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646A -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보안장치 및 보안방법 - Google Patents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보안장치 및 보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646A
KR20090113646A KR1020080039475A KR20080039475A KR20090113646A KR 20090113646 A KR20090113646 A KR 20090113646A KR 1020080039475 A KR1020080039475 A KR 1020080039475A KR 20080039475 A KR20080039475 A KR 20080039475A KR 20090113646 A KR20090113646 A KR 2009011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lephone
call
ho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585B1 (ko
Inventor
정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to KR102008003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58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16Event detection, e.g. attack signatur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STN망을 이용한 홈네트웍 원격제어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에 대비하여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국선 전화선을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와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국선연결부; 전화 수신기능을 하는 전화착신부; 상기 국선연결부와 상기 전화착신부를 연결하거나 끊기 위한 국선 릴레이부; 사용자가 입력한 DTMF톤 신호를 인식하여 숫자로 변환하는 DTMF톤 인식부; 상기 DTMF톤 인식부에서 처리된 가정내 기기들의 보안등급과 콜백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전화기와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전화기 연결부; 콜백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전화발신부; 상기 전화기 연결부와 상기 전화발신부를 연결하는 전화기 릴레이부; 음성안내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안내부; 및 국선을 통해 수신된 제어정보와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비교하여 보안등급에 따라 원격제어 명령을 판단 및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있다.
홈서버, 홈게이트웨이, 전화기, DTMF, 콜백, 원격제어

