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050A -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050A
KR20090115050A KR20090033523A KR20090033523A KR20090115050A KR 20090115050 A KR20090115050 A KR 20090115050A KR 20090033523 A KR20090033523 A KR 20090033523A KR 20090033523 A KR20090033523 A KR 20090033523A KR 20090115050 A KR20090115050 A KR 2009011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recording
serie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키노시타
타카시 카나오
히로유키 치바
츠요시 혼마
히로후미 코우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녹화장치는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취득하는 안내정보 취득 수단과,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 수단과,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녹화이력 격납부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P1020090033523
방송프로그램, 녹화

Description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STATUS DETECTION METHOD, PROGRAM DELIVERY AND RECORDING SYSTEM, AND PROGRA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방송프로그램, VOD 방송프로그램 등을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상기 녹화장치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HDD(Hard disk drive)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등의 대용량의 기억 매체에 대해, 각종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이나 콘텐츠의 데이터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녹화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방송프로그램이나 콘텐츠의 배신 방식은 다변화되고 있고, 예를 들면, 지상 아날로그 방송, 지상 디지털 방송, BS 방송, CS 방송 등의 방송 전파를 전송 매체로 하는 배신 시스템이나, IP 멀티캐스트 시스템, VOD(Video On Demand) 등, 네트워크를 전송 매체로 하는 배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유저에게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로서 EPG(Electric Program Guide), ECG(Electric Content. Guid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에는 예를 들면, 몇주 앞까지의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가 게재되어 있다.
녹화장치는 이와 같은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예를 들면 정기적 또는 전원이 기동될 때마다 취득하여 보존하고,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이들을 녹화장치에 접속된 외부 AV 기기의 표시부 등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표시된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참조하여,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이 발견되면, 그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녹화예약 등을 행할 수가 있다.
드라마와 같은 분야의 방송프로그램은 매일, 매주라는 간격으로 방송되는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인 것이 많다. 이와 같은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은 제 1화(episode 1)로부터 최종화(final episode)까지 빠짐없이 시청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7-235193호 공보(단락 [0035] 참조), 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함)에는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녹화예약할 수 있는 녹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녹화장치에서는 EPG 데이터나 녹화 방송프로그램 이력을 기초로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을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이후, 그 방송프로그램을 시리즈 녹화예약의 대상으로 하여 EPG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녹화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일시는 변경되는 일이 적지 않다. 상기 특허 문헌 1의 녹화장치에서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일시의 주기성을 기초로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일시의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한 경우에는 올바르게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을 판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다양한 방송프로그램의 배신 방식이 혼재하는 요즘에 있어서는 같은 시리즈의 방송프로그램이 다른 복수의 배신 방식으로 비동기로 배신되는 경우가 고려된다. 예를 들면, 어떤 시리즈의 방송프로그램이 어떤 방송파로 정기적으로 배신되는 한편, 같은 시리즈의 방송프로그램이 다른 방송파로 방송 일시를 비켜서 정기적으로 배신되는 경우나, VOD 방식으로 배신되는 경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소정의 배신 방식으로 배신되는 시리즈의 방송프로그램을 계속해서 녹화하려고 하는 유저가 어느 회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에 실패한 경우, 그 회의 방송프로그램을 다른 배신 방식으로 배신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을 유저가 아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녹화장치는 배신예정의 방송 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취득하는 안내정보 취득 수단과,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 수단과,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녹화이력 격납부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와,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와,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유저의 녹화 대상의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함에 의해,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일시나 배신 일시의 변경에 영향받는 일 없이,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녹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 취득 수단은 다른 복수의 배신 방식의 상기 안내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복수의 배신 방식의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가 취득 가능하게 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복수 의 배신 방식의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복수의 배신 방식에 걸쳐서, 시청 대상의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소정의 배신 방식으로 배신되는 시리즈의 방송프로그램을 계속해서 녹화하려고 하는 유저가 어느 회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에 실패하였다고 하여도, 그 회의 방송프로그램을 다른 배신 방식으로 배신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것을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녹화장치는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시청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시청이력 격납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또한,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복수의 배신 방식의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상황을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시리즈에 속하는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이력과 함께 