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072A -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072A
KR20090113072A KR1020080038950A KR20080038950A KR20090113072A KR 20090113072 A KR20090113072 A KR 20090113072A KR 1020080038950 A KR1020080038950 A KR 1020080038950A KR 20080038950 A KR20080038950 A KR 20080038950A KR 20090113072 A KR20090113072 A KR 2009011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video
file
video file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산정
맹숙영
김명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3072A/ko
Publication of KR2009011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촬상장치는 기 촬영분에 관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 기록매체 내의 동영상 파일을 신장 복호화하여 구(舊)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스트림(stream)으로 복원하는 동영상 디코더 및 복원된 구(舊) 프레임들에 연속하여, 현재 촬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신(新) 프레임들을 시간상 선후관계에 따라 축적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 이어서 현재 촬영된 동영상들을 연속하여 축적시키는 이른바, 이어찍기 촬영을 지원하는 촬상장치 및 촬영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for continuous video recording}
본 발명은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 이어서 현재 촬영된 동영상들을 연속하여 축적시키는 이른바, 이어찍기 촬영을 지원하는 촬상장치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에서도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을 개시한 후, 필요에 따라 중지(pose) 버튼을 눌러 촬영작업을 잠깐 중지시킨 다음, 다시 해제 버튼을 눌러 촬영을 속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촬영계속 상태에서 촬영작업을 잠시 중지시켰다가 다시 속행하는 것에 불과하며, 촬영상태가 완전히 종료되어 메모리 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된 다음에, 비로소 촬영을 속행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한 촬영 이벤트, 촬영장소, 또는 촬영일자 등을 매개로 하여, 기 촬영된 동영상 파일과 현재의 촬영분을 묶어서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관리하고자 하는 촬영 의도를 반영하여, 신개념의 이어찍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복원된 구(舊) 프레임들에 이어서 현재 촬영된 신(新) 프레임들을 시간상 선후관계에 따라 축적시킴으로써, 구(舊) 프레임과 신(新) 프레임들로 구성된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얻을 수 있는 이어찍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는,
기 촬영분에 관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
상기 기록매체 내의 동영상 파일을 신장 복호화하여 구(舊)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스트림(stream)으로 복원하는 동영상 디코더; 및
상기 복원된 구(舊) 프레임들에 연속하여, 현재 촬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신(新) 프레임들을 시간상 선후관계에 따라 축적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상장치는 구(舊) 프레임들과 신(新)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동영상 스트림을 압축 복호화하는 동영상 인코더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상장치는 동영상 파일의 신장 복호화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한편으로, 동영상 스트림 형태로 복원된 구 프레임들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구(舊) 프레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 (Frame Per Second)로 신(新) 프레임들을 축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구(舊) 프레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레임 사이즈 (Width Size, Height Size)로 신(新) 프레임들을 축적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기록매체 내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파일을 호출하고, 파일의 헤더영역으로부터 프레임 레이트(Frame Per Second), 프레임 사이즈(Width Size, Height Size)를 포함하는 세부촬영정보를 독출해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어찍기 촬영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이어찍기를 할 동영상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동영상 파일로부터 촬영조건에 관한 부대정보를 독출하는 한편으로,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신장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원된 구(舊) 프레임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단계;
상기 독출된 촬영조건을 현재의 촬영조건으로 설정해두는 단계; 및
사용자의 촬영개시 신호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신(新) 프레임들을 상기 구(舊) 프레임들에 이어 연속적으로 축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방법은 사용자의 촬영종료 신호에 따라 축적해둔 구(舊) 프레임과 신(新) 프레임들로 구성된 동영상 스트림을 압축 부호화하여 동영상 파일형태로 저장해두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촬영조건에 관한 부대정보는 프레임 레이트(Frame Per Second), 프레임 사이즈(Width Size, Height Size), 전체 프레임 수(Total Fram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복호화하여 구 프레임들을 복원시키고, 복원된 구 프레임들에 이어서 현재 촬영된 신 프레임들을 시간상 선후관계에 따라 축적시킨 후, 구 프레임과 신 프레임들로 구성된 동영상 스트림을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보관하는 이어찍기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미 기록매체에 파일형태로 보관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서도 동일한 촬영 이벤트, 촬영장소 또는 촬영일시 등을 매개로 하여, 과거의 촬영분과 현재의 촬영분을 묶어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촬상장치는, 다수의 광학 렌즈들을 포함하여 피사체 영상을 촬상면에 대해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 유닛(110), 상기 광학 유닛(110)을 경유한 피사체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소자(120), 상기 촬상소자(120)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nalog Front End;AFE) 회로(130), 신호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도록 영 상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정하는 DRAM(14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기록매체(170), 그리고, 전반적인 데이터 흐름과 각 구성부분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110)은 광축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렌즈(112), 촬상소자(120)로의 노광시간 및 입사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셔터(114)와 조리개(116), 그리고, 촬상소자(120)에 결상되는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118)를 포함한다. 