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377A -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377A
KR20090113377A KR1020097019282A KR20097019282A KR20090113377A KR 20090113377 A KR20090113377 A KR 20090113377A KR 1020097019282 A KR1020097019282 A KR 1020097019282A KR 20097019282 A KR20097019282 A KR 20097019282A KR 20090113377 A KR20090113377 A KR 2009011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control channel
channel
shared channel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켄이치 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11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5Allocation using proportional fai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공유채널을 수신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을 통지하는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장치에,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와, 상기 제어채널의 통신품질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공유채널, 송신전력, 오프셋값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하향링크에 있어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적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W-CDMA와 HSDPA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어,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검토되어 있다.
OFDM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여,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며,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상에, 일부 서로 겹치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므로,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coverage)를 실현할 수 있다.
LTE에서는, 상향링크, 하향링크 모두 1개 내지 2개 이상의 물리채널을 복수의 이동국(유저장치)에서 공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되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공유채널이라 불리며, LTE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이며,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이다. 또, 상기 PUSCH 및 PDSCH에 맵핑되는 트랜스포트채널(transport channel)은, 각각, Uplink-Shared Channel(UL-SCH) 및 Downlink-Shared Channel(DL-SCH)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마다, 어느 이동국에 대해서 상기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고, 상기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LTE에서는,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또는, Downlink L1/L2 Control Channel(DL 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상기 PDCCH의 정보에는, 예를 들면, DL L1/L2 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DL Scheduling Informa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 Uplink Scheduling Grant, Overload Indicator, Transmission Power Contorol Command Bit(TPC bit)가 포함된다.
상술한 DL L1/L2 Control Format Indicator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리며, 또, 상기 UL ACK/NACK는,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PHICH)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PCFICH와 PHICH는, 상 기 PDCCH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PDCCH와는 병렬의 관계가 되는, 다른 물리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또, 상기 DL Scheduling Information에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유저장치(UE)의 ID, 스트림의 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HARQ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DL Scheduling Information은, DL Assignment Information이나 DL Scheduling Grant라 불리어도 좋다. 또, 상기 UL Scheduling Grant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유저장치(UE)의 ID,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PDCCH는, 1서브프레임 내의 선두 L심볼(L=l, 2, 3)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선두 L심볼의 PDCCH 안에, 상술한 PDCCH의 각 정보, 즉, DL Ll/L2 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 Uplink Scheduling Grant, Overload Indicat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TPC bit)가 다중된다. 여기서, 상기 PDCCH의 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다중하기 위해서, 상기 PDCCH의 각 정보에는, 송신전력제어가 적용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LTE에 있어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PDCCH에 의해 송신되는 각 정보, 즉, DL L1/L2 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 Uplink Scheduling Grant, Overload Indicat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TPC bit)에는, 송신전력제어가 적용된다. 또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은,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이고, Uplink Scheduling Grant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이다.
그러나, 상술한 PDCCH에 의해 송신되는 각 정보 중,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과 Uplink Scheduling Grant, 즉,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가 잘못된 경우, 상기 공유채널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게 되므로, 통신 품질이 열화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송신전력제어에 의해,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에 할당되는 송신전력을 필요 이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한 경우, 유저장치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를 올바르게 복호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의 통신품질, 예를 들면, 오류율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의 송신전력제어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공유채널을 수신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을 통지하는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와, 상기 제어채널의 통신품질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와 상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공유채널을 위한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와, 상기 제어채널의 통신품질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의 송신전력제어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OFDM 심볼 #1 및 #2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하향링크 L1/L2 심볼과, 그 집합 GL1L2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어채널용 블록과, 제어채널용 블록 번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50 셀
1001, 1002, 1003, 100n 유저장치
200 기지국장치
202 송수신 안테나
204 앰프부
206 송수신부
208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210 호 처리부
212 전송로 인터페이스
2801 레이어1 처리부
2082 MAC 처리부
2083 RLC 처리부
2084 DL 송신전력 결정부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기지국장치(eNB:eNode B)(200)와 복수의 유저장치(UE:User Equipment)(100n(1001, 1002, 1003, …100n, n은 n>0의 정수))를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여기서, 유저장치(100n)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각 유저장치(1001, 1002, 1003, …100n)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유저장치(100n)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유저장치이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도 고정단말도 포함한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에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mapping)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 L1/L2 제어채널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다. 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DL L1/L2 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또는, 물리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DL Scheduling Informa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 송신전력제어 커맨드 비트(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TPC bit)등이 전송된다. 또한, 상기 DL Scheduling Information은, DL Assignment Information이나 DL Scheduling Grant라 불리어도 좋다.
또, 상기 UL ACK/NACK는,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PHICH)이라 불리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PCFICH와 PHICH, 송신전력제어 커맨드 비트는, 상기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요소로서 정의되어 있으나, 대신에, 상기 PDCCH와는 병렬의 관계가 되는, 다른 물리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DL Scheduling Information에는, 예를 들면,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데이터 사이즈, 변조 방식, HARQ에 관한 정보와,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 Uplink Scheduling Grant에는, 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와, 상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정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전력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이란, 주파수 리소스에 상당하며, 리소스 유닛이라고도 불린다.
또,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이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송달확인정보이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LTE용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이용된다. LTE용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시간 다중되는 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의 2종류가 있다.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은, 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상기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다. 또, LTE용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 물리채널의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변복조 및 부호화처리(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가 전송된다. 송달확인정보의 내용은, 송신신호가 적절하게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응답(ACK: Acknowledgement) 또는 그것이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
LTE용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는, CQI와 송달확인정보에 더하여,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리소스 할당을 요구하는 스케줄링 요구(Scheduling Request)와,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에 있어서의 릴리스 요구(Release Request) 등이 송신되어도 좋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리소스 할당이란, 어느 서브프레임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후속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해도 좋다는 것을 기지국장치가 유저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향링크 전송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서브프레임은, 예를 들면 1ms이며, 1서브프레임 중에 14개의 OFDM 심볼(OFDM symbol)이 존재한다. 도 2에 있어서, 시간축 방향의 번호(#1, #2, #3, …, #14)는 OFDM 심볼을 식별하는 번호를 나타내고, 주파수축 방향의 번호(#1, #2, #3, …, #M-1, #M, M은 M>O의 정수)는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을 식별하는 번호를 나타낸다.
1서브프레임의 선두 M개의 OFDM 심볼에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맵핑된다. M의 값으로서는, 1, 2, 3의 3가지가 설정된다. 도 2에 있어서는, 1서브프레임의 선두 2개의 OFDM 심볼(M=2), 즉, OFDM 심볼 #1 및 #2에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맵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맵핑되는 OFDM 심볼 이외의 OFDM 심볼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나 SCH, B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데이터 신호가 송신된다.
또, 주파수 방항에 있어서는, M개의 리소스 블록이 정의된다. 여기서, 1 리소스 블록당 주파수대역은, 예를 들면 180kHz이며, 1 리소스 블록 중에 12개의 서브캐리어가 존재한다. 또, 리소스 블록의 수 M은,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인 경우에는 25이며, 시스템 대역폭이 10MHz인 경우에는 50이며, 시스템 대역폭이 20MHz인 경우에는 100이다.
도 3에, 도 2에 도시하는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갖는 경우의, OFDM 심볼 #1 및 #2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맵핑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1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의 수를 L(L은, L>O의 정수)이라고 하고, 주파수가 작은쪽부터, 서브캐리어 #1, #2, …, #L로 번호를 붙이고 있다.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인 경우에는, L=300이며, 시스템 대역폭이 10MHz인 경우에는, L=600이며, 시스템 대역폭이 20MHz인 경우에는, L=1200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FDM 심볼 #1의 서브 캐리어에는, 하향링크 레퍼런스 시그널(DL RS: Downlink Reference Signal)과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이 맵핑된다. 또, OFDM 심볼 #2에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맵핑된다.