시청이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수단은 또한, 상기 각각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중 녹화도 시청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검출부는 또한, 상기 각각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중 녹화되어 있는 것이지만 시청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거한 녹화상황 검출 방법은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취득하고,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기억부에 보존하고,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고, 상기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거한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은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배신 가능한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와,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배신 가능한 안내정보 배신 장치와,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배신 가능한 시리즈정보 배신 장치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녹화 가능한 녹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안내정보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안내정보를 취득하는 안내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시리즈정보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 수단과,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녹화이력 격납부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거한 프로그램은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취득하는 안내정보 취득 수단과,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 수단과,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녹화이력 격납부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컴 퓨터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100)은 방송국(200)과,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와, 녹화장치(400)를 포함한다.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와 녹화장치(40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로 접속 가능하다. 녹화장치(400)는 네트워크(1)에 에지 루터를 통하여 접속된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방송국(200)은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 및 해당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인 EPG(Electric Program Guide)를 전파에 싣고 방송 배신한다. 또한, 방송국(200)은 프로그램의 시리즈마다 이것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시리즈정보를 방송 배신한다.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는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 및 해당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인 ECG(Electric Content. Guide)를 네트워크(1)를 통하여, IP 멀티캐스트 방식, VOD 방식 등에 의해 배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배 신 서버(300)는 프로그램의 시리즈마다 이것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시리즈정보를 배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송국(200),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의 각각이,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 "안내정보 배신 장치" "시리즈정보 배신 장치"로서 동작하고, 방송국(200)과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는 각각, 서로 다른 배신 방식으로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배신 가능한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이다.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의 배신, 그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의 배신, 시리즈정보의 배신은 각각 다른 장치에서 행하여지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시리즈정보의 배신만 전용의 장치에서 행하여지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녹화장치(400)는 방송국(200)으로부터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녹화하고, 녹화한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한, 녹화장치(400)는 방송국(200)으로부터 배신되는 EPG 및 시리즈정보,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배신되는 ECG 및 시리즈정보를 수신하고,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녹화장치(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녹화장치(400)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401)에는 시스템 버스(402)를 통하여, ROM(403), RAM(404), 입력 조작부(405), AV 인터페이스(406)와, 표시부(407), 네트워크 접속부(408), 디코드부(409), 방송 수신부(411),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412)와,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3), 플래시 ROM(414), 광통신부(415) 등이 접속되어 있다.
ROM(403) 및 플래시 ROM(414)에는 CPU(401)에 의해 처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플래시 ROM(414)은 각종 데이터의 보존이 가능하다. RAM(404)은 CPU(401)에 의한 일시적인 작업 영역 및 데이터의 일시 보존을 위한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입력 조작부(405)는 각종의 키 등을 구비하고,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위한 지령의 입력을 처리한다. 입력 조작부(405)로부터 입력된 지령은 시스템 버스(402)를 통하여 CPU(401)에 보내진다.
광통신부(415)는 리모트 컨트롤러(5)와의 통신을 행한 인터페이스이다. 리모트 컨트롤러(5)는 입력 조작부(405)와 마찬가지로 각종의 키 등을 구비하고,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위한 지령의 입력을 처리하고,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광통신부(415)는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시스템 버스(402)를 통하여 CPU(401)에 출력한다.
표시부(407)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기와,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 입력된 지령이나 데이터의 확인, 각종의 상황 등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접속부(408)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이 인터넷에 루터를 통하여 접속된 홈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1)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이다.
AV 인터페이스(406)는 녹화장치(400)에 접속된 텔레비전 등의 외부 AV 기 기(4)와의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방송 수신부(411)는 예를 들면, 지상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CS 디지털 방송, BS 디지털 방송, 휴대 기기용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 방송국(200)으로부터의 방송파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복조 등을 행한다.
디코드부(409)는 전송 및 기록을 위해 압축 부호화된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복호한다. 이 디코드부(409)에 의한 복호에 의해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은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텔레비전 등의 외부 AV 기기(4)에 출력된다.
