)로부터 제공받은 완구(10)의 식별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인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텐츠는 개별 각 완구(10)마다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아용 TV프로그램인 "토마스와 친구들"에 나오는 여러 대의 기차들 가운데 각 기차마다 해당 기차와 관련된 컨텐츠가 준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기차에 해당하는 완구(10)가 시판되며, 각 완구(10)는 해당 완구의 종류나, 동작의 유형을 나타내거나 또는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기 등록된 다수의 기차에 관련된 컨텐츠 가운데 해당하는 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적합한 컨텐츠를 인출한다.
컨텐츠는 기차의 모양을 딴 그래픽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기차의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 모양 애니메이션이거나, 기차가 달리는 소리이거나, 기차의 대사를 표시하는 캡션 등 그 유형이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위 예에서는 단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태로 예를 들었으나, 증강현실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바와 같이 게임 컨텐츠나, 온오프라인의 이벤트를 결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컨텐츠는 애드온 장치(2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완구(10)의 식별정보와 애드온 장치(20)의 식별정보의 조합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컨텐츠가 게임의 형태인 경우, 완구(10)의 식별정보와 애드온 장치(20)의 식별정보가 동일하다고 하여도 게임의 진행상황이나, 시나리오에 따라서 각기 컨텐츠가 인출될 수도 있다.
한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파악된 애드온 장치(20)의 위치로부터 컨텐츠가 표시될 영역을 결정한다.
예컨대, 기차의 모양을 딴 그래픽 이미지라면 영상 분석을 통해 애드온 장치(20)의 위치를 중심으로 배경을 제외한 소정의 영역을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될 완구(10)의 영역으로 판단한다.
또는, 기차의 굴뚝으로부터 나오는 연기 모양의 애니메이션이라면 애드온 장치(20)로부터 획득하거나, 또는 해당 완구(10)의 식별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애드온 장치(20)와 완구(10)의 상대적인 위치(예컨대, 애드온 장치(20)가 완구(10)의 중심으로부터 아래쪽 10cm 위치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굴뚝은 완구(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상단 15cm의 위치에 존재한다는 등의 미리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가 표시될 화면상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후, 인출한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2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애드온 장치(20)를 완구(10)의 일측에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완구(10)를 가지고서 다양한 동작을 하며 놀이 활동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놀이 활동은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어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완구(10)의 위치에는 해당 완구(1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인출되어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완구(10)가 갖는 식별정보는 같은 종류의 완구마다 동일하게 지정되는, 단순히 숫자나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고유식별자일 수도 있으나, 계층적 구조를 갖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예컨대, 완구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 해당 완구의 고유식별자 - 완구의 동작 유형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같은 층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완구의 종류는 유아용 완구, 어린이용 완구, 청소년용 완구와 같이 크게 나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어린이용 완구는 다시 사람형 완구, 자동차형 완구, 비행기형 완구, 우주선형 완구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사람형 완구는 또 다시 인형, 특촬물 히어로, 로봇 유형 1, 로봇 유형 2 등과 같이 나뉠 수 있다.
즉,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그 자체도 층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트리구조의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형을 나누는 것은 모든 완구마다 컨텐츠가 구비될 수 없기 때문에 컨텐츠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근사한 유형의 완구를 찾아, 해당 완구의 컨텐츠로 대용하기 위함이다.
특정 완구에 대한 컨텐츠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 트리구조를 따라 컨텐츠가 준비된 완구로서 가장 가까운 완구를 찾아, 해당 컨텐츠를 대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린이용 완구 - 사람형 완구 - 로봇 유형 1"에 속하는 태권브이 완구를 구입하여 애드온 장치(20)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만일 태권브이 완구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없다면, 트리구조상 가장 가까운 로봇 유형 1의 "마징가"의 컨텐츠를 인출하여 대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이외에도 별도로 고유식별자를 더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유식별자는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부종하는 데이터로서,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다르다면 고유식별자는 타 완구와 겹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완구(10)가 동작완구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완구의 동작 유형에 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기차 완구의 경우 배터리에 의해 전진하거나, 또는 스피커를 통해 기차소리를 내는 두 가지의 동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위 예에서 완구(10)가 갖는 식별정보에는 기차가 전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기차소리에 해당하는 식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애드온 장치(20)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완구(10)가 동작을 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동작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인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예에서, 사용자가 기차 완구를 조작하여 기차 소리를 냈다면, 애드온 장치(20)가 완구(10)로부터 기차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독출하고, 이를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수신한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 - 예컨대, 기차의 소리에 해당하는 웨이브 파일이나 기차가 소리를 내며 달려가는 애니메이션 -를 인출하여 표시할 것이다.