DL RS는, OFDM 심볼 #1에 있어서, 6개의 서브캐리어에 1개의 비율로 송신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서브캐리어 #6×d-5(단, d:1, 2, …)에 DL RS가 맵핑되어 있다. 또, 상기 DL RS가 맵핑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이외의 서브캐리어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맵핑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 중,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이 맵핑되는 서브캐리어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면에 있어서는, 서브캐리어 #3과, 서브캐리어 #L-3에 맵핑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Acknowledgement information이 맵핑되는 서브캐리어의 수는, 상향링크에 있어서 1서브프레임에 다중되는 유저장치의 수의 최대수, 즉, 1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유저장치의 수의 최대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맵핑되는 OFDM 심볼의 수가 3인 경우의 OFDM 심볼 #3의 구성은, 도 3에 있어서의 OFDM 심볼 #2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2)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와, 호 처리부(210)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구비한다.
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유저장치(100n)로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는, 기지국장치(200)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PDCP 레이어의 송신처리, 패킷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layer의 송신처리, MAC 재송 제어, 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가 수행되고, 송수신부(206)에 전송된다. 또,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마다, 리소스 블록(혹은 서브캐리어) 및 OFDM 심볼마다, 하향링크 레퍼런스 시그널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과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 SCH, B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데이터 신호 등에 할당되는 송신전력이 결정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고, 그 후,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유저장치(100n)로부터 기지국장치(200)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서,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 PDCP 레이어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210)는, 통신채널의 설정과 해방 등의 호 처리와, 무선기지국(200)의 상태 관리와,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의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레이어1 처리부(2081)와, 선택수단으로서의MAC(Medium Access Control) 처리부(2082)와, RLC 처리부(2083)와, 송신전력 제어수단으로서의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를 구비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있어서의 레이어1 처리부(2081)와 MAC 처리 부(2082)와 RLC 처리부(2083)와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와 호 처리부(210)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레이어1 처리부(2081)에서는, 햐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채널 부호화와 IFFT 처리,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채널 복호화와 IDFT 처리, FFT 처리 등이 수행된다.
레이어1 처리부(2081)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Uplink Scheduling Grant를 MAC 처리부(2082)로부터 수신한다. 또,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Uplink Scheduling Grant에 대해서, 채널 부호화와 IFFT 처리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Uplink Scheduling Grant는,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된다.
또, 레이어1 처리부(2081)에서는,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로부터 통지된 송신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레퍼런스 시그널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과 유저 데이터, SCH, B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데이터 신호 등이 맵핑되는 서브캐리어의 송신전력을 설정한다.
또,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의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장치(100n)로부터의 CQI의 복호를 수행하고, 상기 CQI의 복호결과를 MAC 처리부(2082)와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통지한다.
또,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의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장치(100n)로부터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송달확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달확인정보에 관하여 3값 판정(ACK/NACK/DTX 판정)을 수행한다. 상기 3값 판정(ACK/NACK/DTX 판정)의 결과를,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통지한다.
또한,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의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장치(100n)로부터의,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하여, 실제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Power 판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Power 판정의 결과를,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통지한다.
MAC 처리부(2082)는,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 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와, 스케줄링, 전송 포맷의 선택,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이란,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를 선별(선택)하는 처리를 가리키며, 예를 들면, 그 알고리즘으로서, 라운드 로빈(round robin)과 프로포셔널 페어네스(Proportional Fairness), MAX C/I가 존재한다. 상기 프로포셔널 페어네스(Proportional Fairness)와 MAX C/I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각 유저장치에 관한 평가 메트릭(evaluation metric)을 산출하고, 상기 평가 메트릭이 큰 유저장치를,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별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평가 메트릭은,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priority order)를 나타내는 우선도(priority level)에 상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로포셔널 페어네스(Proportional Fairness)와 MAX C/I에 있어서는,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우선도에 따라서, 무선리소스를 할당할 유저장치가 선택된다. 또, 전송 포맷의 선택이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유저장치(100n)로 송신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변조방식과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 등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변조방식,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의 결정은, 예를 들면, 유저장치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보고되는 CQI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이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유저장치(100n)로 송신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블록을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상기 리소스 블록의 결정은,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n)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보고되는 CQI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CQI는,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된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스케줄링 처리, 전송 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 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을 레이어1 처리부(2081)와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통지한다.
또, MAC 처리부(2082)는,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와, 스케줄링처리, 전송 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 처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처리란,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할 유저장치를 선별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또, 전송 포맷의 선택처리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유저장치가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에 관한 변조방식과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 등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상기 변조방식,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의 결정은, 예를 들면, 유저장치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사운딩용 레퍼런스 신호의 SIR과 기지국장치와 유저장치와의 사이의 패스로스(path loss)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란,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유저장치가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블록을 결정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상기 리소스 블록의 결정은, 예를 들면, 유저장치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사운딩용 레퍼런스 신호의 SIR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스케줄링 처리, 전송 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 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ID와,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즉, Uplink Scheduling Grant를 레이어1 처리부(2081)와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통지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로부터 통지된 송신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에 할당 가능한 리소스 블록을 결정해도 좋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상기 유저 데이터에 할당 가능한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상술한 스케줄링과 전송 포맷의 선택,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MAC 처리부(2082)는,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로부터, 상기 송신전력 정보로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BCH의 송신전력 PBCH과,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SCH의 송신전력 PSCH과,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전력 Pdata, TPC과,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의 1서브캐리어당 송신전력 Pdata (unit)과, 기지국장치(200)의 최대송신전력 Ptotal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PBCH와, PSCH와, Pdata, TPC와, Pdata (unit)과, Ptotal에 기초하여,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에 할당가능한 리소스 블록의 수 NumRB (data)를 산출해도 좋다.
RLC 처리부(2083)에서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에 관한, 분할·결합, RLC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와,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관한, 분할·결합, RLC 재송 제어의 수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수행된다. 또, RLC 처리부(2083)에 있어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PDCP 레이어의 송수신 처리가 수행되어도 좋다.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하향링크 레퍼런스 시그널(DL RS)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과 유저 데이터, SCH, B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데이터 신호 등의 송신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하향링크 레퍼런스 시그널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과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 SCH, B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전력을, 송신전력 정보로서, 레이어1 처리부(2081)와 MAC 처리부(2082)에 통지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레퍼런스 시그널과 SCH와 BCH의 송신전력의 값은, 일반적으로 고정값이며, 상위 레이어로부터 시그널링된 값이나,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내부 파라미터로서 설정되어 있는 값을 참조하여 결정된다. 또,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전력은, 예를 들면, 해당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CQI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한,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의 1서브캐리어당 송신전력, 즉, PDSCH의 1서브캐리어당 송신전력은, 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의 모든 서브캐리어에 균등하게 송신전력을 할당한 경우의 1서브캐리어당 송신전력으로 해도 좋다.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있어서 수행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송신전력의 결정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DL L1/L2 Control Channel이라고도 불린다.
DL RS의 송신전력제어(TPC:Transmission Power Control)에 대해서 설명한다. DL RS의 송신전력은,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로부터 미리 설정된다. DL RS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을 PDLRS라고 하고, 서브프레임의 선두 OFDM symbol에 있어서의 DL RS의 resource element의 수를 nDLRS라고 정의한다.
알림 채널(BCH:Broadcast channel)의 TPC에 대해서 설명한다. 알림채널의 송신전력은,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로부터 미리 설정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값이 된다.
페이징 채널(PCH:paging channel)의 TPC에 대해서 설명한다. 페이징 채널의 송신전력은 PDSCH의 송신전력과 동일하게 한다. 즉, 페이징 채널의 송신전력은, 시스템 대역의 모든 서브캐리어에 균등하게 송신전력을 할당한 경우의 1 서브캐리어당 송신전력이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값이 된다.
동기 채널(SCH:Synchronization channel), 즉 P-SCH(Primary-SCH), S-SCH(Secondary-SCH)의 TP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기 채널의 송신전력은,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값이 된다.