기억부(412)는 예를 들면 HDD 등으로 이루어지고,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파로 배신된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 EGP, 시리즈정보나,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1)를 통하여 배신된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 ECG, 시리즈정보 등이 보존된다.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3)에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2)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고, 장착된 리무버블 미디어(2)에 대해,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의 기록과 판독을 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도 3은 녹화장치(400)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녹화장치(400)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11),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 EPG/ECG/시리즈정보 취득부(14),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 EPG/ECG 화면 생성부(16), 녹화예약부(17),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 시청이력 기록부(19), 시청이력 격납부(20), 녹화이력 기록부(21), 녹화이력 격납부(22),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 녹화예약 정보 격납부(24),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 생성부(25)를 구비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11)는 방송 수신부(411)를 제어하여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1)를 통하여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IP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VOD 방식으로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1)를 수신하거나 하는 등, 방송프로그램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11)에서 취득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 보존하는 처리를 행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는 예를 들면, 녹화예약 정보 격납부(24)에 격납된 녹화예약 정보(D1)를 기초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11)에 대해 프로그램 취득 요구(R2)를 내고, 그 응답인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 보존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보존함과 함께, 이 보존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보존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는 구체적으로는 기억부(412), 또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3)에 장착된 리무버블 미디어(2), 플래시 ROM(414) 등이다.
EPG/ECG/시리즈정보 취득부(14)는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이용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된 취득 요구(R11)을 기초로, 방송 수신부(411)를 제어하여,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 배신되는 EPG 데이터(D2), 시리즈정보(D15)를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부(408)를 제어하여,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1)를 통하여 배신되는 ECG 데이터(D3), 시리즈정보(D15)를 수신하고,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에 보존한다.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는 EPG 데이터(D2), ECG 데이터(D3) 및 시리즈정보(D15)를 보존한다.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는 구체적으로는 기억부(412),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3)에 장착된 리무버블 미디어(2), 플래시 ROM(414) 등이다.
EPG/ECG 화면 생성부(16)는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이용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된 표시 요구(R3)를 기초로,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에 보존된 EPG 데이터(D2), ECG 데이터(D3)로부터, 각각의 화면 데이터(D4, D14)를 생성한다.
녹화예약부(17)는 녹화예약 정보(D1)를 녹화예약 정보 격납부(24)에 등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녹화예약 정보 격납부(24)는 녹화예약 정보(D1)를 보존한다. 녹화예약 정보 격납부(24)는 구체적으로는 기억부(412),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3)에 장착된 리무버블 미디어(2), 플래시 ROM(414) 등이다.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 생성부(25)는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 롤러(5)를 이용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된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의 출력 요구(R5)에 응하여,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 보존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관리하는 테이블의 정보(D8)로부터 녹화완료의 방송프로그램의 일람 데이터인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D5)를 생성한다.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 생성부(25)에 의해 생성된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D5)는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텔레비전 등의 외부 AV 기기(4)에 출력된다. 이 외부 AV 기기(4)에 표시되는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중에서 유저는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이용하여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시청 요구(R7)의 입력을 행할 수가 있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판독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디코드부(409)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재생 데이터(D16)인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외부 AV 기기(4)에 출력한다.
시청이력 기록부(19)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에서 재생이 행하여진 방송프로그램의 배신 방식의 정보, 방송프로그램 ID, 방송프로그램명, 시청 일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완료 통지(D6)를 취득하고, 이 재생 완료 통지(D6)에 포함되는 배신 방식의 정보, 방송프로그램 ID, 방송프로그램명, 시청 일시를 시청이력 격납부(20)에 시청이력정보(D23)로서 보존하는 처리를 행한다.
시청이력 격납부(20)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에서 재생이 행하여진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이력정보(D23)를 보존한다. 시청이력 격납부(20)는 구체적 으로는 기억부(412),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3)에 장착된 리무버블 미디어(2), 플래시 ROM(414) 등이다.
녹화이력 기록부(21)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에 의해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 기록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ID 등의 프로그램 정보(D7)를 취득하여, 이 프로그램 정보(D7)를 기초로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에 격납된 EPG 데이터(D2) 및 ECG 데이터(D3)로부터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D12)를 추출하여 녹화이력 격납부(22)에 녹화이력정보(D22)로서 보존하는 처리를 행한다.