상기 줌 렌즈(112), 셔터(114), 조리개(116), 그리고 포커스 렌즈(118)는 드라이버(111)로 제어되는 액츄에이팅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촬상소자(120)는 예를 들어,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서, 광학 유닛(110)을 경유하여 입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120)의 동작은 타이밍 생성기(121;Timing Generator;TG)를 개재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촬상소자(120)는 스틸 촬영(정지영상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규격화된 프레임 레이트(Frame Per Second;FPS), 예를 들어, 60 FPS의 프레임 레이트를 갖고 촬상소자(120)로의 노광 및 1 화면 분의 데이터 판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일정한 프레임 레이트를 두고 얻어지는 1 화면을 1 프레임이라고 한다. 그리고, 동영상 촬영시 시간 축에 대해 연속 취득된 복수 개의 프레임들은 동영상 스 트림을 구성하며 궁극적으로 하나의 동영상 파일화되어 기록매체 내에 저장된다.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130;AFE 회로)는 촬상소자의 출력 신호에 대해, 높은 신호-잡음 비율 (Signal to Noise ratio)이 유지되도록 상호 연관된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방식으로 샘플 홀드를 행하고, AGC(Auto Gain Control)에 의해 화상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고, ADC(Analog Digital Conversion)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촬상소자(12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130;AFE 회로)에서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선택적으로 화질보정처리 및 휘도(Y)/색도(C) 변환 처리 등을 거친 다음, 처리대상에 따라 정지영상 인코더(161) 또는 동영상 인코더(163)로 전송된다. 정지영상의 경우에는 1 프레임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인코더(161)로 전달되며, 동영상의 경우에는 시간 흐름을 따라 연속적인 동영상 스트림이 인코더(163)로 전달된다. 인코더(161,163)로 전달된 영상 데이터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등의 규정된 압축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된 후 기록매체(17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정지영상 디코더(162) 및 동영상 디코더(164)는 기록매체(170)에 저장된 영상파일을 호출하여 신장 복호화함으로써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디코더(164)는 기 촬영된 동영상 파일을 복호화함으로써 다수의 프레임들로 구성된 동영상 스트림을 복원한다. 이로써, 기 촬영된 마지막 프레임 이후에 새롭게 촬영된 영상 프레임들을 순차로 축적시킴으로써 구(舊) 프레임과 신(新) 프레임을 연속된 하나의 시간 축을 따라 연결하는 이른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DRAM(140;또는 SDRAM)은 각종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촬영개시로부터 축적되는 일련의 동영상 프레임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촬영종료와 동시에 파일화 처리되어 기록매체에 영구 저장되기까지 동영상 프레임들을 임시로 보존하며, 압축처리 등을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정지영상 인코더/디코더(161,162), 동영상 인코더/디코더(163,164)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DRAM(140)을 작업영역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어찍기 촬영과 관련하여 상기 DRAM(140)은, 동영상 디코더(164)에 의해 복호화된 구(舊) 프레임들과 이어찍기로 새롭게 촬영된 신(新) 프레임들을 하나의 연속된 동영상 스트림 형태로 축적하고 있다가, 이어찍기의 종료에 따라 현재까지 축적된 동영상 스트림을 대상으로 하는 압축 및 파일화 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EEPROM(155;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촬상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게 되며, 각종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드라이버(111)를 개재하여 광학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타이밍 생성기(121)를 통하여 촬상소자(1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정지영상/동영상의 인코더/디코더(161,162,163,164)의 가동 여부 및 그 처리대상에 대한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이어찍기의 객체로 선택된 동영상 파 일을 기록매체(170)로부터 호출하고, 파일의 헤더영역을 독출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프레임 사이즈(width size, height size), 전체 프레임 수(total frame), 마지막 프레임의 위치 등에 관한 세부적인 촬영정보를 취득하여, 이어찍기의 촬영조건에 그대로 반영시킨다. 