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749A -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홉핑 구조들 - Google Patents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홉핑 구조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749A
KR20090112749A KR1020097018659A KR20097018659A KR20090112749A KR 20090112749 A KR20090112749 A KR 20090112749A KR 1020097018659 A KR1020097018659 A KR 1020097018659A KR 20097018659 A KR20097018659 A KR 20097018659A KR 20090112749 A KR20090112749 A KR 2009011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eband pilot
hopping pattern
pilot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wid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374B1 (ko
Inventor
더가 프라사드 말라디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1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1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featuring pilot assisted re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홉핑 패턴들의 정의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설명된다. 대역폭 부분들은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에 전용일 수 있고, 패턴들은 전체 전용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소정 시간 구간들 내에서 주파수들에 걸쳐 홉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기는 부가적인 스케줄링을 요구하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높은 액티비티의 디바이스들)이 상기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더 자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홉핑 패턴들은 상기 패턴들의 순환 시프트들에 걸쳐 홉핑하여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을 위한 최적의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홉핑 구조들{HOPPING STRUCTURES FOR BROADBAND PILOT SIGNAL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광대역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주파수, 시간 슬롯, 및 순환 시프트 홉핑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 번호가 60/888,460이고, 발명의 명칭이 "A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HANNEL SOUNDING AND POWER CONTROL"이고, 출원일이 2007년 2월 6일인 미국 가출원 특허의 이익을 청구한다. 전술된 가출원의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들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3GPP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등과 같은 규격들에 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 디바이스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이동 디바이스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이동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이동 디바이스들 및 기지국들 간의 통신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동 디바이스들은 피어-투-피어 무선 네트워크 구성들에서 다른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그리고/또는 기지국들은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일반적으로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한다. 상기 안테나들은 일 예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하는 기지국들 및 이동 디바이스들 모두에 관련될 수 있다. 많은 디바이스들이 신호 데이터를 인접하게 전송하며, 자원 할당 및 전력 제어는 디바이스들이 통신에서의 충분한 신호-잡음 비 및 데이터 레이트를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은 후속적인 전송들에서 부가적인 전력을 요청하고 그리고/또는 부가적인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송에서의 신호 품질의 측정을 허용하는 디바이스 들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다음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참작되는 실시예들의 확장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실시예들의 키 혹은 중요 엘리먼트를 식별하는 것으로도, 또한 임의의 혹은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것으로도 의도되지 않는다. 그 유일한 목적은 추후 제공될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이들의 대응 개시물들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홉핑 패턴들의 생성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홉핑 패턴들의 사용에 있어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에 전용인 전체 대역폭 부분들은 시간에 걸쳐 상기 대역폭 내의 홉핑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홉핑 패턴들은 상이한 주기를 가질 수 있어서, 높은 스케줄링의 필요성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는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빈번한(예를 들어, 매 기회마다) 전송을 제공하는 패턴들이 할당될 수 있는 반면, 더 낮은 스케줄링 필요성, 혹은 더 낮은 액티비티 레벨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은 반드시 각 가용 구간마다 전송하지는 않는 패턴들이 할당된다.
관련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용 대역폭 부분을 예비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주기에 따라 상기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홉핑 패턴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다수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쳐 시간에 걸쳐 홉핑하는 디바이스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 전송들을 위한 홉핑 패턴들을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에 전용인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시간에 걸쳐 상기 대역폭 부분 중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 블록들로의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용 대역폭 부분을 예비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주기에 따라 상기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홉핑 패턴을 할당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에 전용인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에 걸쳐 상기 대역폭 부분 중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 블록들로의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고, 그리고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할당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대역폭 부분 중 제 1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대역폭 부분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다른 대역폭 부분에 있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으로 홉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들을 통해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시간에 걸쳐 다수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 사이에서 홉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시간에 걸쳐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대역폭 부분 중 제 1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대역폭 부분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됨 ―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다른 대역폭 부분에 있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으로 홉핑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수신하고,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시간에 걸쳐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목적들 및 관련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전체가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에서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 설명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규정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양상들이 지시적이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예시적인 통신 장치의 예시이다.
도 3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 전송을 위한 홉핑 패턴들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4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예비된 섹션들을 가지는 예시적인 대역폭의 예시이다.
도 5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홉핑 패턴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예시이다.
도 6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홉핑 패턴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예시이다.
도 7은 홉핑 패턴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이동 디바이스의 예시이다.
도 8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한 홉핑 패턴들의 생성 및 할당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9는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예시이다.
도 10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들을 생성하고 할당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11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이다.