동일 유형의 완구들은 유사한 동작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 완구에 대한 컨텐츠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장 가까운 유형의 컨텐츠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가 가진 완구(10)마다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하나 또는 두 개 정도의 애드온 장치(20)만을 구입하여도, 완구(10)가 식별정보를 가지며, 애드온 장치(20)가 이를 독출하여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장치(1)로 제공하는 한, 자신이 가진 수많은 완구(10)를 가지고서 다양한 놀이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증강현실 컨텐츠가 제공되는 환경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과 완구, 애드온 장치 및 서버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도 2와 관련하여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카메라를 통해 완구(10) 및 애드온 장치(20)를 촬영함은 물론, 애드온 장치(20)와 통신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프로바이더(2)는 각 완구마다 컨텐츠를 만들어 서버(1)로 업로드하여 등록한다.
서버(1)는 다수의 컨텐츠 프로바이더(2)로부터 등록된 컨텐츠를 완구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저장, 관리한다.
업로드되어 등록된 컨텐츠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은 완구(10)의 종류와 같은 계층적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애드온 장치(20)와 호환되는 다수의 완구(10)를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증강현실을 통한 컨텐츠를 향유하고자 하는 경우, 애드온 장치(20)와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이자 애드온 장치(20)와 통신을 위한 제품(셋톱박스나 스마트폰용 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를 구입하여 모니터가 구비된 컴퓨터나 가정용 TV에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애드온 장치(2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구(10)에 체결한 다음,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완구(10)의 식별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완구(10)에 대응되는 (즉, 애드온 장치(20)에 대응되는 것이 아닌)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이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10)가 제공하는 컨텐츠 판매 페이지로 이동하여 유료 컨텐츠를 추가로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버(10)에 등록된 컨텐츠 가운데 일부는 완구(10)의 구입시에 무료로 사용자에게 제동될 수도 있을 것이나, 또 다른 일부는 사용자가 별도로 구입하여 자신의 계정에 저장하여야만 비로서 사용자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모바일이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특정 완구(10)와 관련한 컨텐츠를 구입하여 자신의 계정에 저장할 수도 있으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선물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10)가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야 할 것이다.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계정에 구매이력이 있는 컨텐츠를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계정으로 선물이 들어온 컨텐츠를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버(1)를 경유하거나 또는 직접 원격지의 다른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하 원격지 장치(100')라 함)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친구,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맥인 다른 사용자 또한 자신의 완구(이하 원격지 완구(10')라 함)에 애드온 장치(이하 원격지 애드온 장치(20')라 함)를 체결하여 이러한 원격지 장치(100')를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를 향유할 수 있으며, 서버(1)를 경유하거나 또는 직접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 연결되어 서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온라인으로 연결된 사용자들간 증강현실을 통해 구현되는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즐기는 것과 같은 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카메라(110), 디스플레이 수단(120), 컨텐츠 저장수단(130), 통신수단(140), 제어수단(150) 및 네트워크 어댑터(160)을 갖는다.
카메라(1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지의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즉, 공지의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 가정용 게임 콘솔에 구비된 카메라, 개인용 컴퓨터에 부착되는 화상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수단(12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찬가지로 공지의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즉,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가정용 TV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이와 같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12)을 통해 표시하며, 카메라(110)로 촬영된 영상에 그래픽 컨텐츠를 오버레이하여 더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 저장수단(130)은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는 완구별 식별정보에 대응됨은 물론이다.