도 2는 이어찍기 촬영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어찍기란, 기존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던 구(舊) 프레임(PF)들에 연속하여, 새롭게 촬영된 신(新) 프레임(NF)들을 축적시킴으로써, 구(舊) 프레임(PF)들과 신(新) 프레임(NF)들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어찍기의 촬영조건은 기존 촬영조건을 그대로 추종하여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舊)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레이트(프레임들 간의 시간적 주기(T)와 역관계)는 신(新) 프레임들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어찍기는 일정한 시간적 공백(INT)을 두고 촬영이 속행되는 것이므로, 기 촬영분에 대해서는 이미 압축 처리가 이루어져서, 휘발성 메모리(DRAM;140) 영역에서는 삭제되고 기록매체(170) 내에 파일 형태로 영구 저장된 다음에 비로소 촬영이 속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단순히 촬영중지(pose)와 중지해제와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영이 다시 연속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때에는 기 촬영분의 동영상 프레임이 휘발성 메모리(DRAM;140) 영역에 그대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속행 촬영을 통해 취득되는 동영상 프레임은 당연히 기존의 동영상 프레임에 이어지게 되며, 연속적인 동영상 스트림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찍기 촬영과 관련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동영상 디코더(164) 를 가동하여, 이어찍기의 객체가 되는 동영상 파일을 신장 복호화하고 이렇게 복원된 동영상 스트림은 휘발성 메모리(DRAM;140) 영역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며, 이어찍기를 통하여 취득되는 새로운 신(新) 프레임(NF)들은 복원된 구(舊) 프레임(PF)들 중에서 맨 마지막 프레임에 이어 시간적인 선후관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축적됨으로써 연속적인 하나의 동영상 스트림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190)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button) 및 레버(level) 등의 입력 메커니즘(input mechanism)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일반 촬영모드와 이어찍기 촬영모드 간의 모드 전환 등을 위한 모드 설정 버튼,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된 커서를 특정 선택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4 방향 이동 버튼, 활성화된 커서가 지시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확인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 동작과 관련하여 광학 줌 버튼, 망원 줌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9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LCD 패널(180)은 LCD 드라이버(181)를 개재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와 연결되며,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화면상에 표시해준다. 상기 LCD 드라이버(181) 및 패널(180)은 기록매체(170)에 저장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화면을 표시하며, 각종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OSD(On Screen Display)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이어찍기의 촬영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이어찍기의 촬영방법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로서, 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구동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촬상장치는 초기화를 수행하게 된다(S10). 그런 후, 사용자 조작부(190)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전환에 관한 입력신호에 따라, 촬상장치는 재생 모드로 이행된다(S11). 사용자는 재생모드의 파일찾기 기능을 활용하여 기록매체(170)에 입력된 동영상 파일들의 파일명, 촬영일시 등에 관한 파일목록을 확인하고, 이어찍기의 객체로서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게 된다(S12). 그리고, 사용자 조작부(190)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전환에 관한 입력신호에 따라, 촬상장치는 이어찍기 촬영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13).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이어찍기의 객체로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기록매체로부터 호출하고, 파일의 헤더영역에 부대되어 있는 촬영조건에 관한 상세정보,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프레임 사이즈(width size, height size), 전체 프레임 수(total frame), 마지막 프레임의 위치 등에 관한 촬영정보를 판독하여(S14), 이를 현재의 동영상 촬영조건(이어찍기의 촬영조건)으로 설정하게 된다(S15). 즉, 기 촬영분의 촬영조건과 현재 이어찍기의 촬영조건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구(舊) 프레임(PF)들과 신(新) 프레임(NF)들이 서로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동영상 디코더(164)를 가동하여 이어찍기의 객체로 선택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복호화 처리를 진행하며(S16), 이렇게 복호화된 구(舊) 프레임(PF)들은 DRAM(140)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 조작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촬영개시에 관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본격적인 동영상 촬영이 시작된다. 그러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DRAM(140)에 저장되어 있는 구(舊) 프레임(PF)들 중 마지막 프레임 이후에 연속하여, 새롭게 촬영된 신(新) 프레임(NF)들을 시간의 선후관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축적하게 된다(S17). 그리고, 사용자 조작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종료에 관한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촬영작업이 종료된다(S18).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촬영종료를 조건으로 DRAM(140)에 저장되어 있던 구(舊) 프레임(PF)들과 신(新) 프레임(NF)들로 구성되는 동영상 스트림에 대한 압축 처리를 수행하도록 동영상 인코더(163)를 가동하며(S19), 압축된 데이터에 파일명을 부가하여 기록매체(170)에 영구 저장시키게 된다(S2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이어찍기에 있어, 동영상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어찍기 촬영방법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구동 단계들을 도시한 프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광학 유닛 112 : 줌 렌즈
114 : 셔터 116 : 조리개
118 : 포커스 렌즈 120 : 촬상소자
121 : 타이밍 생성기 130 :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
140 : RAM(SDRAM) 150 : 디지털 신호 처리기
155 : EEPROM 161 : 정지영상 인코더
162 : 정지영상 디코더 163 : 동영상 인코더
164 : 정지영상 디코더 170 : 기록매체
180 : LCD 패널 181 : LCD 드라이버
PF : 구(舊) 프레임 NF : 신(新) 프레임

Claims (9)

  1. 기 촬영분에 관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
    상기 기록매체 내의 동영상 파일을 신장 복호화하여 구(舊)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스트림(stream)으로 복원하는 동영상 디코더; 및
