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707A -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 Google Patents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707A
KR20090110707A KR1020080036336A KR20080036336A KR20090110707A KR 20090110707 A KR20090110707 A KR 20090110707A KR 1020080036336 A KR1020080036336 A KR 1020080036336A KR 20080036336 A KR20080036336 A KR 20080036336A KR 20090110707 A KR20090110707 A KR 20090110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keyboard input
desk
keyboard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식
Original Assignee
(주)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슨 filed Critical (주)메디슨
Priority to KR102008003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707A/ko
Priority to US12/405,381 priority patent/US20090261992A1/en
Priority to EP09004509A priority patent/EP2110045A3/en
Priority to JP2009094884A priority patent/JP2009259243A/ja
Publication of KR2009011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6C-shaped bed tables, e.g. fold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이동 카트는 지지부, 지지부 상에 장착되는 데스크 및 데스크에 역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는 평판형의 키보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 및 상기 몸체의 타면에 형성된 터치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동 카트는 의료용 기구나 기타 전자 기기를 적재 및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터치 입력과 버튼 입력을 모두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카트, 듀얼, 키보드, 터치 입력, 터치 패널

Description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 이동 카트 {DUAL KEYBOARD INPUT DEVICE AND MOVING CART MOUNTING DUAL KEYBOARD INPUT DEVICE THEREON}
본 발명은 키보드 입력 장치 및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 이동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계식 입력과 전자식 입력을 겸용할 수 있는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 이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입력 장치로는 기존에 사용한 기계식 키보드 입력 장치가 있으며, 정해진 또는 가변되는 버튼이 정의된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식 입력 장치가 있다. 최근에는 가변되는 버튼이 정의된 패널,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감지층을 형성한 LCD 터치 패널을 사용한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LCD 터치 패널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통해 버튼 또는 아이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대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다양한 버튼 정의 및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의 기계식 키보드 역시 문자나 숫자 입력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LCD 터치 패널이 제공할 수 없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오랫동안 사용되었기 때문에 기존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 그룹이 있으며, 이들 사용자 그룹에게는 터치 방식의 입력보다 기계식 키보드를 이용한 방식이 더 편리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CD 터치 패널 및 기계식 키보드 모두 고유의 장단점을 갖고 있으며,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두 입력 방식 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이들 입력 장치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터치 입력 방식과 키보드 입력 방식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치 입력부와 키보드 입력부를 하나의 몸체에 구현한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치 입력부와 키보드 입력부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이동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카트는 지지부, 지지부 상에 장착되는 데스크 및 데스크에 역전 가능하게(reversibly) 장착되는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키보드 입력 장치는 평판형의 키보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 및 상기 몸체의 타면에 형성된 터치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동 카트는 의료용 기구나 기타 전자 기기를 적재 및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가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 입력 장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노트북, 측정 장비, 검사 장비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카트에서 지지부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고정형이나 롤러 등을 장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데스크 역시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하는 역할 외에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는 일면에 제공되는 버튼 입력부 및 반대면에 제공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한다. 키보드 입력 장치의 양면에 각각 버튼 입력부와 터치 입력부가 형성되며, 키보드 입력 장치는 데스크에 역전 가능하게, 즉 평면 또는 이면이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 입력에 용이한 입력을 수행하다가, 키보드 입력 장치를 뒤집어 키보드 입력이 용이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LCD 터치 패널 및 기존의 키보드 버튼 입력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간의 장단점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익숙함이나 입력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입력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에서 양면에 두 입력 방식을 장착하여 적은 공간에서 양 모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 입력 장치는 평판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 및 상기 몸체의 타면에 형성된 터치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키보드 입력 장치는 이동 카트 외에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데스크에 대응될 수 있는 장착부를 이용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카트 및 키보드 입력 장치는 LCD 터치 패널과 같은 터치 입력부와 쿼티(QWERTY) 키보드와 같은 버튼 입력부를 한 장치에 구현할 수가 있으며, 양 입력 방식의 장단점을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 및 보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익숙함이나 입력 편의에 따라 사용자는 편한 방식의 입력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에 터치 입력과 키보드 버튼 입력을 동시에 겸용하도록 하 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양 입력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 두 개의 별도 장치를 컨트롤러에 연결해야 하며, 각각의 장치가 작업 및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에 많은 제약을 주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키보드 입력 장치는 작업 및 보관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적은 작업 및 보관 공간을 차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키보드 입력 장치에서 터치 입력부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키보드 입력 장치에서 버튼 입력부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카트(100)는 지지부(110), 데스크(120),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20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의 하부에는 롤러(112)가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데스크(120)는 키보드 입력 장치(200)는 물론 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거나 기타 주변 기기를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카트(100)는 초음파 진단기기와 같이 의료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 카트(100)에는 초음파 측정을 위한 프로브(probe)가 연결될 수 있으며, 프로브를 통해 감지된 영상이 모니터 등을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120)의 주변으로 홀더(122)가 제공될 수 있으 며, 홀더(122)에는 간단한 의료기구나 약품, 알코올 솜 등을 보관하는 용기가 각각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다.
