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395A -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395A
KR20090111395A KR1020080036975A KR20080036975A KR20090111395A KR 20090111395 A KR20090111395 A KR 20090111395A KR 1020080036975 A KR1020080036975 A KR 1020080036975A KR 20080036975 A KR20080036975 A KR 20080036975A KR 20090111395 A KR20090111395 A KR 2009011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lower support
upper plate
sl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보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395A/ko
Publication of KR2009011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페어타이어의 장착 및 분리에 있어 하부서포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에어의 충전 및 배출만으로 스페어타이어 휠의 중앙에 맞출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는 체인에 연결되고 스페어타이어의 휠이 적당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에 직접적으로 고정역할을 하는 하부서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서포트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외측이 밀봉된 관형상으로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서포트와, 상기 양측 슬라이드 서포트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양측 슬라이드 서포트를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하부서포트, 슬라이드, 스프링

Description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Spare Tire Carrier}
본 발명은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페어타이어의 장착 및 분리에 있어 하부서포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에어의 충전 및 배출만으로 스페어타이어 휠의 중앙에 맞출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특히 주행중에 예기치 못하게 타이어가 펑크되거나 손상되어 더 이상 안전주행을 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손상된 타이어를 교체해주기 위해 통상적으로 스페어타이어를 자동차에 싣고 다니게 되는 데, 대형 버스인 경우 스페어타이어는 차량 전방의 하부에 설치된 캐리어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스페어타이어는 그 사용특성상 완성차 상태에서 장착이 가능해야 하며, 또한, 차량 제작 공정상에 있어서도 스페어타이어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다른 공정의 작업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장 후공정에서 장착을 하게 된다.
또한, 스페어타이어의 중량이 상당함으로 인해 직접 사람의 힘만으로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캐리어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버스의 스페어타이어인 경우, 캐리어(4)는 차 량(1) 전방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때 프런트 프레임(2) 하부에 설치된 캐리어(4)를 이용하여 스페어타이어(3)를 장착하고 필요할 때 다시 탈거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는 프런트 프레임(2) 하면의 3개소에 장착된 스페이서로서 스페어타이어(3)가 적당한 높이에 장착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 캐리어장치를 이용한 스페어타이어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스페어타이어를 장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타이어(3)를 차량(1) 전방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차량(1)을 앞으로 이동시켜 스페어타이어(3)가 차량 전방 하부의 적당한 위치에 오도록 한다.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한 사람이 차량 하부로 기어 들어가 캐리어(4)와 체인(6)으로 연결된 하부서포트(7)를 기울여 상기 스페어타이어(3)의 휠(3a)에 형성된 홀(3b)을 통과시킨 후, 홀(3b)의 센터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부서포트(7)를 스페어타이어의 휠(3a)에 걸어준다.
그러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작업자가 외부에서 캐리어(4)에 삽입된 핸들(8)을 회전하여 체인(6)을 감아 올리면 스페어타이어(3)가 하부서포트(7)에 지지된 채 상승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2) 하면의 3개소에 장착된
Figure 112008028492423-PAT00001
형 스페이서(5)에 스페어타이어(3)의 타이어(3c) 상면이 닿으면, 핸들(8)의 회전을 멈추고 핸들(8)을 캐리어(4)에서 빼내 스페어타이어(3)가 프런트프레임(2)에 장착된다.
스페어타이어(3)를 탈거할 때는 장착과는 반대 순서로 작업을 하게 되는데, 한 작업자가 우선 핸들(8)을 캐리어(4)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체인(6)을 풀어주고 이에 의해 스페어타이어(3)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으면, 다른 작업자가 차량(1) 하부로 들어가 휠(3a)의 홀(3b)을 통해 하부서포트(7)를 꺼내 스페어타이어(3)를 차량(1)에서 탈거한다.
그 이후 차량(1)을 후진시켜 스페어타이어(3)를 차량(1) 외부에 노출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타이어(3)를 장착하거나 탈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두 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필드에서 운행중에 타이어가 펑크가 나는 경우에 운전자가 혼자서 교환을 해야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작업자가 차량 하부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데 이때 차량의 각종 돌출 부위나 모서리 부위에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페어타이어의 장착 및 분리에 있어 하부의 서포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에어의 충전 및 배출만으로 스페어타이어 휠의 중앙에 맞출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부서포트가 신장함으로 인해 다양한 사이즈의 스페어타이어 휠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는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는 체인에 연결되고 스페어타이어의 휠이 적당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에 직접적으로 고정역할을 하는 하부서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서포트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외측이 밀봉된 관형상으로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서포트와, 상기 양측 슬라이드 서포트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양측 슬라이드 서포트를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작업자가 차량 하부로 들어가지 않고 스페어타이어의 장탈착 작업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부서포트가 신장함으로 인해 다양한 사이즈의 스페이타이어 휠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 구조도이 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하부서포트의 측면 구조도로서, 체인(6)과 스프링(24)은 형상을 단순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는 스페어타이어 휠(3a)이 적당한 높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상부플레이트(10)와, 스페어타이어(3)에 직접적으로 고정역할을 하는 하부서포트(20)로 대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는 측면에서 보아
Figure 112008028492423-PAT00002