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RACH response)의 TPC에 대해서 설명한다. RACH response는,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메시지 2에 상당한다. RACH response의 송신전력은, PDSCH의 송신전력과 동일하게 한다. 즉, RACH response의 송신전력은, 시스템 대역의 모든 서브캐리어에 균등하게 송신전력을 할당한 경우의 1 서브캐리어당 송신전력이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값이 된다.
다음으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TPC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OFDM 심볼(OFDM symbol)의 인덱스(Index)를 m(m은 정수)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브프 레임의 선두부터, m=0, 1, 2, ...로 정의한다. 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를 M으로 한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는,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DL Ll/L2 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카테고리 0 정보라고도 불린다),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DL Scheduling Informa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 송신전력제어 커맨드 비트(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TPC bit) 등의 정보가 맵핑된다.
그런데,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라고도 불린다)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상술한 M의 값)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상술한 M의 값)는, 동시 다중 유저수 및 다중하는 유저의 수신품질에 의존한다. 전형적으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 수를 충분히 크게 해 둔다. 그러나, 동시 다중 유저수가 작으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마다 동시 다중 유저수 및 다중하는 유저의 수신품질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크게 확보되어 있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낭비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낭비를 저감하기 위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되는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에 의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상술한 M의 값)가 통지된다. 즉, 서브프레임마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상술한 M의 값)가 적절히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내의 각 정보의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상술한 M의 값)의 결정방법을 설명한다.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경우에, 상술한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의 송신전력,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의 송신전력,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의 송신전력, 송신전력 제어정보(TPC bit)의 송신전력을 결정한다. 또,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DL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전력, 및,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할당되는 OFDM 심볼의 수(상술한 M의 값)를 결정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나타낸다.
[표1]
파라미터 단위 정의 비고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1
W 기지국장치(200)의 최대송신전력(정격전력) TPC bit #k에 대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2
dB 해당 UL ACK/NACK의 송신처인 유저장치의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 값. 좌기한 CQI값은,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된다. Index l은, 해당 유저장치가 송신한 UL-SCH의 번호에 1대1 대응하는 Index이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3
dB 해당 TPC bit의 송신처인 유저장치의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 값. 좌기한 CQI값은,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된다. Index k는, TPC bit의 Index이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4
dB 해당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처인 유저장치 #k_dl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폭에 관한 CQI값. 좌기한 CQI값은,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5
dB 해당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처인 유저장치 #k_ul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폭에 관한 CQI값. 좌기한 CQI값은,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6
dB UL ACK/NACK 및 TPC bit 및,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 CQI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7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산출되는 값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8
W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09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의 resource element 수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0
W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1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Overload indicator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1
Overload indicator의 1 OFDM symbol당 resource element의 수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2
W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1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CQI가 기준 CQI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3
일때의 UL ACK/NACK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표 2]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4
W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1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UL ACK/NACK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5
UL ACK/NACK의 1 유저장치당 1 OFDM 심볼당 resource element의 수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6
해당 서브프레임으로 송신되는 UL ACK/NACK의 수 해당 UL ACK/NACK에 대응하는 UL-S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UL-SCH를 송신하는 유저장치의 수, 즉, UL-SCH의 다중수에 일치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7
W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1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CQI가 기준 CQI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8
일때의 TPC bits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19
W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1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TPC bits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0
TPC bit의 1 유저장치당 1 OFDM 심볼당 resource element의 수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1
해당 서브프레임으로 송신되는 TPC bits의 수 실제로 송신되는 TPC bit의 수로 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2
W CQI가 기준 CQI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3
일때의 i번째의 MCS를 이용했을 때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4
W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5
Resource element i번째 MCS를 이용했을 때의 m번째의 OFDM 심볼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유저장치당 resource element의 수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6
index 번호가 k인 유저장치(k=1,2,...,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7
)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이용되는 MCS 번호
[표 3]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8
W CQI가 기준 CQI
Figure 112009056709527-PCT00029
일 때의 i번째의 MCS를 이용했을 때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0
W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1
Resource element i번째 MCS를 이용했을 때의 m번째 의 OFDM 심볼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유저장치당 resource element의 수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2
W k_dl이 RACH response인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3
W k_dl이 PCH인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4
W k_ul이 랜덤 액세스 수순의 Massage3인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의 송신전력은,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을 Pcat0라 한다. 또,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 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라고도 불린다)의 resource element의 수를 ncat0이라 한다.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의 송신전력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을 1로 가정한 경우의 송신전력으로서, 외부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Overload indicator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POLI는, 이하의 식(1)과 같이 산출된다. 여기서, Overload indicator의 1 OFDM symbol당 resource element의 수를 nOLI라 하고,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Overload indicator의 송신전력의 절대값을 POLI (IF)라 한다.
POLI=POLI (IF)/M (1)
식(1)에 있어서, M으로 나눗셈을 수행하는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POLI (IF)는, M=1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M=2의 경우에는, m=0,1의 양방의 OFDM 심볼에, Overload indicator가 맵핑된다. 이 경우,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Overload indicator의 토탈 송신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각 OFDM 심볼에 있어서의 각 서브캐리어, 즉, resource element당 전력은, POLI (IF)를 2로 나눈 값이 된다. M=3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의 송신전력에 대해서 설명한다.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의 송신전력은, 해당 ACK/NACK의 송신처인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값 CQIaverage,ULACK (l)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값 CQIaverage,ULACK (l)는,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되는 CQI의 정보에 포함되는 값이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을 1로 가정한 경우의, UL ACK/NACK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단위:W) PACK,tmp (l)는, 이하의 식(2)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Index l은, UL-SCH의 번호에 1대 1 대응하는 Index이다. UL ACK/NACK의 번호와, UL-SCH의 번호의 대응관계는, 예를 들면, 비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다.
[수1]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5
식(2)에 있어서, PACK (max)는 CQI가 소정의 값 CQIaverage (min)일 때의 UL ACK/NACK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이며, PACK (min)는 UL ACK/NACK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이다.
상기 PACK (max), CQIaverage (min), PACK (min)는,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또, UL ACK/NACK의 1 OFDM 심볼당 resource element의 수를 nACK라 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실제로 송신되는 UL ACK/NACK의 수를 LACK라 한다. 상기 UL ACK/NACK의 수 LACK는, 상기 UL ACK/NACK에 대응하는 UL-S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UL-SCH를 송신하는 유저장치의 수, 즉, UL-SCH의 다중수에 일치하는 값이다.
최종적인 UL ACK/NACK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단위:W) PACK (l)은, 이하의 식(3)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PACK (l)=PACK,tmp (l)/M (3)
식(3)에 있어서, M으로 나눗셈을 수행하는 이유는, 식(1)의 경우와 동일하다.
TPC bit의 송신전력에 대해서 설명한다. TPC bit의 송신전력은, 해당 TPC bit의 송신처인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값 CQIaverage,TPC (k)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값 CQIaverage,ULACK (l)는,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되는 CQI의 정보에 포함되는 값이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을 1로 가 정한 경우의, TPC bi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단위:W) PTPC,tmp (k)는, 이하의 식(4)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Index k는, TPC bit의 Index(혹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NTPC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Sounding용 레퍼런스 신호의 번호에 1대 1 대응하는 번호)를 나타내는 Index이다.
[수2]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6
식(4)에 있어서, PTPC (max)는 CQI가 소정의 값 CQIaverage (min)일 때의 TPC bi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이며, PTPC (min)는 TPC bi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이다. 상기 PTPC (max), CQIaverage (min), PTPC (min)는,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또, TPC bit의 1 OFDM 심볼당 resource element의 수를 nTPC라 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실제로 송신되는 TPC bit의 수를 KTPC라 한다.
최종적인 TPC bi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단위:W) PTPC (k)는, 이하의 식(5)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PTPC (k)=PTPC,tmp (k)/M (5)
식(5)에 있어서, M으로 나눗셈을 수행하는 이유는, 식(1)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을 결정한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은, MAC 처리부(2082)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 및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UL-SCH)의 스케줄링에 있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의 시스템 대역폭 전체에 관한 CQI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산출된다.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DL-SCH)에 관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의 수를 K_DL이라 하고, 각 유저장치의 번호를 k_dl(k_dl=0,1,.., K_DL-1)로 표기한다. 상향링크의 유저데이터(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UL-SCH)에 관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의 수를 K_UL이라 하고, 각 유저장치의 번호를 k_ul(k_ul=0,1,.., K_UL-1)로 표기한다.
