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961A -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961A
KR20090113961A KR1020080039690A KR20080039690A KR20090113961A KR 20090113961 A KR20090113961 A KR 20090113961A KR 1020080039690 A KR1020080039690 A KR 1020080039690A KR 20080039690 A KR20080039690 A KR 20080039690A KR 20090113961 A KR20090113961 A KR 2009011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cold
pip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708B1 (ko
Inventor
이누리
이용춘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기승금속
주식회사 피아이피
한신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기승금속, 주식회사 피아이피, 한신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708B1/ko
Priority to CN2009801239498A priority patent/CN102066846A/zh
Priority to JP2011506201A priority patent/JP2011519011A/ja
Priority to PCT/KR2009/002140 priority patent/WO2009131399A2/ko
Priority to AU2009238777A priority patent/AU2009238777B2/en
Priority to US12/989,407 priority patent/US20110042468A1/en
Priority to EP09734801A priority patent/EP2306099A2/en
Publication of KR2009011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주거용 주택, 사우나시설, 공공화장실의 세면기 등의 온수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욕실입구 및 토수구(30)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19) 및 유량조절레버(31)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12)의 스위치 접점이 붙어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15)가 가동되어 혼합수관(20)과 순환수관(21)을 통하여 순환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이 이루어져 온도조절스위치(22)에서 설정한 온도의 온수가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 등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30)를 통하여 즉시 사용 가능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기존의 온수 사용방법에서와 같이 냉/온수일체형수전의 조절레버를 상,하,좌,우로 작동시켜 배관 내에 정체된 차가운 물을 빼낸 후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온도를 갖는 온수를 토출하기 위해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 일반적인 기존의 온수 사용방법에서 즉시 세대 배관내에서 냉,온수혼합수전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별도의 순환수관을 두어 온도센서의 최상점, 최하점 온도에 맞추어 온도센서의 접점이 붙고 떨어짐에 따라 24시간 수시로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가 가동되고, 온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시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냉/온수일체형수전의 조절레버의 조작미숙으로 온수보일러(11)에서 고온의 온수가 토수구(30)로 직접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목욕 또는 샤워시 사용 온수의 온도가 온수보일러(12)의 온수 가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하여 발생되는 온도의 변화 및 온도의 불쾌감을 없애고,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적으로 조립 구성된 1개의 서머밸브(18)에 의해 설정온도에 맞춰진 혼합수를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의 분배기능이 있는 밸브함(41)으로 분배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냉,온수 혼합(믹싱)없이 1개의 서머밸브(18)를 통하여 다수의 토수구(30)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혼합수를 공급하며, 온수/혼합수 사용 중에도 토수구(30)의 일측에 설치된 냉수/혼합수전환레버(32)를 돌리면 각각의 제어존(40)(40a)(40b)에는 분배기능이 있는 밸브함(41)의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즉시 냉수측으로 전환되어 항상 소비자 욕구에 맞는 냉수/혼합수의 선택 사용이 가능하고, 수전 또는 토수구의 시공 설치시에도 벽체 내부로 냉,온수관을 각각 배관하지 않고 냉수 또는 온수/혼합수를 공급하는 단하나의 온수/혼합수관 또는 냉수관을 1개의 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온수/혼합수 및 냉수를 즉시 공급받을 수 있어 배관의 가닥수를 줄일 수 있어 바닥 슬랩(Slab)구조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분배, 분기기능 및 온수/혼합수와 냉수를 전환하는 밸브함(41) 또한, 설치높이 및 벽체의 설치 위치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이중관구조로 상호 결합 배관된 것이다.
또, 양변기에 별도로 결합 설치되는 기존의 일체형 비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양변기의 좌, 우측 어느 한곳에 주름이중관(25)구조의 배관방식으로 혼합수관을 벽체 매립 배관하고 건축 마감 후 마감된 벽체 표면 측으로 별도의 혼합수 차단 및 유량조절레버(31)와 메탈호스(62)를 갖는 세정스프레이(60)를 설치하여 공동,개인욕실제어존(40a)(40b)의 각 밸브함(41)으로부터 사용자 욕구에 맞게 설정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벽체의 세정스프레이걸이에 걸려있는 세정스프레이(60)를 이용하여 대 변, 소변의 용변 후, 세정에 사용함은 물론 화장실 바닥청소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세대내 각각의 제어존(40)(40a)(40b)과 연결된 배관의 누수 또는 관교체시에도 건축마감재의 손상을 전혀 주지 않고 밸브함(41)의 전면 개폐문을 열어 밸브함(41)과 결합된 주름이중관(25)의 내부에 삽입 배관된 온수/혼합수관(20), 냉수관(23), 순환수관(21)을 밸브함(41) 내부를 통해 밖으로 빼내고 다시 집어넣어 배관을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벽체에 별도의 냉/온수일체형수전의 설치가 필요 없이 유량조절 및 유량차단을 하는 유량조절레버(31) 및 토수구(30)만을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벽면이 깔끔하여 미관상 보기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A Cold And Warm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주거용 주택, 사우나시설, 공공화장실의 세면기 등의 온수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욕실입구 및 토수구(30)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 및 유량조절레버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의 스위치 접점이 붙어 온수보일러의 순환수펌프가 가동되어 혼합수관과 순환수관을 통하여 순환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이 이루어져 온도조절스위치에서 설정한 온도의 온수가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 등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를 통하여 즉시 사용 가능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기존의 온수 사용방법에서와 같이 냉/온수일체형수전의 조절레버를 상,하,좌,우로 작동시켜 배관 내에 정체된 차가운 물을 빼낸 후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온도를 갖는 온수를 토출하기 위해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 일반적인 기존의 온수 사용방법에서 즉시 세대 배관내에서 냉,온수혼합수전을 통해 온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별도의 순환수관을 두어 온도센서의 최상점, 최하점 온도에 맞추어 온도센서의 접점이 붙고 떨어짐 에 따라 24시간 수시로 온수보일러와 순환수펌프가 가동되고, 온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시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냉/온수일체형수전의 조절레버의 조작미숙으로 온수보일러에서 고온의 온수가 토수구로 직접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목욕 또는 샤워시 사용 온수의 온도가 온수보일러의 온수 가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하여 발생되는 온도의 변화 및 온도의 불쾌감을 없애고, 스텝모터와 서머스타트밸브가 일체적으로 조립 구성된 1개의 서머밸브에 의해 설정온도에 맞춰진 혼합수를 각각의 제어존의 분배기능이 있는 밸브함으로 분배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냉,온수 혼합(믹싱)없이 1개의 서머밸브를 통하여 다수의 토수구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혼합수를 공급하며, 온수/혼합수 사용 중에도 토수구의 일측에 설치된 냉수/혼합수전환스위치를 누르면 각각의 제어존에는 분배기능이 있는 밸브함의 냉수/혼합수전환밸브가 즉시 냉수측으로 전환되어 항상 소비자 욕구에 맞는 냉수/혼합수의 선택 사용이 가능하고, 수전 또는 토수구의 시공 설치시에도 벽체 내부로 냉,온수관을 각각 배관하지 않고 냉수 또는 온수/혼합수를 공급하는 단하나의 온수/혼합수관 또는 냉수관을 1개의 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온수/혼합수 및 냉수를 즉시 공급받을 수 있어 배관의 가닥수를 줄일 수 있어 바닥 슬랩(Slab)구조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분배, 분기기능 및 온수/혼합수와 냉수를 전환하는 밸브함 또한, 설치높이 및 벽체의 설치 위치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이중관구조로 상호 결합 배관된 것이다.
