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140A -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140A
KR20090111140A KR1020080036753A KR20080036753A KR20090111140A KR 20090111140 A KR20090111140 A KR 20090111140A KR 1020080036753 A KR1020080036753 A KR 1020080036753A KR 20080036753 A KR20080036753 A KR 20080036753A KR 20090111140 A KR20090111140 A KR 2009011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bell
alarm
bel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아이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08003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140A/ko
Publication of KR2009011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벨 상호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벨 동작자는 비상벨 장치를 통하여 음성을 보내고 운용자는 전관방송시스템을 통하여 음성을 전달하여 1:1 상호 통화하게 하는 비상벨 상호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토로브형 경광등이 내장되어 질 수도 있는 복수개의 비상벨 장치와, 복수개의 비상벨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를 담당하는 비상벨 통신제어장치와, 복수개의 비상벨 통신제어장치 및 비상벨통화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비상벨 주장치와, 비상감시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비상감시영상을 저장 관리하는 비상벨 제어 서버와,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영상저장장치(DVR) 및 전관방송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Mutual communication system for Emergency Alarm}
본 발명은 1:1 통신이 가능한 비상벨 상호통화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아파트등의 주차장이나 대형 백화점,유통단지의 주차장이나 옥상, 놀이시설등의 우범지역에서의 범죄 혹은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으나 현재의 방범, 비상벨장치등은 사각지대를 가지거나 비상벨장치가 존재하고 동작된다 하더라도 일방적인 신호나 혹은 방송을 전달하는 형태로서 진정한 상호통신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현재의 비상감시장치들은 상호양방향 통화가 안되기 때문에 범죄 또는 사고 발생 위치를 알 수 있어 그 지점까지 출동한다 하더라도 범인의 도주로가 변한다던지 부상정도가 심해진다던지 하는 비상상황의 변화를 알 수가 없게 된다.
또한, 기존의 일부 기술에서는 4화면내 영상과 도면이 혼재 됨으로서 실질적으로 도면의 크기가 적어 위치나 영상을 판독하는데 무척 어렵게 되어있다.
본 발명은 비상벨 동작자와 운용자/관리자가 1:1 상호 통화를 하게 함으로서 신속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이를위한,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등 비상벨이 장치되어진 곳으로 부터 비상벨이 호출되어졌을 때 비상벨장치 주변의 음성신호가 비상벨 장치에 내장된 마이크에 입력되어 증폭된 후 방재실/관리실로 전송되어져 스피커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되고, 사전에 설정된 동작되어진 비상벨 주변의 카메라 영상과 지도가 팝업됨으로서 방재실/관리실 운용자가 비상상황을 통제할 수 있으며 이의 통제를 위한 방재실/관리실의 운용자의 음성은 전관방송시스템을 통하여 비상벨 호출자에게 방송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등 비상벨이 장치되어진 곳으로 부터 비상벨이 호출되어졌을 때 비상벨장치 주변의 음성신호가 비상벨 장치에 내장된 마이크에 입력되어 증폭된 후 방제실/관리실로 전송되어져 스피커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되고, 사전에 설정된 동작되어진 비상벨 주변의 카메라 영상과 지도가 팝업됨으로서 방재실/관리 실 운용자가 비상상황을 통제할 수 있으며 이의 통제를 위한 방재실/관리실의 운용자의 음성은 전관방송시스템을 통하여 비상벨 호출자에게 방송되어지는 1:1 상호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1의 표시한 비상벨통화시스템은 빌딩, 주거 단지 등의 비상방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스토로브형 경광등이 내장되어 질 수도 있는 복수개의 비상벨 장치(1)와, 복수개의 비상벨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를 담당하는 비상벨 통신제어장치(2)와, 복수개의 비상벨 통신제어장치 및 비상벨통화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비상벨 주장치(3)와 비상감시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비상감시영상을 저장 관리하는 비상벨 제어 서버(4)와,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영상저장장치(DVR)(6) 및 전관방송시스템(8)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비상벨장치(1)는 복수개의 비상벨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비상벨 장치(1)에는 비상벨 버튼(1A),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스트로브형 경광등/비상싸이렌(1B), 마이크(1C), 스피커(1D), 미도시한 동작상태 표시 LED 무선센서 등이 내장된다.
본 발명은 비상벨 동작자와 경비실 운용자가 상호 통신이 가능토록 비상벨장치(1)내에 음성수신부(11) 및 음성신호증폭부(12)가 구성되어 비상벨버튼(1A)을 누르면 마이크(1C)가 동작되어 상기 음성 수신부(11)에 음성이 입력 되어진다. 그 리고, 비상벨 동작 후는 벨을 계속 누르지 않아도 일정거리에서의 통화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비상벨 장치는 평소에도 장비 상태를 표시하는 LED램프에 의해 장치의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비상벨장치(1)에는 리모콘 수신부(13)가 구비되는데, 이 리모콘 수신부(13)는 주차용 출입개폐 리모컨으로 동작될 수도 있게 무선 센서로 구성되는 리모컨 수신부이며 무선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도 상기의 비상벨 버튼이 눌러졌을 때와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어진다.
