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457A -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 Google Patents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457A
KR20090112457A KR1020080038363A KR20080038363A KR20090112457A KR 20090112457 A KR20090112457 A KR 20090112457A KR 1020080038363 A KR1020080038363 A KR 1020080038363A KR 20080038363 A KR20080038363 A KR 20080038363A KR 20090112457 A KR20090112457 A KR 20090112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
water
main body
built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857B1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2008003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8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과 달리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고,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앰과 아울러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빌트인, 직수, 자연증발, 가습기

Description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고,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앰과 아울러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연 증발형 가습기는 방적공장이나 습기에 약한 가구 등을 구비한 실내와 같이 일정의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고, 또한 공장내부에서 발생하는 많은 먼지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곳 등에서 사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일종이다.
기존의 자연 증발형 가습기는 팬의 회전을 통해 송풍실 내부에 저장된 물을 실내로 불어넣게 되고, 실내측의 공기를 받아들여 순환시키도록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연 증발형 가습기는 수시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본체의 바닥 등 일정한 장소에 놓아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물을 너무 자주 갈아주지 않도록 물을 채우는 물통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본체 전체의 크기를 줄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면서 가습기 자체를 보호할 수 있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는 벽체의 함몰 된 공간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외부의 직수를 저장하며 유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가습용 물의 저장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직수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저장된 직수를 증발 유도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은 저장된 직수를 묻혀 공중으로 이동하며 자연 증발을 유도하는 가습부와 증발되는 물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갖는 본체를 벽체의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하면서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도록 커넥팅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빌트인 장착단계,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직수를 실시간으로 저장용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의 공급정지 신호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직수공급단계, 상기 본체 내부에 직수의 저장용량 완료시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습도 이상일 경우 습도센서의 정지신호를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가습부와 상기 송풍부를 작동하며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가습단계, 외부 전원인가를 유지한 채 설정 저장용량 이하에 따라 수위센서의 신호 발생시 가습부와 송풍부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직수를 설정치까지 본체에 직접적 또는 물받이통 내부로 공급하는 직수보충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은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면서 가습기 자체를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은 가습기 본체의 전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고, 본체 내부에 별도의 물받이통을 구비함으로써 청소 등을 위해 본체의 전측만을 개방한 후 물받이통을 꺼낼 수 있어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외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설 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에 직수를 커넥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가습부와 송풍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 내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회전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한 요부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0)에 유입구(110)와 토출구(120)를 형성한다. 유입구(110)는 외부의 공기 특히,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역할을 하고, 토출구(120)는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가 유입구(110)로 유입되어 토출구(120)로 배출되도록 하기의 송풍부(320)가 작동한다. 유입구(110)와 토출구(120)의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실내의 벽체(10)에는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공간(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공급부(200)를 통해 외부의 수도배관 등과 연결된 직수를 공급받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증발식 가습기는 빌트인(built-in) 방식이다.
따라서, 기존에 자연 증발식 가습기가 바닥에 놓여지는 것보다 실내의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0)는 빌트인 방식이지만 자유롭게 공간(12)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가습기의 본체(100)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 상세히, 벽체(10)의 공간(12)에는 슬라이드 출입되는 슬라이드판(410)을 구비하고, 본체(100)는 슬라이드판(410)에 놓여짐에 따라 공간(12)으로부터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판(410)이 공간(12)의 바닥면에 슬라이드 출입되는 구조는 레일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00)가 슬라이드판(410)에 고정되는 구조는 볼팅 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벽체(10)의 공간(12)은 벽체(10) 자체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거나 무너질 수 있어 공간(12) 내측면에는 하우징(20)이 형성된다. 하우징(20)은 공간(12) 내측벽을 지지하고, 본체(100)의 크기를 규격화함에 따라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판(410)은 하우징(20)의 바닥면에 슬라이드 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물론, 본체(100)는 이 슬라이드판(410)에 구비된다.
본체(100)가 벽체(10)의 공간(12)에 직접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하고, 이를 도시한다.