또, 양변기에 별도로 결합 설치되는 기존의 일체형 비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양변기의 좌, 우측 어느 한곳에 주름이중관구조의 배관방식으로 혼합수관을 벽체 매립 배관하고 건축 마감 후 마감된 벽체 표면 측으로 별도의 혼합수 차단 및 유량조절레버와 메탈호스를 갖는 세정스프레이를 설치하여 공동,개일욕실제어존의 각 밸브함으로부터 사용자 욕구에 맞게 설정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벽체의 세정스프레이걸이에 걸려있는 세정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대변, 소변의 용변 후, 세정에 사용함은 물론 화장실 바닥청소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세대내 각각의 제어존과 연결된 배관의 누수 또는 관교체시에도 건축마감재의 손상을 전혀 주지 않고 밸브함의 전면 개폐문을 열어 밸브함과 결합된 주름이중관(25)의 내부에 삽입 배관된 온수/혼합수관, 냉수관, 순환수관을 밸브함 내부를 통해 밖으로 빼내고 다시 집어넣어 배관을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벽체에 별도의 냉/온수일체형수전의 설치가 필요 없이 유량조절 및 유량차단을 하는 유량조절레버 및 토수구만을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벽면이 깔끔하여 미관상 보기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종래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주거용 주택, 사우나시설 등에서의 냉,온수 공급시스템은 각 수요처로 직접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보일러(11)에 의해 뜨겁게 데워져 각 수요처로 공급되는 온수가 냉/온수일체형수전의 수전핸들의 조작에 의해 냉,온수가 혼합되어 냉/온수일체형수전의 토수구를 통해 토출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설치되는 종래의 구조는 냉/온수일체형수전의 토수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혼합수의 온도 및 수량을 조절하는 별도의 수전핸들이나 수동제어밸브로 구비되어 사용시에는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가 사용자의 임의 온도가 되도록 상기 수전핸들이나 수동제어밸브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냉,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냉온수 혼합수전과 일체로 형성된 수전의 토수구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수동으로 조작되는 수전핸들이나 수동제어밸브에 의한 혼합수의 토출은 사용자에 따라 토출되는 토출수의 온도가 상이하여 적정한 온도를 맞추기가 불편하며, 수전핸들의 개방시에는 온수관 내에 있는 낮은 온도의 온수와 냉수관의 냉수가 혼합되어 토출되므로 사용중에 토출수의 온도가 변하게 되어 적정 온도를 맞추기 위해 수전핸들을 다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수전핸들의 조작이 미숙하여 좌측의 온수 끝 방향으로 조작할 경우 뜨거운 급탕 또는 차가운 냉수가 토출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놀라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각각의 토수구로 토출되는 토출수의 온도 및 수량을 조절하는 별도의 수전핸들이나 수동제어밸브 및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관 및 온수공급관이 필히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벽체 매설작업이 복잡함은 물론 설치되는 각각의 수전핸들에 의해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수보일러의 가동 및 정지와 순환수펌프(15)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설정된 온도의 혼합수가 각각의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30)를 통하여 즉시 사용 가능한 설정된 온도의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온수 가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하여 발생되는 온도의 변화 및 온도의 불쾌감을 없애고, 고온의 급탕이 토 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 및 불필요한 순환수펌프의 가동을 제어하여 물의 낭비 및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하며, 각 제어존에 형성되는 밸브함끼리는 각각의 냉수관, 온수관, 혼합수관, 순환수관 등의 연질관이 삽입된 주름이중관 구조로 하여 밸브함 내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 배관되어 상기 연질관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각 밸브함의 내부로 설치되는 각 냉수/혼합수전환밸브에 의한 냉,온수/혼합수의 차단이 가능하여 각 토수부의 토수구 고장 또는 각 제어존별(세면기, 양변기, 욕조, 샤워, 싱크대수전, 세탁수전, 손빨래수전 등) 설치된 배관의 누수시 보수가 용이하며, 냉수 또는 온수/혼합수를 공급하는 단하나의 온수/혼합수관 또는 냉수관을 1개의 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온수/혼합수 및 냉수를 즉시 공급받을 수 있어 배관의 가닥수를 줄일 수 있어 바닥 슬랩(Slab)구조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양변기에 별도로 결합 설치되는 기존의 일체형 비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양변기의 좌, 우측 어느 한곳에 별도의 혼합수 차단 및 유량조절레버(31)와 메탈호스를 갖는 세정스프레이를 설치하여 각 밸브함(41)으로부터 사용자 욕구에 맞게 설정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대변, 소변의 용변 후, 세정에 사용함은 물론 화장실 바닥청소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수를 가열 공급하는 온수보일러(11)의 하부로 3-Way밸브(13) 및 압력감지센서(14)와 순환수펌프(15)가 노출 배관 설치되어 냉수를 분배하는 냉수분배관(16)과 온수를 분배하는 온수분배관(17) 이 형성되며, 상기 냉,온수분배관(16)(17)의 하부로 1개의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서머밸브(18)가 설치된 분배조절부(11)로 구성되며, 욕실입구 및 토수구(30)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19) 및 유량조절레버(31)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의 스위치 접점이 붙어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15)가 가동되어 혼합수관(20)과 순환수관(21)을 통하여 순환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이 이루어져 온도조절스위치(22)에서 설정한 온도의 혼합수가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30)를 통하여 즉시 사용 가능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고온의 급탕이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불필요한 물의 낭비 및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온수보일러(12) 및 분배조절부(11)를 제어하는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과; 상기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으로부터 설정된 온도로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를 공급받아 일체로 