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658A -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658A
KR20090112658A KR1020097015108A KR20097015108A KR20090112658A KR 20090112658 A KR20090112658 A KR 20090112658A KR 1020097015108 A KR1020097015108 A KR 1020097015108A KR 20097015108 A KR20097015108 A KR 20097015108A KR 20090112658 A KR20090112658 A KR 2009011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d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해 김
한경자
김토미와이
김마이클제이
Original Assignee
종 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해 김 filed Critical 종 해 김
Priority to KR102011700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5732A/ko
Priority to KR1020117008449A priority patent/KR101136092B1/ko
Priority to KR1020117008476A priority patent/KR20110044338A/ko
Publication of KR2009011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6Anti-theft arrangements, e.g. protection against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l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자의 시력이나 청력에 적합하도록 기능설정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맞춤형으로 전환시키는 기술과, 통화내용을 자가 검색할 수 있는 기능형 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휴대폰에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1대의 휴대폰으로 다수대의 전호번호를 운용하는 다기능 휴대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로서, 통화중 특정한 내용을 펜으로 메모해야 했던 불편과 거짓말로 인한 분쟁이나 건망증으로 인한 장애를 해소한다.
또한 휴대폰의 수신음을 주파수 대역별로 이퀄라이저(equalizer)하여 세팅하는 방법으로 휴대폰 소지자가 자신의 청각에 적합하도록 휴대폰의 기능을 세팅하여 청각 맞춤형 휴대폰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보청기없이 통화할 수 있는 기능형 휴대폰 시스템을 제공하며 아울러 휴대폰으로 일반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 MULTI-FUNCTIONAL MOBILEPHONE TERMINAL SYSTEM. }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청력과 시력등이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단말기의 기능을 맞춤형으로 가변시키는 기능과,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신용카드로 전환시키는 기능과, 1대의 휴대폰으로 대수개의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기능과, 통화내용을 자가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각각 구현하는 기능성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아울러 휴대폰 등의 단말기로 일반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출원인이 선등록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228319호, 제 20-0232567호, 제 20-0362547호와 한국특허등록 제 10-0672990호, 제 10-0672991호와 한국특허출원번호 제 10-2007-0067482호, 제 10-2007-0138945호, 제 10-2008-0002442호의 연속개량특허출원(continuation in part)이다.
기술적 과제
인간은 늙어가면서 일반적으로 건망증과 더불어 시각과 청각에 장애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간의 청각장애에 대하여 기존의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음을 일괄적으로 증폭시킬 뿐이고 수신음을 주파수 대역별로 증폭하거나 제어할 수 없으므로 주파수대역별로 장애가 각기 상이하게 발생하는 청각장애자에게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휴대폰을 사용하려면 휴대폰이외에 고가의 보청기를 별도 착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은 이메일등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글씨의 크기가 청소년의 시력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노령자들은 메시지 송수신시, 일일이 돋보기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은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 정보의 색상이나 글꼴이 메이커가 고정하여 제조한 것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의 색상이나 글꼴을 변경 설정할 수 없으므로 색맹이 있는 사람에게 불편했고, 사람마다 취향에 따라 선호하는 글꼴로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중 중요한 내용을 메모해야 할 경우, 즉, 전화번호나 주소나 은행계좌번호 등을 메모해야 할 경우 일일이 펜으로 기록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였고, 특히 운전중에는 메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건망증이나 청각상의 문제로 통화 내용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도 자신이 통화한 내용을 재생하거나 검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은 상대방의 전화번호만 자동으로 메모리 될 뿐이고 통화내용을 자동으로 메모리 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전화로 거짓말을 하더라도 이를 녹취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일부 휴대폰에서 녹음 기능을 내장한 바 있으나 일일이 통화할 때마다 녹음모드로 키를 전화시켜야 녹음이 가능하고 통화중 녹음코자 할 시에는 이미 통화가 일어난 후이므로 중요한 내용을 놓치고 녹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군용무선통신달말기는 전쟁터에서 주변의 포화등 소음으로 정확한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특히 전장에서 포탄을 발사해야 할 목표물의 좌표나 암호를 오인할 시에도 확인하거나 점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이나 유무선 통신단말기는 수신되는 전화번호별로 수신할 것인지 또는 거부할 것인지를 휴대폰 스스로 결정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스팸등 불필요한 전화공세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업가들이 2이상의 전화번호가 필요한 경우 다수개의 휴대폰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휴대폰을 소지하고 다니면서 디지털데이터가 입력된 현금카드나 신용카드를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모순이 있었다.
기술적 해결방법
위와 같이 인간이 늙어가면서 발생하는 건망증이나 청각장애나 시각장애에는 사람마다 그 정도가 다르게 발생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 소지자의 청력과 시력과 건망증등 소지자들의 장애상태에 따라 소지자가 단말기의 기능을 임의 변경 설정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 소지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단말기 시스템으로 변경설정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아울러, 하나의 휴대폰에 다수개의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카드를 구성함으로서 1개의 휴대폰으로 다수개 휴대폰의 기능을 구현하는 다기능 휴대폰 시스템을 제공하여 SIM카드형의 신용카드(또는 현금카드)를 구성하고 카드별로 사용자가 ID(Identification)코드를 설정 등록케 함으로서 휴대폰을 이용하는 안전한 신용카드 시스템을 제공하여 이로서 휴대폰이 기능을 사용자의 건강과 기호에 맞춤형으로 설정하는 다기능 휴대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은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 소지자의 청력과 시력과 건강상태에 따라 소지자가 임의로 단말기의 기능을 임의 변경 설정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서 아래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인간이 늙어가면서 직면하게 되는 청각장애는 일반적으로 음성신호의 주파수대역별로 장애가 다르게 발생하는 것이므로 장애가 발생할 시, 주파수대역별로 증폭이 다르게 선정된 고유의 보청기를 맞춤 제작하여 사용해왔다.
따라서 휴대폰 이용시에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휴대폰등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주파수대역별 강도를 그래픽이나 숫자로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자신의 휴대폰에서 주파수대역별로 음량을 가변하여 세팅해 둠으로서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세팅한 고유의 맞춤형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로서 보청기 없이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청력에 맞추어 주파수대역별로 음량을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스스로 설정하거나, 서비스제공자(Service Provider)의 컴퓨터가 전화나 인터넷으로 사용자의 청력을 주파수대역별 신호로 측정하여(마치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처럼) 원격 세팅하거나 또는 병원이나 보청기 전문가가 측정한 청력 검사데이터로 사용자가 직접 세팅할 수 있는 것이고, 청력이 변할 때마다 세팅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 이용에 있어서 청력 장애문제를 해소하는 것이고 휴대폰 이용시 일일이 보청기를 착용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2) 또한 위와 같이 사용자의 청력에 맞추어 세팅된 휴대폰 등의 단말기가 구현하는 보청기능을 이용하여 전화통화가 아닌 일상생활에서 휴대폰으로 휴대폰 고유의 기능과 별도로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유용한 시스템 기술을 제공한다.
청각의 장애는 주파수대역별로 상이하므로 즉, 고음에 장애가 있는 사람과 저음이나 중음에 장애가 있는등 사람별로 장애가 다르므로 기존의 보청기는 의사나 보청기 전문가가 각기 개인의 청력을 주파수대역별로 측정하여 보청기를 맞춤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등 단말기에 구성된 이퀄라이즈 수단으로 주파수대역별로 자신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임의 조절하여 세팅하는 것이므로 일단 세팅이 끝나면 세팅을 변경할 때까지 세팅 설정된 음질로 청취하게 되어 편리하다.