그리고, 본체(100)는 둘레면에 플랜지(130)를 형성한다. 플랜지(130)는 본체(100)가 벽체(10) 및 하우징(20) 외측에 걸리도록 하여 하우징(20) 내부로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플랜지(130)는 본체(10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아울러, 플랜지(130)는 본체(100)를 꺼낼 때 손잡이 기능을 한다.
공급부(200)는 외부의 직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가습용 물을 외부 조작시 연속적으로 본체(100) 내부에 공급하거나 직수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공급부(200)는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직수연결부재(210) 및 본체(100)에 연결되어 직수연결부재(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직수를 본체(100) 내부로 공급 유도하는 보조연결부재(220)로 형성된다.
특히, 직수연결부재(210)는 외부에서 실내의 수도꼭지 등으로 연결되는 수도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직수연결부재(210)는 외부의 직수를 그대로 공급받게 된다. 이때, 직수연결부재(210)는 벽체(10) 내부에 매립되어 공간(12) 특히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직수연결부재(210)가 벽체(10)에 매립시 단부를 하우징(20) 내부에 노출시켜 보조연결부재(220)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직수연결부재(210)는 벽체(10)에 매립되어 단부를 하우징(20)에 삽입되어 내부로 소정 돌출된다. 그래서, 보조연결부재(220)는 이 직수연결부재(210)의 단부에 연결된다.
아울러, 보조연결부재(220)는 직수연결부재(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0)에 연결됨에 따라 외부의 직수를 본체(100) 내부에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직수연결부재(210)가 직접적으로 본체(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직수연결부재(210)는 외부의 직수를 일차적으로 많은 양을 공급받음과 아울러 벽체(10) 내부에 매립되기 때문에 경질(硬質)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직수연결부재(210)는 제 1개폐밸브(212)를 구비하여 본체(100) 내부로 공급되는 직수의 양을 조절 및 단속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개폐밸브(212)는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외부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연결부재(220)는 플렉시블한 연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본체(100)를 하우징(20) 내부로 삽입시 하우징(20) 내부에 감겨져 본체(100)의 인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100)가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될 때에도 보조연결부재(220)가 직수연결부재(2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에 따라 보조연결부재(220)는 공간(12)이나 하우징(20) 내부에 코일 형상으로 감겨 있거나 연성을 갖음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연결부재(220)는 제 2개폐밸브(222)를 구비한다. 제 2개폐밸브(222)는 제 1개폐밸브(212)와 마찬가지로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직수의 양을 조절 및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2개폐밸브(222)는 수동으로 개폐 작동될 수 있으나, 본체(100)에 형성된 컨트롤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가습부(300)의 신호에 따라 온, 오프 조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는 공급부(200)로부터 직수를 직접적으로 외부 조작시 연속적으로 공급받기 때문에 내부의 수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직수의 저장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본체(100)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연 가습 기능을 갖는 본체(100)를 장기간 미사용시, 보조연결부재(220) 및 본체(100)에 잔류하고 있는 직수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내부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커플러(230)로 연결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써, 커플러(23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의 연결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보조연결부재(220)는 단부에 제 1돌출턱(232)을 형성함과 아울러 커플러(230)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제 2돌출턱(234)을 형성한다. 또한, 직수연결부재(210)의 외측 둘레면과 커플러(230)의 내측 둘레면에는 각각 탭(236,238)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된다.
그래서, 직수연결부재(210)의 탭(236)과 커플러(230)의 탭(238)이 결합된 상태로, 커플러(230)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직수연결부재(210)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제 2돌출턱(234)이 제 1돌출턱(232)에 면접된다.