유저장치 #k_dl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관한 제어채널용 블록의 수를 Nk_dl이라 하고, 유저장치 #k_ul의 Uplink Scheduling Grant에 관한 제어채널용 블록의 수를 Nk_ul이라 한다. 여기서, 제어채널용 블록이란, 복수의 resource element의 집합체이며,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 할당되는 리소스의 단위이다. 상기 제어채널용 블록은, Control Channel Element(CCE)라고 불리어도 좋다. 혹은, 상기 CCE를 더 미세한 집합으로 분할한, Mini CCE를, 상기 제어채널용 블록으로 정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Mini CCE는, 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는,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AMC)이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 관해서, 2개의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을 설정하고, 첫번째 MCS(이하, MCS 번호 0이라 부른다)에는, 1개의 제어채널용 블록이 할당되고, 2번째 MCS(이하, MCS 번호 1이라 부른다)에는, 2개의 제어채널용 블록이 할당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MCS의 수는 2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3 이상의 수이어도 좋다.
제어채널용 블록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를, 선두 OFDM 심볼의, 주파수가 작은 Sub-carrier부터 1열로 배열한다(결과로서 Nsub(all)개의 Sub-carrier가 배열된다). 즉, 주파수방향(서브캐리어)과 시간방향(OFDM 심볼, m=0, 1, 2)으로 이루어지는 2차원의 resource element를, 1차원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4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집합을 1개의 DL L1/L2 symbol로 정의하고, 그리고, NL1L2RB/4개 의 DL L1/L2 symbol의 집합을 GL1L2로 정의한다. 이때, NG개의 GL1L2가 존재한다고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NL1L2RB=12라 하고, NG=28이라 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DL L1/L2 symbol을 확산율 4의 Walsh 계열로 확산을 수행하고, 1 DL L1/L2 symbol 내의 1 코드 리소스(code resource)가 1 제어채널용 블록에 할당된다. 각 GL1L2에 있어서, 상기와 동일하게 리소스가 할당되기 때문에, 1 제어채널용 블록은, 28개의 resource element 상당의 리소스가 할당된다. 각 제어채널용 블록의 번호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주파수방향으로 오름순으로 할당되고, 그 후, 코드방향으로 오름순으로 할당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MCS 번호 0(첫번째 MCS)을 이용한 경우는, 하나의 제어채널용 블록을 사용하고, MCS 번호 1(2번째 MCS)을 이용한 경우는, 2개의 제어채널용 블록을 사용한다. MCS는 유저장치마다 설정된다. MCS 번호는, RRC 메시지(RRC message)로부터 설정된다. QPSK 변조를 적용하는 경우, 1개의 resource element에 대해서, 2비트가 맵핑되기 때문에, MCS 번호 0의 경우의 부호화 비트수는 56(28×2[Bits/Resource element]=56비트), MCS 번호 1의 경우의 부호화 비트수는 112(28×2[제어채널용 블록]×2[Bits/Resource element]=112비트)가 된다.
또한, 상술한 제어채널용 블록의 정의에 있어서는,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는, 코드 다중과 주파수 다중을 하이브리드한 다중방법에 의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다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하에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가, 주파수 다중에 의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다중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가, 코드 다중에 의해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다중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즉, 상술한 제어채널용 블록의 정의는,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상술한 정의 이외의 방법으로, 제어채널용 블록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적용 가능하다.
유저장치 #k_dl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관한 송신전력을 PDL-L1L2,tmp (k_dl)이라 하고, 또, i번째의 MCS를 이용했을 때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유저장치당 resource element의 수를 nDL-L1L2,tmp (i)라 한다. 유저장치 #k_ul의 UL Scheduling Grant에 관한 송신전력을 PUL-L1L2,tmp (k_ul)이라 하고, 또, i번째의 MCS를 이용했을 때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유저장치당 resource element의 수를 nUL-L1L2,tmp (i)라 한다.
이하의 판정식에 의해, M을 결정한다.
(판정식의 개시)
우선, 이하의 식(6)에 의해, Nall을 산출한다. 식(6)에 의해,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각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 사용하는 resource element의 수의 합과, 각 Uplink Scheduling Grant가 사용하는 resource element의 수의 합의 합계치가 산출된다.
[수3]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7
다음으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각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전력, 즉, 유저장치 #k_dl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관한 송신전력 PDL - L1L2 , tmp (k_ dl )을 산출한다.
k_dl이 RACH response인 경우,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포함되는 유저장치의 ID가 RACH preamble의 RA-RNTI인 경우, PDL - L1L2 , tmp (k_ dl )=PL1L2 , RACHres가 된다. PL1L2 , RACHres는,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고정값이다.
k_dl이 RACH response가 아니고, 또한, k_dl이 PCH인 경우,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포함되는 유저장치의 ID가 페이징 인디케이터(Paging indicator)로 지정되는 유저장치의 Group의 ID인 경우, PDL - L1L2 , tmp (k_ dl )=PL1L2 , PICH가 된다. PL1L2 , PICH는,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고정값이다.
또한, 상술한 공통 채널인 PCH, RACH response에 더하여, Dynamic BCH(D- BCH)가 송신되어도 좋다. 즉, k_dl에서 지정되는 ID가 D-BCH인 경우, PDL - L1L2 , tmp (k_ dl )=PL1 L2- BCH가 된다. PL1L2 - BCH는,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고정값이다.
k_dl이 RACH response가 아니고, 또한 k_dl이 PCH가 아닌 경우, 식(7)이 된다. 즉, 유저장치 #k_dl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관한 송신전력 PDL-L1L2,tmp (k_dl)은, 해당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처인 유저장치 #k_dl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폭에 관한 CQI값 CQIaverage,DL (k_dl)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값 CQIaverage,DL (k_dl)은,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되는 CQI의 정보에 포함되는 값이다.
[수4]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8
식(7)에 있어서,
[수5]
Figure 112009056709527-PCT00039
는 CQI가 소정의 값 CQIaverage (min)일 때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이며, PDL-L1L2 (min)는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이다. 또, Δk_dl (DL)은 k_dl번째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처인 유저장치에 관한, 아우터 루프 TPC(Outer-loop TPC)에 기초한, 송신전력 보정 팩터이다. Δk_dl (DL)의 상세는 후술한다. 상기 (A), CQIaverage (min), PDL-L1L2 (min)은,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또, (A)의 위첨자 내의 MCSDL-L1L2 (k_dl)은, 유저장치 #k_dl에 송신하는 UL Scheduling Grant의 MCS의 번호를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즉, 각 MCS에 대해서, (A)가 정의됨으로써, 각 MCS에 대해서, 적절한 송신전력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식(7)에 있어서, 송신전력이 최소값 PDL-L1L2 (min) 이하가 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으나, 또한, 송신전력이 최대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어도 좋다.
또,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각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 즉, 유저장치 #k_ul의 Uplink Scheduling Grant에 관한 송신전력 PDL - L1L2 , tmp (k_ ul )을 산출한다.
k_ul이 랜덤 액세스 수순의 Message3인 경우, PUL-L1L2,tmp (k_ul)=PL1L2,RACHmessage3가 된다. PL1L2,RACHmessage3는,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고정값이다.
k_ul이 랜덤 액세스 수순의 Message3이 아닌 경우, 식(8)이 된다. 즉, 유저장치 #k_ul의 Uplink Scheduling Grant에 관한 송신전력 PUL-L1L2,tmp (k_ul)은, 해당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처인 유저장치 #k_ul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폭에 관한 CQI값 CQIaverage,UL (k_ul)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값 CQIaverage,UL (k_ul)은, 레이어1 처리부(2081)로부터 통지되는 CQI의 정보에 포함되는 값이다.