또한 휴대폰에 구성된 마이크와 이어폰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수신음에 대한 보청기능뿐만 아니라 휴대폰으로 일반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어폰은 송수화기 기능이 있는 휴대폰용의 이어폰을 이용하거나 또는 MP3용의 이어폰처럼 수신기능뿐일 경우 별도의 마이크장치를 부가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어느 경우이든 범용의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보청기 착용에 따른 거부감이 없이 휴대폰으로 편리하게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3) 인간이 늙어가면서 당면하게 되는 시각장애(노안) 문제는 단말기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나 숫자의 크기나 색상(색맹 장애인 고려)이나 글꼴을 사용자의 시력과 기호에 맞추어 단말기의 키패드 조작으로 사용자가 임의 가변하여 세팅해 두고 그후 사용자의 시력이나 기호에 적합하도록 변형되어 세팅된 문자나 숫자를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흐르는 형태(전광판의 스트롤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휴대폰 이용에 따른 시각 장애 문제를 해소하며 글꼴까지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폰 구입시 한번 세팅하면 그 후 세팅된 크기나 색상이나 글꼴로 메시지를 전광판처럼 스트롤 시킴으로 일일이 돋보기를 착용하지 않고도 메시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자신의 휴대폰을 스스로 자신의 시력과 기호에 맞추어 세팅할 수 있는 맞춤형 휴대폰으로 개조할 수 있는 휴대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에서 기술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존의 휴대폰에서 e-mail의 메시지 길이가 긴 문장이더라도 페이지의 변경 없이 메시지를 연결하여 전광판 형태로 수신하는 것이고 수신자가 흐르는 속도나 방향을 임의 제어하며 수신하므로 장애인(노안이나 색맹)이나 또는 비장애인이 공히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제공한다.
(4) 또한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장치에서 음성신호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디텍트 하여 그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기억 저장시키고,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부터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최신 통화내용을 메모리시키는 방법으로 단말기 스스로 녹음과 삭제를 반복하면서 일정한 분량의 통화내용을 무조건 기억 저장함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통화 내용을 임의 검색할 수 있는 휴대폰 시스템을 제공하며 인간이 늙어가면서 당면하는 건망증 문제를 해소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5) 뿐만 아니라 가장 먼저 녹음된 데이터부터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최신 통화내용을 기억 저장하는 것이고 단말기 스스로 기억하고 지우는 프로세서를 자동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이므로 통화중 필기구로 중요한 내용을 기록해야했던 기존 불편을 해소하는 것이며, 건망증이 심한 노약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특히 비즈니스맨에게) 전화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형 휴대폰의 제조 기술을 제공한다.
(6) 또한, 소지자가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거짓말로 인한 분쟁을 해소하는 유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고 통화내용이 발신자번호 확인처럼 무조건 녹음됨으로 인하여 거짓말로 사람을 현혹시키는 각종 범죄를 예방 하는 효과가 있다.
(7) 본 발명에서 별도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성하면 CPU의 제어로 일반녹음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녹음기의 기능이나, 다자간의 스피커폰 기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능형 휴대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8) 또한, 위와 같이 녹음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단말기에서 지정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노약자가 갑자기 건강이 악화되어 구조를 요청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녹음된 음성 메시지 신호로 특정된 다수의 대상 전화번호로 긴급 구조 신호를 원클릭으로 발송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고, 911등에서(한국의 경우 119등에서) 휴대폰의 GPS로 위치까지 확인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구조요청 장치가 없이 휴대폰만으로 노약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유용한 구조수단을 제공한다.
(9)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MP3등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기에 있어서 이퀄라이즈수단과 송수신용 이어폰수단을 구성하여 일반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10) 또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말기 스스로 정상적으로 수신처리 할 것인지 또는 수신거부처리 할 것인지를 수신자가 전화번호별로 선별하여 선택적으로 세팅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스팸등 불필요한 통화 공세와 착신음의 발진으로 인한 불편에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11) 또한, 휴대폰에 다수개의 SIM카드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1개의 휴대폰으로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운영할 수 있고 다수개의 휴대폰을 휴대하고 다니는 불편을 해소한다.
(12) 또한, SIM카드형의 신용카드(또는 현금카드)를 휴대폰에 내장시켜 구성하고, 사용자가 카드별 ID를 설정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휴대폰으로 안전한 신용카드를 겸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보청기 겸용기능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문자정보 디스플레이 처리 상세도이며,
도4은 본 발명의 음성신호 자동녹음/삭제기능 흐름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휴대폰등 단말기로 신용카드의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단말기에 다수개 휴대폰 기능을 설정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를 위한 발명의 시스템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보청기 겸용 기능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문자정보 디스플레이 흐름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음성신호자동녹음/삭제기능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신용카드 기능 구현을 위한 시스템 블록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단말기에 다수개 휴대폰 기능을 설정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1과 도2와 도3과 도4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02)와, 외부의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3)와, 송신 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텍트 하는 디텍트수단(123)과, 디텍트 된 음성신호를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통신개시 일시와 함께 메모리수단(114)에 기억 저장시키며, 가장 먼저 메모리된 데이터부터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최신 음성신호(최신 통화데이터)를 기억 저장시키도록 메모리와 삭제기능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제어수단(107)과, 디스플레이부(112)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의 문자나 숫자의 크기를 임의로 확대하거나 색상이나 글꼴을 변경하는 캐릭터 제너레이터수단(125)과, 변경된 글꼴과 크기와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부(112)에서 흐르는 형태로 스트롤 시켜 디스플레이 시키는 드라이버 수단(122)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컨트롤수단(113)과, 휴대폰 소지자의 청력에 맞추어 수신음의 음질이나 음량을 주파수 대역별로 이퀄라이징 하여 세팅하며 그 후 세팅한 음질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성신호 컨트롤수단(111)과,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된 통화내역을 상대방 전화번호와 통화일시로 디스플레이 시켜 검색하는 메뉴수단을 포함한 키입력수단(116)과, 위의 각 기술수단의 기능을 중앙 제 어하는 중앙제어장치(120)로 구성된다.
위의 구성에서 메모리제어수단(107)이나, 디스플레이 컨트롤수단(113)이나, 음성신호 컨트롤수단(111)을 선택적으로 중앙제어수단(120)의 회로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내장시켜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위의 구성에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의 마이크(105)와 스피커(109)와 별도로 제2 마이크수단(106)과 제2 스피커수단(110)을 고성능 마이크나 스피커로 구성하고 키입력수단(116)의 제어로 스피커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중앙제어장치(120)에 프로그램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의 구성에서 마이크수단과 스피커수단이 함께 구성된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119)장치를 구성하고 보청기 절환스위치(124)의 제어신호나 메뉴수단(115)의 메뉴설정으로 단말기 고유의 기능과 별도로 이퀄라이징 수단으로 보청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중앙처리장치(120)에 프로그램 설정하게 되면 단말기의 이퀄라이즈로 주파수대역별로 음성신호가 조절되어 세팅된 바에 의하여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이퀄라이징하여 이어폰(119)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일반 보청기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마이크수단으로 외부의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제2 스피커수단으로 녹음된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에 프로그램 설정하고 메뉴수단(115)에 녹음/재생 메뉴를 설정할시에는 키입력수단(116)의 버튼제어로 일반 녹음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고, 사용자는 녹음된 음성신호를 이퀄라이즈수단(121)에서 이퀄라이징 하여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구성에서 제1 스피커수단이나, 제2 스피커수단으로 FM 또는 AM라디오 수신기능을 부가코자 할 시에는 라디오 수신수단(117)을 부가 구성하는 것이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모니터로 하여 TV나 DMB수신 기능을 부가코자 하면 TV 또는 DMB 수신수단(118)을 부가 구성하는 것이고, 이 경우 별도의 보청기없이 단말기의 이퀄라이즈수단(121)으로 세팅된 음질의 음성신호로 라디오나 TV나 DMB의 음성신호로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각 기능별 구성과 목표달성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음성 자동 녹음기능 설정방법과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1과 도4에 의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망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는 듀플렉스(101)에서 분리되어 수신부(103)를 통하여 필터링 되고 증폭되어 음성출력부(108)를 통하여 단말기내의 제1 스피커(109)나 또는 외부에 이어폰(119)이나 제2 스피커(110)를 통하여 청취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음성신호 디텍트수단(123)이 음성신호를 인식하게 되면 CPU(120)에 프로그램 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따라 메모리 제어 수단(107)의 제어로 메모리수단(114)에 자동으로 기억 저장되는 것이다.