형상으로 그 중앙 부위가 체인(5)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서포트(20)는 상부플레이트(10)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체인(6)이 풀리거나 감기는 경우 상부플레이트(10)와 함께 동반 하강하거나 상승하며, 휠(3a)의 센터에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서포트(20)에서 실린더(23)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상부플레이트(10)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10)에 고정되며, 에어라인(25)을 통해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은 에어를 외부로 배출한다.
슬라이드 서포트(21)는 외측이 밀봉된 관형상으로 상기 실린더(23)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외삽되어 실린더(23)에 에어가 공급되면 에어의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실린더(23)에는 가이드돌기(23a)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서포트(21)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3a)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1a)이 형성되는 레일 구조를 갖 는다.
상기 슬라이드 서포트(21) 각각에는 상측으로는 핀(21b)이 돌출 형성되고 이 핀(21b)에 롤러(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롤러(22)는 하부서포트(20)가 스페이타이어 휠(3a)의 홀(3b) 일측에 편심되게 위치하는 경우 회전하여 하부서포트(20)가 홀(3b)의 센터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양측 슬라이드 서포트(21)는 스프링(24)으로 연결되어 스프링(24)의 인장력에 의해 슬라이드 서포트(21)가 내측으로 슬라이드 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서포트(21)는 실린더(23)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한 압력이 스프링(24)의 인장력보다 큰 경우에 외측으로 슬라이드 되고, 실린더(23)에 에어가 배출되어 스프링(24)의 인장력이 더 큰 경우에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며, 스페어타이어(3)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24)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에 나타낸 캐리어장치를 이용한 스페어타이어의 장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페어타이어(3)의 장착을 위해 스페어타이어(3)를 차량(1) 전방에 위치하고, 차량(1)을 앞으로 이동한다.
이때 차량(1)의 스페어타이어(3) 장착 위치와 스페어타이어(3)가 놓인 상대적인 위치는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므로 정위치에 있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a에서와 같이 우선 핸들(8)을 회전하면, 체인(6)이 풀어지 면서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서포트(20)가 서서히 하강한다.
이때 슬라이드 서포트(21)는 스프링(24)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이므로 하부서포트(20)는 최대로 짧아진 상태가 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스페어타이어(3)의 휠(3a) 만을 표시하여 설명한다.
도 6b에서 하부서포트(20)는 최대한 짧아진 상태이므로 휠(3a)의 홀(3b)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하부서포트(20)는 하강하면서 홀(3b)을 쉽게 통과하나, 상부플레이트(10)는 홀(3b)의 직경보다 크므로 통과하지 못하고 홀(3b)에 걸려 휠(3a)의 상부에 접촉후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때 차량의 이동에 의해 상대적인 위치를 맞추다 보니 하부서포트(20)와 홀(3b)의 센터가 맞지 않고 하부서포트(20)가 홀(3b)에 편심되게 위치한다.
도 6c에서 에어라인(25)을 통해 실린더(23)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면 실린더(23) 내부에는 에어에 의한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압력이 스프링(24)의 인장력보다 크면 슬라이드 서포트(21)가 가이드돌기(23a)를 따라 외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슬라이드 서포트(21)가 외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롤러(22)가 휠(3a)의 내측면(3d)에 접촉한다.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하부서포트(20)는 홀(3b)의 직경만큼 확장을 하려고 하는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롤러(22)가 휠(3a)의 내측면(3d)과 접촉한 상태에서 원형의 내측면(3d)을 따라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서포트(21)가 외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하부서포트(20)가 홀(3b)의 직경만큼 확장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하부서포트(20)가 홀(3b)의 센터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서포트(20)가 확장되면서 스프링(24)은 늘어나게 된다.
도 6d에서와 같이 하부서포트(20)가 휠(3a)의 홀(3b) 센터에 위치하여 휠(3a)이 하부서포트(20)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핸들(8)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체인(6)이 감아 올려지면서 차량(1) 하부의 프런트 프레임(2)에 장착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 나타낸 캐리어를 이용한 스페이타이어의 탈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반대로 스페어타이어(3)를 탈거할 때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8)을 회전하면 체인(6)이 풀어지면서 하부서포트(20)에 지지된 스페어타이어(3)가 하강하여 스페어타이어(3)가 지면에 닿게 된다.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3)에 충전되어 있는 에어를 에어라인(25)을 통해 배출하면 실린더(23)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늘어나 있던 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서포트(21)가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하부서포트(20)의 길이가 초기상태로 줄어들게 된다.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8)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체인(6)을 감아 올리면 짧아진 하부서포트(20)가 횔(3a)의 홀(3b)을 통과하여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후 차량(1)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스페어타이어(3)를 차량 외부로 노출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서포트(20)를 스페어타이어(3) 휠(3a)의 센터에 위치 시켜 걸리게 하거나 통과하는 과정을 차량 외부에서 단순히 에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작업만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가 차량 하부로 들어가지 않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하부서포트(20)가 신장하거나 축소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휠(3a)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캐리어장치에 장착된 스페어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 캐리어장치를 이용한 스페어타이어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 구조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하부서포트의 측면 구조도,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에 나타낸 캐리어를 이용한 스페어타이어의 장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 나타낸 캐리어를 이용한 스페이타이어의 탈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스페어타이어 3a: 휠
3b: 홀 6: 체인
8: 핸들 10: 상부플레이트
20: 하부서포트 21: 슬라이드 서포트
22: 롤러 23: 실린더
24: 스프링 25: 에어라인

