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625A -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625A
KR20090111625A KR1020080037327A KR20080037327A KR20090111625A KR 20090111625 A KR20090111625 A KR 20090111625A KR 1020080037327 A KR1020080037327 A KR 1020080037327A KR 20080037327 A KR20080037327 A KR 20080037327A KR 20090111625 A KR20090111625 A KR 20090111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fence
post
bas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관
Original Assignee
정기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관 filed Critical 정기관
Priority to KR102008003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625A/ko
Publication of KR2009011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느슨해진 철망을 손쉽게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한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전면에 수직한 결합홈(G)을 가진 기초(71)와; 결합홈(G)에 삽입되어 지상으로 돌출하는 후방포스트(72)와; 후방포스트(72)가 결합된 기초(71)의 전면에 겹쳐지는 철망(73)과; 철망(73)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후방포스트(72)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전방포스트(74); 등으로 구성되며, 굴착홈을 파는 단계와; 굴착홈을 따라 기초를 배치하는 단계와; 기초에 후방포스트를 삽입결합하는 단계와; 기초의 하단부와 철망의 하단부가 일치하도록 기초의 전면에 철망을 겹치는 단계와; 후방포스트부재와 겹쳐지도록 철망의 전면에 전방포스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기초와 전·후방포스트 및 전·후방포스트를 결합하여 전·후방포스트를 조여주는 단계; 의 순차적 과정으로 시공된다.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철망의 하단부가 기초와 같은 깊이로 매설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철망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느슨해진 철망을 손쉬우면서도 신속하게 긴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울타리, 펜스, 철망, 지지대

Description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The wire netting fence, and the method of setting up the same}
본 발명은,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철망을 세우기 위한 포스트가 기초의 전면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되고, 포스트가 전·후방포스트로 분리구성되면서 일측이 타측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며, 전·후방포스트 사이에 개재되는 철망의 배면이 기초의 전면에 접촉할 수 있음으로써, 철망의 하단부가 기초와 같은 깊이까지 지중에 묻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포스트부재를 조임으로써 느슨해진 철망을 손쉽게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한, 철망 울타리와 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 속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는 담(wall)과 울타리(fence)가 있는 바, 담은 건축물의 주위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으로 담 외측에서 담 내측 공간이 보이지 않는 폐쇄적인 구조인 반면에, 울타리는 풀, 나무, 철망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담 대신에 경계를 구분하는 것으로 울타리 외측에서 그 내측 공간이 보이는 개방적인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 지역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담과 울타리 중 개방적인 구조를 갖기 때문에 소규모 운동장, 가축이나 가금류의 우리, 들이나 산의 경계 등을 비롯한 각종 다양한 경계 표시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울타리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의 울타리는 풀이나 나무가지 등으로 쳐졌으나, 내구성이 우수한 철망이 만들어진 이후에는 가정의 마당 등에 설치되는 울타리와 같이 특별히 미관을 고려하는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인 울타리에는 내구성이 우수한 철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울타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철망은 크게 용접철망과 직조철망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철망(10)은, 가로와이어(11)와 세로와이어(12)가 망의 형태를 이루나, 서로 엮기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두 와이어의 접촉부가 용접된 구조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철망(20)은, 가로와이어(21)와 세로와이어(22)가 용접되지 않고 직물과 같이 서로 엮여 망의 형태를 이루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용접철망은 와이어와 와이어의 접촉부에 용접이 실시되고, 직조철망의 경우에는 와이어와 와이어가 다소 소성변형되면서 서로 엮이게 되는 바, 용접철망에 사용되는 와이어가 직조철망에 사용되는 와이어에 비하여 직경이 크고 강성이 높다.