형성된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분배 및 차단하는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를 내설한 밸브함(41)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함(41)의 일측으로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를 냉수 및 혼합수측으로 선택 전환하며, 사용자 욕구에 맞는 혼합수의 토출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스위치(22) 및 가동스위치(19)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어스위치박스(펌프(19)가 설치된 각각의 제어존(40)(40a)(40b)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어존(40)(40a)(40b)으로부터 분배되어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의 유량조절 및 차단을 하는 유량조절레버(31) 및 냉,온수전환레버(32)를 갖는 토수구(30)와; 상기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과 각각의 제어존(40)(40a)(40b) 및 각 토수구(30)가 전기 및 전자적으로 결 선되어 온수/혼합수의 사용시에 온수보일러(12)의 가동과 혼합수의 설정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2)가 구비된 메인콘트롤존(70);을 포함하여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관(23)은 루프(ROOF)방식으로 상호 결합 배관되어 각각의 제어존(40)(40a)(40b)끼리 병렬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각의 제어존에 형성된 온도조절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물의 온도 및 수량이 자동 조절되어 상기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를 통하여 즉석에서 설정된 온도에 맞는 물이 토출되도록 하여 고온의 급탕이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각 제어존이 하나의 메인콘트롤존으로 제어되어 각 제어존에 설치된 다수의 토수구를 제어할 수 있어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며, 동시에 혼합수의 사용전에 욕실입구 및 토수구 근처의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를 누르면 온수보일러의 스위치 접점이 붙어 온수보일러가 가동되고 세대의 다수의 제어존에 설치된 서머밸브의 설정온도에 맞추어 혼합수관에서 순환수관으로 설정된 온도의 온수/혼합수가 순환하도록 하여 토수구의 개방시에 온수/혼합수가 나오면 압력감지센서의 접점이 떨어져 순환수펌프의 순환수관측으로의 가동이 중단되어 순환수관의 써쿨레이션이 중단되고, 토수구를 통해 혼합수를 계속적으로 사용시 온수보일러의 가동은 계속되고, 토수구의 유량조절레버를 잠금과 동시에 온수보일러의 가동이 중단됨으로서, 전기 및 연료의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혼합수가 나오기 전까지 흘러나오는 냉수를 버리게 되는 일이 없어 물의 낭비를 줄이며, 상기 각 제어존에 설치되는 토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냉,온수혼합수전의 설치가 필요 없어 배관 및 수전의 이음부분을 줄 일수 있고 각 제어존으로 각 토수구만을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벽면이 깔금 하여 미관상 보기 좋은 효과가 있으며, 또한, 양변기본체에 별도의 양변기 일체형 세정 비데을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 욕구에 맞게 설정된 혼합수를 개인,공동화장실존의 밸브함으로부터 공급받아, 양변기 좌, 우측 한곳에 주름이중관구조의 배관방식으로 혼합수관을 벽체 매립배관하고 건축 마감 후 마감된 벽체 표면측으로 별도의 혼합수 차단 및 유량조절레버와 메탈호스를 갖는 세정스프레이를 설치하여 벽체의 세정스프레이고정부라켓에 걸려있는 세정스프레이를 대변, 소변을 본 후 생리부위의 세정에 사용하며, 화장실 바닥청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냉수를 가열 공급하는 온수보일러(12)의 하부로 3-Way밸브(13) 및 압력감지센서(14)와 순환수펌프(15)가 노출 배관 설치되어 냉수를 분배하는 냉수분배관(16)과 온수를 분배하는 온수분배관(17)이 형성되며, 상기 냉,온수분배관(16)(17)의 하부로 1개의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서머밸브(18)가 설치된 분배조절부(11)로 구성되며, 욕실입구 및 토수 구(30)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19) 및 유량조절레버(31)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의 스위치 접점이 붙어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15)가 가동되어 혼합수관(20)과 순환수관(21)을 통하여 순환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이 이루어져 온도조절스위치(22)에서 설정한 온도의 혼합수가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30)를 통하여 즉시 사용 가능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고온의 급탕이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불필요한 물의 낭비 및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온수보일러(12) 및 분배조절부(11)를 제어하는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과; 상기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으로부터 설정된 온도로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를 공급받아 일체로 형성된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분배 및 차단하는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형성된 분기유로관(42)을 내설한 밸브함(41) 및 사용자 욕구에 맞는 혼합수의 토출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스위치(22) 및 가동스위치(19)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어스위치박스(44)가 설치된 각각의 제어존(40)(40a)(40b)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어존(40)(40a)(40b)으로부터 분배되어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의 유량조절 및 차단을 하는 유량조절레버(31) 및 냉,온수전환레버(32)를 갖는 토수구(30)와; 상기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과 각각의 제어존(40)(40a)(40b) 및 각 토수구(30)가 전기 및 전자적으로 결선되어 온수/혼합수의 사용시에 온수보일러(12)의 가동과 혼합수의 설정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2)가 구비된 메인콘트롤존(70);을 포함하여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관(23)은 루프(ROOF)방식으로 상호 결합 배관되어 각각의 제어 존(40)(40a)(40b)끼리 병렬배관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수관(23)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가열하는 온수보일러(12)의 하부로 3-Way밸브(13) 및 압력감지센서(14)와 순환수펌프(15)가 노출 배관 설치되어 냉수를 분배하는 냉수분배관(16)과 상기 온수보일러(12)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분배하는 온수분배관(17)이 형성된다.