물론,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다양한 구조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 1개폐밸브(212)는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가 분리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오프(OFF)되어 직수의 흐름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플러(230)가 보조연결부재(22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본체(100)가 분리 가능하여 그 연결부위에 커플러(230)를 삽입한 보조연결부재(220)가 끼워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연결부재(220)는 직수에 포함되는 중금속 성분 및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부재(46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필터부재(460)는 보조연결부재(220)의 단부에 억지 끼움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체(100)는 자체적으로 내부에 직수를 담을 수 있으나, 별도의 물받이통(42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보조연결부재(220)로부터 공급되는 직수를 공급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받이통(420)은 본체(10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세척을 용이하도록 한다. 물받이통(420)이 본체(100)에 분리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체(100)는 공간(12) 또는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물받이통(420)을 꺼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0)는 물받이통(420)과 가습부(300)를 수용하는 케이싱(102) 및 이 케이싱(102)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전측패널(104)로 이루어진다. 케이싱(102)은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전측방향으로 전측패널(104)을 개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측패널(104)은 케이싱(102)과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힌지부(106)로 연결됨으로써 해당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개폐된다. 물론, 전측패널(104)은 케이싱(10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0)가 공간(12)이나 하우징(20)에 수용된 상태로 전측패널(104) 만을 열어 물받이통(420)과 디스크(312)를 교체나 세척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00) 내부와 물받이통(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살균부재(430,440)가 구비되어 직수를 살균 후 본체(100)의 토출구(120)를 통해 배출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물받이통(420)에는 제 1살균부재(430)가 구비되고, 본체(100) 내부에는 제 2살균부재(44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제 1살균부재(430)는 수중에서 자체적으로 제역할을 하는 살균제로 하고, 제 2살균부재(440)는 전기신호를 받아 발광하는 살균램프로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직수가 본체(100) 내부에 직접적으로 담수될 경우, 본체(100)는 수위센서(450)를 구비한다. 수위센서(450)는 본체(100) 내부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일 때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프신호가 컨트롤부(140)에 전송된다. 컨트롤부(140)는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어느 하나의 개폐밸브를 닫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수위센서(450)는 실시간으로 본체(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한다. 물론, 물받이통(420)이 본체(100) 내부에 구비될 경우, 수위센서(450)는 물받이통(420)에 형성된다.
또한, 수위센서(450)가 전자식일 경우에는 본체(100) 내부 상측면에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 하측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토출구(12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본체(100) 내부에 저장된 직수를 증발 유도하여 실내를 가습하도록 본체(100)에는 가습부(300)가 형성된다.
가습부(300)는 자연증발부(310)와 송풍부(320)를 포함한다.
자연증발부(310)는 본체(100) 내부에 저장되는 직수를 묻힌(wet) 후 본체(100) 내부 공중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연증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송풍 부(320)는 공기의 흐름을 유입구(110)에서 토출구(120)로 유도함으로써 자연증발부(310)의 일부에 묻어 증발되는 직수를 토출구(120)로 배출함에 따라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써, 자연증발부(310)는 회전축(311), 디스크(312), 기어부재(314), 풀리(315), 동력전달부재(317) 및 디스크모터(316)를 포함한다.
회전축(311)은 양단을 각각 본체(100) 특히 케이싱(102)에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디스크(312)는 회전축(311)에 고정 형성되어 디스크모터(316)의 작동시 회전축(311)과 함께 회전되고, 일부 특히 하측을 본체(100)의 케이싱(102)이나 물받이통(420)에 담수된 직수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디스크(312)는 직수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 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표면에 리브(313)를 돌출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디스크(31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회전축(311)에 고정 결합된다.
리브(313)는 디스크(312)의 회전방향에 대해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저장된 직수를 최대한 적심과 아울러 소정량의 직수를 퍼올려 공기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자연 증발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부재(314)는 회전축(311)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풀리(315)는 기어부재(314)와 맞물린다. 즉, 기어부재(314)와 풀리(315)는 외접하여 맞물린다.
또한, 동력전달부재(317)는 풀리(315)와 연결됨과 동시에 디스크모터(316)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특히, 동력전달부재(317)는 베벨기어로 도시하였으나, 다양 하게 적용 가능하다. 디스크모터(316)는 동력전달부재(317)에 맞물리고, 동력전달부재(317)는 풀리(315)에 맞물려 기어부재(314)와 회전축(311)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디스크(312)가 회전된다.