이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관련하여 설명되며, 동일 참조 번호들은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엘리먼트들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후속하는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다양한 규정 상세항목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가 이들 규정 상세항목들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혹은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성,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로써,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그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둘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컴포넌트들은 저장된 데이터 구조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분산형 시스템 내의 다른 컴포넌트와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랙팅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를 가지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동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다. 이동 디바이스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용 디지털 장비(PDA), 무선 접속 성능을 가지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 이, 다양한 실싱케들이 기지국과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다. 기지국은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용어들로 지칭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 혹은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여 방법, 장치 또는 제조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제조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채널들 및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반송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여기에 제공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또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고, 부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2개의 안테나들이 예시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 그룹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기지국(102)은 부가적으로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차례로 신호 전송 및 수신과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다중화기들, 복조기들, 역다중화기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이동 디바이스(116) 및 이동 디바이스(122)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102)은 실질적으로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과 유사한 임의의 개수의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예를 들어, 셀룰러 폰들, 스마트 폰들, 랩톱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글로벌 위치지정 시스템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12 및 114)과 통신할 수 있으며, 안테나들(112 및 114)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122)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22)에 정보를 전송하며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순방향 링크(124)는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들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영역은 기지국(102)의 섹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 내에 있는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을 통한 통신에 있어서, 기지국(102)의 전송 안테나들은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한 빔형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이 관련 커버리지를 통해 무작위로 분산된 이동 디바이스(116 및 122)로 전송하기 위해 빔형성을 사용하는 반면, 이웃 셀들에 있는 이동 디바이스들은 단일 안테나를 통해 자신의 모든 이동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비교하여 간섭이 더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투-피어 혹은 애드 혹 기술들을 사용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시스템(100)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FDD, TDD 등과 같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타입의 듀플렉싱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 채널들(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역방향 링크,...)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시스템(100)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 송하기 위한 대역폭 부분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또는 122)은 하나 이상의 홉핑 패턴들에 따라 상기 대역폭 부분 내의 개별 광대역 파일럿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홉핑 패턴들은 시간 혹은 주파수 상에서의 시간, 주파수, 순환형 시프트들을 통한 홉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홉핑 패턴들은 상기 대역폭 중 전용 광대역 파일럿 부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역폭의 상기 부분은 높은 데이터 스루풋을 증진하기에는 비교적 작을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시간에 대해 주파수를 전달하기 위해 OFDM 심볼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구성(일 예로, 예를 들어,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3GPP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등)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 소정 시간 구간 내에서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들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전용 심볼은 각각의 시간 구간 내에서 유사하게 위치된 심볼일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위치들의 심볼들 역시 추가적인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들은 예를 들어 기지국(102)에 의해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홉핑 패턴은 하나 이상의 시간 구간들을 통해 광대역 파일럿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OFDM 심볼들의 슬롯들 또는 주파수들을 규정할 수 있다. 홉핑 패턴들은 소정의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또는 122)에 대한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으며, 전용 광대역 파일럿 OFDM 심볼들에 대한 주파수들에 걸친 홉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액티비티의 이동 디바이 스는 낮은 전력의 이동 디바이스보다 광대역 파일럿 정보를 더 자주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자주 홉핑할 수 있다. 또한, 순환형 시프트는 소정 홉핑 패턴에 관련하여 규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형 시프트들 역시 홉핑될 수 있다. 또한, 홉핑 패턴들은 소정의 기지국(102)에 대해 규정적일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로 전송된 정보는 기지국(102)과 통신하는 개별 이동 디바이스(116 및/또는 122)에 대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대역폭 부분들(예를 들어, OFDM 심볼들 혹은 그 일부분들)은 광대역 파일럿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ㄷ드들(116 및/또는 122)에 할당되어 통신 채널 상에서의 원하는 신호-대-잡음비(SNR) 및/또는 원하는 혹은 최대의 데이터 레이트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광대역 파일럿 정보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또는 122)로 전력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대역 파일럿으로 수신된 정보 및/또는 강도, 명확성, 또는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기지국(102)은 예를 들어,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데이터 스루풋을 최대화하기 위한 파워-업 또는 파워-다운 지령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02)과 통신하는 모든 이동 디바이스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홉핑 패턴 혹은 주파수 슬롯이 스케줄링되거나 할당될 필요는 없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에서, 이동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 혹은 상태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되거나 스케줄링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충분히 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들은 디바이스의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을 용이하기 위해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지만, 충분히 활성 상태에 있지 않은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지 매체 접근 제어(MAC) 어드레스를 유지하기에만 충분하게 활성인 디바이스)는 광대역 파일럿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고,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에 이러한 파일럿 정보에 대한 홉핑 패턴이 할당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통신 장치(200)가 예시된다. 상기 통신 장치(200)는 기지국 또는 상기 기지국의 일부분, 이동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일부분, 또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은 신호들의 간섭 및 오버랩을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통신 장치(200)는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최소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된 컴포넌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200)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광대역 파일럿 주기를 구성할 수 있는 주기 구성기(202),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에 대한 홉핑 패턴을 결정할 수 있는 홉핑 패턴 디파이너(definer)(204), 및 대표 디바이스에 결과적인 광대역 파일럿 구성을 할당할 수 있는 광대역 파일럿 할당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장치(200)는 다른 디바이스의 전송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통신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파일럿 신호, 상기 디바이스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의 검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통지 등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주기 구성기(202)는 다른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상태 또는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통신 장치(200)와의 통신에 대한 디바이스의 스케줄링 요구들에 관련할 수 있다. 