이 때 CPU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거 가장 먼저 녹음한 통화 데이터부터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데이터를 가장 최근의 통화 데이터부터 자동 기억 저장시킨다.
CPU에 구성된 프로그램에 따라 송수신 음성 데이터를 모두 다 기억 저장시키 거나 또는 수신 음성 신호만을 기억 저장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송수신 되는 음성신호를 디텍트하는 디텍트수단(123)을 별도 구성하지 않고 CPU에 내장 구성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위의 구성에서 메모리수단(114)을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내장된 고유의 메모리수단을 겸용으로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하거나, 메모리제어수단(107)을 단말기 CPU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통화 내용을 검색하고자 할 시에는 메뉴수단(115)에서 설정된 메뉴에 의거 통화 확인신호를 입력부(116)의 키 조작신호로 CPU에 입력하면 CPU가 메모리 수단(114)에 기억 저장된 데이터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12)에서 디스플레이 시켜 검색하는 것이다.
검색된 음성신호는 제1 스피커(109)나 제2 스피커(110)나 이어폰(119)으로 청취하는 것이며, 필요시 단말기의 송신기능과 CPU의 제어로 외부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이전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CPU가 메모리수단에 음성 데이터를 기억 저장시킬 때에 통화 일련번호나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함께 리얼타임클락(136)의 시간데이터로 통화일시에 대한 데이터를 함께 기억 저장시킨다.
저장된 통화내용을 검색코자 할 시에는 키입력부로 검색신호를 입력하면 CPU가 통화 일시(日時)별로 상대방 전화번호(전화번호정보가 없을 시에는 일련번호)와 함께 녹음된 목록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고, 목록을 클릭하여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CPU에 프로그램 되며, 녹음된 내용은 이퀄라이즈수단(121)에서 설정된 음질로 재생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보청기없이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서 휴대폰 등을 이용할 때 중요한 대화를 잘못 들어 오인하는 사고나 건망증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고, 통화중 중요한 메시지나 전화번호나 주소 등을 펜으로 기록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위의 구성과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키패드의 메뉴수단(115)과 키입력수단(116)의 버튼을 녹음기모드로 전환할 시 CPU의 제어로 단말기에 구성된 제1 마이크(105)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제2 마이크(106)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음성 입력부(104)를 통하여 메모리수단(114)에 기억 저장시키는 녹음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CPU(120)가 메모리제어수단(107)을 제어하여 음성신호가 인식 될 시에만 메모리부(114)에 메모리 시키는 것이고 메모리 시킨 일시의 시간데이터를 단말기의 리얼타임클락(136)신호로 특정하여 녹음할 음성데이터와 함께 메모리 시키는 것이다.
위의 구성에서 녹음 또는 재생 기능을 위한 제2 마이크 수단(106)과 제2 스피커수단(110)을 고성능으로 단말기에 내장 구성하거나 연결 잭으로 외부에 구성할시 키입력수단의 버튼으로 스피커폰 기능으로 전환시켜 핸드폰 등의 단말기로 다자간의 스피커폰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청력에 맞도록 세팅하는 방법과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2에 의하는 바와 같이 청각장애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신음의 음질이나 볼륨을 주파수대역별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퀄라이즈수단(121)을 CPU(120)에 구성하고 주파수대역별로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에서 그래픽이나 숫자로 강도를 디스플레이 시켜 세팅하도록 CPU(120)에 프로그램 설정함으로서 음성 컨트롤수단(111)에서 수신음의 음질이나 볼륨을 주파수 대역별로 조절하여 세팅할 수 있는 것이고, 이로서 CPU의 제어로 수신자는 별도의 보청기 없이 항상 세팅된 음질과 음량으로 수신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자신의 휴대폰을 자신의 청력에 맞추어 조정하여 설정(세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서 한번 세팅하면 다시 세팅을 변경할 때까지 주파수대역별로 이퀄라이즈 되어 세팅된 음질과 음량으로 계속 수신할 수 있는 맞춤형 휴대폰이 되는 것이다.
이때 음성컨트롤부(111)는 수신음을 주파수대역별로 조절하는 이퀄라이즈수단(121)을 통하여 수신음을 주파수대역별로 조절하는 것이고, CPU의 제어로 사용자가 키입력수단에 구성한 버튼으로 조절하거나 세팅하는 것이고 디스플레이 모니터상에서 터치방식으로 조절하거나 세팅하도록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의 기능이외에 일상의 대화에서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휴대폰 고유의 통신기능과 별도로 보청기의 기능만을 ON 시키는 절환 스위칭수단(124)을 CPU(120)에 독립적으로 구성하거나 메뉴(115)에 구성하거나 또는 키입력부(116)의 버튼으로 구성한다.
보청기로 사용할 시에는 절환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면 CPU의 제어로 제2 마 이크수단(106)이나 이어폰(119)의 마이크수단으로 수신한 대화가 이미 세팅된 음질과 강도로 이퀄라이징 되어 이어폰(119)의 스피커수단으로 청취하게 되는 것이고, 휴대폰에 구성된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시스템으로 송수신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서 휴대폰으로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것이고 주파수대역별로 음질이나 음량을 조절하거나 필터링하는 이퀄라이즈의 구성방법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청력에 부합하도록 주파수대역별 수신음의 음질과 강도를 이퀄라이즈 수단으로 조정하여 키입력수단으로 세팅해 놓으면 그후 세팅된 음질과 강도로 수신하도록 CPU의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것이므로 휴대폰등 단말기 구입시 한번 세팅하는 것으로 족하여 사용자에게 지극히 편리한 것이다.
휴대폰의 청력을 검사하여 세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하면서 이퀄라이즈로 주파수대역별 음질과 음량을 직접 조절하여 자가 세팅하는 방법이외에, 휴대폰 소지자의 신청에 의하여 서비스제공자(Service Provider)의 컴퓨터에서 주파수대역별로 청력검사용 주파수대역별 청력검사신호음을 소지자의 휴대폰에 발진하면 소지자가 각 주파수대역별 신호의 수신여부에 대한 응답신호를 휴대폰의 키패드로 응답하는 방법으로 서비스제공자 컴퓨터에서 휴대폰소지자의 청력을 검사하고 그 검사데이터를 휴대폰의 CPU(120)에 전송하면 CPU가 이퀄라이즈수단(121)을 조절하여 세팅하는 방법으로 청력검사와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청력검사를 다수회 반복실시하고 서비스제공자 컴퓨터는 그 평균값을 계산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컴퓨터가 휴대폰의 이퀄라이즈수단(121)을 세팅하도록 휴대폰의 CPU(120)를 제어함으로서 더욱 정확하게 청력이 세팅된 기능형 휴대폰이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단말기소지자의 청력에 부합하도록 음성신호를 이퀄라이징 하는 기술은 MP3등 음악파일 저장 및 재생용 단말기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 단말기 소지자의 청력검사는 서비스제공자의 컴퓨터가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 수행하거나 일반 유무선전화로 검사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의 컴퓨터는 인터넷으로 MP3등 단말기의 CPU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이퀄라이즈 수단을 소지자의 청력에 부합하도록 주파수대역별로 음질과 음량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종전의 휴대폰에서 휴대폰의 벨신호 다운로드 서비스처럼 휴대폰 사용자의 청각검사 및 수신음 세팅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유료화하여 청각검사를 전문화하고 휴대폰이나 MP3등 단말기를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맞춤형화 할 수 있는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
또한, 이퀄라이즈 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이나 MP3등의 단말기의 이퀄라이즈 세팅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소지자가 병원이나 청력검사 전문기구에서 주파수대역별로 청력을 측정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직접 그 데이터를 설정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다음,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각에 적합하도록 그 기능을 세팅하는 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인간이 늙어가면서 당면하게 되는 시각장애로 인한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문제는 도1과 도3에 의하는 바와 같이 메뉴수단(115)에 설정한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2)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의 크기나 색상이나 글꼴을 키입력수단(116)의 버튼조작으로 변경하여 세팅하는 것이고, 크기가 확대되거나 또는 색상이 가변된 문자나 숫자는 키입력부의 버튼제어로 디스플레이 컨트롤수단(113)에서 전광판 형태로 스트롤 되도록 구성한다.