한편, 각 컨텐츠는 다양한 표시방식을 갖는다.
다양한 표시방식을 갖는다는 것은, 애드온 장치(20)에 내장된 센서가 감지한 값이나 완구(10)의 동작상태에 각각 대응되는 표시방식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상기 기차 완구의 예에서, 사용자가 기차 완구를 앞으로 움직임에 따라 애드온 장치(20)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면, 정지해있는 기차의 그래픽 이미지를 기차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의 형태로 바꾸어 표시하는 등이 그것이다.
정지해있는 기차의 그래픽 이미지와 기차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모두 기차 완구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속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방식의 하나에 해당한다.
한편, 통신수단(140)은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와 유무선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한다.
블루투스, RF, Wifi 등의 알려진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수단(150)은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20)가 상기 완구(10)로부터 독출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수단(130)으로부터 상기 완구(1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한 컨텐츠로부터 상기 완구(10)의 동작이나 애드온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센서 측정값에 대응하는 표시방식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표시한다.
즉, 제어수단(150)은 사용자가 상기 완구(10)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20)가 내장 센서를 통해 판독한 상기 애드온 장치(20)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된 완구(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한다.
완구(10)를 가만히 들고 있을 때에는 디폴트에 해당하는 표시방식 - 상기 예에서 기차가 가만히 정차해있는 그래픽 이미지 -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나, 애드온 장치(20)의 센서값이 변화함에 따라 대응되는 표시방식을 적절히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완구(10)가 동작완구인 경우, 그리고 완구(10)가 어떤 동작을 했는지를 애드온 장치(20)를 통해 더 수신한다면, 완구(10)의 동작에 따라 적절한 표시방식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제어수단(150)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가 표시될 디스플레이 수단(120)의 화면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제어수단(150)은 상기 애드온 장치(20)의 상기 카메라(110)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즉, 카메라(110)의 전방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있는지, 좌우로는 어느 정도로 떨어져 있는지, 상하 높이는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다. RF나 IR,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등 알려진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수단(150)은 애드온 장치(20)의 상대 위치로부터 상기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의 위치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정한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의 위치를 중심으로 영상판독을 통해 배경을 제외한 사물의 윤곽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완구의 영역을 판정할 수 있다.
즉, 카메라(110)로부터의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배경과 사물을 구분한 다음 사용자의 손을 제외하고 완구(10)의 윤곽을 트레이싱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완구(10)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수단(12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완구(10)의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의 다양한 표시방식은 상기 완구의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방향과 상기 완구(10)와 상기 애드온 장치(20)의 부착각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완구(10)를 정면에서 본 3차원 그래픽 데이터, 측면에서 본 3차원 그래픽 데이터 등 시점(Viewpoint)에 따른 다양한 표시방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완구(10)에 애드온 장치(20)가 부착되는 각도에 관한 정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완구(10)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애드온 장치(20)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직교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애드온 장치(20)의 내장 센서를 통해 수집한 회전방향이나 이동방향의 값은 직교방향으로 변환하여야 완구(10)의 회전방향이나 이동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50)은 상기 애드온 장치(20)가 감지한 기울기 정보와 상기 완구(10)와 상기 애드온 장치(20)의 부착각도에 관한 정보의 차이값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의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애드온 장치(20)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완구(10)는 지면과 평행하게 누워있는 것으로 보아 이에 대응하여 완구의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방향 - 즉, 다양한 표시방식 가운데 어느 하나인 - 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완구(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상기 완구(10)의 부위별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며, 애드온 장치(20)가 완구(10) 특정 부위에 부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예컨대, 완구(10)가 로봇이며, 부위별 그래픽 데이터가 투구와 같은 보호장구이거나, 총이나 칼과 같은 무기의 그래픽 데이터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애드온 장치(20)가 완구(10)의 손이나 팔 부위에 부착이 되어 있다면 총이나 칼에 해당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반면 완구(10)의 머리 부위에 부착이 되어 있다면 투구에 해당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수단(150)은 상기 애드온 장치(20)의 상기 카메라(110)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의 위치를 판독한다.