    상기 복원된 구(舊) 프레임들에 연속하여, 현재 촬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신(新) 프레임들을 시간상 선후관계에 따라 축적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舊) 프레임들과 신(新)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동영상 스트림을 압축 복호화하는 동영상 인코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신장 복호화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한편으로, 동영상 스트림 형태로 복원된 구 프레임들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구(舊) 프레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 (Frame Per Second)로 신(新) 프레임들을 축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구(舊) 프레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레임 사이즈 (Width Size, Height Size)로 신(新) 프레임들을 축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기록매체 내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파일을 호출하고, 파일의 헤더영역으로부터 프레임 레이트(Frame Per Second), 프레임 사이즈(Width Size, Height Size)를 포함하는 세부촬영정보를 독출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7. 사용자로부터 이어찍기를 할 동영상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동영상 파일로부터 촬영조건에 관한 부대정보를 독출하는 한편으로,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신장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원된 구(舊) 프레임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단계;
    상기 독출된 촬영조건을 현재의 촬영조건으로 설정해두는 단계; 및
    사용자의 촬영개시 신호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신(新) 프레임들을 상기 구(舊) 프레임들에 이어 연속적으로 축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촬영종료 신호에 따라 축적해둔 구(舊) 프레임과 신(新) 프레임들로 구성된 동영상 스트림을 압축 부호화하여 동영상 파일형태로 저장해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조건에 관한 부대정보는 프레임 레이트(Frame Per Second), 프레임 사이즈(Width Size, Height Size), 전체 프레임 수(Total Fram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찍기 촬영방법.
KR1020080038950A 2008-04-25 2008-04-25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 KR20090113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50A KR20090113072A (ko) 2008-04-25 2008-04-25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50A KR20090113072A (ko) 2008-04-25 2008-04-25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072A true KR20090113072A (ko) 2009-10-29

Family

ID=4155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950A KR20090113072A (ko) 2008-04-25 2008-04-25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30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962A1 (ko) * 2013-10-29 2015-05-07 주식회사 애드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확장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US9953680B2 (en) 2015-09-25 2018-04-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962A1 (ko) * 2013-10-29 2015-05-07 주식회사 애드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확장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US9953680B2 (en) 2015-09-25 2018-04-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5561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204355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US8411158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264389B1 (ko) 촬상 장치 및 방법
WO2016000515A1 (zh) 拍摄星轨视频的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JP4862741B2 (ja) 撮像装置、撮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8823854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control method for read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during exposure
KR101477537B1 (ko) 오버 라이딩 모드를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제어방법
JP2009194770A (ja) 撮像装置、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266659A (ja) 撮像再生装置
JP4252015B2 (ja) 画像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撮像再生システム
JP6354877B2 (ja) 撮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10147665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연속 촬영된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JP428177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記録方法
JP2010021710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113072A (ko) 이어찍기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 및 이어찍기 촬영방법
JP2007281966A (ja) 再生装置、再生画像の選択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10348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4467232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KR1014804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22181087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00935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プログラム
JP459106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0247595B1 (ko) 복합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5287636B2 (ja) 画像データ記録装置及び画像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