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847A -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847A
KR20160031847A KR1020140122096A KR20140122096A KR20160031847A KR 20160031847 A KR20160031847 A KR 20160031847A KR 1020140122096 A KR1020140122096 A KR 1020140122096A KR 20140122096 A KR20140122096 A KR 20140122096A KR 20160031847 A KR20160031847 A KR 20160031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equalizer
input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538B1 (ko
Inventor
권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5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시 제어부가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되는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되는 음성 패턴에 기초하여 이퀄라이저(Equalizer)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S-FREE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에 따라 최적화된 이퀄라이저로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용 이동 통신 단말의 보급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핸드폰(Hand phone)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불리는 개인용 이동 통신 단말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운전 중인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운전자가 많아졌고, 그에 따라 교통 사고 위험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중 주의 분산을 감소시켜 교통 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규제로서, 운전 중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어기는 운전자에게는 범칙금을 부과하는 방안이 도로교통법상 규정되어 있다.
핸즈프리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직접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통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인 예로 이동 통신 단말을 핸즈프리 장치에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을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핸즈프리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해당 음성에 대한 노이즈 처리 및 에코(Echo)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주파수별로 다른 진폭 설정값을 갖는 이퀄라이저 및 게인 조정단에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음성에 대한 처리를 진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2015 호(2002.04.01.공고, 발명의 명칭 :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 제어장치)가 있다.
차량에서 핸즈프리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종류 또는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양하다.
그리고 사용자에 따라서 음성의 특성 또한 다양한데,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특성에 대한 고려없이 미리 설정된 동일한 설정값을 갖는 이퀄라이저를 통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처리가 부정확하게 되어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자나 상대방 측에서 불만을 갖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에 따라 최적화된 이퀄라이저로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시 제어부가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되는 음성 패턴에 기초하여 이퀄라이저(Equalizer)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전에, 상기 제어부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를 발화(發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한 음성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해 미리 저장된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반영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에 관한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되는 음성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를 발화(發話)하도록 요청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해 미리 저장된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연산하여 상기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반영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에 관한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에 따라 최적화된 이퀄라이저로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및 통화 상대방에게 최상의 통화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간단한 단어의 발화만으로 새로운 이동 통신 단말가 적용될 수 있도록 동작하므로, 별도의 새로운 구성의 추가없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특성 및 진폭 특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에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에 미리 설정된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분석하여 조절한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입력부(10), 제어부(30), 마이크로폰(50), 스피커(70) 및 이퀄라이저(9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1)의 입력을 인식하는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의 AVN(Audio Vedio Navigation)이나 오디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입력부(10)는 이동 통신 단말(1)가 ANV이나 오디오 장치에 연결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입력부(1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가 입력되면, 이동 통신 단말(1)와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없이 음성 인식으로 간단한 조작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입력부(1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가 입력되면 우선 해당 이동 통신 단말(1)가 기존에 등록된 장치인지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미리 메모리부(미도시)에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1)의 모델 번호와 같은 식별 번호를 미리 저장해 두고, 이동 통신 단말(1)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장치의 식별 번호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식별 번호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이동 통신 단말(1)가 기존에 등록된 장치가 아니면, 제어부(30)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1)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을 위해 후술하는 마이크로폰(5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다.
특히, 제어부(30)는 스피커(70)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를 발화(發話)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단어에 대한 음성을 입력받는다.
이 때, 기준 단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단어로 선택될 수 있으며, 분석의 용이성을 위해서 발음이 어렵지 않은 짧은 길이의 단어가 타당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을 메모리부에 저장해 두고, 해당 단어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과 비교할 수 있다.