상기 냉,온수분배관(16)(17)의 하부로는 서머밸브(18)가 다수 설치된 것으로, 도 3 및 도 3a에서와 같이 1개의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냉,온수분배관(16)(17)으로부터 냉,온수를 받아 혼합된 혼합수를 각 제어존(40)(40a)(40b)으로 공급하는 분배조절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서머밸브(18)는 혼합수의 설정온도를 맞추는 5상 또는 다상의 스텝모터(18a)가 서머스타트밸브(18b)와 브라켓(18c)에 의해 일체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스텝모터(18)는 DC 전원이 공급되며, 메인콘트롤존(70)의 콘트롤러(72)와 각 제어존(40)(40a)(40b)의 제어스위치박스(44)에 형성된 온도조절스위치(22)에 전기선(6)으로 연결되어 콘트롤러(72) 및 각 온도조절스위치(22)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각 사용처 또는 욕실입구 및 토수구(30)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19) 및 토수구(30)의 일측으로 형성된 유량조절레버(31)를 동작시킴에 따라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의 스위치 접점이 붙어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15)가 가동되어 혼합수관(20)과 순환수관(21)을 통하여 순환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이 이루어져 온도조절스위치(22)에서 설정한 온도의 혼합수가 상기 서머밸브(18)를 통하여 각 제어존(40)(40a)(40b)을 형성하는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30)로 즉시 사용 가능한 설정된 온도를 갖는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고온의 급탕이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불필요한 물의 낭비 및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온수보일러(12)를 제어한다.
상기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19)는 ON으로 하면 일정한 시간(몇분동안)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OFF되어 온수/혼합수의 사용후에 토수구(30)로 토출수(혼합수)가 토출되는 것을 멈추게 하면 배관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압력감지센서(14)의 접점이 붙어도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가 계속적으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으로부터 설정된 온도로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는 주방제어존(40)을 구성하는 밸브함(41)의 내부로 설치된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구비된 분기유로관(42)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의 밸브함(4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함(41)의 내측으로 다수의 입출구(46)를 갖는 온수/혼합수분기유로(47) 및 냉수분기유로(48)가 형성되며, 중앙부로 모터(45)를 구비한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형성된 분기유로관(42)으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함(41)의 내측으로 설치 고정된다.
상기 분기유로관(42)의 일측의 온수/혼합수분기유로(47) 전방으로 형성된 입출구(46)로는 온수/혼합수관(20)과 발코니온수/혼합수공급관(49) 및 싱크대환수관(50)이 결합되며, 타측의 냉수분기유로(48) 전방으로 형성된 입출구(46)로는 공 동욕실측, 개인욕실측, 발코니측으로 연결되는 냉수관(23)이 각각 연결 결합 설치된다.
상기 온수/혼합수관(20), 싱크대환수관(50), 다수의 냉수관(23)은 연결엘보우(51)로써 연결되어 결합 설치된다.
상기 싱크대환수관(50)이 결합 형성된 온수/혼합수분기유로(47)의 일측으로 온수보일러(12)측으로 연결되는 메인순환수관(21)과, 공동욕실측 및 개인욕실측으로 연결되는 환수관(21)이 결합되는 다수의 출구(46a)를 갖는 순환수합류관(52)이 연결엘보우(51)로써 연결되어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순환수관(21)이 결합 설치되는 다수의 출구(46a)와 연결엘보우(51)사이에는 역류밸브(53)가 설치되어 순환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밸브함(41)이 설치된 벽체의 일측으로는 사용자의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혼합수의 토출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스위치(22) 및 가동스위치(19)가 형성된 제어스위치박스(4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밸브함(41)의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로부터 분배되어 공급되는 혼합수 및 냉수는 싱크대측으로 설치된 토수구(3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로부터 싱크대측의 토수구(30)까지 연결되는 배관은 플렉시블관으로 연결 배관된다.
상기 토수구(30)는 유량조절 및 차단을 하는 유량조절레버(31)와 냉,온수전환레버(32)가 구비된다.
또한, 온수/혼합수분기유로(47) 전방으로 형성되어 결합된 발코니온수/혼합 수공급관(49)을 통해 분배되어 공급되는 온수/혼합수는 세탁실측으로 설치된 토수구(30)로 공급된다.
상기 세탁실측 토수구(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실밸브함(56)의 내부로 냉수/혼합수를 전환 공급하는 냉수관(23) 및 혼합수관(20)이 결합되는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설치되며, 상기 세탁실밸브함(56)의 전방으로 세탁기가 연결되는 토수구(30)가 결합 설치된 겉커버(57)가 결합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시공완료 후 누수 등으로 인한 보수를 요할 때 작업공구 혹은 작업자의 손이 왕래할 수 있도록 작업용구멍(58a)이 크게 형성되고, 외측 표면에는 몰탈이나 타일 등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마찰돌기(58b)가 형성된 속커버(58)가 결합된다.
또, 상기 세탁실밸브함(56)의 일측으로는 벽체 내부로 매립 설치되는 헤드(34)가 설치되어 손빨래용 혼합수 및 냉수가 토출되는 토수제어핸들이 설치된 토수구(30)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함(41)의 일측으로 설치된 제어스위치박스(44)는 사용자의 동선에 적합한 위치 예로써, 주방일 경우에는 싱크대의 상부 벽면 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혼합수의 토출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스위치(22) 및 가동스위치(19)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기능을 부가하는 별도의 스위치도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공동욕실제어존(40a)의 밸브함(41)의 내부에 설치된 분기유로관(42)을 발췌하여 보인 것으로, 상기 주방제어존(40)을 구성하는 밸브함(41)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는 공동욕실제어존(40a)의 밸브함(41)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동욕실제어존(40a)을 구성하는 밸브함(41)의 내부로는 상기 주방제어존(40)을 구성하는 밸브함(41)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유로관(42)과 동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분기유로관(42)이 설치된 것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함(41)의 내측으로 다수의 입출구(46)를 갖는 온수/혼합수분기유로(47) 및 냉수분기유로(48)가 형성되며, 중앙부로 모터(45)를 구비한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형성된 분기유로관(42)으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함(41)의 내측으로 설치 고정된다.