높은 통신 액티비티를 가지는 디바이스들은 낮은 통신 액티비티를 가지는 디바이스보다 더 많은 스케줄링을 요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기 구성기(202)는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전송에 대해 더 높은 주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활성인 디바이스에 대해, 주기 구성기(202)는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200Hz 주기(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에 대한 사운딩에 대해 5ms의 사운딩 주기)를 할당할 수 있는 반면, 그렇게 활성이지 않은 디바이스에는 25Hz 주기(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에 대한 사운딩에 대해 40ms의 사운딩 주기)가 할당될 수 있다. 홉핑 패턴 디파이너(204)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의 정의(defining)에 있어서 상기 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홉핑 패턴 디파이너(204)는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간, 주파수, 및/또는 시간/주파수의 순환 시프트들을 통해 홉핑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은 예를 들어, 광대역 파일럿 채널 상에서의 오버랩 또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정의된 패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구성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구간의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들은 상기 OFDM 심볼에 대해 다른 통신이 제한될 수 있도록 광대역 파일럿 전송에 전용일 수 있다. 심볼들은 상기 광대역 파일럿 전용 OFDM 심볼이 각각의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심볼들의 시간 구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광대역 파일럿들은 서로 다른 OFDM 심볼들에 대한 시간에 걸쳐 홉핑할 수 있다. 더욱이, 광대역 파일럿들에 대해 전용인 OFDM 심볼 내에서, 상기 홉핑 패턴 디파이너(204)는 상기 OFDM 심볼들의 분할된 주파수 슬롯들 중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상충/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광대역 파일럿들을 전송하는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구간들 내에 혹은 상기 소정 시간 구간들 동안의 OFDM 심볼들의 주파수 슬롯들에 걸쳐 홉핑하여 상기 광대역 파일럿들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홉핑 패턴 디파이너(204)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홉핑 패턴들을 정의하며, 상기 홉핑 패턴들은 소정 디바이스가 소정 패턴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디바이스에 대해 순환적으로 시프트될 수 있지만, 상기 OFDM 심볼들의 다른 슬롯 혹은 주파수에서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홉핑 패턴 디파이너(204)는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구간들동안의 순환형 시프트들 사이에서 홉핑하는 패턴들을 정의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 대한 홉핑 패턴을 결정할 때, 광대역 파일럿 할당기(206)가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을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홉핑 패턴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통신 장치(200)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홉핑 패턴들은 통신 장치(200)에 대해 규정적일 수 있으며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해 변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들은 소정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은 상기 액티비티 레벨에 기초 하여 광대역 파일럿 정보에 대한 서로 다른 사운딩 구간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장치(200)는 현재의 홉핑 패턴들을 평가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루풋 및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홉핑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에 있어서 후속적인 사용을 위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들을 생성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300)이 예시된다. 시스템(300)은 이동 디바이스(304)(및/또는 임의의 개수의 서로 다른 이동 디바이스들(미도시))와 통신하는 기지국(302)을 포함한다. 기지국(302)은 순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이동 디바이스(304)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302)은 역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이동 디바이스(304)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300)은 MIMO 시스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300)은 OFDMA 무선 네트워크, 3GPP LTE 무선 네트워크 등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설명되고 도시된 기지국(302) 내의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이동 디바이스(304)에서도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하는데, 일 예에서,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들 컴포넌트들을 배제시킨다.
기지국(302)은 예를 들어, 액티비티 레벨 혹은 스케줄링 요구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는 주기 구성기(306), 결정된 주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홉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홉핑 패턴 디파이너(308), 및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을 디바이스로 할당할 수 있는 광대역 파일럿 할당기(31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기지 국(302)은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304)와 같은 디바이스들로 통신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는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러(312), 및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로 전력 제어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전력 제어 신호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304)는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전송할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는 광대역 파일럿 디파이너(316), 및 송신기(320)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에 대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력 제어기(318)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이동 디바이스(304)는 자신에게 전송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기지국(302)으로부터 전력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전력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후속적인 전송을 위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기(318)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302)은 예를 들어, 통신 혹은 파일럿을 수신하고, 통신을 인터셉트(intercept)하고, 이동 디바이스(304)의 존재를 지시하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을 수신하는 것 등에 의해 상기 이동 디바이스(304)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이동 디바이스(304)의 액티비티 레벨 및/또는 스케줄링 요구들이 식별될 수 있으며, 주기 구성기(306)는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홉핑 패턴 디파이너(308)는 상기 주기에 따라, 이동 디바이스(304)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사용할 홉핑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홉핑 패턴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주파수/시간의 순환형 시프트들에 걸친 홉핑을 포함하여 여기 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홉핑 패턴은 상충 및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생성된 다른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할당기(310)는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홉핑 패턴을 디바이스로 할당하고 전송할 수 있다.
홉핑 패턴을 수신할 때 이동 디바이스(304)는 기지국(302)으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대역 파일럿 디파이너(316)는 기지국(302)으로 하여금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이동 디바이스(304)로 전력 제어 지령들을 전송하게 하는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데이터, 예를 들어, 데이터 비트들, 구조들, 지령들, 변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디파이너(316)는 상기 홉핑 패턴에서 규정된 주파수 및 시간을 통해 전송될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302)은 이동 디바이스(304)로부터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기대하는 시점을 알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수신시, 기지국(302)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러(312)를 사용하여 통신 자원들을 이동 디바이스(302)에 할당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로부터 결정된 액티비티 레벨 또는 다른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력 제어 신호기(314)는 후속적인 전송들을 위한 전력의 증가 혹은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파워-업 및/또는 파워-다운 지령들을 이동 디바이스(304)로 발생(issue)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간섭을 감소시키면서 신뢰가능한 통신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령들의 수신시, 전력 제어기(318)는 송신기(320)에 의한 후속적인 송신들을 위한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것 및/또는 전력 제어 지령들 등에 따라 현재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샘플 