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293A -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293A
KR20090115293A KR1020080041058A KR20080041058A KR20090115293A KR 20090115293 A KR20090115293 A KR 20090115293A KR 1020080041058 A KR1020080041058 A KR 1020080041058A KR 20080041058 A KR20080041058 A KR 20080041058A KR 20090115293 A KR20090115293 A KR 2009011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tainer
waste
patient
body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234B1 (ko
Inventor
서기동
장기현
이호연
Original Assignee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2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적 결함에 의해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 등의 배설물을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자동처리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수납 장착되는 오물통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 고정시켜 줌으로써 배관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하여,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기능을 향상시킨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오물통, 오물통걸림편, 오물통쐐기편, 오물통수납홈

Description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A POSITIONING APPARATUS OF SOIL TANK FOR AUTOMATIC DISPOSING PATIENT'S EXCRETA}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체적 결함에 의해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 등의 배설물을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자동처리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수납 장착되는 오물통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 고정시켜 줌으로써 배관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하여,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기능을 향상시킨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적 결함으로 인하여 혼자서 용변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 이들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간병작업은 환자나 보호자에게 엄청난 스트레스와 번거로움을 주며, 환자의 경우 부끄러움은 감수하더라도 침구 등을 더럽힐 것에 대한 불 안감이 항상 존재하여 편안함을 유지할 수 없으며, 특히 간병인이 없을 경우 용변을 원하는 시간에 편안하게 볼 수 없는 문제점으로 육체적 고통은 상상을 초월하게 심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7-34978호(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것으로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 건조노즐과 대변감지센서 및 소변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저면부에는 배설물을 진공압에 의해 수거하도록 오물관이 연결되는 오물배출구가 구비된 기저귀부(20)와; 상기 기저귀부에 연결된 오물관과 하기 진공탱크에 연결된 흡기관A가 각각 상측의 개폐 가능한 뚜껑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물관을 통하여 흡입된 배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며, 일측부에는 오물 수거량을 감지하도록 수거량감지센서가 구비된 밀폐용기형 배설물수거부(10)와; 상기 배설물수거부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진공탱크와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흡입부(30)와; 상기 흡입부의 진공탱크와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도록 다단계의 필터A, 필터B, 필터C를 구비한 악취제거부(40)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탱크와 상기 세척수탱크로 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저장하는 온수통과 상기 온수통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기저귀부의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에 공급하도록 급수관로에 연결된 워터펌프를 구비한 세척수공급부(50)와; 상기 기저귀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 기의 공급을 제어하고, 진공탱크와 진공펌프의 연결관로를 제어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된 밸브장치부(60) 및; 상기 각 센서로 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밸브장치부 및 세척수공급부의 워터펌프, 히터 등을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사용중에 배설물수거부의 오물통(200)을 수시로 비워주어야만 하는데 이때에는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장착되는 오물통과 본체 케이스의 일정 위치에 고정설치된 배관을 탈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와 오물통은 항상 규정된 위치와 항상 균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장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다단계의 층으로 구성되어 상호 조립되는 사출물인 오물통의 특성상 설치 높이나 전/후,좌/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은 매우 난해하였다.
즉, 종래와 같이 오물통의 바닥면으로 부터 맞추어 줄 경우 제조공정이나 조립과정에서 발생된 오차로 인하여 정확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물통과 상기 오물통이 수납 장착되는 본체 케이스의 일정 위치에 설치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전/후,좌/우위치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 고정하도록 하여 오물통의 탈/장착을 매우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와; 상기 기저귀부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을 포함하는 배설물수거부와; 상기 배설물수거부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흡입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기저귀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부와;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각부분이 수납되는 본체케이스를 포함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수거부의 오물통과 상기 오물통이 수납 장착되도록 오물통수납홈이 구비된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대하여 오물통의 장착높이가 일정하게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수납높이고정수단과; 상기 배설물수거부의 오물통과 상기 오물통이 수납 장착되도록 오물통수납홈이 구 비된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대하여 오물통의 장착위치가 일정하게 조절유지되도록 하는 