상기 분기유로관(42)의 일측의 온수/혼합수분기유로(47) 전방으로 형성된 입출구(46)로는 온수보일러(12)측으로 연결된 온수/혼합수관(20)과 온수/혼합수가 순환하는 순환수관(21)이 결합되며, 타측의 냉수분기유로(48) 전방으로 형성된 입출구(46)로는 메인수도의 냉수관(23)에서 직수되는 냉수 및 주방측과 양변기(65)측으로 연결되는 냉수관(23)이 각각 결합 설치된다.
또, 상기 분기유로관(42)의 하부로는 세정스프레이(60)측과 욕조샤워 및 세면기측으로 냉수 또는 온수/혼합수를 분배 공급하는 분기관(64)이 결합 구성된다.
상기의 세정스프레이(60)는 양변기(65) 본체에 별도의 양변기일체형 세정 비데를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 욕구에 맞게 설정된 혼합수를 밸브함(41)으로부터 공급받아 양변기 좌, 우측 한곳에 주름이중관(25)구조의 배관방식으로 혼합수관을 벽체 매립 배관하고 건축 마감 후 마감된 벽체 표면측으로 별도의 혼합수 차단 및 유량조절레버(31)와 메탈호스(62)로 연결된 세정스프레이(60)를 설치하여 대변, 소변을 본 후 세정에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청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스프레이(60)에는 유량조절버튼(63)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유량조절버튼(63)을 눌러 혼합수를 토출시켜 세정을 하거나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청소에 사용한다.
또,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밸브함(41)의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로부터 공급되는 혼합수 및 냉수는 분기관(64)에 의해 분기되어 세정스프레이(62)와 욕조샤워 및 세면기측으로 혼합수 및 냉수의 유량조절 및 차단이 되는 유량조절레버(31)가 배관 설치된 헤드(34)가 벽체 내부로 매립 설치되며, 상기 매립 설치된 헤드(34)에 세면기 또는 욕조샤워측으로 냉수/혼합수를 토출하는 토수구(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로부터 세면기측의 토수구(30)까지 연결되는 배관은 플렉시블관으로 연결 배관된다.
또한, 상기 밸브함(41)의 일측으로 설치된 제어스위치박스(44)는 사용자의 동선에 적합한 위치 예로써, 세면기 또는 욕조의 경우 사용자의 손이나 움직임이 많지 않는 동선 안의 위치에 설치하고,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혼합수의 토출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스위치(22) 및 가동스위치(19)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기능을 부가하는 별도의 스위치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개인욕실제어존(40b)의 밸브함(41)의 내부로 설치된 분기유로관(42) 및 제어스위치박스(44)와 각부로 연결된 토수구(30)의 연결 상태 및 배관은 상기 공동욕실제어존(40a)의 구성 및 배관과 동일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메인콘트롤존에 의해 온수공급시스템을 제어하는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냉수관(23)이 연결된 수도계량기함(1)과 서머밸브(18)를 구성하는 스텝모터(18a)와 각 제어존(40)(40a)(40b)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각 3-Way밸브(13) 및 온도조절스위치(22)와 전기, 전자적으로 결선되어 온수보일러(12)의 가동과 혼합수의 온도설정 및 수량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2)가 구비된 메인콘트롤존(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의 냉수관(23)은 상호 배관 결합이 루프(ROOF)방식으로 각각의 제어존(40)(40a)(40b)끼리 병렬배관으로 구성되어 메인수도관의 냉수관(23)으로부터 온수보일러(12)와 공동욕실제어존(40a) 및 개인욕실제어존(40b)으로 냉수(직수)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여 1세대 내에서 2군데 이상의 토수구(30)에서 냉수를 동시 사용할 경우 2방향에서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냉수유량의 변화를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온수공급시스템은 제어스위치박스(44)에 설치된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19)를 ON으로 하면 일정한 시간(몇분동안)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OFF되어 온수/혼합수의 사용후에 토수구(30)로 토출수(혼합수)가 토출되는 것을 멈추게 하면 배관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압력감지센서(14)의 접점이 붙어도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가 계속적으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수보일러(12)의 하부에는 별도로 순환수펌프(15)와 3-Way밸브(13) 및 압력감지센서(14)를 두어 상기 제어스위치박스(44)에 설치된 순환수펌프가동스위치(19)를 누르면 3-Way밸브(13)가 순환수관(21)과 온수관(24)측으로 밸브를 열어 온수보 일러(12)와 순환수펌프(14)가 가동되고 온수보일러(12) 내부에 설치된 온수가열코일(도시생략)을 통해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관(24)을 통해 서머밸브(18)에서 설정된 온도의 온수/혼합수가 온수관(51)과 순환수관(16)으로 반복적인 써쿨레이션(circulation)되어 토수구(30)로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혼합수를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토수구(30) 개방시에는 배관내의 압력이 떨어져 압력감지센서(14)의 접점이 떨어져 3-Way밸브(13)가 순환수관(21)과 온수관(24)측으로 밸브를 닫고 냉수관(23)과 온수보일러(12) 온수가열코일을 거처 온수관(24)측으로 3-Way밸브(13)가 열려 온수/혼합수의 공급은 계속되고, 토수구(30)의 일측으로 형성된 유량조절레버(31)를 잠금과 동시에 온수보일러(12)의 가동이 중단됨으로서, 혼합수가 나오기 전까지 흘러 나오는 냉수를 버리게 되는 일이 없어 물의 낭비를 줄이며, 24시간 온수설정온도에 맞추어 온수보일러(12)의 순환 가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및 연료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서 에너지 낭비를 줄이게 된다.