키보드 입력 장치(200)는 데스크(120)에 역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입력 장치(200)의 일면에는 액정 표시 및 터치 패널 기술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부(220)가 제공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입력 장치(200)의 타면에는 쿼티(QWERTY) 배열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부(230)가 제공된다.
데스크(120)의 상부로는 수용부(125)가 제공되며, 수용부(125)에서 키보드 입력 장치(200)는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데스크(12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20)를 이용하다가 버튼 입력부(230)을 이용하기 위해서, 키보드 입력 장치(200)를 위로 이동시켜 데스크(1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뒤집은 후 다시 레일에 맞춰 키보드 입력 장치(200)를 데스크(120)의 수용부(125)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보드 입력 장치(200)는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키보드 입력 장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10) 또는 데스크(120)가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으며, 데스크에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키보드 입력 장치가 수용부에 형성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키보드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키보드 입력 장치(200)는 평판형의 몸체(210)를 포함하며, 몸체(210)는 상부 케이스(212) 및 하부 케이스(214)에 의해서 구성된다. 상기 터치 입력부(220)와 버튼 입력부(230)는 상부 케이스(212) 및 하부 케이스(214)에 의해 일체로 장착된다. 상부 케이스(212)에는 터치 입력부(220) 또는 다른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노브(216)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20)는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는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감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20)의 배면으로 키보드 버튼 입력부(230)가 제공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30)는 종래의 컴퓨터에 사용되는 쿼티(QWERTY) 배열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재배치되거나 선택된 버튼 내열을 가진 키보드가 사용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와 데스크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키보드 입력 장치(201)의 몸체(210)가 데스크(120)의 수용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장착 또는 분리되지 않고, 회전에 의해서 용이하게 터치 입력부와 버튼 입력부를 전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210)와 수용부(125) 간에 결속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결속장치에 의해 몸체(210)를 데스크(120)에 고정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와 데스크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키보드 입력 장치(202)는 데스크(120)의 상면에 형성되며, 데스크(120)에는 키보드 입력 장치(202)의 몸체(210)과 결속되는 걸림부(124)가 형성된다. 걸림부(124)는 몸체(210)의 걸림홈(218)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탄성적으로 움직여 키보드 입력 장치(200)와 결속될 수 있다.
데스크(120)에는 버튼 입력부의 버튼들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수용부(12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126)는 상술한 버튼들 또는 노브 등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보드 입력 장치에서 터치 입력부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키보드 입력 장치에서 버튼 입력부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키보드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와 데스크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와 데스크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동 카트 110:지지부
120:데스크 200:키보드 입력 장치
210:몸체 220:터치 입력부
230:버튼 입력부

Claims (10)

  1.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장착되는 데스크;
    상기 데스크에 역전 가능하게(reversibly) 장착되는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는 평판형의 키보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 및 상기 몸체의 타면에 형성된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는 상기 키보드 입력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며 착탈되어, 상기 데스크에 대해 역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데스크에 대해 역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카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데스크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 주변으로 상기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걸림부가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부는 쿼티(QWERTY) 배열의 기계식 버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카트.
  8. 평판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 및
    상기 몸체의 타면에 형성된 터치 입력부;를 구비하는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부는 QWERTY 배열의 기계식 버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KR1020080036336A 2008-04-18 2008-04-18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KR20090110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36A KR20090110707A (ko) 2008-04-18 2008-04-18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US12/405,381 US20090261992A1 (en) 2008-04-18 2009-03-17 Dual keyboard input device and movable cart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EP09004509A EP2110045A3 (en) 2008-04-18 2009-03-28 Dual keyboard input device and movable cart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JP2009094884A JP2009259243A (ja) 2008-04-18 2009-04-09 デュアルキーボード入力装置およびデュアルキーボード入力装置を装着した移動カー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36A KR20090110707A (ko) 2008-04-18 2008-04-18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07A true KR20090110707A (ko) 2009-10-22