즉, 애드온 장치(20)로부터 애드온 장치(20)가 완구(10)의 어느 부위에 부착이 되어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야 한다.
상기의 경우에서는 어느 하나의 완구(10)에 다수의 애드온 장치(20)가 부착되는 경우를 전제한다.
즉, 하나의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들의 조합이나 위치에 따라서 그래픽 데이터가 달리 선택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애드온 장치(20)가 다수 개의 완구(10)와 동시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하나의 애드온 장치(20)에 다수의 완구(10)가 부착되는 경우, 각 완구(10)의 식별정보의 조합이나, 각 완구(10)가 애드온 장치(20)에 부착된 위치 정보를 애드온 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적절한 그래픽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의 위치가 판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20)의 상기 판독한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의 위치에 상기 인출한 그래픽 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로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160)를 더 구비한다.
네트워크란 바람직하게는 인터넷망을 의미하나, LAN이나 WAN, 인트라넷, 이동통신망, LTE망 등 알려진 통신망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수단(150)은 네트워크 어댑터(160)를 통해 서버(1)로 접속하여 상기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의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완구(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추가획득 여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추가로 구입했다거나 또는 선물 받은 내역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추가획득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10)로부터 사용자가 추가로 획득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저장 수단(130)에 저장함으로써 업데이트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은 원격지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용 증강현실 컨텐츠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원격지에서 각자 애드온 장치(20)가 부착된 완구(10)를 가지고서 놀이활동을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어댑터(160)를 통하여 원격지 장치(100')와의 통신 세션을 수립한다.
한편, 원격지 장치(100')로부터 상기 원격지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수단(120')에 표시되는, 카메라 촬영 영상에 그래픽 이미지가 오버레이되는 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원격지 장치(1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원격지 장치(100')로부터 상기 원격지 장치(100')로부터 원격지 애드온 장치(20')가 독출한 원격지 완구(10')의 식별정보,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20')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원격지 카메라(110')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원격지 장치(100')는 원격지의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시스템이며, 원격지 애드온 장치(20'), 원격지 완구(10')는 상기 원격지의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애드온 장치와 완구를 각각 지칭한다.
한편, 제어수단(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수단(120')에 표시되는 영상을 화면 일측에 더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160)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장치(20')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또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애드온 장치(20)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또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10)와 상기 원격지 완구(10') 간 상호작용을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정된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그 과정을 살펴보면, 제어수단(150)은 우선 상기 완구(10)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20)의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10)의 가상 좌표계 상의 좌표를 생성한다.
즉, 화면에 표시되는 전체 영상의 좌표를 (0,0) 내지 (1600,1200)으로 설정한다. 이를 가상 좌표계라 한다.
그리고, 상기 완구(10)의 좌표를 먼저 설정한다. 완구(10)가 대략 (100,300)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면 완구(10)의 가상 좌표계상 좌표는 (100,300)이 될 것이다.
그리고, 원격지 완구(10')의 가상 좌표계 상의 기준 위치를 설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화면 우측 절반에 원격지 완구를 표시하고 있으므로, (800,0) 내지 (1600,1200)에 해당하는 영역은 원격지 완구에 할당된다.
그러면, (800,0)은 원격지 완구(10')가 표시될 기준 위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20')의 원격지 카메라(110')를 기준으로 한 상대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지 완구(10')의 가상 좌표계 상의 좌표를 생성한다.
예컨대, 원격지 장치(100')의 화면상에 원격지 완구(10')가 (150,150)에 해당하는 좌표에 표시되어 있었다면, (150,150)을 기준 위치인 (800,0)을 기준으로 변환한 새로운 좌표값인 (950,150)이 가상 좌표계상 원격지 완구(10')의 좌표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완구(10)와 원격지 완구(10')가 동일한 좌표계상에 표현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완구(10)를 가지고서 놀이활동을 하거나, 또는 원격지의 사용자가 원격지 완구(10')를 가지고 놀이활동을 하면, 완구(10)와 원격지 완구(10')의 놀이활동에 따른 좌표 변화를 이용하여 완구(10)와 원격지 완구(10')의 상호작용을 판정한다.