따라서 초기 와관의 경우에는 직조철망을 사용한 울타리보다 용접철망을 사용한 울타리의 외관이 우수할 수 잇으나, 용접철망은 직조철망에 비하여 가격이 비 쌀 뿐 아니라 철망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와이어 사이의 용접부가 떨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테니스장, 축구장 등의 소규모 운동장에는 용접철망 울타리가 주로 설치되고 있는데, 특히 축구장의 경우 축구공이 울타리에 강한 충격이 반복적으로 부여되면, 울타리를 이루고 있는 용접철망의 용접부가 떨어지면서 와이어가 변형됨으로써 울타리의 외관이 급격히 나빠지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철망(10)을 이용하여 경사면에 울타리를 칠 때, 용접철망(10)의 세로와이어(11)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경사면을 따라 올라갈수록 지면에서부터의 울타리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되는 바, 경사면을 따라 울타리의 높이가 일정하지 못함은 물론, 지지대(P)와 지지대(P) 사이의 울타리를 계단식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경사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용접철망 울타리를 설치할 수가 없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의 용접철망 울타리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용접철망의 세로와이어(11)와 지지대(P)가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경사진 상태가 되는 바, 울타리의 외관이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용접철망 울타리와 달리 직조철망을 사용한 울타리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용접철망 울타리와 달리 직조철망을 사용한 울타리의 경우에는 용접철망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다소 유연한 성질을 가진 와이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가로와이어와 세로와이어가 서로 용접되지 않고 엮여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철망의 세로와이어(22)가 수직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의 울타리를 설치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직조철망 울타리의 경우에는 용접철망에 비하여 강성이 작은 직조철망이 사용되기 때문에, 땅에 박혀 울타리의 기둥 역할을 하는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울타리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쳐지는 현상이, 울타리를 설치할 때는 물론, 울타리를 설치한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느슨해진 철망을 긴장시키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지지대는 울타리 철망을 단순히 고정하여 세우는 역활만을 하기 때문에 철망이 지지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느슨해진 철망을 긴장시킬 수가 없는 바, 느슨해진 철망을 긴장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대에서 철망을 분리하여 철망을 팽팽하게 잡아당긴 후 긴장된 상태의 철망을 지지대에 다시 결합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을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지지대(61)는, 바형 포스트(61A)가, 보통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지는 블록형(block type) 기초(61B)의 상면에 박힌 상태로 고정되어 직립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지지대(61)에 철망(60)이 결합되면, 철망(60)의 하단부가 기초(61B)의 상면에 놓여질 수밖에 없는 바, 기초(62)의 상면보다 깊게 철망(60)을 땅속에 묻을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초(61B)가 철망(60)의 지지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기초가(61B) 묻힌 최저 깊이까지 철망(60)을 묻을 수 없는 바, 특히 산이나 들에 울타 리를 설치하는 경우, 철망(60)이 포스트(61A)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기초(61B)의 상면부근까지만 묻히게 되면서 철망(60)의 하부가 지중에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매설되어 있기가 어려워져 땅속에 묻혔던 철망의 하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뱀 등과 같은 파충류나 작은 동물이 울타리의 내측 영역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철망의 하부에 세목(細目)의 스크린이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 역시 상기와 같은 지지대를 사용하여서는 스크린을 철망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철망 울타리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로와이어와 세로와이어가 직조된 철망을 사용하여 경사면에서도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울타리를 설치할 때나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느슨해진 철망을 손쉽게 긴장시킬 수 있는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울타리용 철망이 포스트 뿐만 아니라 기초에도 밀착되도록 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철망, 스크린 등이 기초의 저면 깊이까지 충분히 깊게 매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힘이나 여건 등에 의해 지중 매설된 철망, 스크린 등의 하부가 지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동시에, 철망, 스크린 등의 하부가 지중에 안정적인 매설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는 철망 울타리 및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철망의 배면이 접촉할 수 있는 전면에 전면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결합홈이 형성된 기초와, 상기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후방포스트와, 철망이 개재된 상태에서 후방포스트의 내부로 철망과 함께 삽입되는 전방포스트 등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와 시공방법은, 전·후방포스트 사이에 결합되는 철망 이 기초의 전면에도 접촉됨으로써 철망의 하단부가 기초의 하단부와 동일한 깊이로 지중에 매설될 수 있기 때문에, 지중에 매설된 철망의 하단부가 지상으로 돌출되지 않고 매설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철망이 개재된 상태에서 전·후로 중첩된 전·후방포스트를 조여줌으로써 느슨해진 철망을 손쉽게 긴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철망으로 만들어진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와이어와 세로와이어가 직물과 같은 방식으로 직조된 철망, 또는 가로와이어가 복수본의 와이어부재로 꼬여지고 세로와이어가 서로 꼬여진 복수본의 와이어부재 사이로 관통하는 철망을 사용한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철망의 하부가 기초의 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철망의 하단부와 기초의 하단부가 함께 동일한 깊이로 매설되고, 철망을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가 기초에 밖힌 상태로 고정되는 종래와 달리 기초의 전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땅속에 묻히는 기초와; 기초의 전면에 결합되는 후방포스트와; 기초의 전면에 배면 하부가 접촉하는 철망과; 후방포스트와 겹치도록 철망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방포스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포스트;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초는, 철망이 결합되는 포스트가 움직이지 않고 직립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방포스트를 삽입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이 전면을 수직한 방향으 로 가로질러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면에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결합고리가 돌출구비된다.