Family

ID=4092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336A KR20090110707A (ko) 2008-04-18 2008-04-18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61992A1 (ko)
EP (1) EP2110045A3 (ko)
JP (1) JP2009259243A (ko)
KR (1) KR200901107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7707A (ja) * 2011-07-12 2013-01-31 Okamura Corp カート装置
JP2013017706A (ja) * 2011-07-12 2013-01-31 Okamura Corp カート装置
JP5975609B2 (ja) * 2011-07-12 2016-08-2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カート装置
US9887562B2 (en) 2012-12-03 2018-02-06 Covidien Lp Smart cart
US9472966B2 (en) 2014-06-19 2016-10-18 Covidien Lp Surgical tray assemblies for storing, charging, powering, and/or communicating with surgical instruments
US9895201B2 (en) * 2015-02-27 2018-02-20 Flex Operating Room, Llc Cantilever organizational rack system for supporting surgical instrumentation
CN105832422B (zh) * 2016-03-17 2018-08-0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同济医院 便携式超声影像仪器移动台车
US11246488B2 (en) 2018-11-27 2022-02-15 Shimadzu Corporation Medical imaging device
JPWO2022230002A1 (ko) * 2021-04-25 2022-11-03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3220B1 (en) * 1998-09-18 2002-12-10 Lxe, Inc. Mobile clinical workstation
US6795304B1 (en) * 2001-04-27 2004-09-21 Palmone, Inc. Keyboard sled with rotating screen
US20030142468A1 (en) * 2002-01-25 2003-07-31 Enlight Corporation Computer and wheeled carrier combination structure
US6821250B2 (en) * 2002-05-23 2004-1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cart with movable probe holders
US20040186357A1 (en) * 2002-08-20 2004-09-23 Welch Allyn, Inc. Diagnostic instrument workstation
KR100488012B1 (ko) * 2002-11-11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JP2005046412A (ja) * 2003-07-30 2005-02-24 Super Meito:Kk カート
US7502225B2 (en) * 2004-09-17 2009-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JP2006285407A (ja) * 2005-03-31 2006-10-19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US8531402B2 (en) * 2005-04-29 2013-09-1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separate cover having user interface
TWM276252U (en) * 2005-05-12 2005-09-21 Twinhead Int Corp Tablet computer stander apparatus with keyboard room space thereof
US7828253B2 (en) * 2006-06-20 2010-11-09 Meyer Christopher E Secure shelf for technology work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0045A2 (en) 2009-10-21
US20090261992A1 (en) 2009-10-22
JP2009259243A (ja) 2009-11-05
EP2110045A3 (en)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0707A (ko)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 및 듀얼 키보드 입력 장치를 장착한이동 카트
US5572237A (en) Pointing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US8810536B2 (en) Tablet computer input device
US9031621B2 (en) Support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US200902130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uchpad Input Controller
US20150182196A1 (en) Portable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US8218300B2 (en) Electronic apparatus
Le et al. A smartphone prototype for touch interaction on the whole device surface
CN104520798A (zh) 便携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程序
JP2013089257A (ja) 携帯型電子装置
TW201039214A (en) Optical touch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143659A1 (en)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s by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N104423687A (zh) 电子装置、屏幕的控制方法及其程序存储介质
US892906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482528B2 (en)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US20130162503A1 (en) Dual display structure
TWM447531U (zh) 可收納觸控筆之鍵盤結構
KR20070049099A (ko) 정보 처리 장치
US2011010234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ablet personal computer
TW200923621A (en) Two-layer keyboard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US8698761B2 (en) Electronic device
US8319730B2 (en) Peripheral pointing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89739Y1 (ko) 서랍식 결합 구조를 갖는 소형 키보드를 구비한 타블렛피씨
JP5718182B2 (ja) 入力装置
CN111897443A (zh) 鼠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