위와 같은 기능은 글꼴을 출력하는 캐릭터 제너레이터 수단(135)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드라이버수단(122)을 디스플레이 컨트롤수단(113)에 구성하여 CPU(120)의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하도록 기술구성하거나 또는 이와 같은 기능을 CPU(120)에 내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에 현출하는 메시지의 글씨크기나 글꼴이나 색상(색맹의 경우)이나 스트롤 하는 속도나 방향(재수신 하기 위한 리와인딩과 같은 기능)을 사용자가 메뉴수단(115)에 설정된 키입력수단(116)의 버튼조작신호에 의거 CPU(120)가 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구성이 간편하고 문자 메시지를 읽을시 일일이 돋보기(Reading Glass)를 착용하는 불편을 해소한다.
이로서 각기 기호나 시력이 다른 사용자들이 자기의 기호나 시력에 맞는 글꼴과 크기와 색상을 선택하여 세팅할 수 있는 것이고 한번 세팅하면 세팅을 변경할 때까지 세팅된 글꼴과 크기와 색상으로 문자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므로 휴 대폰소지자의 기호와 시력에 따라 각기 데이터가 다르게 세팅된 맞춤형 휴대폰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음,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긴급구조 신호 발송 기능을 세팅하는 방법과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긴급구조 기능은 도1에 의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 입력수단(116)으로 문자 구조 메시지를 작성하여 메모리수단(114)에 기억 저장시키거나, 음성 구조 메시지를 메모리수단(114)에 기억저장 시켜 두고, 메뉴수단(115)으로 전송할 다수개의 전화번호 설정하여 메모리 시켜 두면, 그 후 비상시 사용자는 키 입력수단(116)에서 지정된 특정키를 누르는 것만으로 즉, 원클릭으로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시킨 긴급 구조 문자 메시지나 긴급 구조 음성 메시지가 외부로 전송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기능을 CPU(120)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거 구현되는 것이다.
긴급 구조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할 것인지, 또는 음성 메시지로 할 것인지는 시스템 기술자에 따라 각기 달리 구성하거나, 또는 2가지 방법을 함께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긴급 구조 신호를 수신할 수신자의 전화번호는 사용자가 메뉴수단(115)과 키입력수단(116)으로 설정하는 것이고, 911등 구조전문기관의 전화번호와 친인척이나, 가까운 친지 또는 친구의 전화번호를 설정하며, CPU(120)는 사용자가 원클릭으로 긴급 구조신호 전송을 요구하면 메뉴수단으로 설정한 우선순위 별로 순차적으로 설정된 전체 전화번호에 구조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 호출하더라도 수신자가 없으면 즉 전화를 받지 않 으면 일정하게 프로그램된 신호음을 발진한 후 자동적으로 다음 수신자를 호출하도록 CPU(120)의 프로그램으로 설정하는 것이고 위와 같은 긴급구조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한 후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 예컨대 911에서는(긴급구조신호 메시지 전송후) 사용자가 프로그램 한 특정시간 동안, 예컨대 10분이나, 20분등 핸드폰의 음성통신망을 ON상태로 유지시켜 911 상황실에서 사용자 핸드폰의 마이크를 통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신호음을 청취하거나, 녹음하여 사용자가 졸도하거나, 또는 강도로부터 위협받고 있다하더라도, 상황실에서 현장음으로 상태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긴급 구조신호 발진시 단말기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휴대폰에 내장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통하여 발진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수신자가 GPS시스템을 통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약자가 별도의 긴급 구조를 위한 신호 발송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아니한다하더라도 휴대폰만으로 구조신호를 발송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다음,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소지자가 원치 아니하는 스팸성 전화나 메일의 수신차단 기능을 세팅하는 방법과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기술을 이용하면 불필요한 스팸성 전화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소명하면, 휴대폰에서 스팸이나 불필요한 신호음으로 인하여 단말기 소지자가 불편해 하는 문제는 소지자가 임의로 수신하기를 원하는 전화번호만을 메뉴수단(115)과 키입력부(116)를 통하여 메모리부(114)에 기억 저장 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설정한 이외의 전화번호로부터 착신신호가 있을시 즉, 수신거부하는 신호가 있을시의 차단방법을 메뉴수단(115)에서 자동녹음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통화중 신호음을 발진하는 모드나, 수신거부신호음을 발진하는 모드 등으로 임의 설정할 수 있도록 CPU에 프로그램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신하기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특정함으로서 단말기는 특정번호의 전화만을 정상적으로 송수신 하는 것이고, 그 외의 전화는 그 내용이 메모리되므로 단말기 소지자가 메뉴수단(115)으로 검색하여 대응할 수 있는 것이고, 스팸등 불필요한 통화를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위와 반대로 수신 거부할 전화번호만을 메모리 시켜 두도록 CPU에 메뉴를 구성할 시에는 특정번호의 전화가 착신될 시, 이를 녹음모드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통화중 신호모드로 자동 전환되므로 수신거부할 전화공세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위의 기술을 이용할 시 스팸전화나, 스팸메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스팸메일 차단기능을 설명하면, 먼저 스팸메일이나, 수신자가 수신하기를 원치 않는 문자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기 위하여 문자메시지 수신자단말기의 키패드로 수신할 문자메시지의 서두에 부여할 코드를 임의 설정하여 단말기의 중앙처리수단에 설정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거 단말기의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시키는 인식코드 설정단계와;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수단으로 수신자가 임의로 선정한 인식코드를 송수신 허가하고자 하는 다수개의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인식코드 고지단계와; 다수개의 상대방 단말기에서 메시지 발송자가 문자메시지의 서두에 수신자가 지정한 인식코드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와; 수신자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가 수신되는 메시지에서 설정된 인식코드를 인식하여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된 인식코드 데이터와 비교하여 코드가 일치할 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모리시키고, 코드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는 메시지 차단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신자가 설정한 인식코드에 의하여 코드 설정된 메시지만을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신자 단말기에서 인식코드를 다수개로 설정하고, 인식코드마다 각기 상이한 메시지 도착 수신음을 설정하게 되면, 메시지 도착시 인식코드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음을 발진하는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는 신호발진음으로 인식코드를 알 수 있게 되어 발신자가 누구인지(또는 가족, 동창회, 회사, 정부기관, 군부대등 그룹별로 인식코드를 부여할 시에는 어느 그룹에서 발신한 메시지인지를)를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종래의 특정단어가 삽입된 메시지를 차단하는 네거티브(Negative)방식에서 특정단어가 삽입된 메시지만을 수신하게 하는 포지티브(Positive)방식으로 기술적 사상을 변경함으로서 스팸메일이나 수신하기를 원하지 아니하는 메일을 100% 차단하게 되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다음, 휴대폰이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기능으로 세팅하는 방법과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5에 의하는 바와 같이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를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등 카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환시켜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도5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MP3나 PDA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 호출번호로 단말기(203)에 접속하여 단말기의 메모리수단에 현금카드나 신용카드의 코드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카드운영자의 컴퓨터(201)와, 카드운영자의 컴퓨터카드운영자의 컴퓨터가 전송한 카드의 코드데이터와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ID코드데이터를 기억 저장하는 단말기(203)의 메모리수단과, 단말기의 키패드수단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ID코드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된 ID코드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할 시,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된 카드의 코드데이터를 ON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며, 카드로 사용하거나, 또는 CPU에 설정한 시간내 카드로 사용하지 아니할 시, 