녹화이력 격납부(22)는 녹화가 행하여진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이력정보(D22)를 보존한다. 녹화이력 격납부(22)는 구체적으로는 기억부(412), 미디어 인터페이스부(413)에 장착된 리무버블 미디어(2), 플래시 ROM(414) 등이다.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이용하여 유저로부터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조회 요구(R8)가 입력된 때, 시청이력 격납부(20)에 격납된 시청이력정보(D23), 녹화이력 격납부(22)에 격납된 녹화이력정보(D22), 및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에 격납된 EPG 데이터(D2), ECG 데이터(D3), 시리즈정보(D15)를 기초로, 유저의 녹화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상황, 녹화상황을 검출하고, 이 검색 결과를 기초로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화면의 데이터(D20)를 생성한다. 이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화면의 데이터(D20)는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외부 AV 기기(4)에 출력되고, 유저에게 제시된다.
다음에, EPG, ECG, 시리즈정보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EPG, ECG, 시리즈정보의 구성과 이들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PG에는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에서,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IP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ID, 방송프로그램명, 방송 일시, 방송 채널,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IP 멀티캐스트 방식인 경우)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ECG에는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VOD 방식 등으로 배신 가능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ID, 방송프로그램명, 방송프로그램 데이터의 로케이션 정보인 URL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시리즈정보에는 시리즈 ID, 시리즈명, 시리즈에 속하는 각 방송프로그램 각각의 방송프로그램 ID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방송프로그램 ID에 관해서는 방송프로그램의 배신 방식이 달라도, 소스가 같은 각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각각 동일한 방송프로그램 ID가 붙는다. 따라서 시리즈정보는 복수 종류의 배신 방식이 혼재하는 상황에서도 1종류면 좋다. 즉,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 배신되는 시리즈정보도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배신되는 시리즈정보도 내용은 동일하다. 이 때문에, 녹화장치(400)는 방송국(200),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 또는 시리즈정보를 배신하는 전용 서버의 어느 하나로부터 시리즈정보를 취득할 뿐이면 좋다.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타이밍에 관해서도 특히 제약은 없다. 예를 들면, 방송프로그램 데이터를 취득과 연동하여, 그 프로그램의 시리즈정보만을 일일이 취득하거나, EPG 데이터, ECG 데이터의 취득과 연동하여 시리즈정보를 취득하여도 좋 다. 또는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가 유저로부터의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조회 요구(R8)를 받은 때 시리즈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예약을 행할 때의 동작부터 설명한다.
우선, 유저는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조작하여, EPG/ECG 화면 생성부(16)에 EPG 또는 ECG의 어느 하나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요구(R3)를 출력한다. EPG/ECG 화면 생성부(16)는 EPG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요구(R3)가 입력된 경우에,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에 격납되어 있는 EPG 데이터(D2)를 기초로 EPG의 화면 데이터(D4)를 생성하고,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텔레비전 등의 외부 AV 기기(4)에 출력한다. 이로써, 외부 AV 기기(4)의 화면에 EPG가 표시된다. 또한, EPG/ECG 화면 생성부(16)는 ECG의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요구(R3)가 입력된 경우에는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에 격납되어 있는 ECG 데이터(D3)를 기초로 ECG의 화면 데이터(D14)를 생성하고,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텔레비전 등의 외부 AV 기기(4)에 출력한다. 이로써, 외부 AV 기기(4)의 화면에 ECG가 표시된다.
외부 AV 기기(4)에 표시된 EPG 화면 또는 ECG 화면중에서 녹화예약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이 유저에 의해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조작하여 선택됨과 함께 녹화예약 명령이 주어지면, 그 방송프로그램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녹화예약 요구(R4)가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EPG/ECG 화면 생성부(16)에 출력된다. EPG/ECG 화면 생성부(16)는 이 녹화예약 요구(R4)를 받으면, 이 녹화예약 요구(R4)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 지정 정보를 기초로 EPG 데이터(D2) 또는 ECG 데이터(D3)로부터,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 정보를 포함하는 녹화예약 요구(R1)를 녹화예약부(17)에 출력한다. 녹화예약부(17)는 이 녹화예약 요구(R1)를 기초로, 이 녹화예약 요구(R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을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녹화예약 정보(D1)로서 녹화예약 정보 격납부(24)에 등록한다. 이상에 의해,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예약이 완료된다.