상기 기초는 지중에 매설되는 바, 종래 지지대의 기초와 같이 원기둥, 욱면체 등의 블록(block) 형상을 하는 하나의 몸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제조비용 절감 및 외관향상을 위하여 블록 형상의 하부몸체 상면에, 하부몸체보다 평단면적이 작은 상부몸체를 연장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몸체의 각 전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기초의 전면이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포스트는, 상기 기초의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바형 부재로서, 횡단면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ㄷ"자형, "U"자형 등의 형상을 함으로써,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기초의 결합홈 내면에 돌출된 각 결합고리와 전·후방으로 위치가 일치하는 결합통공이 관통형성된 구조이다.
철망은, 땅의 경계를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울타리에는 직조철망이 사용되며, 상기 후방포스트가 결합된 기초의 전면에 철망의 하부 배면이 겹쳐진다.
이때 상기 철망의 배면을 기초의 전면에 완전히 접촉시킬 수 있도록 후방포스트는 기초의 결합홈에 삽입 상태에서 기초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포스트는, 상기 후방포스트와 함께 철망을 수직한 상태로 세우기 위한 것으로, 철망의 배면에 밀착되는 후방포스트부재와 일치하도록 철망의 전면에 밀착 된 상태에서 후방포스트에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며, 후방포스트와 같이 기초의 결합홈 내면에 구비된 각 결합고리와 전·후방으로 일치하는 결합통공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방포스트 역시, 후방포스트와 같이 일측, 즉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전·후방부재를 결합하면 중공을 가진 관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전·후방 두 포스트 중 일측의 개방부 폭은, 타측의 개방부 폭보다 작음으로써, 일측 포스트의 개방단부가 타측 포스트의 개방단부를 통하여 타측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후방포스트의 내부로 전방포스트가 삽입된다고 하면, 전방포스트는 철망이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부재 등의 체결구가 조여임으로써 철망과 함께 후방포스트의 내부로 더욱 깊이 삽입되는 바, 후방포스트 내부로 삽입되는 전방포스트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즉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진 후방포스트 내부로 삽입될 수만 있으면 전방포스트의 횡단면 구조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그리고 전·후방포스트는 그 하부가 기초의 전면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 연장되어 지상으로 돌출하여 직립하게 되는 바, 기초를 벗어난 일측 포스트의 내면에는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고리가 돌출구비되고, 타측 포스트에는 각 결합고리와 전·후방으로 위치가 일치하는 결합통공이 관통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가 설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울타리를 설치하고자 하는 땅에 기초를 묻기 위한 굴착홈을 필요한 길이만큼 땅을 파는 단계와;
상기 굴착홈을 따라 전면에 수직한 결합홈이 형성된 기초 다수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의 결합홈에 후방포스트를 삽입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굴착홈에 안착된 기초의 하단부와 철망의 하단부가 일치하도록 후방포스트가 삽입된 기초의 전면에 철망의 하부 배면을 겹치는 단계와;
상기 상기 철망의 배면에 위치한 후방포스트부재와 겹쳐지도록 철망의 전면에 전방포스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후방단부에 걸림고리가 구비된 볼트부재를, 기초의 위로 연장되는 일측 포스트의 결합통공에 관통시켜 볼트부재의 걸림고리가 타측 포스트 내면의 결합고리에 걸리도록 한 후, 일측 포스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볼트부재에 너트부재를 결합한 후 조임으로써 철망이 긴장되도록 후방포스트 내부로 하는 전방포스트를 점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또는 기초와 전·후방포스트부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후방단부에 걸림고리가 구비된 볼트부재를, 상기 전·후방포스트 하부의 각 결합통공으로 관통시켜 볼트부재의 걸림고리가 기초 결합홈 내부의 결합고리에 걸리도록 한 후, 전방포스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볼트부재에 너트부재를 결합한 후 조임으로써 철망이 긴장되도록 후방포스트 내부로 하는 전방포스트를 점진 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또는 