카드의 코드데이터 발진을 OFF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된 단말기(203)의 CPU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단말기를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로 전환시키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위의 구성에서 카드의 코드데이터와 사용자 ID코드데이터를 입력하는 메모리수단을 단말기 고유의 메모리 수단과 별도로 CPU에 별도로 부가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의 코드데이터와 사용자의 ID코드 데이터를 메모리 시키는 단말기(203)의 메모리수단을 카드 운영자 컴퓨터가 카드의 코드데이터와 사용자의 ID코드데이터를 입력시킨 IC칩이나 RFID칩으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단말기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휴대폰이나 MP3나 PDA등 이동통신단말기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카드운영자의 호스트컴퓨터에서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호출번호로 단말기에 접속하여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코드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가입자단말기의 CPU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카드회사의 컴퓨터가 전송한 카드데이터를 단말기의 메모리수단에 기억 저장시키는 단계와, 단말기의 키패드로 숫자나 문자나 도형이나 이외 조합으로 단말기에 기억 저장된 신용카드 데이터의 보안인증 수단으로 사용할 사용자ID코드를 설정하여 메모리시키는 단계와, 단말기 키패드로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ID코드가 입력될 시, 단말기의 CPU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단말기에 기저장된 사용자 ID코드와 일치할시 카드 코드데이터의 작동을 ON모드로 전환시켜 단말기를 카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CPU에 설정된 카드 사용회수나 또는 특정시간이 지나면 카드의 기능을 OFF모드로 전환하도록 CPU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데이터를 휴대폰등 단말기에 기억 저장시켜 카드화하고, 사용자가 임의 설정한 ID코드의 인증이 있을 시에 한하여 카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또는 현금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방법에서 카드회사의 호스트컴퓨터가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여 카드코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카드 고유의 카드코드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의 ID코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여 단말기(203)의 메모 리수단에 기억 저장시키고, 카드사용시 단말기(203)의 키패드로 사용자 ID코드를 입력시켜 카드의 기능을 ON모드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203)의 디지털카메라로 사용자의 ID코드를 이미지로 설정등록하여 카드로 사용코자 할 시, 이미지데이터로 사용자의 ID를 인증하도록 구성하거나 단말기의 CPU에 지문이나 지혈맥(Finger-vein)인식수단을 부가 구성하여 지문이나 지혈맥으로 사용자 ID코드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나 지문이나 지혈맥 등의 생체정보 ID로 인증하도록 구성하면 보안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생체정보 ID를 메모리 시키고 인증하는 요소기술은 기존의 다양한 범용기술을 원용한다.
이때, 단말기를 카드로 전환시키고자 할 시, 지문이나 지혈맥으로 사용자 ID를 입력한 후, 단말기를 카드 전환시켜 ON시키는 시간을 특정 초단위 시간으로 제한하여 특정 초단위 시간내에 카드로 사용하지 아니하면 자동으로 카드의 기능을 OFF시키도록 단말기의 CPU에 프로그램 설정하게 되면 단말기로 카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를 분실하더라도 타인이 단말기를 카드의 기능으로 이용할 수 없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카드 결제금액 한도나 용도별로 다수개의 사용자 ID를 다르게 설정등록시켜, ID에 의거 결제한도를 제어하도록 ID를 설정하면 ID마다 결제한도가 다르게 되는 것이므로 카드로서의 보안력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이고, 사용자가 강압에 의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카드모드로 전환시킬 시에는 비상구조 ID를 입력함으 로서 결제와 별도로 구조신호가 카드회사의 컴퓨터로 전송되는 것이다.
구조신호가 전송되면 카드회사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으로 설정한 프로토콜에 의거 다양한 구조조치가 강구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한 카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납치당하거나, 강압에 의하여 단말기를 절취 당할시, 사용자의 구조요청을 알리는 비상 ID코드를 설정 등록하여 단말기에서 비상용 ID코드가 입력될 시, 비상구조신호가 단말기의 통신수단이나, 카드결제 전산망으로 설정된 보안부서의 단말기나 컴퓨터에 구조신호가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비상용 ID가 입력될시, 특정 소액결제가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긴급구조신호가 발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용의 별도 IC칩이나 RFID칩을 부가 구성하여 카드 코드데이터나 사용자 ID데이터를 별도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의 경우, 별도의 IC칩이나, RFID칩을 카드운영자의 호스트컴퓨터에서 카드의 코드데이터와 사용자 ID코드데이터를 입력시킨 칩으로 구성하여 휴대폰이나, PDA나 또는 MP3등의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단말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방법에서 사용자 인증ID를 입력하여 단말기를 카드기능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고, 그후의 결제절차는 기존카드의 결제절차와 동일하여 단말기를 ATM이나 카드결제 조회기에 작동시키고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서 카드가 결제되 는 것이다.
사용자 인증 ID를 이미지나 지혈맥 등으로 구성할 시에는 사용자의 인증이 확실하므로 비밀번호 입력단계를 생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SIM카드 형태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를 제작하여 단말기에 내장시키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즉, 카드회사의 컴퓨터(201)가 가입자의 카드데이터를 휴대폰등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단말기CPU(203)에 설정된 메모리수단에 설정하거나, 또는 카드의 데이터가 설정된 IC칩이 내장된 카드를 SIM카드 형태로 교부하여 단말기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단말기에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코드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후 사용자는 카드별 사용자 ID코드를 단말기의 키패드수단(202)으로 설정하며 이는 단말기의 CPU(203)에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단말기의 CPU에 설정하는 것이다.
단말기로 카드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할 시에 단말기의 키패드(202)로 사용자ID를 입력하게 하고, 입력한 ID가 기등록된 것과 일치할 시 CPU(203)가 카드의 데이터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ON시킨다.
따라서 휴대폰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드의 데이터가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진정한 사용자의 ID를 인증할 때에만 카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안전한 것이며 휴대폰등의 단말기를 분실한다 하더라도 ID인증이 없으면 카드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에 지문등 생체ID를 입력하는 수단이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ID 를 지문등의 생체ID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드의 안전성을 더욱 증가 시키기 위하여 카드 결제한도 별로 ID를 각기 다르게 설정하여(생체ID를 지문으로 사용할 시에는 손가락마다 결제한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으로), 단말기의 결제한도를 사용자가 임의 설정함으로서 사용자가 납치되어 단말기를 빼앗기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ID 설정시 특정 결제한도의 금액에는 비상구조신호를 약정할 시, 약정된 ID가 입력되면 카드회사의 컴퓨터가 사용자의 구조신호로 인식하여 경찰에 신고하는등 구조활동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유용한 구조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휴대폰 등 이동통신단말기에서 1개의 단말기로 다수개 단말기의 기능으로 그 기능을 확장하여 세팅하는 방법과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6은 SIM카드 등 가입자ID 인증카드 모듈을 장착하는 휴대폰에서 1개의 휴대폰으로 다수개 휴대폰의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6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송수신수단(301)과, 휴대폰의 가입자ID 인증코드와 전화번호 코드를 설정하는 다수개의 가입자ID 인증카드 모듈(302)과, 각 가입자ID 인증카드 모듈별로 설정된 전화번호 코드별 각기 다른 착신음을 설정하는 키패드수단(306)과, 카드모듈별 다수개의 착신음을 발진하는 착신음 발진수단(303)과 위의 각 수단을 제어하여 하나의 휴대폰으로 다수개 휴대폰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정된 중앙처리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위의 구성에서 SIM카드로 각기 다른 전화번호코드를 설정할 시에는 다수개의 SIM카드로 구성되고, 하나의 SIM카드에 다수개의 전화번호코드를 설정할 시에는 다수개의 전화번호 코드가 설정된 하나의 SIM카드로 구성된다.