다음에,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와 이에 수반하는 녹화이력정보의 기록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와 이에 수반하는 녹화이력정보의 기록의 동작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는 예를 들면, 녹화예약 정보 격납부(24)에 격납된 녹화예약 정보(D1)를 기초로, 프로그램 취득 요구(R2)를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부(11)에 출력한다. 데이터 취득부(11)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 요구(R2)를 기초로,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또는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1)를 취득한다(스텝 S101). 녹화 대상 방송프로그램이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인 경우, 데이터 취득부(11)는 방송프 로그램 취득 요구(R2)에 포함되는 방송 채널, 방송프로그램 ID, 방송 일시 등의 정보를 기초로 방송 수신부(411)를 제어하고, 방송국(200)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를 취득한다. 또한, 녹화 대상 방송프로그램이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IP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데이터 취득부(11)는 방송프로그램 취득 요구(R2)에 포함되는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방송프로그램 ID, 방송 일시 등을 기초로 네트워크 접속부(408)를 제어하여,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1)를 통하여 IP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1)를 취득한다. 또한, 녹화 대상 방송프로그램이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의 스토리밍 방식, 다운로드 방식 등의 VOD 방식으로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인 경우, 데이터 취득부(11)는 프로그램 취득 요구(R2)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의 로케이션 정보, 방송프로그램 ID 등을 기초로 네트워크 접속부(408)를 제어하여,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1)를 통하여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1)를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부(11)는 방송국(200) 또는 방송프로그램 배신 서버(300)로부터 취득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에 출력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는 데이터 취득부(11)로부터의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 보존한다(스텝 S102).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의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의 보존이 완료된 후,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는 그 보존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의 방송프로그램 ID 등의 프로그램 정보(D12)를 EPG/ECG/시리즈정보 취득부(14)에 격납된 EPG 데이터(D2) 및 ECG 데이터(D3)로부터 취득하고, 이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D12)를 녹화이력 기록부(21)에 출력한다. 녹화이력 기록부(21)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부(12)로부터 입력된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D12)를 녹화이력 격납부(22)의 신규의 엔트리에 녹화이력정보(D22)로서 등록한다(스텝 S103). 여기서, 녹화이력 격납부(22)에 녹화이력정보(D22)로서 등록된 정보는 배신 방식의 정보(예를 들면 "방송" "VOD" 등), 방송프로그램 ID, 방송프로그램명, 녹화 일시 등을 포함한다.
다음에, 방송프로그램의 시청과 이에 수반하는 시청이력정보의 기록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방송프로그램의 시청과 이에 수반하는 시청이력정보의 기록의 동작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 보존된 녹화완료의 방송프로그램중에서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다(스텝 S201). 이 경우,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의 선택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유저는 예를 들면,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조작하여,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 생성부(25)에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의 출력 요구(R5)를 출력한다.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 생성부(25)는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의 출력 요구(R5)를 받으면,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에 녹화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정보를 기초로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D5)를 생성하고,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외부 AV 기기(4)에 출력한다. 외부 AV 기기(4)에 표 시된 녹화 방송프로그램 리스트중에서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이 유저에 의해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조작하여 선택됨과 함께 시청 명령이 주어지면, 그 시청하고 싶은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방송프로그램 ID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 시청 요구(R7)가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에 출력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는 방송프로그램 시청 요구(R7)를 입력하면, 이 방송프로그램 시청 요구(R7)에 포함되는 방송프로그램 ID 등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정보를 키로 하여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격납부(13)로부터 해당하는 하나의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를 판독한다.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는 판독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D10, D11)에 대해, 재생을 위해 필요한 복호, 오류 정정 등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고, 재생 데이터(D16)인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외부 AV 기기(4)에 출력한다. 이로써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이 행하여진다(스텝 S202).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종료 후, 그 방송프로그램의 배신 방식의 정보(예를 들면 "방송" "VOD" 등), 방송프로그램 ID, 방송프로그램명, 시청 일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완료 통지(D6)를 시청이력 기록부(19)에 출력한다. 시청이력 기록부(19)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재생부(18)로부터의 재생 완료 통지(D6)를 받으면, 시청이력 격납부(20)에 새로운 엔트리를 작성하고, 여기에, 재생 완료 통지(D6)에 포함되는 배신 방식의 정보, 방송프로그램 ID, 방송프로그램명, 시청 일시 등의 정보를 시청이력정보(D23)로서 등록한다(스텝 S203).