수납위치설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납높이설정수단은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오물통수납홈의 둘레 상단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케이스수평단턱부와; 상기 오물통수납홈의 케이스수평단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오물통의 상단 둘레에는 각각 일정한 높이의 걸림턱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오물통걸림편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납위치설정수단은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오물통수납홈의 상단 둘레를 이루는 케이스수직벽과; 상기 오물통수납홈에 삽입되는 오물통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수직벽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오물통의 위치를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상광하협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오물통쐐기편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줌으로써 환자가 보호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시간의 구애를 받지않고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여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최소화하여 환자요양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을 용이하게 탈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오물통의 오조립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배설물처리장치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배설물자동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오물통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2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100)을 포함하는 배설물수거부(10)와; 상기 배설물수거부(10)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부(30)와; 상기 흡입부(30)의 흡입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40)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부(5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부(60)와;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각부분이 수납되는 본체케이스(100)를 포함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200)과 상기 오물통(200)이 수납 장착되도록 오물통수납홈(110)이 구비된 본체케이스(100)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대하여 오물통(200)의 장착높이가 일정하게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수납높이고정수단과; 상기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200)과 상기 오물통(200)이 수납 장착되도록 오물통수납홈(110)이 구비된 본체케이스(100)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대하여 오물통(200)의 장착위치가 일정하게 조절유지되도록 하는 수납위치설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납높이설정수단은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오물통수납 홈(110)의 둘레 상단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케이스수평단턱부(120)와; 상기 오물통수납홈(110)의 케이스수평단턱부(120)에 걸리도록 상기 오물통(200)의 상단 둘레에는 각각 일정한 높이의 걸림턱(211)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오물통걸림편(210)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위치설정수단은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오물통수납홈(110)의 상단 둘레를 이루는 케이스수직벽(130)과; 상기 오물통수납홈(110)에 삽입되는 오물통(200)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수직벽(130)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오물통(200)의 위치를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상광하협으로 경사면(221)을 이루는 복수개의 오물통쐐기편(2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20)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도록 하는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200)에 배설물이 일정수위 이상 채워졌을 경우 이를 비우기 위해서는 오물관을 포함한 연결부재를 분리시킨 다음, 오물통(200)을 본체케이스(100)의 오물통수납홈(110)으로 부터 분리시켜 내부에 들어있는 오물을 쏟아 버린 다음 깨끗하게 세척한 후, 오물통(200)을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오물통수납홈(110)에 삽입 장착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본체케이스와 오물통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본체케이스에 오물통이 수납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오물통(200)의 상부 둘레에 상광하협으로 경사면(221)을 이루는 복수개의 오물통쐐기편(220)이 상기 오물통수납홈(110)의 상단 케이스수직벽(130)에 밀착 되어 슬라이드되면서 오물통(200)을 서서히 중앙부로 안내하도록 한다.
따라서, 오물통(200)은 오물통수납홈(110)의 중앙부분으로 안내되면서 정확한 위치로 유도되게 되며, 완전 삽입이 이루어지면 오물통(200)의 둘레에 다수개 설치된 오물통걸림편(210)의 걸림턱(211)이 상기 오물통수납홈(110)의 케이스수평단턱부(120)에 걸려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물통(200)이 오물통수납홈(110)의 일정한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배관의 연결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오동작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탈 장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교통사고나 뇌졸중 등으로 자신의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는 환자의 배변을 보다 편안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부속장치로서, 점점 사람의 수명이 연장되어 가는 현대에 늘어나는 환자에 대응하여 많은 수요가 창출되는 의료분야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배설물자동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오물통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본체케이스와 오물통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본체케이스에 오물통이 수납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임.
도 5는 환자배설물자동처리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인 계통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설물수거부 20: 기저귀부
30: 흡입부 40: 악취제거부
50: 세척수공급부 60: 밸브장치부
100: 본체 케이스 110: 오물통수납부
120: 케이스수평단턱부 130: 케이스수직벽
200: 오물통 210: 오물통걸림편
211: 걸림턱 220: 오물통쐐기편
221: 경사면