[수6]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0
식(8)에 있어서,
[수7]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1
는 CQI가 소정의 값 CQIaverage (min)일 때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이며, PUL-L1L2 (min)는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의 최소값(절대값)이다. 또, Δk_ul (UL)은 k_ul번째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처인 유저장치에 관한, 아우터 루프 TPC(Outer-loop TPC)에 기초한, 송신전력 보정 팩터이다. Δk_ul (UL)의 상세는 후술한다. 상기 (B), CQIaverage (min), PUL-L1L2 (min)은,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또, (B)의 위첨자 내의 MCSDL-L1L2 (k_ul)은, 유저장치 #k_dl에 송신하는 UL Scheduling Grant의 MCS의 번호를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즉, 각 MCS에 대해서, (B)가 정의됨으로써, 각 MCS에 대해서, 적절한 송신전력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식(8)에 있어서, 송신전력이 최소값 PUL-L1L2 (min) 이하가 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으나, 또한, 송신전력이 최대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다음으로, 이하의 식(9)를 산출한다. 식(6)에 의해,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각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 사용하는 송신전력의 합과, 각 Uplink Scheduling Grant가 사용하는 송신전력의 수의 합의 합계치가 산출된다.
[수8]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2
그런데, 상기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는, 기지국장치(200)가 송신 가능한 최대의 송신전력 리소스 중,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다른 정보가 사용하는 송신전력 리소스 이외의 나머지 송신전력 리소스가 할당된다. 즉,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1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 할당 가능한 송신전력 PDL/UL-L1L2 (1) 은, 식(10)에 의해 산출된다:
[수9]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3
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2라고 가정한 경우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 할당 가능한 송신전력 PDL/UL-L1L2 (2) 는, 식(11)에 의해 산출된다:
[수10]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4
그리고, 위와 같이 구한 Nall 및 Pall에 기초하여,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의 값이 결정된다.
Pall이 PDL/UL-L1L2 (1) 미만이고, 그리고 Nall이 Nth1 (j) 미만인 경우, M=1이 된다.
Pall이 PDL/UL-L1L2 (1) 이상 또는 Nall이 Nth1 (j) 이상이고, Pall이 PDL/UL-L1L2 (2) 미만이며, 그리고 Nall이 Nth2 (j) 미만인 경우, M=2가 된다.
상기 이외에는, M=3이 된다.
Nth1 (j), Nth2 (j)의 값은, 시스템 대역폭마다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고정값이다(j는, 시스템 대역폭을 나타내는 index이며, 예를 들면, j=0(5MHz), j=1(10MHz), j=2(20MHz)라 한다).
이상을 정리하면,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각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 사용하는 resource element의 수와 송신전력과,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각 Uplink Scheduling Grant가 사용하는 resource element의 수와 송신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resource element의 수와 송신전력의 총 수에 기초하여,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의 값을 결정한다.
(판정식의 종료)
그리고, 최종적인 유저장치 #k_dl의 OFDM 심볼 m에 있어서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단위:W) PDL-L1L2,m (k_dl), 및 유저장치 #k_ul의 OFDM 심볼 m에 있어서의 1 resource element당 송신전력(절대값, 단위:W) PUL-L1L2,m (k_ul)은 이하와 같이 산출된다.
M=1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와 같이, PDL-L1L2,m (k_dl), PUL-L1L2,m (k_ul)을 산출한다.
PDL-L1L2,0 (k_dl)=PDL-L1L2,tmp (k_dl)
PUL-L1L2,0 (k_ul)=PUL-L1L2,tmp (k_Ul)
M=2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와 같이, PDL-L1L2,m (k_dl), PUL-L1L2,m (k_ul)을 산출한다.
[수11]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5
여기서,
[수12]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6
[수13]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7
는, 유저장치 k_ul의 해당 Uplink Scheduling Grant의 MCS가 MCSDL-L1/L2 (k_ul)인 경우의, m번째의 OFDM 심볼에 있어서의, 해당 Uplink Scheduling Grant의 resource element의 수를 나타낸다. 즉, 식(12) 및 식(13)은, 각 OFDM 심볼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resource element의 수에 따라서, 각 OFDM 심볼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혹은, M의 값에 관계없이, PDL-L1L2,m (k_dl), PUL-L1L2,m (k_ul)
PDL-L1L2,m (k_dl)=PDL-L1L2,tmp (k_dl)
PUL-L1L2,m (k_ul)=PUL-L1L2,tmp (k_Ul)
로서 산출해도 좋다. m은, OFDM 심볼의 인덱스이다. 이 경우, M의 값에 관계없이, 또, 어느 OFDM 심볼에 맵핑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해당 유저장치 k_dl 또는 k_ul에 관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리소스 엘리먼트당 송신전력은 일정하게 된다.
또한, 각 OFDM symbol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의 총 송신전력이 기지국장치(200)의 최대송신전력(정격전력)을 초과한 경우에는, 기지국장치(200)의 총 송신전력이 기지국장치(200)의 정격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 PDL-L1L2,m (k_dl), PUL-L1L2,m (k_ul)을 압축해도 좋다. 이 경우, DL RS,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 Overload indicator, UL ACK/NACK, TPC bit의 송신전력은 압축하지 않는다. 혹은,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Uplink Scheduling Grant뿐만 아니라, 모든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되는 정보의 송신전력을 압축해도 좋다. 이 경우, DL RS의 송신전력은 압축하지 않는다. 혹은,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Uplink Scheduling Grant뿐만 아니라, DL RS와 모든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되는 정보의 송신전력을 압축해도 좋다.
또, 상술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의 압축에 있어서, RACH response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과 페이징 채널을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랜덤 액세스 수순의 Message3을 위한 Uplink Scheduling Grant에 관해서는, 상기 압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RACH response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과 페이징 채널을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랜덤 액세스 수순의 Message3을 위한 Uplink Scheduling Grant의 통신품질은 확보되게 된다.
M=3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판정식에 의해, MAC 처리부(2082)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 및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스케줄링에 있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의 수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우선, M=1(식10) 및 M=2(식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이용되는 OFDM 심볼 수 M이 3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에 할당 가능한 송신전력 PDL / UL - L1L2 (3)을 산출한다.
[수14]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8
(14)
Pall>PDL / UL - L1L2 (3)인 경우, Pall≤PDL / UL - L1L2 (3)이 될때까지, DL, UL, DL, UL, DL, …의 순으로, 그리고, 스케줄링(Scheduling) 계수에 기초한 우선도가 낮은 순으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에 관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즉, 해당 유저장치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또는 Uplink Scheduling Grant는 송신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대해서, 대응하는 DL-SCH는 송신되지 않는다. 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유저장치는, UL-SCH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 남은 유저장치에서, DL-SCH 및 UL_SCH의 리소스 할당이 수행된다. 여기서 리소스 할당이란, 주로, 주파수 리소스, 즉, 리소스 블록의 할당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Pall은, 식(9)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계수란,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MAC 처리부(2082)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처리에 있어서 계산되는 각 유저장치에 대한 우선도를 나타내는 계수, 즉, 평가 메트릭을 말한다. 예를 들면, 스케줄링 계수는, 송신하는 데 이터의 우선도,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횟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유저장치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유저장치에 대한 전송속도의 목표값, 간헐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유저장치가 간헐수신 타이밍인 경우에, 상기 유저장치에 우선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우선도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계산된다.
또,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상술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에 관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처리에 있어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재송 데이터의 우선도를 높게 하도록 해도 좋다. 즉, 재송 데이터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재송 데이터를 위한 Uplink Scheduling Grant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송신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또,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상술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에 관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처리에 있어서,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메시지 2 또는 페이징 채널을 위한 우선도를 높게 하도록 해도 좋다. 즉,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메시지 2 또는 페이징 채널을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송신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공통 채널인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메시지 2와 페이징 채널에 더하여, Dynamic BCH를 위한 우선도를 높게 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 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에 관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 후에, 남은 유저장치에서, DL-SCH 및 UL-SCH의 리소스 할당이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신에, 우선,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에 관해서, DL-SCH 및 UL-SCH의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고, 그 후,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에 관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이 경우,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유저장치를 위한 DL-SCH 및 UL-SCH의 리소스는 사용되지 않으나, 대신에, 처리 지연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M=3의 경우에, Pall≤PDL / UL - L1L2 (3)이 될때까지,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로서 선택된 유저장치에 관해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대신에, M=1 및 M=2와 마찬가지로, Pall>PDL/ UL - L1L2 (3)인 경우에, Pall≤PDL / UL - L1L2 (3)이 되도록,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의 압축을 수행해도 좋다.