대역폭 부분이 주파수에 걸쳐 존재하는 다수의 시간 슬롯들로서 도시되어 나타나며, 일 예에서, 이는 (예를 들어, 3GPP 또는 3GPP LTE 구성에서와 같이) 다수의 OFDM 심볼들(402,404)일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대역폭 부분은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구간에서 예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OFDM 심볼(402)은 이러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OFDM 심볼들(404)은 실제(substantive) 데이터, 제어 데이터(도시됨), 및/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샘플은 예를 들어, 시간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샘플 부분은 광대역 파일럿 채널이 부가 데이터에 선행하는 매 시간 슬롯마다(n 밀리초마다 한번씩) 전송되도록 n 밀리초마다 반복될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이 각각의 시간 슬롯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 및/또는 스케줄링 요구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송을 위한 주기가 할당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에 따라, 도시된 대역폭(400)은 예를 들어, 소정 주파수에 걸쳐 존재하는(spanning) 3GPP LTE 구성에서 0.5ms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0.5ms 내에 전송된 n 개의 OFDM 심볼들(402,404)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OFDM 심볼(402)은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에 전용일 수 있으며, 나머지 n-1개의 OFDM 심볼들(404)은 부가 데이터(공유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충분한 액티비티를 가지는 디바이스들은 광대역 파일럿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스케줄링될 수 있고, 더욱이 상기 디바이스들에는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홉핑 패턴들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홉핑 패턴은 디바이스에 의해 광대역 파일럿 정보가 전송될 시점 및 장소를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에서, 디바이스는 액티비티 레벨에 따라, 25Hz, 50Hz, 100Hz, 또는 200Hz에서의 광대역 파일럿 정보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광대역 파일럿 채널(402)은 1MHZ 자원 블록들로 상기 채널 전체에 걸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가 다중화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200Hz의 주기를 요구하는 디바이스에는 매 시간 슬롯마다(이 예에서는 0.5ms 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홉핑 패턴이 할당될 수 있다. 역으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오직 25Hz 주기만을 요구하는 디바이스에는 8번째 시간 슬롯마다(이 예에서는 4.0ms 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홉핑 패턴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들에는 다른 할당된 홉핑 패턴들을 평가함으로써 충돌 및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홉핑 패턴들이 할당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홉핑 패턴은 각각의 시간 구간에서의 주파수들에 걸친 홉핑을 추가로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은 각각의 시간 구간마다 혹은 임의의 홉핑 패턴마다 1MHz의 자원 블록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홉핑하도록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홉핑 패턴은 홉핑 패턴들의 하나 이상의 순환 시프트들을 사용하고 상기 순환 시프트들에 걸쳐 홉핑하도록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은 첫번째 가용 자원 블록에서 시작하고 상기 가용 대역폭의 에지에서 종료하는 1MHz 자원 블록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홉핑하도록 규정할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 순환 시프트가 두번째 가용 자원 블록에서 대신 시작하고 상기 첫번째 가용 자원 블록에 의해 종료하는 마지막 가용 자원 블록으로 순차적으로 홉핑하고, 이후 세번째 가용 자원 블록으로 시작하도록 상기 순환 시프트를 홉핑하는 등의 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주파수는 20MHz 일 수 있고, 홉핑 패턴들을 요구하는 디바이스들은 1MHz 자원 블록에 걸쳐 홉핑할 수 있으며, 시간 슬롯들은(광대역 파일럿 채널(402)이 0.5ms 마다 발생하도록) 0.5ms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200Hz 디바이스는 각각의 시간 슬롯 내의 광대역 파일럿 채널(402)에 있는 광대역 파일럿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운딩 구간은 디바이스가 상기 광대역 파일럿 채널(402)의 전체 대역폭을 사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홉핑 패턴은 매 시간 슬롯마다 20MHz 광대역 파일럿 채널(402)의 각각의 1MHz 자원 블록을 홉핑하여 10ms의 사운딩 구간을 렌더링하도록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슬롯 0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자원 블록 0에 전송할 수 있고, 시간 슬롯 1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자원 블록 1에서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모두 20까지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체 대역폭이 사용되기 전에 20개의 시간 슬롯들이 소요될 수 있으 며, 이는 매 슬롯마다 0.5ms씩 10ms이다. 다른 예로서, 100Hz 디바이스가 20ms의 사운딩 구간을 가질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가 단지 두 개의 시간 슬롯들(혹은 1ms)마다 전송될 필요가 있으므로, 20개의 자원 블록들 각각이 1ms마다 홉핑되어 20ms의 사운딩 구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패턴들은 홉핑될 수 있는데, 일 예에서, 패턴은 첫번째 가용 자원 블록에서 시작하여 대역폭의 에지가 도달될 때까지 다음 순차 자원 블록으로 매 시간 슬롯마다 홉핑되도록 규정할 수 있다. 이후 에지에서의 시작을 규정하고 제 1 가용 자원 블록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대방향으로의 홉핑을 규정하는 제 2 패턴이 홉핑될 수 있다. 전술된 항목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 역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예컨대, 모든 순환 시프트들이 홉핑되었을때까지 순차적으로, 이후 역순차적으로 매 시간 슬롯마다 순환 시프트들을 홉핑함). 홉핑 패턴들은 전송들 및 간섭의 충돌을 최소화하도록 규정된 셀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5-6을 참고하면,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들의 제공과 관련한 방법들이 예시된다. 설명의 간략함의 목적으로, 상기 방법들이 일련의 작용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몇몇 작용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다른 순서들로 그리고/또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다른 작용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방법들이 상기 작용들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방법이 상태도와 같은 일련의 상호관련 상태들 혹은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모든 예시된 방법들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들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500)이 예시된다. 방법(500)이 광대역 파일럿 정보 및 다수의 디바이스들로/로부터 부가적인 데이터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역폭이 효율적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502에서, 디바이스를 위한 액티비티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액티비티 레벨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고, 디바이스 작용(혹은 타입, 구성 등)으로부터 추론되고,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로서 수신될 수 있는 등의 식이다. 액티비티 레벨 역시 통신 스케줄링 필요들에 관련될 수 있다. 504에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주기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구간 내의 대역폭 부분은 광대역 파일럿 정보에 대해 전용일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매 시간 구간마다 광대역 파일럿 정보를 전송할 수 있거나, 앞서 나타난 바와 같은 시간 구간들을 스킵할 수 있다. 몇몇 디바이스들은 광대역 파일럿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지 않고(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매우 활성이지는 않음)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주기가 예를 들어, 액티비티 레벨에서의 변경에 따라 혹은 다른 이벤트들로 인해 수정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506에서, 소정 주기동안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을 규정하는 홉핑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주기에 따라 주파수 상의 홉핑을 규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간 구간마다, 광대역 파일럿 신호는 다른 주파수 자원 블록으로 홉핑하도록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홉핑 패턴은 또한 대안적으로 혹은 추가적으로 순환 시프트들 내에서 순환 시프트 및/또는 홉핑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홉핑 패턴은 전술된 실질적으로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홉핑은 규정된 주기동안 발생한다. 또한, 상기 홉핑 패턴은 통신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홉핑 패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508에서, 홉핑 패턴이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할당된 홉핑 패턴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광대역 파일럿 정보의 수신기는 사용된 패턴을 알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고하면, 광대역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홉핑 패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600)이 예시된다. 602에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홉핑 패턴이 수신된다. 