Claims (3)

  1.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2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100)을 포함하는 배설물수거부(10)와; 상기 배설물수거부(10)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부(30)와; 상기 흡입부(30)의 흡입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40)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부(5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부(60)와;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각부분이 수납되는 본체케이스(100)를 포함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200)과 상기 오물통(200)이 수납 장착되도록 오물통수납홈(110)이 구비된 본체케이스(100)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대하여 오물통(200)의 장착높이가 일정하게 유지고정되도록 하는 수납높이고정수단과;
    상기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200)과 상기 오물통(200)이 수납 장착되도록 오물통수납홈(110)이 구비된 본체케이스(100)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대하여 오물통(200)의 장착위치가 일정하게 조절유지되도록 하는 수납위치설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높이설정수단은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오물통수납홈(110)의 둘레 상단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케이스수평단턱부(120)와;
    상기 오물통수납홈(110)의 케이스수평단턱부(120)에 걸리도록 상기 오물통(200)의 상단 둘레에는 각각 일정한 높이의 걸림턱(211)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오물통걸림편(210)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위치설정수단은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오물통수납홈(110)의 상단 둘레를 이루는 케이스수직벽(130)과;
    상기 오물통수납홈(110)에 삽입되는 오물통(200)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수직벽(130)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오물통(200)의 위치를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상광하협으로 경사면(221)을 이루는 복수개의 오물통쐐기편(220)을 포함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KR1020080041058A 2008-05-01 2008-05-01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KR10096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58A KR100963234B1 (ko) 2008-05-01 2008-05-01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58A KR100963234B1 (ko) 2008-05-01 2008-05-01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93A true KR20090115293A (ko) 2009-11-05
KR100963234B1 KR100963234B1 (ko) 2010-06-16

Family

ID=4155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058A KR100963234B1 (ko) 2008-05-01 2008-05-01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4054B (zh) * 2016-06-15 2018-09-04 温州市向前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去味的半自动尿盆
CN112839555A (zh) * 2018-10-09 2021-05-25 株式会社促进 排泄物处理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4113Y2 (ja) 1980-07-23 1983-12-09 木村寝台工業株式会社 採尿器用尿タンク
KR200185930Y1 (ko) 2000-01-26 2000-06-15 이승호 김치 냉장고
KR100367231B1 (en) 2001-07-26 2003-01-06 Hanmedics Co Ltd Personal urine collecting apparatus having bidet system
JP3388734B1 (ja) 2001-11-22 2003-03-24 株式会社ビルメン鹿児島 介護用便器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4054B (zh) * 2016-06-15 2018-09-04 温州市向前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去味的半自动尿盆
CN112839555A (zh) * 2018-10-09 2021-05-25 株式会社促进 排泄物处理方法及其装置
CN112839555B (zh) * 2018-10-09 2023-02-03 株式会社促进 排泄物处理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234B1 (ko)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458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1093444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JP4537436B2 (ja) 病臥患者用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100893733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1947797B1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10096323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KR102467751B1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200453814Y1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2075301B1 (ko)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KR100880608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세척수공급장치
JP2002165821A (ja) 排泄物処理装置
JP2008237420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10096324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세정제 용기 결착구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KR100882811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
KR100963243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중간판 분리구조
KR100885249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수위검지장치
JP2009275380A (ja) 排便吸込み機能を付加した便器の構造
KR100897538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바퀴구조
JP7031865B2 (ja) 排泄物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963235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전원스위치 보호장치
KR20090115389A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물탱크/오물통 오삽입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