또한, 상기 비상벨통신제어장치(2)는 복수개의 비상벨 통신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각각의 비상벨 통신 제어장치(2)는 신호입력부(21), 신호검출부(22), 신호제어부(23), 음성신호검출부(24), 음성신호증폭부(25)로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비상벨 주장치(3)은 복수개의 비상벨통신제어장치(2) 및 비상벨제어 서버(4)와 연결되어 지며, 음성통신을 처리하는 음성통신부(31)와 비상벨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32)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비상벨제어 서버(4)는 비상벨 시스템의 효율적인 감시를 위해서 감시제어운용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운영하며 비상벨 동작시 주변의 영상을 정밀 녹화 및 모니터링하기위하여 DVR 의 기능을 가지며 비상벨 동작 지점의 위치확인을 위하여 지도가 저장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경비실원격영상표출장치(5) 는 비상벨 동작지점의 인근이나 제3의 장소에서 비상벨서버(4)의 화면과 동일한 비상벨 동작 영상을 전송하여 모니터 에 표시해준다. 이를 위해서는 RGB전송장치가 별도로 연결되어 지거나 적당한 전송장치가 준비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는 16분할 영상이 표출 되어지다 비상동작시 비상 영상 영상으로 변환 표출되어진다.
또한, 영상저장장치(DVR)(6)는 평상시는 16분할 또는 운영자에 의해 정의된 형태로 모니터에 영상이 표출된다.
또다른 실시 예로서 비상벨 동작시 비상벨 서버나 DVR에서 집중 녹화되는 영상과 음성을 RGB 전송장치 등을 통해 전송하여 경비실이나 제3의 장소로의 영상표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실시 예에서 보여주는 사항들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의 7은 CCTV카메라, 8은 전관 방송 시스템, 9는 전관방송시스템의 마이크, 10은 전관방송시스템의 스피커, 14는 방재실/관리실의 스피커, 15는 방재실/관리실의 마이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상벨장치(1)의 비상벨 버튼(1A)이 눌러지면 비상벨 버튼부(1A)가 동작되어 외부 경광등이나 비상싸이렌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시킴과 동시에 비상벨통신제어장치(2)로 비상벨 동작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아울러 음성수신부(11)의 내장 마이크가 동작되어 음성신호를 수집하게 된다. 이 신호는 음성신호증폭부(12)로 전달되어 선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증폭 된 후 비상벨통신제어장치(2)로 전송된다.
비상벨 제어장치의 기능은 비상벨 장치로의 전원을 공급하며 비상벨이 동작 된 후에는 동작된 비상벨장치의 고유번호를 비상벨 주장치(3)로 전송하며 주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게 각 제어장치에 연결된 비상벨 장치와 통신을 연결시켜주게 된다.
특히, 비상벨통신제어장치(2)에 입력된 비상벨신호와 음성신호는 신호입력부(21)에 수신하여 비상벨 위치정보와 음성정보를 분리하여 위치정보는 신호검출부(22), 신호제어부(23)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검출부(24), 음성신호증폭부(25)로 각각 보내주어 벨신호와 음성신호를 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 처리된 비상벨 정보와 음성정보는 비상벨주장치(3)와 영상저장장치(DVR)(6)로 전송되어져 저장 및 처리되어 진다.
비상벨 동작자의 음성은 비상벨주장치(3)의 음성통신부(31)을 거쳐서 주장치에서 스피커(11)를 통해 재생되게 되며, 비상벨정보는 비상벨주장치(3)의 제어부(32)에서 처리되어 데이터방식으로 전관방송시스템(8)으로 보내어 진다.
따라서, 비상벨 동작시 별도의 가청경보를 스피커(10)를 통해 발생하여 주위를 환기시키며, 비상벨 동작자와 관리실 또는 경비실에 있는 관리자와 상호 음성통신이 1:1 상호 통화가 이루어지며, 순간에 비상벨 서버(4)의 모니터에는 사전에 지정된 주변의 3~4개의 카메라 영상이 4분할 화면에 제공되어 지며, 이때 지정된 주변의 카메라(7)가 회전형이면 자동적으로 동작된 비상벨방향으로 회전 되여 영상을 비춰지게 된다.
또한 제공된 영상 위에 동작된 비상벨위치와 동작중인 카메라 위치가 표시된 지도가 팝업으로 띄워지게 된다.
또한 비상벨 동작 전 시점부터 동영상급인 30 FPS 수준의 영상이 녹화된다. 이러한 녹화되는 정밀 영상은 향후 증거확보나 분석을 위해 활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정밀 영상은 전송로 및 전송기기를 통하여 경비실 등 제3의 장소로 보내질 수 있다.