즉, 이퀄라이저(90)의 설정값은 표준 음성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값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음성 특성을 고려하여 이퀄라이저(90)의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이동 통신 단말(1)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시에 해당 장치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음성 패턴을 분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특성의 고려없이 획일적인 이퀄라이저(90) 설정값으로 음성을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핸즈프리 동작시의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마이크로폰(5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데,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에 관한 음성 패턴을 분석한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 발화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이나 각 주파수 대역별 진폭 특성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단어를 발화하더라도 저대역의 주파수 성분이 많은 음성을 발화하는 사용자와 고대역의 주파수 성분이 많은 음성을 발화하는 사용자로 나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단어를 발화하더라도 진폭이 높은 큰 소리로 발화하는 사용자와 진폭이 낮은 작은 소리로 발화하는 사용자로 나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특성 및 진폭 특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사용자 음성의 진폭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동일한 단어를 발화한 경우에도 주파수 성분의 고대역과 저대역에서의 특성이 상이할 수 있으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동일한 단어를 발화한 경우에도 음성의 진폭 크기는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은 주파수 대역이나 진폭의 크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제어부(30)는 이들을 모두 고려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해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특성에 대한 음성 패턴을 분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에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의 각 주파수 대역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전술한 기준 단어를 발화한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의 각 주파수 대역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주파수 대역별 진폭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고, 제어부(30)는 이를 반영하여 이퀄라이저(90)의 설정값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도 3의 A와 B를 비교하기 위해서 각각의 신호를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 때, R과 S는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 음성에 대한 이산 푸리에 변환한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N은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 비교를 위해 나눈 대역의 개수를 의미함)
이산 푸리에 변환 기법은 이미 공지된 수학적 방법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구현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때, S-R 값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 음성의 진폭 차이가 되고, 도 3의 A와 B에 대해서 이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대역 번호 1 2 3 128
주파수 영역(Hz) ~125 ~250 ~375 ~4000
진폭 차이(S-R) 3 2 1 -6
즉,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 음성의 진폭 차이는 주파수 대역별로 상이함을 알 수 있고, 제어부(30)는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여 이퀄라이저(90)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에 관한 설정값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S-R 값을 통해, 도 3의 사용자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소리를 내고 고주파수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를 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에 미리 설정된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음성 패턴을 분석하여 조절한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90)는 주파수 대역별로 고정된 설정값이 결정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표 2를 참조하여 도 5와 같이 이퀄라이저(90)의 주파수 대역별 설정값을 조절한다.
대역 번호 1 2 3 128
주파수 영역(Hz) ~125 ~250 ~375 ~4000
진폭 차이(S-R) 3 2 1 -6
이퀄라이저 설정값 -18 -16 -14 -20
조절된 이퀄라이저 설정값 -21 -18 -15 -14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이를 반영하여 이퀄라이저(90)의 주파수 대역별 설정값을 조절한 결과가 도 5와 같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사용자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소리를 내고 고주파수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를 내기 때문에,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이퀄라이저(90) 설정값이 감소하도록 조절하고,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이퀄라이저(90) 설정값을 증가하도록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이퀄라이즈(90)의 설정값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에서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 및 통화 상대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5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의 제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스피커(7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전술한 기준 단어를 발화하도록 요청하는 구성으로, 음성 안내를 통해 사용자에게 기준 단어를 발화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시각적인 형태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준 단어를 발화할 것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퀄라이저(Equalizer)(90)는 마이크로폰(5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로 고정된 설정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제어부(30)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값을 조절함으로써 이퀄라이저(90)의 성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30)는 이동 통신 단말(1)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이 필요한지 판단한다(S10).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이동 통신 단말(1)가 기존에 등록된 장치인지 판단함으로써, 핸즈프리 사용을 위한 등록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핸즈프리 사용 등록이 필요하면 제어부(30)는 스피커(70)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를 발화하도록 요청하고(S20), 마이크로폰(5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기준 단어를 발화한 음성을 입력받는다(S30).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음성 특성을 고려하여 이퀄라이저(90)의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이동 통신 단말(1)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시에 해당 장치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특히, 분석의 용이성을 위해서, 기준 단어는 발음이 어렵지 않은 짧은 길이의 단어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단어로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입력되는 음성의 패턴을 분석한다(S40).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마이크로폰(5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에 관한 음성 패턴을 분석한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 발화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이나 각 주파수 대역별 진폭 특성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단어를 발화하더라도 저대역의 주파수 성분이 많은 음성을 발화하는 사용자와 고대역의 주파수 성분이 많은 음성을 발화하는 사용자로 나뉠 수 있고, 동일한 단어를 발화하더라도 진폭이 높은 큰 소리로 발화하는 사용자와 진폭이 낮은 작은 소리로 발화하는 사용자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는 미리 저장된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연산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의 음성 패턴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전술한 단계(S40)에서 분석되는 음성 패턴에 기초하여 이퀄라이저(90)의 설정값을 조절한다(S50).