마지막으로, 이하와 같이, PDL-L1L2,m (k_dl), PUL-L1L2,m (k_ul)의 산출이 수행된다.
[수15]
Figure 112009056709527-PCT00049
(15)
혹은, 상술한 바와 같이, M의 값에 관계없이, PDL-L1L2,m (k_dl), PUL-L1L2,m (k_ul)
PDL-L1L2,m (k_dl)=PDL-L1L2,tmp (k_dl)
PUL-L1L2,m (k_ul)=PUL-L1L2,tmp (k_Ul)
로서 산출해도 좋다. m은, OFDM 심볼의 인덱스이다. 이 경우, M의 값에 관계없이, 또, 어느 OFDM 심볼에 맵핑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해당 유저장치 k_dl 또는 k_ul에 관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1 리소스 엘리먼트당 송신전력은 일정하게 된다.
각 OFDM symbol에 있어서, eNB의 총 송신전력이 eNB의 최대송신전력(정격전력)을 초과한 경우에는, eNB의 총 송신전력이 eNB의 정격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 PDL-L1L2,m (k_dl), PUL-L1L2,m (k_ul)을 압축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DL RS,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 Acknowledgement information(UL ACK/NACK), TPC bit, RACH response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페이징 채널을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랜덤 액세스 수순의 Message3을 위한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은 압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가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운링크 L1/L2 제어채널 포맷 인디케이터(또는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이라고도 불린다)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결정되는 M=1 또는 2 또는 3의 고정값으로서 상술한 제어가 수행된다. 이 경우, M의 값은, 서브프레임마다가 아니라, 보다 긴 주기, 예를 들면, 10ms나 100ms로 제어된다. 이 경우도, 상술한 (판정식의 개시)로부터 (판정식의 종료)까지의 처리가 적용된다. 단, 이 경우는, 송신전력의 값과 resource element의 수로서, 순시의 값, 즉, 서브프레임마다의 값이 아니라, 보다 긴 주기, 예를 들면, 10ms나 100ms에서 평균된 값을 이용해도 좋다.
여기서, 식(7)에 있어서의 Δi (DL)은, i번째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처인 유저장치에 관한, 아우터 루프 TPC(Outer-loop TPC)에 기 초한, 송신전력 보정 팩터이며, 기지국장치(200)의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있어서, 다운링크 공유채널에 대한 HARQ의 긍정응답(HARQ-ACK for DL-SCH)에 대한 ACK/NACK/DTX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식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식에 따르면,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통신품질(정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았는지)로서, ACK/NACK로 판정할지, 또는, DTX로 판정할지가 사용되며,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이 목표값 BLERtarget (DL)이 되도록 상기 오프셋의 값이 제어된다.
[수16]
Figure 112009056709527-PCT00050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 HARQ-ACK for DL-SCH는, 상향링크에 있어서, LTE용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PUCCH) 혹은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시간 다중되는 채널에 맵핑되어 송신된다. 레이어1 처리부(2081)에 있어서,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ACK/NACK/DTX 판정)이 수행되고, 그 판정결과가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통지된다.
레이어1 처리부(2081)에 있어서의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ACK/NACK/DTX 판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레이어1 처리부(2081)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PUCCH) 혹은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시간 다중되는 채널에 맵핑되는 HARQ-ACK for DL-SCH의 무선품질, 예를 들면, SIR을 측정하고, 상기 SIR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ACK/NACK/DTX 판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HARQ-ACK for DL-SCH의 SIR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DTX로 판정하고, 상기 HARQ-ACK for DL-SCH의 SIR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ACK 또는 NACK로 판정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SIR에 기초하여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을 수행하였으나, ACK, NACK, DTX 중 어느 하나를 판정할 수 있으면,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의 방법은, 상기 방법 이외의 방법이어도 좋다.
여기서,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 이동국(100n)에 있어서 정상으로 수신된 경우, 이동국(100n)은, 대응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수신을 수행하고, 그 복호 결과, 즉, 송달확인정보(HARQ-ACK for DL-SCH)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송신한다. 한편,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 이동국(100n)에 있어서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이동국(100n)은, 대응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자신앞으로 송신되었다고 인식하지 않으므로,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복호를 수행하지 않고, 또, 소 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인 HARQ-ACK for DL-SCH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통신품질(정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았는지)과,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ACK/NACK/DTX 판정)의 판정결과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된다: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 정상으로 수신되었다' =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ACK/NACK'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 =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DTX'
즉,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의 결과로부터,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통신품질이 추정된다.
또한, 상술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DL)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페이로드의 사이즈(Payload size), 유저장치의 카테고리(UE category)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하고,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작은 경우에, 상 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변조방식이 16QAM 또는 64QAM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하고,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변조방식이 QPSK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부호화율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하고,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부호화율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이 고속 스루풋을 실현하는 송신포맷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 DL )을 작게 하고,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이 저속 스루풋밖에 실현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해도 좋다.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MCS Level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하고,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MCS Level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가 하향링크의 최대전송속도가 큰 UE category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하고,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가 하향링크의 최대전송속도가 큰 UE category가 아 닌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은, 대응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큰 경우에, 그 영향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말하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을 어느 정도 크게 해도, 전송속도에의 악영향이 작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스루풋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하고, 고속 스루풋을 실현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제어채널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혹은, 상술한 예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DL)을,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페이로드의 사이즈(Payload size)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였으나, 대신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DL)을,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 호,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여기서, 리소스 엘리먼트란, 1OFDM 심볼에 있어서의 1서브캐리어에 상당한다. 또,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이란,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LTE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은,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미니 제어채널 엘리먼트라고도 불린다)으로 구성되고,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는, DL Scheduling Information이 맵핑되는 물리채널의 사이즈에 상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혹은,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부호화율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하고,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부호화율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MCS Level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하고,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MCS Level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해도 좋다. 여기서, 상기 MCS Level이란, 예를 들면, PDCCH의 포맷이어도 좋다. 또, 상기 MCS Level이 작을수록, 상기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부호화율은 작다고 정의한다. 혹은,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또는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 가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크게 하고,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또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그룹의 수가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DL)을 작게 해도 좋다.
이 경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DL)을,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페이로드의 사이즈(Payload size)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그 자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DL)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처리가 간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DL)을,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와 관련시켜서 결정해도 좋다. 즉,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마다, 상술한,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DL)의 결정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 값이 제어되었으나, 상기 3값 판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식(16)에 기재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HARQ-ACK for DL-SCH가 CQI와 다중하여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HARQ-ACK for DL-SCH의 정보가, 상기 CQI가 송신되고 있는 Demodulation용의 레퍼런스 신호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NACK와 DTX가 동일한 송신방법으로 송신되므로, NACK와 DTX의 구별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3값 판정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상기 식(16)에 기재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식(8)에 있어서의 Δi (UL)은, i번째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처인 유저장치에 관한, Outer-loop TPC에 기초한, 송신전력 보정 팩터이며, 기지국장치(200)의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있어서, UL-SCH(초회 송신만)의 Power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식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식에 따르면,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통신품질(정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았는지)로서, 상향링크에 있어서, 실제로 UL-SCH가 송신되었다고 판정할지, 또는, 실제로 UL-SCH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할지가 사용되며,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이 목표값 BLERtarget (UL)이 되도록 상기 오프셋의 값 이 제어된다.
[수17]
Figure 112009056709527-PCT00051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가, 이동국(100n)에 있어서 정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이동국(100n)은,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대응하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을 송신한다. 상기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력판정을 수행하고, 그 판정결과를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에 통지한다.