따라서, 디스크모터(316)가 작동하면, 동력전달부재(317)·풀리(315)·기어부재(314)·회전축(311) 및 디스크(312)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디스크(312)는 회전되면서 직수를 적신 후 본체(100) 내부의 공기 중에 노출되고, 이 노출된 직수는 자연 증발하게 된다. 특히, 디스크(312)는 묻은 직수가 자연 증발되는 속도로 회전된다.
디스크모터(316)는 작동시 진동이 방지되도록 임의의 고정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체(100)는 내부에 프레임(330)을 구비하여 디스크모터(316)를 고정 장착한다.
또한, 디스크(312)는 본체(100) 내부의 이물질을 부착한 후 직수에 담겨지면서 이물질을 씻어냄으로써 청결을 유지한다.
아울러, 송풍부(320)는 회전부재(322) 감속부재(326)를 포함한다.
회전부재(322)는 본체(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 회전시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토출구(120)로 강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기압차로 인해 실내의 공기는 본체(100)의 유입구(110)로 유입된다. 즉, 회전부재(322)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한다. 이때, 회전부재(322)는 임펠러나 팬으로 한다.
그리고, 회전부재(322)는 회전력 전달을 외부로부터 받아야 하는데, 자연증발부(310)의 디스크모터(316)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전부재(322)는 디스크모터(316)의 성능에 따라 강하게 회전하면서 디스크(312)에 묻은 물기를 바닥으로 낙하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회전속도가 조절 또는 감속되어야 한다. 그래서, 디스크모터(316)와 회전부재(322) 사이에는 감속부재(326)가 구비된다. 감속부재(326)는 감속기로 하여 회전부재(32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자연증발부(310)의 동력전달부재(317)나 풀리(315) 및 송풍부(320)의 회전부재(322)는 독립된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도 2에서처럼, 일례로써, 회전부재(322)는 디스크(312)를 향하도록 하여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디스크(312)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강제 유동한다. 그래서, 디스크(312)의 표면에 묻은 직수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증발하게 된다.
이 경우, 회전부재(322)가 너무 강하게 회전시 디스크(312) 표면에 묻은 직수는 본체(100)의 토출구(120)로 유동하지 않고 본체(100) 내부 바닥으로 낙하함으로써 회전부재(322)는 감속부재(326)에 의해 감속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처럼, 다른 예로써, 회전부재(322)는 본체(100)의 유입구(110)에 대응되는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다. 그래서, 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부재(322)에 의해 유입구(110)에 대응되는 본체(100) 내측벽에 일차적으로 부딪힌 후 디스크(312)와 접촉하면서 물기를 포함하여 토출구(120)로 배출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회전부재(322) 및 감속부재(326)는 프레임(330)에 견고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는 전측에 컨트롤부(140)를 형성하는데, 이 컨트롤부(140)는 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러그(4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플러그(480)는 벽체(10)의 공간(12) 내측면에 형성되거나 이에 연장되어 하우징(20)에 부착된 콘센트(490)에 접속됨에 따라 수위센서(450), 제 2살균부재(440) 및 습도센서(470)가 전기신호를 받아 실시간으로 작동한다.
수위센서(450) 및 제 2살균부재(440)는 상술한 바 있다.
그리고, 습도센서(470)는 본체(100)의 전측에 형성되어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되고, 설정치 이상의 실내 습도를 검출시 공급부(200)의 직수 공급 차단 신호 즉,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닫힘 신호를 컨트롤부(140)에 전송한다. 해당되는 개폐밸브는 컨트롤부(140)의 제어에 의해 오프된다.
물론,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가 될 경우,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오프(OFF)된 개폐밸브는 다시 온(ON)됨으로써 외부 직수는 다시 본체(100) 또는 물받이통(420)으로 공급된다.
즉, 습도센서(470)는 공급부(200)와 가습부(300)의 작동여부 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도 6에서처럼,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은 빌트인 장착단계(S10), 직수공급단계(S20), 가습단계(S30) 및 직수보충단계(S40)를 포함한다.
빌트인 장착단계(S10)는 저장된 직수를 묻혀 본체(100) 내부의 공중으로 이동하며 자연 증발을 유도하는 가습부(300)와 증발되는 물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320)를 갖는 본체(100)를 벽체(10)의 공간(12)에 슬라이드 삽입하면서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도록 커넥팅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공정이다.