Claims (3)

  1. 체인에 연결되고 스페어타이어의 휠이 적당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에 직접적으로 고정역할을 하는 하부서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서포트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외측이 밀봉된 관형상으로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서포트와, 상기 양측 슬라이드 서포트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양측 슬라이드 서포트를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서포트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핀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하부 서포트가 상기 휠에 편심되게 위치된 경우에 에어의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서포트가 외측으로 슬라이드될 때, 롤러가 휠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서포트가 휠에 형성된 홀의 지름까지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서포트는 실린더에 외삽되되, 실린더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서포트에는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실린더와 슬라이드 서포트가 레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KR1020080036975A 2008-04-22 2008-04-22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KR20090111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975A KR20090111395A (ko) 2008-04-22 2008-04-22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975A KR20090111395A (ko) 2008-04-22 2008-04-22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395A true KR20090111395A (ko) 2009-10-27

Family

ID=4153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975A KR20090111395A (ko) 2008-04-22 2008-04-22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70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70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1395A (ko)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CN211386598U (zh) 举模器及具有举模器的换模平台
CN207495896U (zh) 一种模具搭载车
JP4395624B2 (ja) タイヤ着脱装置
JP4082688B2 (ja) 斜張橋の斜材ケーブル除雪装置
KR20150019638A (ko) 중장비 차량 및 농기계용 솔리드형 타이어 조립장치
KR20210047637A (ko)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KR101275437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CN210418815U (zh) 一种方便使用的通讯工程用线缆收放装置
CN211310418U (zh) 一种电缆用收卷装置
JP2005008043A (ja) タイヤ着脱作業台車
CN210369837U (zh) 一种建筑外墙用吊篮
CN112829513A (zh) 一种轮胎拖拉装置
CN107839405B (zh) 一种汽车轮胎打滑脱困器及其使用方法
JP2017197106A (ja) クローラベルト着脱用工具
KR20120066316A (ko) 상향 블라스팅 장치
KR100622102B1 (ko)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670614B1 (ko)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CN206107212U (zh) 电动车备用承载装置
CN217398396U (zh) 一种用于电梯检修的简易升降装置
CN211418505U (zh) 一种车轴清渣输送线
CN218950710U (zh) 一种用于雨布收放装置的雨布升降架
CN219170892U (zh) 一种轮胎胎胚生产用定位装置
CN219727184U (zh) 一种轮胎刻花装置
CN213619443U (zh) 一种新能源汽车用电池更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