상기 각 제어존(40)(40a)(40b)의 밸브함(41)은 벽체에 매립 설치되며, 다른 실시 방법으로는 화장실의 천장슬랩(Slab)으로 노출설치 및 씽크대 또는 드레스룸의 벽장 등과 같은 각종 장이나 벽장이 설치되는 장의 하부의 벽면으로 노출 및 바닥슬랩(Slab)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밸브함 배관 연결은 주름이중관(25) 구조로 컨넥터(도시생략)를 사용 각각 결합 배관되며, 주름이중관(25)의 속으로는 연질관(냉수, 온수/혼합수관, 순환수관)이 삽입 배관되어 밸브함(41) 내부를 통해서 빼내거나 다시 집어넣어 배관하며 밸브함(41)의 내부에는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모터(45)로 조작되 어 냉수 또는 온수/혼합수를 선택 전환하는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설치되고, 상기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를 통과한 냉수, 온수/혼합수를 각각의 토수구(30)로 보냄은 물론, 개별 차단하여 각 토수구(30)의 고장 또는 각 제어존(40)(40a)(40b)별(세면기, 양변기, 욕조, 샤워, 싱크대수전, 세탁수전, 손빨래수전 등) 설치된 배관의 누수시 보수가 용이하여 종래의 수리 보수시에 수도계량기함(1)의 인입밸브를 잠금으로 전체 세대내 전체에 수도물을 사용할 수 없는 종전의 방식과는 다르게 각각 온수/혼합수의 개별 잠금 후 사용되며, 밸브함(41)의 다양한 냉수, 온수/혼합수, 순환수의 유로 구성으로 각각의 토수구(30) 및 타측 제어존으로 분기 분배, 루프(Roof)로 상호 연결 배관하는 기능이 있다.
또, 양변기에 별도로 결합 설치되는 기존의 일체형 비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양변기의 좌, 우측 어느 한곳에 별도의 혼합수 차단 및 유량조절레버(31)와 메탈호스와 세정스프레이를 설치하여 각 밸브함(41)으로부터 사용자 욕구에 맞게 설정된 혼합수를 공급받아 대변, 소변의 용변 후, 세정에 사용함은 물론 화장실 바닥청소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세대 내의 각 제어존(40)(40a)(40b)과 연결된 수전 또는 토수구(30)가 설치된 벽체에 각각의 냉수 또는 온수/혼합수를 공급하는 냉수관(23) 또는 혼합수관(20)을 각각 설치할 필요 없이 단하나의 온수/혼합수관 또는 냉수관을 1개의 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온수/혼합수 및 냉수를 즉시 공급받을 수 있어 배관의 가닥수를 줄일 수 있어 바닥 슬랩(Slab)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온수공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서, 냉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보일러(12)와; 수도관의 냉수관(23)으로부터 공급된 냉수를 분배하는 냉수분배관(16)과 상기 온수보일러(12)로부터 가열되어 공급된 온수를 분배하는 온수분배관(17)이 형성되며, 수동으로 작동되어 설정온도를 조절하는 서머밸브(18)가 설치된 분배조절존(11a)과; 상기 분배조절존(11a)의 각 서머밸브(18)로부터 혼합수가 공급되며, 상기 냉수관(23)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어 다수의 토수구(30)로 냉수 및 혼합수를 분배하는 냉수/혼합수전환밸브가 설치된 밸브함(41)이 설치된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온수공급시스템은 각각의 서머밸브(18)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 없이 사용자의 설정에 맞는 온도를 갖는 온수온도의 조절을 수동방식으로 하며, 온수보일러(12)의 하부로 냉수관(23)과 온수관(24)만을 직접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설치가 매우 간단한 온수공급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배관 설치의 재료 절감은 물론 작업 공정이 매우 쉽고 간단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순환순펌핑분배제어존을 보인 발췌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의 서머밸브를 보인 일부 발췌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제어존의 밸브함 내부에 설치된 분기유로관을 보인 발췌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욕실제어존의 밸브함 내부에 설치된 분기유로관을 보인 발췌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탁실밸브함을 보인 발췌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콘트롤존에 의해 온수공급시스템을 제어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온수공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도계량기함 10 순환수펌핀분배제어존
11 분배조절부 12 온수보일러
13 3-Way 밸브 14 압력감지센서
15 순환수펌프 16 냉수분배관
17 온수분배관 18 서머밸브
18a 스텝모터 18b 서머스타트밸브
19 가동스위치 20 혼합수관
21 순환수관 22 온도조절스위치
23 냉수관 24 온수관
25 주름이중관 30 토수구
31 유량조절레버 32 냉수/혼합수전환레버
34 헤드 40,40a,40b 제어존
41 밸브함 42 분기유로관
43 냉수/혼합수전환밸브 44 제어스위치박스
45 모터 46 입출구
46a 출구 47 온수/혼합수분기유로
48 냉수분기유로 49 발코니온수/혼합수공급관
50 싱크대환수관 51 연결엘보우
52 순환수합류관 53 역류밸브
60 세정스프레이 62 메탈호스
63 유량조절버튼
64 분기관 65 양변기
70 메인콘트롤존 72 콘트롤러

Claims (11)

  1. 냉수를 가열 공급하는 온수보일러(11)의 하부로 3-Way밸브(13) 및 압력스위치(25)와 순환수펌프(14)가 노출 배관 설치되어 냉수를 분배하는 냉수분배관(16)과 온수를 분배하는 온수분배관(17)이 형성되며, 상기 냉,온수분배관(16)(17)의 하부로 1개의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서머밸브(18)가 설치된 분배조절부(11)로 구성되며, 욕실입구 및 토수구(30)의 일측에 설치된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19) 및 유량조절레버(31)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의 스위치 접점이 붙어 온수보일러(12)의 순환수펌프(15)가 가동되어 혼합수관(20)과 순환수관(21)을 통하여 순환수의 써쿨레이션(circulation)이 이루어져 온도조절스위치(22)에서 설정한 온도의 혼합수가 공동욕실, 주방, 개인욕실, 세탁실에 설치된 각각의 토수구(30)를 통하여 즉시 사용 가능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고온의 급탕이 토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불필요한 물의 낭비 및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온수보일러(12) 및 분배조절부(11)를 제어하는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과;
    상기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으로부터 설정된 온도로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를 공급받아 일체로 형성된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분배 및 차단하는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를 내설한 밸브함(41)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함(41)의 일측으로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를 냉수 및 혼합수측으로 선택 전환하며, 사용자 욕구에 맞는 혼합수의 토출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스위치(22) 및 가동스위치(19)가 형 성되어 사용자의 동선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어스위치박스(44)가 설치된 각각의 제어존(40)(40a)(40b)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어존(40)(40a)(40b)으로부터 분배되어 공급되는 냉수 및 혼합수의 유량조절 및 차단을 하는 유량조절레버(31) 및 냉,온수전환레버(32)를 갖는 토수구(30)와;