다음에, 녹화이력정보(D22), 시청이력정보(D23), EPG 데이터(D2), ECG 데이터(D3) 및 시리즈정보(D15)를 기초로, 유저의 녹화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유저의 녹화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검출하는 동작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입력 조작부(40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5)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조회 요구(R8)가 입력된 것을 계기로, 우선,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로부터 시리즈정보(D15)를 취득한다(스텝 S301).
다음에,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EPG/ECG/시리즈정보 격납부(15)에 격납된 EPG 데이터(D2) 및 ECG 데이터(D3)로부터, 같은 시리즈에 속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전부 검색한다(스텝 S302). 여기서, 시리즈정보(D15)에는 시리즈에 속하는 모든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ID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방송프로그램 ID를 키로 EPG 데이터(D2) 및 ECG 데이터(D3)로부터 시리즈에 속하는 방송프로그램의 검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검색의 결과,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EPG 데이터(D2) 및 ECG 데이터(D3)중에서 발견되지 않은 경우(스텝 S303의 NO),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EPG 데이터(D2) 및 ECG 데이터(D3)중에서 발견된 경우(스텝 S303의 YES), 시리즈 방송 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EPG 데이터(D2) 및 ECG 데이터(D3)로부터 발견된 방송프로그램마다, 방송프로그램 ID를 키로 하여, 시청이력 격납부(20)로부터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이력정보(D23)를 검색함과 함께, 녹화이력 격납부(22)로부터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이력정보(D22)를 검색한다.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이들의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이력정보(D23) 및 녹화이력정보(D22)를 기초로 하여, 시리즈에 속하는 방송프로그램마다, 이것이 시청된 일이 있는 방송프로그램인지의 여부, 녹화예약된 방송프로그램인지의 여부를 각각 판정한다. 이로써, 유저의 시청 대상의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스텝 S304). 여기서, 유저의 시청 대상의 시리즈란, 그 유저가 시청 또는 녹화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리즈인 것을 말한다.
이 후,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유저의 시청 대상의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마다 시청·녹화상황의 정보를 정리·편집하여, 출력 화면의 데이터(D20)를 생성하고(스텝 S305), 이 출력 화면의 데이터(D20)를 AV 인터페이스(406)를 통하여 외부 AV 기기(4)에 출력한다(스텝 S306). 이로써, 외부 AV 기기(4)에, 유저의 시청 대상의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이 표시된다.
도 8은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의 제 1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녹화이력정보(D22), 시청 이력정보(D23), EPG 데이터(D2), ECG 데이터(D3) 및 시리즈정보(D15)를 기초로, 유저의 시청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시청도 녹화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 녹화되어 있지만 시청되지 않은 방송프로그램, 녹화되고 시청된 일이 있는 방송프로그램으로 분류한다.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는 이 분류마다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여, 출력 화면의 데이터(D20)를 생성한다.
도 8의 출력 화면의 예에서는 유저의 시청 대상인 시리즈로서, 시리즈명이 "드라마, 방송프로그램α"의 시리즈가 검출되고, 이 시리즈에 속하는 방송프로그램중, 시청도 녹화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으로서, 방송프로그램명이 "방송프로그램α, 제 10화" "방송프로그램α, 제 1화" "방송프로그램α, 제 2화"의 3개가 발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적어도, 금후 배신이 예정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은 이와 같이 시청도 녹화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고, 외부 AV 기기(4)의 출력 화면을 통하여 유저에게 제시된다. 또는 현재 배신이 가능한 프로그램중, 시청도 녹화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도 동시에 유저에게 제시된다. 이로써, 유저는 녹화하거나 시청하거나 하는 것을 바라고 있는 시리즈에 속하는 방송프로그램에 있어서 금후 배신이 예정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이나, 현재 배신중이면서 아직 녹화도 시청도 하지 않은 방송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에서, 녹화도 시청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에는 예를 들면 "방송" "VOD"라는 해당 방송프로그램의 배신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시켜서 표시된다. 이로써, 녹화도 시청도 되지 않은 방송프로그램의 배신 방식을 유저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그 방송프로그램을 녹화예약하거나 할 때에 유익한 정보가 된다.