SIM카드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가입자ID 인증코드와 가입자의 전화번호 코드를 설정하는 수단을 단말기에 CPU에 구성하고 다수개의 전화번호코드를 설정함으로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M카드방식의 휴대폰을 휴대폰운용회사의 컴퓨터에서 SIM카드를 발행할 때에 소지자가 선택한 다수개의 휴대폰 전화번호코드를 설정하여 메모리 시킨 SIM카드를 교부한다.
위의 다수개 전화번호별로 소지자는 단말기의 키패드수단으로 전화번호별로 각기 다른 착신음을 설정한다. 착신음 설정방법은 기존의 착신음 설정방법과 같다.
또한, SIM카드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휴대폰의 경우에는 휴대폰시스템을 운영하는 이동통신회사의 컴퓨터에서 휴대폰의 전화번호코드 설정수단에 사용자가 설정한 다수개의 휴대폰 전화번호코드를 메모리시킴으로서 동일한 효과를 구현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뿐만 아니라 PDA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1982년 유럽의 CEPT가 GSM 단일표준을 만들면서 사용자 인증을 목적으로 4KB정도의 EEPROM으로 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카드를 도입한 것이 효시로, 이후에 CDMA측에서는 SIM카드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GSM과의 로밍을 위하여 SIM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UIM(User Information Module)을 규격화하였다. 3세대 이동통신(IMT-2000)을 위한 스마트카드의 규격은 기술방식과 관계없이 스마트카드 플랫폼 UICC(Universal IC Card)와 애플리케이션이 수용될 각 기술방식에 따른 규격으로 나누어지며, UICC는 통신뿐만 아니라 금융 등의 다른 산업분야의 스마트카드 애플리케이션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WCDMA 단말기를 채택할 경우에는 1개의 USIM카드의 EEPROM에 다수개의 사용자 ID인증코드를 부여할 수 있는 용량이 되므로 이 경우 1개의 USIM카드로 다수개의 휴대폰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SIM카드의 용량면에서 최근 1GB S-SIM카드가 개발된 바 있으므로 이를 채택할 시에는 기존의 SIM카드형 단말기에서 1개의 SIM카드로 다수개의 사용자 ID인증데이터를 메모리 시킬 수 있으므로 이 경우 1개의 SIM 카드로 다수개의 휴대폰 번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억용량이 크게 증가되므로 1개의 단말기에 1개의 SIM카드로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설정하더라도 각 전화번호별로 통화내용을 메모리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메모리 시키는 등의 기능을 1개의 SIM카드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모든 통화 내용을 무조건 녹음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통화내용을 임의 검색할 수 있게 하므로서 건망증 문제를 해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뿐만 아니라 MP3나 군용의 유무선 통신단말기나 상업용 통신단말기등의 다양한 통신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송수신 통화내 용을 검색할 수 있게 되고, 이퀄라이징된 음성신호로 수신하게 되어 더욱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데이터를 설정하고, 카드별 사용자의 ID를 구성함으로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로 그 기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위의 기술을 원용하면 운전중에 수신되는 전화는 운전중이라는 멘트신호와 함께 무조건 메모리 모드로 전환시키도록 CPU에 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운전중 휴대폰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위의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녹음기나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MP3등의 기기에서 주파수대역별로 음질이나 음량을 제어하여 이퀄라이징 하는 수단을 부가구성 할 시, 수신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주파수 대역별로 세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로서 휴대용 녹음기나 MP3 등의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청각 장애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이들 기기를 이용하여 일반보청기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휴대폰뿐만 아니라 유선전화기나 군용무전기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단말기나 MP3 등의 기기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 문에 의해서 구속 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귀속된다.
휴대폰뿐만 아니라 MP3나 군용 유무선 통신단말기나 상업용 통신단말기 등의 다양한 통신단말기 산업에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 송수신 통화내용을 검색할 수 있게 되고, 이퀄라이징된 음성신호로 수신하게 되어 더욱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 소지자의 청력이나 시력이나 건망증 정도에 따라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휴대폰으로 그 기능을 임의 설정할 수 있는 기능형 휴대폰 시스템 기술을 제공한다.
아울러, 휴대폰으로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휴대폰으로 고가의 보청기를 대치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1대의 휴대폰으로 다수대의 휴대폰의 기능을 구현하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 ID코드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기능을 휴대폰에 설정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폰 시스템 기술을 제공한다.

Claims (32)

  1. 휴대폰이나 PDA나 MP3등의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있어서,
    (a) 단말기의 통신수단으로 수신한 음성신호를 단말기 소지자의 청력에 맞도록 수신음의 각 주파수대역별 음질이나 음량의 신호 레벨을 이퀄라이징(equalizing)하여 세팅하는 음성신호 컨트롤수단과,
    (b) 이퀄라이징된 음성신호를 단말기의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송신수단과,
    (c) 단말기 통신수단으로 수신한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컨트롤수단에서 이퀄라이징하여 단말기의 이어폰이나 스피커수단으로 출력하는 단말기 고유의 기능에서 이어폰의 마이크수단으로 청취한 음성신호를 단말기에 세팅된 레벨로 이퀄라이징하여 이어폰의 스피커수단으로 송출하는 보청기의 기능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칭수단과,
    (d) 위의 각 기능을 구현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된 중앙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수신음을 주파수 대역별로 조절하여 소지자의 청력에 적합하게 맞춤형으로 설정하는 기능과, 스위칭수단의 전환으로 일반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성신호 컨트롤 수단을 단말기 시스템의 CPU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 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데이터의 문자나 숫자의 크기나 글꼴이나 색상을 임의로 확대하거나 변경하여 설정하는 캐릭터 제너레이터 수단과, 문자나 숫자를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흐르는 형태로 스트롤 시켜 디스플레이 시키는 드라이버수단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컨트롤수단을 부가 구성하여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상에서 문자나 숫자의 크기나 글꼴을 임의 변경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스트롤 시키도록 세팅하는 기능을 부가한 다기능형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컨트롤수단이나 캐릭터 제너레이터수단을 별도 구성함이 없이 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CPU에 내장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5. 청구항1에 있어서,
    음성신호컨트롤수단에서 이퀄라이징 할때에 외부에 구성된 키패드와 CPU의 제어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주파수대역별로 음성신호의 증폭을 그래픽 또는 숫자로 디스플레이 시켜 이퀄라이징 하도록 구성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이퀄라이저 조절 기능을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방식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기의 송수신용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 장치로 수신한 음성신호를 단말기의 이퀄라이즈수단으로 세팅된 음질로 변환하여 이어폰의 스피커수단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보청기 절환 스위치 장치를 단말기에 별도 부가 구성하여 절환 스위치 장치의 제어로 단말기 고유의 기능과 별도의 기능으로 보청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기 외측부에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수단을 구성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이어폰에 송수신장치를 부가 구성하여 단말기 키패드의 스위치 절환으로 이퀄라이즈 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녹음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9. MP3나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의 청력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a) 송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음성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음질을 조절하거나 음량을 증폭 또는 가감하여 설정하는 이퀄라이즈수단과,
    (b) 단말기의 송수신 수단이나 유무선 전화나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단말기 소지자의 청각검사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기 소지자의 응답신호로 주파수대역별로 단말기소지자의 청력을 검사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컴퓨터와,
    (c) 서비스제공자 컴퓨터에서 측정한 청력 테스트 데이터에 의하여 단말기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수신음의 주파수대역별 조절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퀄라이즈수단을 세팅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설정된 CPU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서비스제공자의 컴퓨터로 휴대폰등의 이동통신단말기 소지자의 청력을 검사하고 소지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단말기의 수신기능을 맞춤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청력검사 시스템
  10. MP3 등의 음악파일 수신 및 재생용 단말기시스템에 있어서,
    (a) 단말기의 수신음을 수신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주파수 대역별로 가감하여 세팅하는 이퀄라이즈 수단과,
    (b) 외부신호를 청취하는 마이크수단과,
    (c) 마이크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이퀄라이즈수단에서 주파수대역별로 이퀄라이징 하여 스피커수단으로 송출하는 신호처리수단과,