전·후방포스트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등의 순차적인 과정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울타리를 설치할 때 볼트부재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를 조여주게 되면, 폭이 좁은 일측 포스트가 철망과 함께 폭이 넓은 타측 포스트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바, 포스트를 중심으로 그 양 측의 철망이 포스트 측으로 잡아당겨지면서 느슨했던 철망이 팽팽하게 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7에 본 발명 일실시예 철망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를, 도 8에 본 발명 일실시예 철망 울타리를 구성하는 기초의 사시도를, 도 9에 본 발명 일실시예 철망 울타리를 구성하는 전·후방포스트의 사시도와 결합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전면(S)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결합홈(G)이 형성되고, 결합홈(G)의 전면(SG)에 하나 이상의 결합고리(R)가 수직방향을 따라 돌출구비되며, 지중에 묻히게 되는 블록형 기초(71)와;
상기 기초(71)의 결합홈(G)에 삽입되는 하부에 기초(71)의 각 결합고리(R)와 전·후방향으로 일치하는 결합통공(H)이 관통구비되고, 최상단 결합통공(H') 위로 연장되는 상부 내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결합고리(R)가 돌출구비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진 바형 후방포스트(72)와;
상기 후방포스트(72)가 삽입된 기초(71)의 전면(S)에 하부 배면이 겹쳐지는 철망(73)과;
상기 후방포스트(72)와 전·후방으로 겹쳐지도록 철망(73)의 전면에 밀착되고, 후방포스트(72)의 각 결합통공(H) 및 결합고리(R)와 전·후방향으로 일치하는 결합통공(H)이 관통형성되며,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 등과 같은 체결구의 조임에 의해 후방포스트(72)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바형 전방포스트(7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철망(73)은, 도 7의 (가)와 같이, 한 본의 가로와이어(73A, 날줄)와 한 본의 세로와이어(73B, 씨즐)가 직물과 같이 격자형으로 직조된 구조일 수도 있으나, 격자형 외에 6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엮일 수도 있으며, 도 7의 (나)와 같이, 복수본, 통상 2본의 와이어부재가 서로 꼬여져 각 가로와이어(73A)를 구성하고, 세로와이어가(73B)가 서로 꼬여진 와이어부재 사이로 통과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철망(73)을 세우기 위한 후방포스트(72)의 결합고리(R)와 이에 대응하는 전방포스트(74)의 결합통공(H)은 그 형성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그리고 전·후방포스트(74)(72)의 각 후방선단면(또는 배면)과 전방선단면(또는 전면)에는 철망(73)의 각 가로와이어가 접촉하게 되는 바, 가로와이어가 통과함으로써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전·후방포스트(74)(72)의 각 후방선단면과 전방선단면에 와이어홈(G1)을 구비하는 것이 철망(73)의 지지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볼트부재, 너트부재 등과 같은 각종 체결구를 사용하여 고정결합되고, 이러한 체결구는 기본적인 결합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가 가능하다.
즉 결합을 매개하는 당연한 요소이기 때문에 상기의 구성요소에 대한 기재에서 체결구를 생략하였는데, 체결구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결합고리(R) 역시 다른 구조로 바뀔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는, 포스트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방포스트로 구성되고, 후방포스트가 기초의 전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전·후방포스트 중의 일측이 타측의 내부로 철망과 함께 삽입가능하고, 전·후방포스트 사이에 개재되는 철망의 하부 배면이 기초의 전면에 의해 접촉지지된다는 조건을 만족할 수만 있으면, 체결구, 체결을 위한 상기 결합고리(R) 및 결합통공(H) 등과 같이 전·후방포스트 또는 기초와 전·후방포스트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이나 구조 및 형태 등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결합고리(R) 및 결합통공(H)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한 예로서의 체결구를 살펴보면,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고리(R)에 걸리는 개방형 걸림고리(R1)가 결합통공(H)을 관통한 일측단부에 구비되며, 타측단부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볼트부재(81)와;
상기 볼트부재(81)의 타측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82); 로 구성되는 볼트/너트형 체결구(80)를 그 예로 들 수가 있다.