홉핑 패턴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수신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관련할 수 있다. 604에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는 홉핑 패턴에 따라 전송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의 존재를 보장하고,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집하고, SNR 또는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될 자원들을 결정하고, 디바이스로 다시 전송될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신호들을 결정하는 것 등을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606에서, 생성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는 홉핑 패턴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는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예를 들어, OFDM 심볼의 일부분을 사용함으로써) 규정 시간 구간동안 규정된 주파수 상에서 브로드캐스팅 될 수 있다. 608에서, 대역폭 내의 다른 부분이 후속하는 시간 슬롯(예를 들어, 광대역 파일럿 정보의 전송에 전용인 후속하는 OFDM 심볼에서의 다른 자원 블록)에 홉핑될 수 있다. 610에서, 제 2 광대역 파일럿 신호가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는 일 시간 구간 동안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예비된 전체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 할당된 홉핑 패턴의 결정에 관한 추론들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추론하다" 혹은 "추론"은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캡쳐됨에 따라 일련의 관측들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의 추론 혹은 이에 대한 추리(reasoning)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추론은 예를 들어, 규정 상황 또는 동작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혹은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론적일 수 있는데, 다시 말해 관심있는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이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추론은 일련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더 높은 레벨의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들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일련의 예비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혹은 동작들, 상기 이벤트들이 시간에 걸쳐 인접하여 상관되는지의 여부, 및 상기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의 이벤트 및 데 이터 소스로부터 유래되는지 혹은 여러 개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유래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구성을 초래한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홉핑 패턴의 결정과 관련한 추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 할당된 홉핑 패턴들에 관해 수행된 추론들, 예를 들어 홉핑 패턴이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유효한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여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정의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홉핑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액티비티에 기초한 홉핑 패턴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티비티 레벨들의 결정 및/또는 주기의 식별에 관해 추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송 디바이스로부터의 추가적인 혹은 더 적은 전송 전력의 요청 및/또는 채널 자원들의 할당에 대해 광대역 파일럿 신호로부터 추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홉핑 패턴들의 전송 및 그 전송을 위한 전력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이동 디바이스(700)의 예시이다. 이동 디바이스(700)는,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통상적인 작용들(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등)을 수행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702)를 포함한다. 수신기(702)는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하여 이들을 채널 추정을 위해 프로세서(706)에 제공하는 복조기(7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6)는 수신기(702)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분석 및/또는 송신기(7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의 생성에 전용인 프로세서, 이동 디바이스(7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7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7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동 디바이스(7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700)는 프로세서(706)에 동작상으로 연결되고 전송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가용 채널들에 관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연관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에 관한 정보, 및 채널의 추정 및 상기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7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8)는 (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의) 채널의 추정 및/또는 사용에 관련한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메모리(708))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 가능 ROM (PROM), 전기적 프로그램 가능 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혹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RAM은 동기 RAM (SRAM), 동적 RAM (DRAM), 동기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 (DDR SDRAM), 개선형 SDRAM (ESDRAM), 싱크링크 DRAM (SLDRAM), 직접 램버스 RAM (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708)는 이들 및 다른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프로세서(706)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홉핑 패턴들에 따라 전송될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는 광대역 파일럿 스케줄러(710)에 동작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동 디바이스(700)는 자신이 통신하고 있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로부터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홉핑 패턴은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할 장소 및 시간(예를 들어, 소정 시간 슬롯 구간들 동안의 주파수 슬롯들)을 규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슬롯 구간들은 일 예에서 이동 디바이스(700)의 액티비티 레벨 및/또는 스케줄링 요구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시간 구간들에 대한 주파수들에 걸쳐 홉핑하도록 규정할 수 있으며, 광대역 파일럿 스케줄러(710)는 데이터의 전송을 적절히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700)는 각각 신호들을 변조하고 예를 들어, 기지국, 다른 이동 디바이스 등으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변조기(714) 및 송신기(716)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706)는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송신기(716)에 의해 사용될 전력 레벨을 증가, 감소, 및/또는 구성할 수 있는 전력 제어기(712)에 동작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이동 디바이스(700)는 전송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전력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전력 제어기(712)는 수신된 전력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706)와는 별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광대역 파일럿 스케줄러(710), 전력 제어기(712), 복조기(704), 및/또는 변조기(714)는 프로세서(706)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8은 전술된 바와 같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들의 정의 및 할당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800)의 예시이다. 시스템(800)은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들(804)로부터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806)을 통과하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81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808)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들(804)로 전송하는 송신기(824)를 구비한 기지국(8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을 포함한다. 수신기(810)는 수신 안테나들(8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812)에 동작상으로 연결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7과 관련하여 전술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814)에 의해 분석되는데, 상기 프로세서(814)는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 강도 및/또는 간섭 강도의 추정과 관련한 정보, 이동 디바이스(들)(804)(혹은 다른 기지국(미도시))로 전송되거나 상기 이동 디바이스(들)(804)(혹은 다른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수신될 데이터, 및/또는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작용들 및 기능들의 수행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816)에 연결된다. 프로세서(814)는 이동 디바이스들(804)에 의해 전달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홉핑 패턴들을 생성할 수 있는 홉핑 패턴 디파이너(818)에 추가로 연결된다. 또한, 프로세서(814)는 원하는 시간들 및 주파수들에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 디바이스들(804)에 홉핑 패턴을 할당할 수 있는 광대역 파일럿 할당기(8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802)은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들(804)로부터의 통신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804)에 대한 액티비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액티비티 레벨을 사용하여, 홉핑 패턴 디파이너(또 는 다른 컴포넌트/프로세서(814))는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모든 디바이스들(804)(예를 들면, 낮은 액티비티의 디바이스들)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후속적으로, 홉핑 패턴은 전술된 바와 같은 홉핑 패턴 디파이너(818)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특히, 패턴은 시간 동안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쳐 홉핑하고 그리고/또는 패턴들의 순환 시프트들 등을 홉핑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은 예를 들어 이전에 생성되고 할당된 패턴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할당기(820)는 상기 광대역 파일럿 홉핑 패턴을 개별 이동 디바이스(804)에 할당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이동 디바이스(804)는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기지국(802)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패턴을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802)은 이동 디바이스(804)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그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14)와는 별개인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홉핑 패턴 디파이너(818), 광대역 파일럿 할당기(820), 복조기(812), 및/또는 변조기(822)가 프로세서(814) 혹은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일부분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9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900)은 간략함을 위해 하나의 기지국(910) 및 하나의 이동 디바이스(950)가 도시된다. 