즉, 이 단계(S10)는 본체(100)를 벽체(10)의 공간(12) 내부에 장착하는 공정이다.
특히, 공간(12)은 내부에 하우징(20)을 구비하고, 본체(100)는 하우징(20) 내부에 슬라이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공간(12) 내부에 직접적으로 수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직수공급단계(S20)는 본체(100)의 내부로 직수를 실시간으로 저장용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450)의 공급정지 신호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이다.
더욱 상세히, 이 공정(S20)에서, 수위센서(450)는 유입되는 직수의 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이상의 공급시 공급부(200) 특히 보조연결부재(220)의 제 2개폐밸브(222)나 직수연결부재(210)의 제 1개폐밸브(212)의 닫힘 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직수 공급 중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물론, 가습부(300)가 계속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본체(100) 내부나 물받이통(420)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밸브는 수위센서(450)의 신호의 미발생으로 다시 개방됨으로써 외부 직수는 다시 본체(100) 내부나 물받이통(42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가습단계(S30)는 본체(100) 내부에 직수의 저장용량 완료시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습도 이상일 경우 습도센서(470)의 정지신호를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가습부(300)와 송풍부(320)를 작동하며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공정이다.
더욱 상세히, 이 공정(S30)에서, 습도센서(470)는 본체(100) 전측에 형성되어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되고, 설정치 이상의 실내 습도를 검출시 공급부(200)의 직수 공급 차단 신호 즉,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닫힘 신호를 발생함과 더불어 가습부(300)와 송풍부(320)의 작동중지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컨트롤부(140)가 해당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물론,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가 될 경우, 상기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밸브는 습도센서(470) 신호의 미발생으로 다시 개방됨으로써 외부 직수는 다시 본체(100) 내부 또는 물받이통(420)으로 공급됨과 더불어 가습부(300)와 송풍부(320)는 다시 작동하여 실내를 가습한다.
특히, 증발된 직수가 본체(100)의 토출구(120)로 배출되기 전에, 본체(100)나 물받이통(420)에 형성된 살균부재는 해당되는 액체 상태의 직수 또는 분무된 직수를 살균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직수보충단계(S40)는 외부 전원인가를 유지한 채 설정 저장용량 이하에 따라 수위센서(450)의 신호 발생시 가습부(300)와 송풍부(320)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직수를 설정치까지 본체(100)에 직접적 또는 물받이통(420) 내부로 공급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에 직수를 커넥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가습부와 송풍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 내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회전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한 요부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벽체 12: 공간
100: 본체 110: 유입구
120: 토출구 200: 공급부
210: 직수연결부재 220: 보조연결부재
230: 커플러 300: 가습부
310: 자연증발부 320: 송풍부
410: 슬라이드판 420: 물받이통

Claims (18)

  1. 벽체의 함몰된 공간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외부의 직수를 저장하며, 유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가습용 물의 저장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직수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저장된 직수를 증발 유도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슬라이드 출입되는 슬라이드판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드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둘레면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공간 내부로의 삽입깊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직수연결부재;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직수연결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직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 유도하는 보조연결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연결부재는 상기 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공간 내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벽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연결부재와 상기 보조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유동하는 직수의 흐름을 단속 및 흐름량 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면에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개폐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물받이통을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통과 상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직수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습부를 수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측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0.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부재는 블렉시블한 재질이며,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저장되는 직수를 묻힌 후 이 직수를 상기 본체 내부의 공중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연증발을 유도하는 자연증발부; 및
    공기의 흐름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자연증발부의 일부에 묻어 증발되는 직수를 상기 토출구로 배출함에 따라 실내를 가습하는 송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증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본체에 저장된 직수에 일부가 접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형성되는 디스크;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된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와 맞물리는 풀리;