또는 기초(71)와 포스트(72)(74) 내면에 결합고리(R)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전·후방포스트(74)(72)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1:1 전·후방으로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통공(H)을 관통형성시키고, 기초(71)의 결합홈(G)에는 전·후방포스트(74)(72) 하부의 결합통공과 전후방으로 일치하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통공(H)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일측단부에 헤드(head)가 있는 볼트부재를, 전·후방포스트(74)(72) 하부의 결합통공(H)에 관통시킨 후, 볼트부재의 타측단부를 기초의 결합통공(H) 내주면에 나사결합하는 방법으로 기초(71)에 전·후방포스트(74)(72)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기초(71)에 형성되는 결합통공(H)은 기초(71)를 관통할 수도 있고, 홈과 같이 기초(71)를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기초(71) 위로 연장되는 전·후방포스트(74)(72)는 헤드(head)가 있는 볼트부재를 전·후방포스트(74)(72)의 결합통공(H)에 관통시킨 후 볼트부재의 타측단부에 너트부재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두 포스트를 결합하거나, 두 포스트 중 일측 포스트의 결합통공(H)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킨 후 볼트부재만으로 두 포스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에서 기초(71)는 지중에 매설되는 바, 기초(71)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크기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면서 기초의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경우 미관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71)를,
전면에 결합홈(G)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평단면적이 큰 하부몸체(71A)와;
상기 하부몸체(71A) 전면에 구비된 결합홈(G)과 상하방향을 따라 일치하는 결합홈(G)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71A)보다 작은 평단면적을 갖도록 하부몸체(71A)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상부몸체(71B); 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물론 상하부몸체(71B)(71A)의 각 전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기초(71)의 결합홈(G) 전면에, 전면을 수직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내부결합홈(g)을 형성시키고, 내부결합홈(g)의 내면에 결합고리(R)를 돌출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결합고리(R)가 결합홈(G)의 전면(SG)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철망 울타리를 통하여 뱀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포스트(74)(72) 사이의 하부에 세목의 스크린(75)을 결합하여 그 하부가 매설된 상태에서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울타리의 미관개선이나 울타리를 넘기가 더욱 힘들도록,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73)의 상단부에 별도의 가공철망(73')을 결합할 수도 있다.
즉 철망(73)의 폭 방향 양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양 단부 사이의 부분을 가공하여 페루프를 이루는 다각형, 원, 타원 등의 기하학적 형상를 이루도록 하는 방법으로 가공철망(73')을 만든 다음, 바형 연결부재(76)의 상하단부를 통하여 가공철망(73')의 양 단부 및 철망(73)의 상단부를 연결부재(76)의 내경부로 각각 집 어 넣은 후, 연결부재(76)를 압착함으로써 철망(73)의 상단부에 가공철망(73')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철망(73)과 가공철망(73')의 결합에는 다양한 구조의 연결부재(76)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연결부재(76)로는, 파이프와 같이 중공을 제외한 외주면이 폐쇄된 폐쇄형 관체, 횡단면이 "C"자형, "ㄷ"자형, "U"자형의 형상을 함으로써 외주면 일측이 개방된 개방형 관체, 굴곡가능한 선재 등 그 구조와 형상에 제한은 없다.