Description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Homenetwork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of remote comtrol with DTMF by using callback function}
본 발명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복합주파수부호] 신호를 이용하여 원격제어를 하도록 된 홈네트웍시스템에서 전화기와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 사이에 오가는 원격제어신호를 해킹한 타인에 의해 불법제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홈네트웍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항목에 대하여는 콜백기능을 이용한 제어만 가능하게 하여 불법제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내 가전기기 및 통신 가능 기기의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홈네트웍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가정 외부에서 가정 내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인터넷을 이용한 방법과 전화망의 DTMF 톤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서버와 제어대상 기기 내에서 보안 기능을 높은 수준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게 되어 인터넷 환경, 상기 휴대단말기의 구비 및 기기 사용상의 난이도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이 아닌 PSTN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한 텔레뱅킹(telebanking)과 같이 원격에서 일반전화기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안내음성에 따라 정하여진 DTMF코드를 입력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편리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DTMF코드를 입력하여 제어하는 방식은 세계적으로 정해진 복수의 주파수를 합성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전화기와 가정내 전화선에 연결된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 사이에서 제3자가 도청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한 내용을 알 수가 있게 된다.
텔레뱅킹에 사용되는 고가의 시스템이 아닌 홈네트웍 장치에서는 텔레뱅킹과 같은 보안을 유지하기는 어려운 형편이어서 아무 보안방안 없이 사용되거나, 보안을 위하여 발신번호 확인, 비밀번호 입력 실패회수 제한, 사용자 전화기와 홈네트웍 장치간 암호화 기기를 연결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보안이 불완전하거나 별도의 암호화 기기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PSTN망을 이용한 홈네트웍 원격제어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에 대비하여 보안수준이 높은 수준의 기능은 홈네트웍시스템에서 홈네트웍시스템에 사전에 저장해 놓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그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제어명령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3자가 원격제어신호를 해킹한다고 하더라도 홈네트웍시스템을 불법제어할 수 없도록 된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는,
국선 전화선을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와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국선연결부; 전화 수신기능을 하는 전화착신부; 상기 국선연결부와 상기 전화착신부를 연결하거나 끊기 위한 국선 릴레이부; 사용자가 입력한 DTMF톤 신호를 인식하여 숫자로 변환하는 DTMF톤 인식부; 상기 DTMF톤 인식부에서 처리된 가정내 기기들의 보안등급과 콜백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전화기와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전화기 연결부; 콜백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전화발신부; 상기 전화기 연결부와 상기 전화발신부를 연결하는 전화기 릴레이부; 음성안내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 는 음성안내부; 및 국선을 통해 수신된 제어정보와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비교하여 보안등급에 따라 원격제어 명령을 판단 및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국선을 통해 수신된 제어정보가 보안이 요구되는 항목은 통화로를 차단하고 바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지정 전화번호를 읽어 전화발신부에 명령을 하여 지정 전화번호로 콜백 전화를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방법은,
(a)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전화기만을 이용하여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에 의해 제어되는 가정내 기기들의 항목별 보안등급과 벨울림 횟수, 접속 비밀번호, 콜백 전화번호를 DTMF톤으로 입력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전 설정 단계; (b)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려주는 콜프로그레스(CallProgress)를 인지하여 전화착신부에서 전화벨 울림과 통화중 및 끊김을 판단하는 단계; (c) 가정내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에서 전화를 착신한 후 음성안내부에서 상기 (a)단계에서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d)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저장부에서 읽어온 비밀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낮은 보안을 요구하는 항목은 음성안내에 따라서 DTMF로 가정내 기기를 원격제어가 가능하나, 높은 보안을 요구하는 항목은 음성안내부에서 사용자에게 콜백기능으로 변경됨을 알린후 전화착신부에서 연결된 통화로를 끊는 단계; (f) 저장부로부터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전화번호를 읽어 전화발신부를 통하여 콜백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 (g) 상기 콜백 전화를 수신한 것을 전화발신부를 통해 제어부에서 인지한 후 다시 상기 (c)단계 및 (d)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h)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음성안내에 따라 DTMF로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가정내 기기를 원격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안이 요구되는 항목에 대하여는 원격제어시 콜백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를 통해서만 원격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3자가 사용자의 홈서버 또는 홈게이트웨이로 전화를 걸어 보안이 요구되는 항목에 대하여 원격제어를 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을 구체화한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사용자의 원격제어 접속 및 원격제어를 실행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보안이 요구되는 항목에 대하여 원격제어를 실행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 장치(200)는 국선 전화선을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200)와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국선연결부(211), 전화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를 연결하거나 끊기 위한 국선 릴레이부(212),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려주는 콜프로그레스(CallProgress)를 인지하여 전화벨의 울림과 통화중, 끊김을 판단하는 전화착신부(213), 사용자가 입력한 DTMF톤 신호를 인식하여 숫자로 변환하는 DTMF톤 인식부(214), 전화기와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전화기 연결부(215), 사전 설정단계에서 전화기와 음성안내부를 연결하여주는 전화기 릴레이부(216), 콜백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전화발신부(217), 사전 설정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전화벨 울림 횟수,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218), 음성안내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안내부(219), 원격제어 명령을 처리하고 비밀번호 확인, 보안요구 여부 확인등의 판단 및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는 원격으로 가정내 홈네트웍에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하기 전에 미리 전화기 연결부(215) 및 전화기 릴레이부(216)를 통해 연결되는 전화기(100)를 이용하여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 설정기능에서 착신까지의 벨울림 횟수, 접속 비밀번호, 콜백 전화번호를 음성 안내기능에 따라 DTMF톤으로 입력한다.
상기 전화기(100)로부터 수신되는 DTMF톤 신호는 DTMF톤 인식부(214)에서 숫자로 변환한 후 기준을 만족하는 값일 경우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거 예컨대 EEPROM/FLASH 메모리등으로 이루어지는 저장부(218)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사전 설정시에는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전화기(100)를 이용하며, 가정 외부의 공중망과는 국선 릴레이부(212)를 조작하여 회선을 단절시켜 외부에서 사전 설정값을 변경할 수 없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원격으로 가정내 홈네트웍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본인의 집으로 전화를 발신한다. 가정내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200)에서는 전화착신부(213)에서 전화벨이 울리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회수가 초과하도록 벨이 울리게 되면 제어부(220)는 국선릴레이부(212)를 접속시켜 전화를 착신한 후 음성안내부(219)를 제어하여 안내멘트로 사용자에게 사전에 설정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국선연결부(211)를 통해 DTMF톤 신호로 입력되며, 이는 DTMF톤 인식부(214)에서 숫자로 변환하여 제어부(220)로 전달하면 제어부(220)에서는 저장부(218)에서 읽어온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한다. 입력한 비밀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20)는 다시 음성안내부(219)를 제어하여 가정내 기기의 제어에 관련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송출하고 사용자는 안내멘트에 따라 국선에 연결된 전화기의 버튼을 조작하여 가정내 기기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각종 가정내 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단, 이렇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은 타인이 제어하여도 문제없는 보안등급이 낮은 항목에 제한한다.
만일, 사용자가 제어하려는 항목이 보안등급이 높은 경우라면 제어부(220)에서는 도 2와 같이 음성안내부(219)에 명령을 하여 사용자에게 콜백으로 제어하도록 변경되는 것을 안내한 후 통화로를 끊는 명령을 전화착신부(213)에 하여 연결된 통화로를 끊는다.
제어부(220)는 상기 명령 후 바로 저장부(218)로부터 사용자 지정 콜백 전화번호를 읽어 전화발신부(217)에 명령을 하여 지정 콜백 전화번호로 전화를 발신한다. 도 3과 같이 콜백 전화를 사용자가 수신한 것을 전화발신부(217)를 통해 제어부(220)에서 인지하게 되면 음성안내부(219)에서 안내멘트로 사용자에게 사전에 설정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220)는 DTMF톤 인식부(214)와 저장부(218)를 통하여 비밀번호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동일할 경우 음성안내부(219)의 안내멘트에 따라 사용자가 DTMF톤 입력으로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하려는 항목이 높은 보안을 요구할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의 과정을 통하여 원격제어시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200)에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콜백 전화를 걸어 지정된 전화번호를 소유한 사용자만이 높은 보안등급이 요구되는 항목을 원격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홈네트웍 원격제어의 보안장치 및 보안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부의 구성이나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사용자의 원격제어 접속 및 원격제어를 실행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항목에 대하여 원격제어를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화기 200 :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
211 : 국선 연결부 212 : 국선 릴레이부
213 : 전화착신부 214 : DTMF톤 인식부
215 : 전화기 연결부 216 : 전화기 릴레이부
217 : 전화발신부 218 : 저장부
219 : 음성안내부 220 : 제어부