    상기 풀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디스크를 간접적으로 회전시켜 표면에 묻은 직수를 공기 중에서 증발 유도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디스크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직수를 묻히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측면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배출 유도하도록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5.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공간 내측면은 콘센트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가 상기 공간 내측에서 상기 콘센트에 접속시 상기 공급부와 상기 가습부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6.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습도센서를 구비하여 외부에 해당되는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작동여부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7. 제 1항 내지 제 5항,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공간은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18. 저장된 직수를 묻혀 공중으로 이동하며 자연 증발을 유도하는 가습부와 증발되는 물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갖는 본체를 벽체의 공간에 슬 라이드 삽입하면서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도록 커넥팅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빌트인 장착단계;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직수를 실시간으로 저장용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의 공급정지 신호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직수공급단계;
    상기 본체 내부에 직수의 저장용량 완료시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습도 이상일 경우 습도센서의 정지신호를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가습부와 상기 송풍부를 작동하며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가습단계;
    외부 전원인가를 유지한 채 설정 저장용량 이하에 따라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 발생시 상기 가습부와 상기 송풍부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직수를 설정치까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직수보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
KR1020080038363A 2008-04-24 2008-04-24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KR10097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363A KR100977857B1 (ko) 2008-04-24 2008-04-24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363A KR100977857B1 (ko) 2008-04-24 2008-04-24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457A true KR20090112457A (ko) 2009-10-28
KR100977857B1 KR100977857B1 (ko) 2010-08-24

Family

ID=4155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363A KR100977857B1 (ko) 2008-04-24 2008-04-24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8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243A (ko) * 2008-11-05 2010-05-13 육영복 벽면 매립형 분수대
CN106440165A (zh) * 2016-10-26 2017-02-22 吴江市晓昱喷气织造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车间的加湿机构
JP2017142046A (ja) * 2016-02-12 2017-08-17 ダイナ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直水連結型加湿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68B1 (ko) 2011-10-14 2013-05-06 주경원 벽체 내장 설치형 소독장치
KR20210013938A (ko) 2019-07-29 2021-02-08 정재민 흰개미집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34A (ja) 1984-07-18 1986-02-06 P S Kankyo Giken Kk 加湿器
KR900011121Y1 (ko) * 1988-02-11 1990-12-15 정무영 벽체내장용 가습기
KR200150353Y1 (ko) * 1997-05-30 1999-07-01 전주범 가정용 가습기의 살균장치
KR100346936B1 (ko) * 2000-03-07 2002-07-31 김호성 수도직결식 순간 가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243A (ko) * 2008-11-05 2010-05-13 육영복 벽면 매립형 분수대
JP2017142046A (ja) * 2016-02-12 2017-08-17 ダイナ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直水連結型加湿器
WO2017138690A1 (ko) * 2016-02-12 2017-08-17 (주)딘에어코리아 직수 연결형 가습기
WO2017138674A1 (ko) * 2016-02-12 2017-08-17 (주)딘에어코리아 직수 연결형 가습기
CN106440165A (zh) * 2016-10-26 2017-02-22 吴江市晓昱喷气织造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车间的加湿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857B1 (ko)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85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JP2005274041A (ja) 加湿装置
KR101433289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CN112984636A (zh) 用于hvac系统的加湿单元
JP2022115918A (ja) 液体微細化装置
KR20200142840A (ko) 의류 관리기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923449B1 (ko) 가습기
KR101415220B1 (ko) 벽걸이형 기화식가습기
JP7241257B2 (ja) 液体微細化装置
JP5494340B2 (ja) 加湿装置
WO2020136986A1 (ja) 加湿装置
JP2021046976A (ja) 液体微細化装置
KR101876217B1 (ko) 가습 장치
JP7133755B2 (ja) 液体微細化装置
CN111902218B (zh) 液体微细化装置
JP2013242072A (ja) 加湿機構
KR10095541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가습기
JPWO2015182738A1 (ja) 空気調和器
JP7291877B2 (ja) 液体微細化装置
CN215832087U (zh) 加湿器
KR101731976B1 (ko) 직수 연결형 가습기
JP2021171713A (ja) 液体微細化装置
JP2014163520A (ja) 加湿器
WO2020209130A1 (ja) 液体微細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