또한, 도 8의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의 예에서는 녹화되어 있지만 시청되지 않은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명으로서 "방송프로그램α, 제 3화 내지 제 7화"의 5개의 방송프로그램명과, 녹화되고 시청된 일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명으로서 "방송프로그램α, 제 8화 및 제 9화"의 2개의 방송프로그램명이 표시되어 있다. 이로써, 녹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중에서, 시청완료의 프로그램과 시청하지 않은 방송프로그램을 유저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의 예에서는 녹화도 시청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명과 배신 방식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방송 채널, 방송 일시, 배신 일시 등, EPG/ECG로부터 얻어지는 다른 정보를 아울러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유저의 시청 대상인 시리즈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8의 출력 화면이 시리즈마다 생성되고, 표시된다.
도 9는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의 제 2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는 시청·녹화상황에 따라 방송프로그램을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의 시청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방 송프로그램의 회(回)의 순번에 따라 하나하나 나열하여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개개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은 "VOD" "방송" "녹화완료" "시청완료"라는 문자 정보나 그림문자 정보 등의 표시 정보에 의해 유저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VOD"의 표시 정보는 시청도 녹화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으로, VOD 배신이 예정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 또는 현재 VOD 배신이 가능한 방송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낸다. "방송"의 표시 정보는 시청도 녹화도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으로서, 방송 배신이 예정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낸다. "녹화완료"의 표시 정보는 녹화완료이지만 시청이 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낸다. "시청완료"의 표시 정보는 이미 시청된 방송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유저의 시청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방송프로그램의 회의 순번에 따라 하나하나 나열하여 표시함에 의해, 유저의 시청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유저가 한눈에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녹화이력정보(D22), 시청이력정보(D23), EPG 데이터(D2), ECG 데이터(D3) 및 시리즈정보(D15)를 기초로, 유저의 시청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검출함에 의해,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일시나 배신 일시의 변경에 영향받는 일 없이, 시리즈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른 복수의 배신 방식에 걸쳐서, 시청 대상의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소정의 배신 방식으로 배신되는 시리즈의 방송프로그램을 계속해서 녹화하려고 하는 유저가 어느 회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에 실패하였다고 하여도, 그 회의 방송프로그램을 다른 배신 방식으로 배신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것을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배신 방식에는 예를 들면, 지상 아날로그 방송, 지상 디지털 방송, BS 방송, CS 방송, IP 멀티캐스트 방식, VOD 방식 등이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배신 방식의 종류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른 복수의 배신 방식의 선정 방법에도 제약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녹화장치(400)에 실장된 기능적인 구성은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시킴에 의해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갱신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녹화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녹화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EPG, ECG, 시리즈정보의 구성과 이들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와 이에 수반하는 녹화이력정보의 기록의 동작에 관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방송프로그램의 시청과 이에 수반하는 시청이력정보의 기록의 동작에 관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유저의 녹화 대상인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녹화상황을 검출하는 동작에 관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의 제 1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시리즈 방송프로그램 시청/녹화상황의 출력 화면의 제 2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8)

  1.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취득하는 안내정보 취득 수단과,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 수단과,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녹화이력 격납부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 취득 수단은 다른 복수의 배신 방식의 상기 안내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복수의 배신 방식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취득 가능하게 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복수의 배신 방식의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시청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시청이력 격납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또한,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복수의 배신 방식의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시청 상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또한, 상기 각각의 검출의 결과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중 녹화도 시청도 된 일이 없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또한, 상기 각각의 검출의 결과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중 녹화되어 있지만 시청된 일이 없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장치.
  6.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취득하고,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기억부에 보존하고,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고,
    상기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상황 검출 방법.