그러나, 시스템(900)이 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부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들은 아래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기지국(910) 및 이동 디바이스(950)와 실 질적으로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기지국(910)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950)는 이들 간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도 1-3 및 7-8), 기법들/구성들(도 4) 및/또는 방법들(도 5-6)을 채택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기지국(9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9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914)로 제공된다. 일 예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개별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9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규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하고, 코딩하고,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를 가지고 다중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혹은 대안적으로,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혹은 코드 분할 다중화(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알려진 방식으로 처리되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이동 디바이스(9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중화된 파일럿 및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규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 편이 변조(BPSK),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M-상-편이 변조(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예를 들어, 심볼 매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93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 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92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TX MIMO 프로세서(920)는 (예를 들어, OFDM에 대해) 상기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이후 TX MIMO 프로세서(920)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922a 내지 922t)에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9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상기 심볼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에 빔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922)는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더 처리(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송신기들(922a 내지 9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NT개의 안테나들(924a 내지 9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이동 디바이스(950)에서, 전송된 변조 심볼들은 NR개의 안테나들(952a 내지 9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9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개별 수신기(RCVR)(954a 내지 9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954)는 각각의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상기 샘플들을 추가로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960)는 규정 수신기 처리 기법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954)로부터 NR개의 수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9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960)에 의한 처리는 기지국(9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9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91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는 상보적이다.
프로세서(970)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어떤 사전 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70)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역시 데이터 소스(9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TX 데이터 프로세서(938)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변조기(980)에 의해 변조될 수 있고, 송신기들(954a 내지 954r)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기지국(910)으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910)에서, 이동 디바이스(950)로부터의 변조 신호들은 안테나(9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922)에 의해 처리되고, 복조기(9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942)에 의해 처리되어 이동 디바이스(9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또한, 프로세서(930)는 빔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사전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930 및 970)는 기지국(910) 및 이동 디바이스(950)에서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개별 프로세서들(930 및 9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932 및 972)에 연관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들(930 및 970)은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들을 유도하는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들(DSPD),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혹은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혹은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혹은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플래스 혹인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선언문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 먼트는 정보, 데이터, 독립변수들, 파라미터들, 혹은 메모리 컨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하드웨어 회로 혹은 다른 코드 세그먼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독립변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달되고, 포워딩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기법들은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기능들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 혹은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경우든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패턴을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시스템(1000)이 예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0)은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의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000)이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나타나며, 상기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시스템(1000)은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화(10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적 그룹화(1002)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달에 전용인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역폭은 OFDMA 시스템 과 같은, 시간에 대한 주파수의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시간 슬롯을 구성하는 심볼들의 소정 집합에 대한 OFDM 심볼은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예비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화(1002)는 시간에 대한 주파수 부분의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 블록들로의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구간동안,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전용 광대역 파일럿 신호 대역폭의 서로 다른 부분들의 사용을 규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역폭 부분은 예를 들어 루프 내에서 순차적으로, 혹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패턴이 홉핑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역폭 부분들이 홉핑될 수 있고, 생성된 패턴의 순환 시프트들 역시 홉핑될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화(1002)는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할당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홉핑 패턴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규정 주기를 가질 수 있고, 증가된 스케줄링을 요구하는 디바이스들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따라 더 적은 스케줄링을 요구하는 홉핑 패턴이 아니라 더 큰 주기를 가지는 홉핑 패턴들이 할당된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000)은 전기 컴포넌트들(1004,1006, 및 1008)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0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1004,1006, 및 1008)은 메모리(1010)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홉핑 패턴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는 시스템(1100)이 예시된다. 