    상기 순환수펌핑분배제어존(10)과 각각의 제어존(40)(40a)(40b) 및 각 토수구(30)가 전기 및 전자적으로 결선되어 온수/혼합수의 사용시에 온수보일러(12)의 가동과 혼합수의 설정온도 및 유량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2)가 구비된 메인콘트롤존(70);을 포함하여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관(23)은 루프(ROOF)방식으로 상호 결합 배관되어 각각의 제어존(40)(40a)(40b)끼리 병렬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2. 1세대 내에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로 조립 구성된 1개의 서머밸브(18)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혼합수를 공급하는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을 2개 이상의 제어존(40)(40a)(40b)으로 구성하여, 일측제어존(40)의 밸브함(41)의 내부로 설치된 서머밸브(18)를 통해 사용자 욕구에 맞는 온도로 설정된 온수를 공급받아 세면 또는 샤워 중에 타제어존(40a)(40b)의 다른 사용자가 밸브함(41)의 서머밸브(18)로 50℃ 이상의 뜨거운 온수를 설정하여 사용시에 각각의 순환수관(21)을 통해 순환수합류관(52)으로 합류시 타측제어존(40a)(40b)에서 사용되는 뜨거운 온수가 순환수관(21)을 통해 타측 제어 존(40a)(40b)의 밸브함(41)으로 역류하여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는 갑작스런 온수/혼합수 온도로 변화를 일으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밸브함(41)에서 각각의 순환수관(21)을 통해 순환수합류관(52)으로 합류 전의 순환수합류관(52)의 각 출구(46a)에 역류밸브(53)를 설치하여, 온수/혼합수관(20)을 통해 타측의 밸브함(41)으로 각기 다른 온도의 온수/혼합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3. 1세대 내에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로 조립 구성된 1개의 서머밸브(18)를 통하여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에 맞게 설정된 온수/혼합수를 밸브함(41)으로부터 공급받아 양변기 좌, 우측 한곳에 주름이중관(25)구조의 배관방식으로 혼합수관을 벽체 매립 배관하고 건축 마감 후 마감된 벽체 표면측으로 별도의 혼합수 차단 및 유량조절용레버(32)와 메탈호스(62)로 연결시켜 대변, 소변을 본 후 세정을 하는 세정스프레이(6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온도설정에 따라 온수/혼합수의 설정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4. 순환수펌프(19)를 ON으로 하면 타임스위치의 일정한 몇분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타임스위치의 접점이 OFF되어 순환수펌프(15)의 가동이 중단되고, 온수/혼합수 사용 후 토수구(30)를 잠그면 배관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압력감지센서(14)의 접점이 붙어도 순환수펌프(19)의 타임스위치의 접점이 OFF되어 있어 온수보일 러(12)와 순환수펌프(15)가 계속적으로 써쿨레이션(circulation)으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5. 밸브함(41)의 내부로 설치된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를 통과한 냉수, 온수/혼합수를 각각의 토수구(30)로 보냄은 물론 개별 차단하여 각 토수구(30)의 고장 또는 각 제어존(40)(40a)(40b)별로 설치된 배관의 누수시에 각 토수구(30) 또는 각 제어존(40)(40a)(40b)별로 개별 잠금하며 타측의 토수구(30) 또는 제어존(40)(40a)(40b)은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6. 1세대 내의 각 제어존(40)(40a)(40b)과 연결된 수전 또는 토수구(30)가 설치된 벽체에 각각의 냉수 또는 온수/혼합수를 공급하는 냉수관(23) 또는 혼합수관(20)을 각각 설치할 필요 없이 단하나의 온수/혼합수관 또는 냉수관을 1개의 배관라인을 설치하여 온수/혼합수 및 냉수를 즉시 공급받을 수 있어 벽체 및 바닥으로 매립 배관되는 배관의 가닥수를 줄일 수 있어 벽체 및 바닥 슬랩(Slab)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7. 각 제어존(40)(40a)(40b)의 밸브함(41)으로 연결 설치되는 각각의 냉수관(23), 온수/혼합수관(20), 순환수관(21) 및 토수구(30)는 주름이중관(25) 구조로 연결 결합되어 분기, 분배, 루프(Roof)방식으로 상호 연결 배관되는 분배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8. 각 제어존(40)(40a)(40b)의 밸브함(41) 내부로 설치된 분기유로관(42)은 일측으로 다수의 입출구(46)를 갖는 온수/혼합수분기유로(47)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2개 이상의 입출구(46)를 갖는 냉수분기유로(48)가 형성되며, 중앙부로 모터(45)를 구비한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를 형성하여 각 제어존(40)(40a)(40b)의 냉수관(23)을 상호 루프(ROOF)방식으로 병렬배관으로 구성함으로써, 1세대 내에서 2군데 이상의 토수구(30)를 통하여 냉수를 동시 사용할 경우 2방향에서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냉수유량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9. 온수보일러 하부에 별도로 순환수펌프(15)와 3-Way밸브(13) 및 배관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14)를 설치하여 순환수펌프(19)를 누르면 3-Way밸브(13)가 순환수관(21)과 온수관(24)측으로 밸브를 열어 온수보일러(12)와 순환수펌프(15)가 가동되고 온수보일러(12) 내부에 설치된 온수가열코일(도시생략)을 통해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관(24)을 통해 서머밸브(18)에서 설정된 온도의 온수/혼합수가 온수관(24)과 순환수관(21)으로 반복적인 써쿨레이션(circulation)되어 토수구(30)로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혼합수를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토수구(30) 개방시에는 배관내의 압력이 떨어져 압력감지센서(14)의 접점이 떨어져 3-Way밸 브(13)가 순환수관(21)과 온수관(24)측으로 밸브를 닫고 냉수관(23)과 온수보일러(12) 온수가열코일을 거처 온수관(24)측으로 3-Way밸브(13)가 열려 온수/혼합수의 공급은 계속되고, 토수구(30)의 일측으로 형성된 유량조절레버(31)를 잠금과 동시에 온수보일러(12)의 가동이 중단되어 혼합수가 나오기 전까지 흘러 나오는 냉수를 버리게 되는 일이 없어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10. 1세대 내에 스텝모터(18a)와 서머스타트밸브(18b)가 일체로 조립 구성되어 DC전원의 공급으로 자동 제어되는 서머밸브(18)의 사용자의 온도설정을 수동제어로 구성되며, 각 제어존(40)(40a)(40b)의 밸브함(41)마다 서머밸브(18)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각 밸브함(41)으로 배관 설치된 다수의 토수구(30)로 수동제어방식으로 냉수, 온수/혼합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11. 냉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보일러(12)와;