예컨대, 가상좌표계상에서 서로 충돌한다거나,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제어수단(150)은 이와 같이 판정된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완구(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되 완구(10)와 원격지 완구(10')의 상호작용에 부합하는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선택한다.
완구(10)와 원격지 완구(10')가 가상 좌표계 상에서 충돌한 경우에는 충돌을 표시하는 애니메이션이나 특수효과를 처리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등이 그것이다.
한편, 제어수단(150)은 이와 같이 판정된 상기 완구(10)와 상기 원격지 완구(10') 간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 어댑터(160)를 통해 상기 원격지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완구(10)와 상기 원격지 완구(10') 간 상호작용이 판정됨에 따라, 제어수단(150)은 통신수단(140)을 통해 상기 완구(10)와 상기 원격지 완구(10') 간 상호작용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애드온 장치(20)로 송출한다.
애드온 장치(20)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애드온 장치(20)에 내장된 진동모터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스피커를 통해 비프음을 울리는 등의 방식에 의해 제어명령에 반응할 수 있다.
만일, 완구(10)가 동작완구이며, 애드온 장치(20)를 통해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는 경우라면, 애드온 장치(20)는 수신한 제어명령을 완구(10)로 인가하며, 완구(10)는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술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 : 서버
2 : 컨텐츠 프로바이더
10 : 완구
10' : 원격지 완구
20 : 애드온 장치
20' : 원격지 애드온 장치
100 :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0' : 원격지 장치
110 : 카메라
120 : 디스플레이 수단
130 : 컨텐츠 저장수단
140 : 통신수단
150 : 제어수단
160 : 네트워크 어댑터

Claims (9)

  1. 그래픽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구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며, 다양한 표시방식을 갖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수단;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와 유무선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하는 통신수단;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상기 완구로부터 독출한 식별정보 또는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그 조합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수단; 및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 장치와 통신 세션을 수립하되, 상기 원격지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원격지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원격지 장치와 통신하는 원격지 애드온 장치가 독출한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를 향해 설치된 원격지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어댑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완구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내장 센서를 통해 판독한 상기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상기 애드온 장치를 향해 설치된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된 완구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영상을 화면 일측에 더 표시하되,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원격지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또는 상기 원격지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또는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완구와 상기 원격지 완구 간 상호작용을 판정하며,
    상기 판정된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애드온 장치를 향해 설치된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완구 또는 상기 애드온 장치의 상대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의 가상 좌표계 상의 좌표를 생성하고,
    원격지 완구의 가상 좌표계 상의 기준 위치를 설정한 다음,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원격지 완구 또는 상기 원격지 애드온 장치의 상기 원격지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지 완구의 가상 좌표계 상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완구와 상기 원격지 완구의 좌표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와 상기 원격지 완구 간 상호작용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상기 판정된 상기 완구와 상기 원격지 완구 간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원격지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삭제
  5. 그래픽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구별 식별정보에 대응되며, 다양한 표시방식을 갖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수단;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와 유무선 통신방법에 의하여 통신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상기 완구로부터 독출한 식별정보 또는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완구의 식별정보, 상기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그 조합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완구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로부터, 상기 애드온 장치가 내장 센서를 통해 판독한 상기 애드온 장치의 기울기, 이동방향, 가속도, 상기 애드온 장치를 향해 설치된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된 완구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표시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애드온 장치의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의 위치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 장치의 위치를 중심으로 영상판독을 통해 배경을 제외한 사물의 윤곽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애드온 장치가 부착된 완구의 영역을 판정하며,
    상기 판정된 디스플레이상 위치에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상기 완구의 3차원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다양한 표시방식은 상기 완구의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방향과 상기 완구와 상기 애드온 장치의 부착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애드온 장치가 감지한 기울기 정보와 상기 완구와 상기 애드온 장치의 부착각도에 관한 정보의 차이값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의 3차원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어느 하나의 완구에 둘 이상의 애드온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애드온 장치가 부착되는 완구 상의 부위 정보, 상기 둘 이상의 애드온 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인출하며,