레이어1 처리부(2081)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력판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무선품질, 예를 들면, SIR을 측정하고, 상기 SIR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력판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SIR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실제로는 UL-SCH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SIR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실제로 UL-SCH가 송신되었다고 판정한 다.
여기서,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가, 이동국(100n)에 있어서 정상으로 수신된 경우, 이동국(100n)은, 대응하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송신한다. 한편,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가, 이동국(100n)에 있어서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이동국(100n)은, 대응하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자신앞으로 할당되었다고 인식하지 않으므로,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 UL-SCH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제어채널로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통신품질(정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았는지)과,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력판정의 판정결과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된다:
'Uplink Scheduling Grant가 정상으로 수신되었다' =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력판정결과:실제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이 송신되었다'
'Uplink Scheduling Grant가 정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 =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력판정결과:실제로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이 송신되지 않았다'
즉,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전력판정의 결과로부터, Uplink Scheduling Grant의 통신품질이 추정된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초회 송신의 UL-SCH의 Power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오프셋값 Δi (UL)의 제어를 수행하였다(식(17)). 이것은, 초회 송신의 UL-SCH에 대해서만 Uplink Scheduling Grant가 송신되는 것을 상정한 경우의 처리이다. 따라서, 초회 송신뿐만 아니라, 재송의 UL-SCH에 대해서도 Uplink Scheduling Grant가 송신된다면, 그 재송의 UL-SCH의 Power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오프셋값 Δi (UL)의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식(17)).
또한, 상술한 파라미터 Δadj ( DL ), BLERtarget ( DL ), adj ( UL ), BLERtarget ( UL )은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고정값이다. 또, Δi ( DL ), Δi ( UL )은, UE마다 제어되는 값이다.
또한, 상술한 파라미터 Δadj (DL), BLERtarget (DL), Δadj (UL), BLERtarget (UL)은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되는 고정값이다. 또, Δi (DL), Δi (UL)은, UE마다 제어되는 값이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Δi (DL), Δi (UL)을 각각 산출하였으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비트수와, Uplink Scheduling Grant의 비트수가 같은 정도라면, Δi (DL)과 Δi (UL)은 같은 정도의 값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Δ i (DL)과 Δi ( UL )을 공통의 값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즉, 공통의 오프셋값을 Δi=Δi (UL)=Δi ( DL )로 정의하고,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을 송신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HARQ-ACK for DL-SCH의 ACK/NACK/DTX의 3값 판정에 기초하여, 식(18)을 계산하고, Uplink Scheduling Grant를 송신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UL-SCH)의 Power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식(19)를 계산해도 좋다.
[수18]
Figure 112009056709527-PCT00052
[수19]
Figure 112009056709527-PCT00053
또한, 상술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UL)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페이로드의 사이즈(Payload size), UE category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큰 경우에, 상기 목 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하고,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변조방식이 16QAM 또는 64QAM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하고,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변조방식이 QPSK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부호화율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하고,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부호화율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이 고속 스루풋을 실현하는 송신포맷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하고,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이 저속 스루풋밖에 실현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해도 좋다.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MCS Level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하고,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MCS Level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가 상향링크의 최대전송속도가 큰 UE category인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하 고,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가 상향링크의 최대전송속도가 큰 UE category가 아닌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은, 대응하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큰 경우에, 그 영향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말하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을 어느 정도 크게 해도, 전송속도에의 악영향이 작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스루풋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하고, 고속 스루풋을 실현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제어채널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혹은, 상술한 예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UL)을,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페이로드의 사이즈(Payload size)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였으나, 대신에,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UL)을,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 의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여기서, 리소스 엘리먼트란, 1OFDM 심볼에 있어서의 1서브캐리어에 상당한다. 또,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이란,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LTE의 Uplink Scheduling Grant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미니 제어채널 엘리먼트라고도 불린다)으로 구성되고,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는, UL Scheduling Grant가 맵핑되는 물리채널의 사이즈에 상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혹은, Uplink Scheduling Grant의 부호화율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하고, Uplink Scheduling Grant의 부호화율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해도 좋다. 혹은 Uplink Scheduling Grant의 MCS Level이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하고, Uplink Scheduling Grant의 MCS Level이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해도 좋다. 여기서, 상기 MCS Level이란, 예를 들면, PDCCH의 포맷이어도 좋다. 또, 상기 MCS Level이 작을수록, 상기 Uplink Scheduling Grant의 부호화율은 작다고 정의한다. 혹은, Uplink Scheduling Grant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또는 리소스 엘 리먼트 그룹의 수가 큰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크게 하고, Uplink Scheduling Grant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또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그룹의 수가 작은 경우에, 상기 목표값 BLERtarget (UL)을 작게 해도 좋다.
이 경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UL)을,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페이로드의 사이즈(Payload size)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Uplink Scheduling Grant 그 자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UL)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처리가 간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UL)을,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의 레벨, 예를 들면 MCS의 번호,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와 관련시켜서 결정해도 좋다. 즉, 해당 이동국의 UE category마다, 상술한, 블록 오류율의 목표값 BLERtarget (UL)의 결정을 수행해도 좋다.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통신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에 맵핑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O)를 수신한다(단계 S902). 상기 CQI는, 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이다.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이어1 처리부(2081)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인 HARQ-ACK for DL-SCH의 3값 판정을 수행하고, 상기 송달확인정보가, ACK 또는 NACK인지, 혹은, DTX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904).
이어서,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상기 3값 판정 결과, 즉, 송달확인정보가, ACK 또는 NACK인지, 혹은, DTX인지에 기초하여, 오프셋값 Δi (DL)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수(16)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값 Δi (DL)을 제어한다(단계 S906).
그리고,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단계 S902에서 취득한 CQI와, 단계 S906에서 취득한 오프셋값 Δi (DL)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전력을 결 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식(7)에 기초하여, 상기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전력을 결정한다(단계 S908).
또한, 상기 식(7)의 산출식은, 보다 간이화한 식으로서 이하와 같이 기재해도 좋다:
Poweri=PowerBASE+CQIBASE-CQIi+Δi (DL)
아래첨자 i:이동국(100n)의 인덱스
Poweri: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전력
PowerBASE:기준이 되는 CQI에 있어서의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전력
CQIi:단계 S902에서 취득한 CQI
Δi (DL):단계 S906에서 취득한 오프셋값
또한, 식(7)은 참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식은 dB값으로 계산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통신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 즉,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의 제어채널 에 맵핑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를 수신한다(단계 S1002). 상기 CQI는, 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이다.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레이어1 처리부(2081)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Power 판정을 수행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실제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04).
이어서,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Power 판정 결과, 즉, 송달확인정보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실제로 송신되었는지, 혹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은 실제로는 송신되지 않았는지에 기초하여, 오프셋값 Δi (UL)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식(17)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값 Δi (UL)을 제어한다(단계 S1006).
그리고,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의 DL 송신전력 결정부(2084)는, 단계 S1002에서 취득한 CQI와, 단계 S1006에서 취득한 오프셋값 Δi (UL)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나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 즉,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식(8)에 기초하여, 상기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을 결정한다(단계 S1008).