시스템(1100)은 예를 들어,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의 내부에 상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1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100)은 홉핑 패턴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화(1102)를 포함한다. 논리적 그룹화(1102)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4)를 포함할 수 있다.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예를 들어, 기지국 혹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홉핑 패턴은 예를 들어, 액티비티 레벨에 기초하여 할당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홉핑 패턴은 액티비티 레벨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주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화(1102)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들은 예를 들어, 할당된 주파수에 걸쳐 변조되는 단일 비트 구조들 등과 같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전송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화(1102)는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시간 경과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시간 구간에서, 이전 시간 구간에서 사용된 것과는 다른 주파수의 일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시간 경과에 따라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인 전체 대역폭 부분의 사용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전기 컴포넌트들(1104,1106, 및 1108)과 연관된 기능 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1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104,1106, 및 1108)은 메모리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된 내용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혹은 방법들의 모든 구현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추가적인 조합들 및 치환들이 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대안들,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범위에 대해, 이러한 용어는 용어 "구성하다("가 청구항에서 과도기적 단어로서 사용될 때 해석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용어 "구성하다"와 유사한 방식으로 내포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5)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용 대역폭 부분을 예비(reserve)하는 단계;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주기에 따라 상기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홉핑 패턴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 할당된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상기 주기에 따라 상기 예비된 대역폭 부분의 실질적으로 모든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실질적으로 모든 상기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홉핑 패턴의 순환(cyclic) 시프 트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이전에 생성된 홉핑 패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패턴은 서로 다른 기지국들에 의해 할당된 홉핑 패턴들로부터 변경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10. 무선 통신 장치로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다수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쳐 시간에 걸쳐 홉핑하는 디바이스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디코딩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된 전력 신호들 또는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된 자원들을 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홉핑을 반복적으로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의 순환 시프트들에 걸친 홉핑을 반복적으로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전에 생성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전용인 다수의 시간 슬롯들 내의 심볼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들로 분리되고,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각각의 시간 슬롯들에서 상기 심볼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쳐 홉핑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광대역 파일럿 신호 전송들을 위한 홉핑 패턴들을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에 전용인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시간에 걸쳐 상기 대역폭 부분 중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 블록들로의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activity level)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수신된 하나 이상의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전력 제어 신호들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수신된 하나 이상의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홉핑을 반복적으로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주기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주기에 따라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을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의 순환 시프트들에 걸친 홉핑을 반복적으로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용 대역폭 부분을 예비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주기에 따라 상기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홉핑 패턴을 할 당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홉핑 패턴의 순환 시프트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5. 무선 통신 장치로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에 전용인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시간에 걸쳐 상기 대역폭 부분 중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 블록들로의 홉핑을 규정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생성하고; 그리고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역폭 부분 중 제 1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대역폭 부분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됨 ― ;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다른 대역폭 부분에 있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으로 홉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 홉핑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 홉핑 패턴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홉핑 패턴과는 상이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은 상기 제 1 주파수 자원 블록에 인접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 홉핑 패턴에 따라 시간에 걸쳐 상기 주파수 부분 내의 부가적인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홉핑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모든 주파수 자원 블록들이 홉핑되면 상기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 홉핑 패턴의 순환 시프트로 홉핑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력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32. 무선 통신 장치로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의 전송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들을 통해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시간에 걸쳐 다수의 주파수 자원 블록들 사이에서 홉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주파수 자원 블록들 사이에서 홉핑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패턴은 패턴의 다수의 순환 시프트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액티비티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주기를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기초하여 수신된 전력 제어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후속적인 통신들을 위해 전력을 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7.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시간에 걸쳐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된 주파수 부분 중 실질적으로 모든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실질적으로 모든 상기 주파수 블록들에 걸쳐 순차적으로 홉핑을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의 순환 시프트들에 걸친 홉핑을 규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액티비티 레벨에 따른 주기를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응답하여 수신된 전력 제어 레벨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후속적인 전송들에 대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3.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대역폭 부분 중 제 1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대역폭 부분은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다른 대역폭 부분에 있는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 중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으로 홉핑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2 주파수 자원 블록에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광대역 파일럿 데이터 홉핑 패턴에 따라 시간에 걸쳐 상기 대역폭 부분 내의 부가적인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홉핑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무선 통신 장치로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을 수신하고;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광대역 파일럿 신호 홉핑 패턴에 따라 시간에 걸쳐 상기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97018659A 2007-02-06 2008-02-06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홉핑 구조들 KR101107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846007P 2007-02-06 2007-02-06