비상벨 동작이 된 후에는 비상서버(4)로부터 명령을 받아 비상벨 동작지역 카메라(7)가 수용된 DVR에는 자동적으로 4분할 영상 및 지도가 팝업형태로 띄워지며 가청경보를 발생하여 준다. 이때 비상벨 동작후 비상벨 동작자와 방재실/관리실의 운용자와의 상호 음성통신 내용은 영상과 함께 영상처리장치(DVR)(6)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등 비상벨이 장치되어진 곳으로 부터 비상벨이 호출되어졌을 때 비상벨장치 주변의 음성신호가 비상벨 장치에 내장된 마이크에 입력되어 증폭된 후 방제실/관리실로 전송되어져 스피커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되고, 사전에 설정된 동작되어진 비상벨 주변의 카메라 영상과 지도가 팝업됨으로서 방재실/관리실 운용자가 비상상황을 통제할 수 있으며 이의 통제를 위한 방재실/관리실의 운용자의 음성은 전관방송을 통하여 비상벨 호출자에게 방송되어지는 비상벨용 1:1 상호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상벨에 스피커와 마이크 및 이의 증폭장치를 내장하게 되어 비상벨 동작자가 비상벨을 누르기만해도 관리자와 통화가 가능하게 되며 그 통화 가능 범위는 적어도 5~6미터 이내에는 별도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한 비상벨 주변의 카메라를 별도의 모니터나 기존 DVR모니터에 표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상황에 대한 영상을 동영상수준으로 녹화를 하게 된다.
또한 비상벨 동작지점 부근의 카메라 및 비상벨 위치에 대한 도면이 모니터상에 크게 팝업 표시됨으로써 도면 식별이 매우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할 수 있어 범인의 영상이 표출되지 않는 화면 내의 다른 곳으로도 위치 이동이 되게 되는 매우 편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벨 상호통화시스템은 별도의 비상 경광등이나 비상벨 장치, 복수개의 카메라, 영상표출을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영상저장장치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 예로서 비상벨 동작시 비상벨 서버나 DVR에서 집중 녹화되는 영상과 음성을 RGB 전송장치 등을 통해 전송하여 경비실이나 제3의 장소로의 영상표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실시 예에서 보여주는 사항들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상벨 장치 IA : 비상벨 버튼
IB : 스트로브형 경광등/비상싸이렌 IC : 마이크
ID : 스피커 2 : 비상벨 통신 제어장치
3 : 비상벨 주장치 4 : 비상벨 제어 서버
5 : 경비실 원격 영상 표출장치 6 : 영상저장장치(DVR)
7 : CCTV 카메라 8 : 전관 방송 시스템
9 : 전관 방송 시스템의 마이크 10 : 전관 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11 : 음성수신부 12 : 음성신호 증폭부
13 : 리모콘 수신부 14 : 방재실/관리실의 스피커
15 : 방재실/관리실의 마이크 21 : 신호 입력부
22 : 신호 검출부 23 : 신호 제어부
24 : 음성신호 검출부 25 : 음성신호 증폭부
31 : 음성 통신부 32 : 제어부

Claims (1)

  1. 본 발명은 스토로브형 경광등이 내장되어 질 수도 있는 복수개의 비상벨 장치(1)와 복수개의 비상벨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를 담당하는 비상벨통신제어장치(2)와, 복수개의 비상벨 제어장치 및 비상벨통화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비상벨주장치(3)와, 비상감시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비상감시영상을 저장 관리하는 비상벨 서버(4)와,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영상저장장치(6) 및 전관방송시스템(8)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KR1020080036753A 2008-04-21 2008-04-21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KR20090111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53A KR20090111140A (ko) 2008-04-21 2008-04-21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53A KR20090111140A (ko) 2008-04-21 2008-04-21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40A true KR20090111140A (ko) 2009-10-26

Family

ID=4153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753A KR20090111140A (ko) 2008-04-21 2008-04-21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698B1 (ko) * 2014-02-03 2014-07-10 박상래 무선 비상벨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698B1 (ko) * 2014-02-03 2014-07-10 박상래 무선 비상벨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5115857A1 (ko) * 2014-02-03 2015-08-06 박상래 무선 비상벨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121358B2 (en) 2014-02-03 2018-11-06 Sang Rae Park Wireless emergency bell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32446B1 (ko) 단일 망으로 비상벨에서의 양방향 통화 기능이 구현된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KR100995569B1 (ko)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US20120286947A1 (en) Home security system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US10685557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KR101150993B1 (ko) 터널 비상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101342448B1 (ko)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JP200817803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761983B1 (ko) 비상상황 감시시스템
KR101016726B1 (ko)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KR100913310B1 (ko) 비상 경보 시스템
KR20090111140A (ko) 비상벨상호통화시스템
KR101169316B1 (ko) 엘이디 전등 제어와 연동된 보안 시스템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151626B1 (ko)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219231B1 (ko) 응급 구조 요청 전화 기능 및 이미지 전송 기능을 가지는 환경 감시 장치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KR100978101B1 (ko) 비상호출 신속 대응을 위한 인터라넷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씨씨티브이 통합 보안 시스템
JP3035932U (ja) 画像伝送による警備装置
KR101674575B1 (ko) 무인화상폴대 및 이를 이용한 조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20100004380U (ko)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