Claims (3)

  1. 국선 전화선을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와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국선연결부; 전화 수신기능을 하는 전화착신부; 상기 국선연결부와 상기 전화착신부를 연결하거나 끊기 위한 국선 릴레이부; 사용자가 입력한 DTMF톤 신호를 인식하여 숫자로 변환하는 DTMF톤 인식부; 상기 DTMF톤 인식부에서 처리된 가정내 기기들의 보안등급과 콜백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전화기와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전화기 연결부; 콜백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전화발신부; 상기 전화기 연결부와 상기 전화발신부를 연결하는 전화기 릴레이부; 음성안내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안내부; 및 국선을 통해 수신된 제어정보와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비교하여 보안등급에 따라 원격제어 명령을 판단 및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국선을 통해 수신된 제어정보가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항목은 통화로를 차단하고 바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지정 전화번호를 읽어 전화발신부에 명령을 하여 지정 전화번호로 콜백 전화를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장치.
  3. (a)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전화기만을 이용하여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에 의해 제어되는 가정내 기기들의 항목별 보안등급과 벨울림 횟수, 접속 비밀번호, 콜백 전화번호를 DTMF톤으로 입력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전 설정 단계; (b)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려주는 콜프로그레스(CallProgress)를 인지하여 전화착신부에서 전화벨 울림과 통화중 및 끊김을 판단하는 단계; (c) 가정내 홈서버 및 홈게이트웨이에서 전화를 착신한 후 음성안내부에서 상기 (a)단계에서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d)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저장부에서 읽어온 비밀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낮은 보안을 요구하는 항목은 음성안내에 따라서 DTMF로 가정내 기기를 원격제어가 가능하나, 높은 보안을 요구하는 항목은 음성안내부에서 사용자에게 콜백기능으로 변경됨을 알린후 전화착신부에서 연결된 통화로를 끊는 단계; (f) 저장부로부터 상기 (a)단계에서 설정된 전화번호를 읽어 전화발신부를 통하여 콜백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 (g) 상기 콜백 전화를 수신한 것을 전화발신부를 통해 제어부에서 인지한 후 다시 상기 (c)단계 및 (d)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h)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음성안내에 따라 DTMF로 입력하는 명령에 따라 가정내 기기를 원격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 보안방법.
KR1020080039475A 2008-04-28 2008-04-28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보안장치 및 보안방법 KR10100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75A KR101002585B1 (ko) 2008-04-28 2008-04-28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보안장치 및 보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475A KR101002585B1 (ko) 2008-04-28 2008-04-28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보안장치 및 보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646A true KR20090113646A (ko) 2009-11-02
KR101002585B1 KR101002585B1 (ko) 2010-12-20

Family

ID=4155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475A KR101002585B1 (ko) 2008-04-28 2008-04-28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보안장치 및 보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952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코맥스 5g 또는 lte를 이용하는 전세대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월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69B1 (ko) * 2003-05-29 2005-09-29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368564Y1 (ko) * 2004-09-08 2004-11-26 주식회사 윈도우컴 전화 제어 기기용 다중화 중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952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코맥스 5g 또는 lte를 이용하는 전세대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월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585B1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7686B (zh) 用于认证车辆中的远程信息处理终端的装置和方法
CN101515968B (zh) 一种通信终端来电接听的方法和装置
KR101002585B1 (ko) 콜백기능을 이용한 dtmf방식 원격제어의 홈네트웍보안장치 및 보안방법
CN105530367A (zh) 安全通话连接方法及装置
KR100725946B1 (ko) 휴대단말의 지역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
JP2005167982A (ja) 着信転送機能のための通話装置及び方法
JP2018166317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659661B1 (ko) 단말기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124562A (ja) 電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81664A (ja) 電話端末機及び電話回線を用いた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8124984A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操作装置
KR100755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모드 원격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629011B1 (ko) 자동 착신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00049579A (ko) 발신자 아이디와 링신호를 이용한 발신자 선별통화기능을갖는 전화기
KR1005952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해제방법 및 장치
KR101152184B1 (ko) 전화방송시스템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CN113067755A (zh) 一种语音远程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与系统
JP2003298755A (ja) 遠隔操作制御プログラム
JP3789689B2 (ja) 電話機
KR1006907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국제전화 통화연결방법
KR2003000553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재중 발신번호 확인 장치 및 방법
CN201114286Y (zh) 具有来电识别功能的电话远程控制器
KR100506212B1 (ko)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JP3001480B2 (ja) ダイヤルイ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