US60/888,460 2007-02-06
US12/026,501 2008-02-05
PCT/US2008/053217 WO2008098079A1 (en) 2007-02-06 2008-02-06 Hopping structures for broadband pilot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749A true KR20090112749A (ko) 2009-10-28
KR101107374B1 KR101107374B1 (ko) 2012-01-19

Family

ID=3967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659A KR101107374B1 (ko) 2007-02-06 2008-02-06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홉핑 구조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213483B2 (ko)
EP (1) EP2119027B1 (ko)
JP (2) JP5307033B2 (ko)
KR (1) KR101107374B1 (ko)
CN (1) CN101657975B (ko)
AU (1) AU2008213668A1 (ko)
BR (1) BRPI0806993B1 (ko)
CA (1) CA2675694C (ko)
ES (1) ES2593087T3 (ko)
HU (1) HUE030136T2 (ko)
IL (1) IL199748A0 (ko)
MX (1) MX2009008351A (ko)
RU (1) RU2427076C2 (ko)
TW (1) TWI384772B (ko)
WO (1) WO2008098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5652B2 (en) * 2007-01-11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free group ho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13483B2 (en) * 2007-02-06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Hopping structures for broadband pilot signals
WO2009111233A1 (en) 2008-03-04 2009-09-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random access channel by selectively using dedicated or contention-based preambles during handover
US8160008B2 (en) * 2008-03-28 2012-04-17 Apple Inc. Techniques for channel soun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10101B (zh) * 2008-06-16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专用导频的跳频方法
US8379583B2 (en) * 2009-01-30 2013-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legacy long term evolution user equipment with advanced long term evolution user equipment
US9014636B2 (en) 2009-03-20 2015-04-21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Cognitive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with relays, macro cells, micro cells, pico cells and femto cells
CN102045789B (zh) * 2009-10-16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跳频的频率物理资源调度方法及系统
KR101624879B1 (ko) 2009-12-23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셀 환경에서의 기준신호 할당 방법,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JP5592936B2 (ja) * 2010-03-29 2014-09-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装置、基地局装置、パイロット送信方法、及び、伝搬路推定方法
US8867561B2 (en) * 2010-05-10 2014-10-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anaging upstream transmission in a network
WO2015150859A1 (en) * 2014-03-31 2015-10-08 Sony Corporation Pilot time slot hopping
US20150296434A1 (en) * 2014-04-15 2015-10-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machine to machine device performance by dynamically varying slot cycle index
WO2017050389A1 (en) * 2015-09-25 2017-03-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protocol for low energy communication links
EP3667971B1 (en) * 2017-08-10 2022-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channel and device therefor
CN109729559B (zh) * 2017-10-31 2020-09-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小区切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网络设备
US11696239B1 (en) 2020-08-28 2023-07-04 T-Mobile Innovations Llc Reference signal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17A (ja) 1994-06-29 1996-01-19 Fujitsu Ltd 周波数ホッピング方式における移動速度検出装置
JP3441922B2 (ja) * 1996-06-14 2003-09-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伝送方法および信号伝送装置
JP3798549B2 (ja) * 1998-03-18 2006-07-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の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システム
JP2003332943A (ja) * 2002-05-10 2003-11-21 Ntt Docomo Inc チャネル推定を行う無線通信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3860556B2 (ja) * 2003-04-04 2006-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7177297B2 (en) 2003-05-12 2007-02-13 Qualcomm Incorporated Fast frequency hopping with a code division multiplexed pilot in an OFDMA system
KR100507541B1 (ko) 2003-12-19 2005-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및 파일롯할당 방법 과 그를 이용한 송신 방법 및 그 장치, 수신방법과 그 장치
KR100643740B1 (ko) * 2004-04-09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 구분을 위한 파일럿 코드 패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50099906A (ko) 2004-04-12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순환 주파수 패턴에따른 고속 주파수 도약을 위한 송수신장치
ES2297332T3 (es) * 2004-12-15 2008-05-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oyo del trafico de tasa de bits garantizada para transmisiones del enlace ascendente.
US8571132B2 (en) * 2004-12-22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Constrained ho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107356B2 (en) 2004-12-27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n FFH-OFDM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64466B2 (en) * 2005-03-22 2010-02-16 Ntt Docomo, Inc.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transmission rate control system, and mobile station
US7957327B2 (en) * 2005-05-18 2011-06-07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upport for TDD beamforming via constrained hopping and on-demand pilot
US7711029B2 (en) * 2005-12-02 2010-05-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opping pilot pattern for telecommunications
JP4711835B2 (ja) * 2006-01-17 2011-06-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並びに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
US7860150B2 (en) * 2006-04-24 2010-12-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improved uplink pilot transmission schemes
US8520607B2 (en) * 2007-01-17 2013-08-27 Qualcomm Incorported Hopping structure for control channels
US8213483B2 (en) * 2007-02-06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Hopping structures for broadband pilot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27076C2 (ru) 2011-08-20
JP5755621B2 (ja) 2015-07-29
CN101657975B (zh) 2014-10-08
IL199748A0 (en) 2010-04-15
WO2008098079A1 (en) 2008-08-14
MX2009008351A (es) 2009-08-20
CA2675694C (en) 2015-04-28
CN101657975A (zh) 2010-02-24
BRPI0806993B1 (pt) 2020-10-13
CA2675694A1 (en) 2008-08-14
ES2593087T3 (es) 2016-12-05
US20080187027A1 (en) 2008-08-07
BRPI0806993A2 (pt) 2014-04-08
JP2013017232A (ja) 2013-01-24
AU2008213668A1 (en) 2008-08-14
JP5307033B2 (ja) 2013-10-02
RU2009133293A (ru) 2011-03-20
HUE030136T2 (en) 2017-04-28
JP2010518755A (ja) 2010-05-27
EP2119027A1 (en) 2009-11-18
EP2119027B1 (en) 2016-06-22
US8213483B2 (en) 2012-07-03
TWI384772B (zh) 2013-02-01
TW200849854A (en) 2008-12-16
KR101107374B1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374B1 (ko) 광대역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홉핑 구조들
EP2092764B1 (en) Enabling resource partition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3430846B1 (en) Frequency error estimation during split repetitive uplink message transmission
US8340070B2 (en) Resource partition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3179078B (zh) 激活用户设备的参考信号发射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101409429B1 (ko) 사운딩 기준 신호 구성
JP5579446B2 (ja) 制御チャネル用のホッピング構造
JP6276768B2 (ja) 通信デバイス及び方法
KR20090083402A (ko) 비콘 심볼 직교화
JP6257628B2 (ja) モバイル通信の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