  7.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배신 가능한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와,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배신 가능한 안내정보 배신 장치와,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배신 가능한 시리즈정보 배신 장치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녹화 가능한 녹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녹화장치는
    상기 안내정보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안내정보를 취득하는 안내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시리즈정보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상기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 수단과,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녹화이력 격납부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8. 배신예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안내정보를 취득하는 안내정보 취득 수단과,
    시리즈에 속하는 복수의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시리즈정보를 취득하는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보존하는 방송프로그램 데이터 녹화 수단과,
    상기 기억부에 상기 데이터가 보존된 상기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녹화이력정보로서 격납하는 녹화이력 격납부와,
    상기 안내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안내정보, 상기 시리즈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시리즈정보, 및 상기 녹화이력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녹화이력정보를 기초로, 녹화 대상인 상기 시리즈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방송프로그램의 녹화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20090033523A 2008-04-30 2009-04-17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090115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9341 2008-04-30
JP2008119341A JP4506871B2 (ja) 2008-04-30 2008-04-30 録画装置、録画状況検出方法、番組配信録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50A true KR20090115050A (ko) 2009-11-04

Family

ID=4123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3523A KR20090115050A (ko) 2008-04-30 2009-04-17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34693B2 (ko)
JP (1) JP4506871B2 (ko)
KR (1) KR20090115050A (ko)
CN (1) CN1015728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54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2200B2 (ja) * 2010-02-19 2014-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番組表配信装置、番組配信装置、番組表受信端末、番組表送受信システム、番組表配信方法、番組表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701396B1 (en) * 2011-04-20 2019-09-04 Shenzhen Skyworth Digital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digital television program, and digital television reception terminal
KR102022093B1 (ko) * 2012-07-2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197872B2 (en) * 2013-02-21 2015-11-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anaging stored content
CN106797501B (zh) 2014-10-15 2020-03-20 麦克赛尔株式会社 广播接收装置和广播接收方法以及广播接收程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368B2 (ja) * 2004-03-26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グループ番組処理方法,グループ番組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792920B2 (en) * 2004-04-30 2010-09-07 Vulcan Inc. Network-accessible control of one or more media devices
JP4487707B2 (ja) * 2004-09-24 2010-06-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
JP2007235193A (ja) * 2006-02-27 2007-09-13 Toshiba Corp 記録再生装置、番組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558647A (zh) * 2006-08-29 2009-10-14 希尔克瑞斯特实验室公司 电视控制、播放列表生成和dvr系统和方法
KR100876701B1 (ko) * 2006-09-11 2008-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예약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8085515A (ja) * 2006-09-27 2008-04-10 Hitachi Ltd コンテンツ受信端末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54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6871B2 (ja) 2010-07-21
JP2009272729A (ja) 2009-11-19
US8634693B2 (en) 2014-01-21
US20090274448A1 (en) 2009-11-05
CN101572801B (zh) 2012-01-04
CN101572801A (zh)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0352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availability notification
CN102202241B (zh) 交互式媒体指南应用程序的配置文件的管理
CN101536520B (zh) 交互式媒体指南应用程序的配置文件的管理
JP5042883B2 (ja) コンテンツ推薦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CN101720015B (zh) 接收装置、接收方法和服务器装置
US20090279847A1 (en) Program accumulation apparatus, program accumulation reservation method, and program
KR20090115050A (ko) 녹화장치, 녹화상황 검출 방법, 방송프로그램 배신 녹화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00002163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시스템
US20090119712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list and sub-lis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645560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share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102176385B1 (ko) 방송 미디어 콘텐츠 및 스트리밍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상관 프로그래밍 정보의 제공
JP2010263527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74664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15703A (ja) 方法、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94906A (ja) 番組情報管理サーバ及び番組情報取得装置並びに番組情報取得システム
JP4853361B2 (ja) 放送記録装置及び放送記録方法
JP6775454B2 (ja) 録画予約装置、録画再生装置および録画予約方法
US20140089984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2007208927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2011151688A (ja) 録画装置及び録画方法
JP4439337B2 (ja) 番組録画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9081573A (ja) 録画再生装置
JP2011182462A (ja) 録画再生装置および録画再生処理のプログラム
JP2012249230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69057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정보제공장치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