    냉수관(23)으로부터 공급된 냉수를 분배하는 냉수분배관(16)과 상기 온수보일러(12)로부터 가열되어 공급된 온수를 분배하는 온수분배관(17)이 형성되며, 수동으로 작동되어 설정온도를 조절하는 서머밸브(18)가 설치된 분배조절존(11a)과;
    상기 분배조절존(11a)의 각 서머밸브(18)로부터 혼합수가 공급되며, 상기 냉수관(23)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어 다수의 토수구(30)로 냉수 및 혼합수를 분배하 는 냉수/혼합수전환밸브(43)가 설치된 밸브함(41)이 설치된 각각의 제어존(40)(40a)(40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KR1020080039690A 2008-04-23 2008-04-29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KR10096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690A KR100960708B1 (ko) 2008-04-29 2008-04-29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CN2009801239498A CN102066846A (zh) 2008-04-23 2009-04-23 温控的混合水和冷/热水供水系统
JP2011506201A JP2011519011A (ja) 2008-04-23 2009-04-23 温度調節の容易な混合水及び冷温水供給システム
PCT/KR2009/002140 WO2009131399A2 (ko) 2008-04-23 2009-04-23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AU2009238777A AU2009238777B2 (en) 2008-04-23 2009-04-23 Temperature-controlled mixed water and cold/hot water supply system
US12/989,407 US20110042468A1 (en) 2008-04-23 2009-04-23 Temperature-controlled mixed water and cold/hot water supply system
EP09734801A EP2306099A2 (en) 2008-04-23 2009-04-23 Temperature-controlled mixed water and cold/hot water suppl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690A KR100960708B1 (ko) 2008-04-29 2008-04-29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961A true KR20090113961A (ko) 2009-11-03
KR100960708B1 KR100960708B1 (ko) 2010-06-01

Family

ID=4155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690A KR100960708B1 (ko) 2008-04-23 2008-04-29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7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01B1 (ko) * 2010-05-14 2012-06-11 주식회사 기승금속 냉온수 공급 시스템
CN110179422A (zh) * 2019-05-08 2019-08-30 泰州浩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商用洗碗机用混合能源加热装置
KR20200039091A (ko) * 2018-10-05 2020-04-16 손정우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KR102475059B1 (ko) * 2021-12-07 2022-12-07 대창설비(주) 계량기 일체형 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81B1 (ko) 2008-06-24 2011-03-09 주식회사 피아이피 냉,온수공급시스템
KR101620814B1 (ko) * 2014-12-17 2016-05-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감압밸브가 구비된 온수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381B1 (ko) 2006-03-13 2007-09-11 김영희 온수 보일러의 절수시스템
KR100699916B1 (ko) 2006-04-12 2007-03-28 이기주 열효율 향상을 위한 욕탕 및 난방 제어시스템
KR100695219B1 (ko) 2006-09-15 2007-03-16 신기빈 냉온수 배관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01B1 (ko) * 2010-05-14 2012-06-11 주식회사 기승금속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20200039091A (ko) * 2018-10-05 2020-04-16 손정우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CN110179422A (zh) * 2019-05-08 2019-08-30 泰州浩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商用洗碗机用混合能源加热装置
CN110179422B (zh) * 2019-05-08 2024-01-30 泰州浩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商用洗碗机用混合能源加热装置
KR102475059B1 (ko) * 2021-12-07 2022-12-07 대창설비(주) 계량기 일체형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708B1 (ko) 201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163B1 (ko) 개선된 컨트롤부를 구비한 냉온수공급시스템
JP2011519011A (ja) 温度調節の容易な混合水及び冷温水供給システム
KR101020082B1 (ko) 혼합수의 온도조절과 분배/차단이 용이한 서머밸브함을갖는 냉,온수공급시스템 및 서머밸브함의 시공방법
KR100960708B1 (ko)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KR101742568B1 (ko) 온수 공급 제어장치
CA2957690C (en) Flushing station for a ring-pipe or series-pipe system, ring-pipe system as well as series-pipe system
KR100940256B1 (ko) 서머밸브를 이용하여 다수의 수전으로 냉수 및 혼합수를 토출하는 온수보일러 및 순간온수기의 온수공급시스템
KR100695219B1 (ko)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0940258B1 (ko) 지역난방열 또는 중앙공급난방열을 이용한냉,온수공급시스템
US20110168266A1 (en) Closed System Water Conservation Apparatus
KR101179863B1 (ko)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020081B1 (ko) 냉,온수공급시스템
KR101636621B1 (ko)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기능을 갖는 온수통과 결합된 세면 샤워대
WO2018020740A1 (ja) 設備コア構造物及び設備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3951173B2 (ja) 浴室暖房装置
JP2018015223A (ja) 浴槽装置
JP2006090643A (ja) 浴室暖房装置
JP3782597B2 (ja) ユニット建物の配管構造
KR101467355B1 (ko) 세대별 보일러가 설치된 가정용 온수 공급 시스템
KR200431836Y1 (ko) 냉온수 배관시스템
JP2003232063A (ja) 集水台
JP2002106000A (ja) 給水システム
JP2004065852A (ja) 浴室散水装置
JP2018175000A (ja) 浴槽洗浄装置
JPH08158446A (ja) 局部洗浄装置における冷水排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