    어느 하나의 애드온 장치가 둘 이상의 완구에 동시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완구가 부착되는 애드온 장치 상의 부위 정보, 상기 둘 이상의 완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완구에 부착된 애드온의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완구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추가획득 여부를 확인하고,
    추가획득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추가로 획득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저장 수단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30079452A 2013-07-08 2013-07-08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47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52A KR101479410B1 (ko) 2013-07-08 2013-07-08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PCT/KR2014/006104 WO2015005639A1 (ko) 2013-07-08 2014-07-08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14/903,808 US20160151705A1 (en) 2013-07-08 2014-07-08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using toy attachment type add-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452A KR101479410B1 (ko) 2013-07-08 2013-07-08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410B1 true KR101479410B1 (ko) 2015-01-06

Family

ID=5258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452A KR101479410B1 (ko) 2013-07-08 2013-07-08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4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13A (ko) * 2016-11-01 2018-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32296A (ko) * 2016-05-27 2019-03-27 스왑보츠 리미티드 증강 현실 장난감
KR200489627Y1 (ko) * 2019-06-11 2019-07-12 황영진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3898A1 (en) * 2006-09-12 2009-04-23 Yoshihiro Morioka Content shooting apparatus
JP2009142510A (ja) * 2007-12-14 2009-07-02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KR20090115344A (ko) * 2008-05-02 2009-11-05 강민수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30126532A (ko) * 2012-05-11 2013-11-20 안강석 피사체의 촬영을 통한 피사체 소스정보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3898A1 (en) * 2006-09-12 2009-04-23 Yoshihiro Morioka Content shooting apparatus
JP2009142510A (ja) * 2007-12-14 2009-07-02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KR20090115344A (ko) * 2008-05-02 2009-11-05 강민수 사용자 선택 방송국 카메라 촬상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30126532A (ko) * 2012-05-11 2013-11-20 안강석 피사체의 촬영을 통한 피사체 소스정보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296A (ko) * 2016-05-27 2019-03-27 스왑보츠 리미티드 증강 현실 장난감
KR102458154B1 (ko) * 2016-05-27 2022-10-24 스왑보츠 리미티드 증강 현실 장난감
KR20180047913A (ko) * 2016-11-01 2018-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96496B1 (ko) * 2016-11-01 2024-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89627Y1 (ko) * 2019-06-11 2019-07-12 황영진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57177B (zh) 使用便携式游戏装置来记录或修改在主游戏系统上实时运行的游戏或应用
US11127210B2 (en) Touch and social cues as inputs into a computer
JP6754678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286725B2 (en) Visually convincing depiction of object interactions in augmented reality images
US201803734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n computer
CN103249461B (zh) 用于使得手持设备能够捕获交互应用的视频的系统
CN105279795B (zh) 基于3d标记的增强现实系统
JP6900575B2 (ja) ゲームプレイを介して環境の詳細データセット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579128B1 (en) Portable device,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US20160151705A1 (en)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using toy attachment type add-on apparatus
US20130174213A1 (en) Implicit sharing and privacy control through physical behaviors using sensor-rich devices
US20180373328A1 (en) Program executed by a computer operable to communicate with head mount displa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the program, and method executed by the computer operable to communicate with the head mount display
CN111223187B (zh) 虚拟内容的显示方法、装置及系统
US201803009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n computer
JP603959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5474221A (zh) 实现数字内容获取的盒装体验
EP4137916A1 (en) Gesture-based skill search
CN106536004B (zh) 增强的游戏平台
KR101479410B1 (ko)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20180373884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n computer,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contents
WO2017145552A1 (ja) プログラム及びアイウエア
KR101406483B1 (ko) 완구 부착형 증강현실 콘트롤러
JP743420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6896932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6918189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