    (d) 단말기 고유의 기능으로부터 보청기의 기능으로 절환시키는 절환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절환스위치의 절환으로 단말기 고유의 통신기능과는 별도로 보청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 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녹음기절환스위치 장치를 부가 구성하여 단말기 키패드와 메뉴수단에 녹음 및 재생기능을 설정하여 일반 녹음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12.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있어서,
    (a) 단말기의 통신수단으로 송신 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있을시 이를 식별하는 음성신호 디텍트수단과,
    (b) 디텍트 된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기억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c) 통신수단에서 송수신 되는 음성신호가 감지될시 음성신호와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통화개시 일시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수단에 메모리 시키며 메모리 된 음성신호의 데이터가 CPU에서 설정한 일정한 분량이 될 때 가장 먼저 녹음된 통화의 데이터부터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제어수단을 부가 구성하여,
    통화내용을 자동 인식하여 가장 먼저 메모리된 통화의 데이터부터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최근 통화내용을 메모리 시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된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CPU에 "운전중 모드" 설정수단을 부가 구성하여, 운전중 모드로 설정한 후 수신되는 신호가 있을 시, 운전중이라는 안내 음성신호와 함께 자동으로 메시지 메모리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CPU에 기능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단말기에 구비한 마이크로폰이나 또는 외부에 구성한 마이크로폰과 단말기의 메모리수단으로 녹음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며 녹음된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자체 통신수단으로 외부에 전송 가능하도록 CPU에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메모리수단에 긴급 구조 메시지를 녹음해 두고, 전송할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세팅한 후, 비상시 단말기에 설정된 비상 단축키를 작동시켜 다수 수신자 번호로 순차적으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CPU에 기능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긴급 구조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한 후 특정한 번호에서 시간 설정된 기간 동안 특정상 구조기관과의 통신 상태를 ON상태로 유지시켜 휴대폰의 마이크수단으로 현장의 음성 신호를 구조기관에서 계속 청취하거나,
    녹음하도록 CPU에 기능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긴급 구조 신호를 문자 메시지로 설정하여 두고 다수개의 수신처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시켜 비상시 휴대폰으로 비상 구조 문자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수신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CPU에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단말기에 GPS 수단을 구성하여 비상키 작동시 비상구조신호 전송과 별도로 단말기의 GPS신호를 계속 발진하도록 CPU에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19. 상용 또는 군용유무선 통신 단말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교신중에 감지한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교신중 음성신호가 있을시 이를 감지하는 디텍트수단과 디텍트된 신호를 녹음하는 메모리수단을 구성하는 단게와,
    (b) 교신중 음성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녹음하며 가장 먼저 녹음된 음성신호부터 지워가면서 항상 일정한 분량의 음성신호와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통화일시 등의 상대방 ID를 메모리하도록 CPU의 프로그램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c) 녹음된 음성신호를 상대방 ID나 통화일시별로 디스플레이 판넬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단말기 스스로 설정한 분량의 교신내용을 최근의 교신부터 기억과 삭제를 반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교신 녹음 방법
  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카드나 UIM(User Information Module)카드 등의 모듈카드 교체형 휴대폰이나 PDA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a)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다수개의 SIM카드등의 모듈카드와,
    (b) 다수개 모듈카드별로 각기 다른 ID와 전화번호로 교신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된 CPU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1개의 단말기에 다수개의 모듈카드를 구성하여 다수개 단말기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도록 기능 설정된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은행이나 카드회사의 현금카드나 신용카드를 모듈카드 형태로 구성하여 휴대폰 등의 단말기로 1개 또는 이상의 신용카드(또는 현금카드)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도록 CPU에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단말기의 키패드로 CPU에 SIM카드 등의 모듈카드나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모듈카드에 사용자 ID코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사용자ID의 입력으로 ID가 일치할 시에만 모듈카드의 코드데이터가 정상 작동하도록 보안수단을 구성하는 기능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ID코드가 일치할 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의 모듈카드가 1회 또는 특정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작동하도록 CPU에 프로그램 설정하여 모듈카드의 무단사용을 제어하도록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ID코드를 지문이나 지문혈맥등 인간의 생체ID로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25. SIM카드나, UIM카드나, USIM카드 등의 가입자ID 인증카드 모듈형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에 있어서,
    (a) 각기 다른 전화번호 인증코드를 설정한 다수개의 가입자ID 인증카드 모 듈과,
    (b) 각 카드별 각기 다른 수신음을 발진하도록 설정하는 착신음설정수단과,
    (c) 각 카드별로 선정된 전화번호가 수신될시, 그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d) 위의 각 수단을 중앙제어 하여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수개의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정된 CPU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전화기로 다수개의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다수개 가입자ID 인증카드 모듈의 기능을 1개의 카드모듈로 구현하도록 다수개 전화번호인증코드를 1개의 카드모듈에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27.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에 신용카드나 현금카드 등의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카드발급회사의 컴퓨터가 카드가입자가 지정한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카드의 코드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b) 단말기의 CPU가 전송되어온 카드의 코드데이터를 메모리 시켜 카드화 시키는 단계와,
    (c) 단말기 CPU에 설정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단말기 소지자의 카드인증 ID를 카드별로 설정하여 단말기의 키패드수단으로 CPU에 설정하는 ID 설정 단계와,
    (d) 카드사용시 단말기의 키패드로 사용자의 ID를 입력하고 ID가 CPU에 등록된 것과 일치할 시에 CPU가 카드데이터의 기능을 ON으로 절환시키는 제어단계와,
    (e) 카드를 ID코드로 ON시킨후, CPU에 프로그램된 특정한 시간후에는 카드데이터의 작동을 OFF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카드회사의 컴퓨터가 카드데이터를 가입자의 휴대폰등 단말기에 전송하여 설정하고 가입자가 정한 ID로 카드의 사용을 인증하도록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기능 설정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휴대폰등 단말기에 지문등 생체정보 입력수단을 구성하여 카드별 사용자의 생체정보ID를 CPU에 등록시켜 카드사용시 생체정보ID로 카드데이터를 사용 가능한 것으로 전환시키도록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기능 설정 방법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카드결제 한도별로 사용자ID를 각기 다르게 설정하여 단말기를 카드로 사용할시 이를 인증하는 ID코드를 카드회사 컴퓨터가 인식하여 카드결제 금액을 제한하 도록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기능 설정 방법
  30.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의 착신전화 제어기능 설정방법에 있어서,
    (a) 정상적으로 송수신할 전화번호나 또는 수신거부할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선별적으로 기억 저장시키는 전화번호 설정수단을 부가 구성하고 단말기의 키패드수단으로 수신 거부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정상 수신모드로 선택적으로 모드설정하여 전화번호를 메모리 시키는 단계와,
    (b) 착신신호가 있을시, (
    Figure 112009043819266-PCT00001
    ) CPU가 메모리된 모드의 전화번호와 비교하여(정상 수신모드의 경우 설정된 이외의 전화는 자동으로 메모리모드나 수신거부 모드등 단말기에 설정된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CPU에 기능 설정하고, (
    Figure 112009043819266-PCT00002
    ) 수신거부 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신거부 모드로 설정된 전화만 선별하여 자동으로 메모리 모드나 또는 수신거부모드 등 단말기에 설정된 모드로 기능 전환하는 단계로 착신전화 제어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
  31.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팸메일이나, 수신자가 수신하기를 원치않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문자 메시지 수신자 단말기의 키패드로 수신할 문자 메시지의 서두에 부여할 코드를 임의 설정하여 단말기의 메모리 수단에 기억 저장시키는 인식코드 설정단계와,
    (b)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수단으로 수신자가 임의 설정한 인식코드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다수개의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여 인식코드를 인식시키는 인식코드 고지 단계와,