또한, 상기 식(8)의 산출식은, 보다 간이화한 식으로서 이하와 같이 기재해도 좋다:
Poweri=PowerBASE+CQIBASE-CQIi+Δi (UL)
아래첨자 i:이동국(100n)의 인덱스
Poweri: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
PowerBASE:기준이 되는 CQI에 있어서의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
CQIi:단계 S1002에서 취득한 CQI
Δi (UL):단계 S1006에서 취득한 오프셋값
또한, 식(8)은 참값으로 계산되고, 상기 식은 dB값으로 계산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의 최대송신전력으로서, 정격전력을 이용하고 있으나, 대신에, 정격전력보다도 작은 고정값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에 관한 정보, 즉,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송신전력제어를, 상기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및 Uplink Scheduling Grant의 오류에 기초하여,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를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은, 하향링크에 있어서 직교 주파 수 분할 다중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는 모든 시스템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상,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되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2월 28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050839호, 2007년 3월 6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056442호 및 2007년 11월 30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31123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7-050839호, 2007-056442호 및 2007-311234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12)

  1.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공유채널을 수신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을 통지하는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와, 상기 제어채널의 통신품질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채널의 통신품질로서, 상기 제어채널의 블록 오류율을 사용하고, 상기 제어채널의 블록 오류율이 목표값이 되도록 상기 오프셋의 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향링크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에 대응하는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상기 송달확인정보의 수신결과가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인 경우에, 상기 오프셋의 값을 낮추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송달확인정보의 수신결과가 무송신인 경우에, 상기 오프셋의 값을 올리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레벨 및 페이로드의 사이즈, 유저장치의 카테고리(UE category)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은,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레벨 및 물리채널의 사이즈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유저장치와 상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공유채널을 위한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와, 상기 제어채널의 통신품질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채널의 통신품질로서, 상기 제어채널의 블록 오류율을 사용하고, 상기 제어채널의 블록 오류율이 목표값이 되도록 상기 오프셋의 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에 대응하는 공유채널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상기 무선품질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오프셋의 값을 올리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오프셋의 값을 낮추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전송속도, 변조방식,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레벨 및 페이로드의 사이즈, 유저장치의 카테고리(UE category)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은,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포맷, 부호화율,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레벨 및 물리채널의 사이즈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유저장치와, 상기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채널을 수신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을 통지하는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경우에,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를 취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채널에 대응하는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오프셋값을 제어하는 제2 단계;
    상기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와, 상기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12. 유저장치와, 상기 유저장치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유저장치의 식별정보,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 을 통지하는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경우에,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를 취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채널에 대응하는 공유채널의 무선품질에 기초하여 오프셋값을 제어하는 제2 단계;
    상기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와, 상기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채널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19282A 2007-02-28 2008-02-21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13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50839 2007-02-28
JP2007050839 2007-02-28
JP2007056442 2007-03-06
JPJP-P-2007-056442 2007-03-06
JP2007311234 2007-11-30
JPJP-P-2007-311234 2007-11-30
PCT/JP2008/052967 WO2008105310A1 (ja) 2007-02-28 2008-02-21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377A true KR20090113377A (ko) 2009-10-30

Family

ID=3972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282A KR20090113377A (ko) 2007-02-28 2008-02-21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9884B2 (ko)
EP (1) EP2120471A1 (ko)
JP (1) JP5091942B2 (ko)
KR (1) KR20090113377A (ko)
CN (1) CN101663908A (ko)
WO (1) WO2008105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61B1 (ko) * 2006-10-02 201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효율적인 동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송 전력할당 방법
KR100937030B1 (ko) * 2007-05-31 2010-0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신호의 전송 방법, 전송 장치, 수신 방법 및수신 장치
JP5038060B2 (ja) * 2007-08-14 2012-10-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WO2009037853A1 (ja) * 2007-09-21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応答信号割当方法
US20100110964A1 (en) * 2008-11-04 2010-05-06 Motorola, Inc. Method for Relays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414695B2 (ja) * 2008-12-01 2014-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pdcchの受信方法
CN101873698B (zh) * 2009-04-23 2012-12-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信号传送方法及其相关设备
US9059749B2 (en) * 2009-10-02 2015-06-16 Sharp Kabushiki Kaisha Antenna port mode and transmission mode transitions
WO2011042336A2 (en) * 2009-10-05 2011-04-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9264184B2 (en) * 2009-10-30 2016-02-16 Sony Corporation Coordinated signaling of scheduling information for uplink and downlink communications
WO2011054148A1 (zh) * 2009-11-06 2011-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和装置
BR112012012655B1 (pt) * 2009-11-27 2021-07-27 Sharp Kabushiki Kaisha Aparelho de estação móvel, aparelho de estação base, método de comunicação de um aparelho de estação móvel e método de comunicação de um aparelho de estação base
EP2520120B1 (en) * 2009-12-29 2015-04-22 Telecom Italia S.p.A. Adaptive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and the number of physical resource blocks
US9407409B2 (en) * 2010-02-23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JP5423499B2 (ja) * 2010-03-16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10235599A1 (en) * 2010-03-29 2011-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acknowledgement signaling in carrier-aggreg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2209392B (zh) * 2010-03-31 2015-09-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控制资源分配方法和设备
US8670496B2 (en) 2010-04-14 2014-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KR101740445B1 (ko) 2010-04-22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1835251B (zh) * 2010-05-04 2012-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功率控制方法及设备
US8879513B2 (en) 2010-05-12 2014-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MIMO
US8457002B2 (en) * 2010-07-29 2013-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grant loss detection and related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421187B1 (en) * 2010-08-20 2018-02-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2480795B (zh) * 2010-11-24 2015-04-2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调整ue的下行授权物理下行控制信道的方法和基站
CN102685893B (zh) * 2011-03-11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pdcch自适应传输方法和装置
CN102685894B (zh) * 2011-03-11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pdcch自适应传输方法和装置
US20120238271A1 (en) * 2011-03-18 2012-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handover for a mobile device
US9271246B2 (en) * 2011-04-13 2016-02-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system
JP5432210B2 (ja) * 2011-05-02 2014-03-0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下り制御チャネル受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02868502B (zh) * 2011-07-05 2017-08-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物理下行控制信道聚合度的方法及装置
KR20130047862A (ko) * 2011-11-01 201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 별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5994967B2 (ja) * 2011-11-07 2016-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635652B2 (en) 2012-03-22 2017-04-25 Zte (Usa) Inc. Optimized transmission of machine type communication data from a mobile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US8989041B2 (en) * 2012-05-14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ccess probe transmit power according to a reverse link underload condition
CN103973391A (zh) * 2013-01-24 2014-08-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汇报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设备
JP2013243730A (ja) * 2013-07-10 2013-12-05 Kyocera Corp 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基地局
US9288012B2 (en) * 2013-10-15 2016-03-15 Mediatek In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quality
WO2016201594A1 (zh) * 2015-06-15 2016-12-22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集群终端反馈下行信道的方法、终端及系统
US10841057B2 (en) * 2016-08-08 2020-11-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E-specific beam management for high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KR102606781B1 (ko) * 2016-09-02 2023-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651442B (zh) 2017-05-24 2022-03-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设备的调度
RU2021137522A (ru) * 2017-06-14 2022-01-12 Идак Холдингз, Инк. Надежная сигнализация управл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2640A (ja) * 2002-06-28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電力制御方法、通信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2004215104A (ja) 2003-01-07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割り当て制御装置及び送信割り当て制御方法
JP2007050839A (ja) 2005-08-19 2007-03-01 Yamaha Marine Co Ltd 船外機
JP4549907B2 (ja) * 2005-03-18 2010-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4713923B2 (ja) 2005-04-15 2011-06-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4690246B2 (ja) 2006-05-19 2011-06-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薄膜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03167B2 (ja) 2006-11-13 2010-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cチップ入り印刷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3908A (zh) 2010-03-03
US20100041430A1 (en) 2010-02-18
EP2120471A1 (en) 2009-11-18
JP5091942B2 (ja) 2012-12-05
US8369884B2 (en) 2013-02-05
JPWO2008105310A1 (ja) 2010-06-03
WO2008105310A1 (ja)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1942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119235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98192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8982817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user terminal
KR102444764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JP5417319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60157183A1 (en)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uplink signal transmission power, and method therefor
WO2011013715A1 (ja) 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258219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110103367A1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20120009962A1 (en)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base station, transmit power decid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88084A (ko)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83440A (ko)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WO2011122265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移動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878728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user terminal
WO2012017780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3918337A (zh) 无线通信系统、无线基站装置、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5133345B2 (ja) 基地局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US20130182673A1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052599B2 (ja) 送達確認情報送信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ユーザ装置
JP5338747B2 (ja) 上りリンク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機能を含む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US9338786B2 (en)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JP2012138967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集積回路
WO2011016391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