도 1은 종래의 용접철망을 보인 것으로,
(가)는 측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직조철망을 보인 것으로,
(가)는 측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계단식 용접철망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종래 경사식 용접철망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종래 경사식 직조철망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
도 6는 종래의 철망 울타리에 사용된 지지대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 철망 울타리를 보인 것으로,
(가)는 직조된 구조의 철망이 사용된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이고,
(나)는 가로와이어가 꼬인 구조를 가진 철망이 사용된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 철망 울타리를 구성하는 기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1실시예 철망 울타리를 구성하는 포스트와 결합관계를 보인 것으로,
(가)는 전·후방포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나)는 체결부재로 조이기 전 기초와 철망 및 전·후포스트의 결합 단면도이고,
(다)는 체결부재로 조이기 전 철망과 전·후포스트의 결합 단면도이고,
(라)는 체결부재로 조인 후 철망과 전·후포스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 철망 울타리를 구성하는 기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제3실시예 철망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제4실시예 철망 울타리를 구성하는 철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1. 기초 71A. 하부몸체 71B. 상부몸체
72. 후방포스트 73. 철망 73A. 가로와이어
73B. 세로와이어 73'. 가공철망 74. 전방포스트
75. 스크린 76. 연결관체 80. 체결구
81. 볼트부재 82. 너트부재
G. 결합홈 g. 내부결합홈 G1. 와이어홈
H,H'. 결합통공 R. 결합고리 R1. 걸림고리
S. 기초전면 SG. 결합홈전면

Claims (9)

  1. 전면(S)에 상·하방향의 결합홈(G)이 형성된 기초(71)와;
    상기 결합홈(G)에 하부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지상으로 돌출하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진 후방포스트(72)와;
    상기 후방포스트(72)가 삽입된 기초(71)의 전면(S)에 하부 배면이 겹쳐지는 철망(73)과;
    상기 철망(73)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후방포스트(72)의 내부공간으로 철망(72)과 함께 삽입결합되는 전방포스트(7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포스트(72)(71)는 체결구(80)에 의해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조여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포스트(74)(72) 각각의 후방선단면과 전방선단면 중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철망(73)의 각 가로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홈(G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71)는,
    평단면적이 큰 하부몸체(71A)와;
    상기 하부몸체(71A)보다 작은 평단면적을 갖도록 하부몸체(71A)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상부몸체(7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71A)의 전면과 상부몸체(71B)의 전면은, 동일한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71)에 형성된 결합홈(G)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을 수직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내부결합홈(g)이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73)의 전면에는, 하부가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세목의 스크린(75)이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73)의 상단부에는 가공철망(73')이 결합되며,
    상기 가공철망(73')은, 철망(73)의 폭 방향 양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양 단부 사이의 부분이 폐루프를 이루는 기하학적 형상으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9. 철망을 사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울타리 지지대용 기초를 묻기 위한 굴착홈을 필요한 길이만큼 파는 단계와;
    상기 굴착홈을 따라 전면에 수직한 결합홈이 구비된 기초 다수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의 전면 결합홈에 후방포스트를 삽입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굴착홈에 안착된 기초의 하단부와 철망의 하단부가 일치하도록 후방포스트가 삽입된 기초의 전면에 철망을 겹치는 단계와;
    상기 상기 철망의 배면에 위치한 후방포스트부재와 겹쳐지도록 철망의 전면에 전방포스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초와 전·후방포스트 및 전·후방포스트를 결합한 후 후방포스트 내부로 전방포스트가 점진적으로 삽입되도록 전·후방포스트를 조여주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의 시공방법.
KR1020080037327A 2008-04-22 2008-04-22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 KR20090111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27A KR20090111625A (ko) 2008-04-22 2008-04-22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27A KR20090111625A (ko) 2008-04-22 2008-04-22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625A true KR20090111625A (ko) 2009-10-27

Family

ID=4153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327A KR20090111625A (ko) 2008-04-22 2008-04-22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6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4980A (en) Arched support structure with cover
KR101003478B1 (ko) 철망 울타리 설치용 지지대
US20150021532A1 (en) Barrier fence assembly
US20130174480A1 (en) High raised garden bed planter
US20180315354A1 (en) Yard sign anchor and stabilizer
KR101279719B1 (ko) 철망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철망울타리
KR20090111625A (ko) 철망 울타리와 그 시공방법
JP4056544B2 (ja) 分解移動可能な組立式パイプハウス
JP2001204268A (ja) パイプ式ハウスならびにパイプ組構造
KR100669913B1 (ko) 건축물 식생담장 구조
KR10214427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JP3203225U (ja) 動物防止柵用の抜穴妨害具、及び、動物防止柵
EP4202157A1 (en) Modular fence with dig protection
AU2016100557A4 (en) A retaining wall apparatus
JP2012223102A (ja) 害獣防護柵
JP3245939U (ja) 防獣ネットの支持柵及び防獣ネットシステム
CN220654226U (zh) 一种防鸟防雹装置
JP3205632U (ja) 地中侵入害獣防止用柵及び害獣侵入防止用柵
KR101149876B1 (ko)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KR102255288B1 (ko) 동물원 전시동물 방사장용 울타리
CN109769527B (zh) 通风避雨大棚
JPH03156076A (ja) エアードーム用基礎構造
CN219690550U (zh) 一种岩质边坡绿色装配式主动防护结构
JP7390346B2 (ja) プランター
KR102037776B1 (ko) 조경수를 이용한 공동주택용 방범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