    (c) 메시지 발송자의 문자 메시지의 서두에 수신자 지정 인식코드를 삽입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d) 수신자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가 수신하는 메시지에 설정된 인식코드를 메모리 수단에 기억 저장된 코드 데이터와 비교하여 코드가 일치할 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모리 시키고, 코드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는 메시지 차단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신자가 설정한 인식코드에 의하여 수신하기를 원하지 아니하는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기능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차단 기능 설정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인식코드를 특정그룹 단위로 부여하여 메시지 수단을 특정 그룹 단위로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차단 기능 설정 방법
KR1020097015108A 2007-03-28 2008-03-28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20090112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7008460A KR20110055732A (ko) 2007-03-28 2008-03-28 비상경보수단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1020117008449A KR101136092B1 (ko) 2007-03-28 2008-03-28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보안 설정 방법과 시스템
KR1020117008476A KR20110044338A (ko) 2007-03-28 2008-03-28 온라인 및 오프라인 보청기겸용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0416 2007-03-28
KR1020070030416 2007-03-28
PCT/KR2008/001738 WO2008117999A1 (en) 2007-03-28 2008-03-28 Multi-functional mobilephone terminal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476A Division KR20110044338A (ko) 2007-03-28 2008-03-28 온라인 및 오프라인 보청기겸용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1020117008460A Division KR20110055732A (ko) 2007-03-28 2008-03-28 비상경보수단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1020117008449A Division KR101136092B1 (ko) 2007-03-28 2008-03-28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보안 설정 방법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658A true KR20090112658A (ko) 2009-10-28

Family

ID=3978869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108A KR20090112658A (ko) 2007-03-28 2008-03-28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1020117008476A KR20110044338A (ko) 2007-03-28 2008-03-28 온라인 및 오프라인 보청기겸용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1020117008449A KR101136092B1 (ko) 2007-03-28 2008-03-28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보안 설정 방법과 시스템
KR1020117008460A KR20110055732A (ko) 2007-03-28 2008-03-28 비상경보수단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476A KR20110044338A (ko) 2007-03-28 2008-03-28 온라인 및 오프라인 보청기겸용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1020117008449A KR101136092B1 (ko) 2007-03-28 2008-03-28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보안 설정 방법과 시스템
KR1020117008460A KR20110055732A (ko) 2007-03-28 2008-03-28 비상경보수단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4) KR20090112658A (ko)
GB (1) GB2457560A (ko)
WO (1) WO20081179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60B1 (ko) * 2011-09-15 2013-04-15 이귀봉 스마트 보청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보청 지원 시스템
KR20160031847A (ko) * 2014-09-15 2016-03-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3076D0 (en) 2008-02-20 2008-03-26 Univ Ghent Mucosal Membrane Receptor and uses thereof
CN104811194B (zh) * 2012-01-09 2018-05-0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集中式时钟装置和移动终端设备
CN102930698B (zh) * 2012-11-09 2014-12-31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建筑机械设备应急救援系统及方法
CN103019565B (zh) * 2012-12-17 2016-07-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过侧边框滑动页面的移动终端及方法
CN103971149A (zh) * 2013-01-24 2014-08-06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卡装置及其鉴权方法
KR101408367B1 (ko) * 2013-05-20 2014-06-18 (주)다날인터렉티브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
WO2015064796A1 (ko) * 2013-11-01 2015-05-07 유한회사 청텍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US10121144B2 (en) 2013-11-04 2018-11-06 Apple Inc.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for NFC-based payments
ES2706887T3 (es) * 2014-09-03 2019-04-01 Doro AB Un terminal móvil habilitado para teleasistencia y un procedimiento para operar un terminal móvil habilitado para teleasistencia
KR101878432B1 (ko) * 2016-02-16 2018-07-13 주식회사 카티스 출입 통제를 위한 인식장치를 다중으로 융복합 운영하기 위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451465A (zh) * 2017-08-10 2017-12-08 湖州金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的智能管理方法及移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0542A (ja) * 1984-05-14 1985-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オ−デイオ装置
EP0916218A1 (en) * 1996-07-31 1999-05-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user selected frequency response pattern to audio signals provided to a cellular telephone speaker
KR20020066755A (ko) * 2001-02-13 2002-08-21 주식회사 포인트텍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바코드를 이용한 신용카드결재 및신용카드 부가 서비스 제공에 관한 방법
KR20050022218A (ko)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이퀄라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 방법
KR100604583B1 (ko) * 2004-01-10 2006-07-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 레벨 특성 변환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US8095073B2 (en) * 2004-06-22 2012-01-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obile station and hearing aid compatibility
KR100687714B1 (ko) * 2004-11-30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카드와 다중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매체의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60B1 (ko) * 2011-09-15 2013-04-15 이귀봉 스마트 보청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보청 지원 시스템
KR20160031847A (ko) * 2014-09-15 2016-03-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7999A1 (en) 2008-10-02
GB2457560A (en) 2009-08-26
KR20110044338A (ko) 2011-04-28
GB0902119D0 (en) 2009-03-25
KR101136092B1 (ko) 2012-04-17
KR20110055732A (ko) 2011-05-25
KR20110042250A (ko) 201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2658A (ko)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US6298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olume control
EP1627542B1 (en) Method and radio terminal equipment arrangement of indicating incoming connection
US83012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4767860A (zh) 来电提示方法、装置及终端
KR20070054070A (ko) 휴대 단말 장치, 부재 착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화상 표시 방법
EP1889506B1 (en) Mobile call routing based on detect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devices
KR100850734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713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EP1739937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viding a remind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58752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자 명함 관리 방법
KR200446385Y1 (ko) 긴급도움요청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JP2002199089A (ja) 移動体電話機
JP5088204B2 (ja) 携帯通信端末
KR20120064900A (ko) 사생활보호 기능이 구현되는 통신단말기 및 통신방법, 사생활보호 기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0645170B1 (ko) 계좌인증을 이용한 텔레뱅킹 방법
KR200700657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다이얼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36828B1 (ko) 노령세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KR200362547Y1 (ko) 노령세대를 위한 실버폰 시스템
KR100838012B1 (ko) 전화번호 표시 숨김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 및 이를위한 방법
KR1009095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JP4337027B2 (ja) 携帯電話機
KR2005006194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그룹정보를 이용한 착신거부 방법
KR100706408B1 (ko) 단문 메세지 전송방법
JP2003233385A (ja) 電子メール機能付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