즉, 제어부(30)는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한 표준 음성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반영하여 이퀄라이저(90)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에 관한 설정값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패턴에 따라 최적화된 이퀄라이저로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및 통화 상대방에게 최상의 통화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간단한 단어의 발화만으로 새로운 이동 통신 단말가 적용될 수 있도록 동작하므로, 별도의 새로운 구성의 추가없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이동 통신 단말
10: 입력부
30: 제어부
50: 마이크로폰
70: 스피커
90: 이퀄라이저

Claims (8)

  1. 이동 통신 단말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시 제어부가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되는 음성 패턴에 기초하여 이퀄라이저(Equalizer)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전에, 상기 제어부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를 발화(發話)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한 음성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해 미리 저장된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반영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에 관한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되는 음성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의 핸즈프리 사용 등록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기준 단어를 발화(發話)하도록 요청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단어에 대해 미리 저장된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연산하여 상기 음성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준 음성과 상기 입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의 차를 반영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진폭에 관한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장치.
KR1020140122096A 2014-09-15 2014-09-15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227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96A KR102276538B1 (ko) 2014-09-15 2014-09-15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96A KR102276538B1 (ko) 2014-09-15 2014-09-15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847A true KR20160031847A (ko) 2016-03-23
KR102276538B1 KR102276538B1 (ko) 2021-07-13

Family

ID=5564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096A KR102276538B1 (ko) 2014-09-15 2014-09-15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136B1 (en) 2021-01-11 2022-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eech filtering in a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168Y1 (ko) * 2000-12-28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KR20020054177A (ko) * 2000-12-27 2002-07-06 이계안 차량용 오디오 오토 튜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20040006850A (ko) * 2002-07-16 2004-01-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음성처리회로 및 방법
JP2007194833A (ja) * 2006-01-18 2007-08-02 Sharp Corp ハンズフリー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
KR20090112658A (ko) * 2007-03-28 2009-10-28 종 해 김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77A (ko) * 2000-12-27 2002-07-06 이계안 차량용 오디오 오토 튜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200226168Y1 (ko) * 2000-12-28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퀄라이저 기능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KR20040006850A (ko) * 2002-07-16 2004-01-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음성처리회로 및 방법
JP2007194833A (ja) * 2006-01-18 2007-08-02 Sharp Corp ハンズフリー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
KR20090112658A (ko) * 2007-03-28 2009-10-28 종 해 김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136B1 (en) 2021-01-11 2022-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eech filtering 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538B1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087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US100435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boosting formants from speech and noise spectral estimation
US8019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of vocal quality to a user
EP296684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ng to audio accessories
US20130035934A1 (en) Dynamic controller for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EP3826012B1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speech enhancement algorithm,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4524593A (ja) 適応音声了解度プロセッサ
US20110125494A1 (en) Speech Intelligibility
JPH0677894A (ja) 無線端末装置
US9185506B1 (en) Comfort noise generation based on noise estimation
US20180077278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telephone apparatus
US6999920B1 (en) Exponential echo and noise reduction in silence intervals
CN103813251A (zh) 一种可调节去噪程度的助听器去噪装置和方法
JP5292345B2 (ja) 音質自動調整機能を備える音響再生装置、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2276538B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US1138851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US10181316B2 (en) Dynamically increased noise suppression based on input noise characteristics
JP2020077933A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の制御方法
KR201200348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nley et al. Multizone reproduction of speech soundfields: A perceptually weighted approach
KR20190050225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JP7084899B2 (ja) 車載装置
KR100802818B1 (ko) 핸즈프리 및 필터 선택 방법
KR102009383B1 (ko)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오디오 출력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JP2012217125A (ja) 車載用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