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505A - 형강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형강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505A
KR20090110505A KR1020080036040A KR20080036040A KR20090110505A KR 20090110505 A KR20090110505 A KR 20090110505A KR 1020080036040 A KR1020080036040 A KR 1020080036040A KR 20080036040 A KR20080036040 A KR 20080036040A KR 20090110505 A KR20090110505 A KR 20090110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rocessing
frame
block
proc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760B1 (ko
Inventor
정현숙
Original Assignee
신화철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철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철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76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21D47/01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beam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강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승강하며 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형강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형강 단부를 가공하는 가공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에 설치되어 가공수단의 승강시 회전되어 형강의 진행을 보조하게 보조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의 단부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형강, 이송 컨베이어, 커터, 가공수단

Description

형강 가공 장치{Section shape stee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형강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강의 단부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게 하는 형강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강은 압연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을 절단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자른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형상을 하고 있는 강철재를 말하고, 이러한 형상으로는 여러 가지 형상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L", "H", "ㄷ", "I" 등이 있다. 또한 형강은 그 단면 형상에 따라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강은 사용 목적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하기 위해 가공하게 되는데, 길이를 적절하게 절단하거나 또는 절단된 단부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가공을 하는 등의 처리 공정을 거치게 되며, 다양한 가공 형태에 따라 필요한 가공장치가 다양하게 요구되구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형강의 단부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게 하는 형강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형강 가공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승강하며 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형강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형강 단부를 가공하는 가공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에 설치되어 가공수단의 승강시 회전되어 형강의 진행을 보조하게 보조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레크와 피니언에 의해 승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져 상기 형강의 상단을 가압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가공수단은 블록과, 상기 블록 일측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커터와, 상기 블록을 승강하게 하는 레크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터는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의 단부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 가 있다.
또한 형강 단부를 자동 가공에 의해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가공시간 단축 및 가공 공정 수율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강 가공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승강하며 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형강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형강 단부를 가공하는 가공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에 설치되어 가공수단의 승강시 회전되어 형강의 진행을 보조하게 보조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레크와 피니언에 의해 승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져 상기 형강의 상단을 가압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가공수단은 블록과, 상기 블록 일측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커터와, 상기 블록을 승강하게 하는 레크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터는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형강 가공 장치(10)는 이송 컨베이어(1)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형강(S)을 가공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를 위해 상기 형강 가공 장치(10)는 프레임(110), 고정부(120), 보조 컨베이어(130) 및 가공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판체 형태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1) 일측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프레임(110) 일측면에 구비되며, 프레임(110) 측에 구비된 레크(121)와 모터(122) 측에 구비되는 피니언(미도시)에 의해 고정구(123)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보조 컨베이어(130) 후술하는 가공수단(140) 일측에 축설되어 모터(131)에 의해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수단이 이송 컨베이어 하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이송 컨베이어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고 상기 가공수단이 이송 컨베이어 상부로 상승하게 되면 이송 컨베이어에 대해 수직하게 회전하여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공수단(140)은 상기 프레임(110) 일측에 구비되는 레크(145)가 블록(141) 내에 블록을 승강하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피니언(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블록(141) 일측(형강(S)이 진입하는 위치)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의 커터(142,143,14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터(142,143,144)는 서로 다른 크기를 하고 있으며,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향하는 커터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1)를 따라 이송되는 형강(S)은 형강 가공 장치(10)에 위치되면 정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프레임(110)에 구비된 레크(121)를 따라 모터(122)가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모 터(122)에 구비된 고정구(123) 단부가 형강(S) 상단을 가압 고정하게 되고, 이송 컨베이어(1) 하측에 위치된 블록(141)이 상승함과 동시에 보조 컨베이어(130)가 모터(131)에 의해 회전되며 이송 컨베이어(1)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형강은 승강하는 블록(141)의 커터(142,143,144) 측과 일치하게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블록이 상승하며 형강 일측을 커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터는 상부에 위치한 커터(142)가 형강 일측을 1차 가공하고, 중간에 위치한 커터(143)가 2차 가공한 후 하단에 위치한 커터(144)가 3차 가공에 의해 마무리 가공하며 상승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41)이 형강 상단까지 완전히 진행하면 다시 블록이 하강하여 이송 컨베이어 하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41)이 하강함과 동시에 블록에 구비된 보조 컨베이어(130)가 모터(131)에 의해 회전하여 이송 컨베이어와 수평 상태가 되며, 상기 고정부는 모터(122)가 구동되어 고정구(123)를 상승시켜 형강(S)의 고정을 해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동작하여 가공된 형강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 과정 중 형강을 가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형강 가공 공정을 단축시켜 공정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형강 가공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 가공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형강 가공 장치 110 : 프레임
120 : 고정구 130 : 보조 컨베이어
140 : 가공수단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승강하며 이송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형강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형강 단부를 가공하는 가공수단; 및
    상기 가공수단에 설치되어 가공수단의 승강시 회전되어 형강의 진행을 보조하게 보조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레크와 피니언에 의해 승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져 상기 형강의 상단을 가압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은 블록과, 상기 블록 일측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커터와, 상기 블록을 승강하게 하는 레크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가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가공 장치.
KR1020080036040A 2008-04-18 2008-04-18 형강 가공 장치 KR101001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40A KR101001760B1 (ko) 2008-04-18 2008-04-18 형강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40A KR101001760B1 (ko) 2008-04-18 2008-04-18 형강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505A true KR20090110505A (ko) 2009-10-22
KR101001760B1 KR101001760B1 (ko) 2010-12-15

Family

ID=4153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040A KR101001760B1 (ko) 2008-04-18 2008-04-18 형강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70B1 (ko) * 2013-01-25 2013-09-13 (주) 선우 다목적 형강가공기
CN113184477A (zh) * 2021-05-31 2021-07-30 上海科发精密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杆件自动传送下料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70B1 (ko) * 2013-01-25 2013-09-13 (주) 선우 다목적 형강가공기
CN113184477A (zh) * 2021-05-31 2021-07-30 上海科发精密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杆件自动传送下料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760B1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477B1 (ko) 핸들 조립용 홀 개공기
KR101929576B1 (ko) 멀티 홈 가공 장치
KR20090110505A (ko) 형강 가공 장치
KR100960242B1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KR101277643B1 (ko) 철근 절단장치
JP2009113288A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脱型方法及び自動脱型装置
KR200450540Y1 (ko) 형강 가공장치
JP5704140B2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CN109759643A (zh) 一种铸锭在线锯切、翻料以及排料的设备
KR101224986B1 (ko) 압연기의 쵸크 결합장치와 결합 및 해체방법
KR101553145B1 (ko) 슬라브 제거장치
CN206872125U (zh) 压痕机纸张自动运送装置
CN104724486A (zh) 一种医疗电动钻锯的成品运输线
CN113319496B (zh) 一种钣金件高效焊接用下件机构
KR101288247B1 (ko) 샤링기의 프레임 수평교정장치
KR20090110504A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KR200448670Y1 (ko) 형강 가공장치
CN106112673A (zh) 轮胎模具侧板自动定心转序装置及转序方法
KR20020001290A (ko) 박판제조시의 시트샘플 이송장치
KR20150100158A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인라인 타입 조립장치
CN206218831U (zh) 玻璃掰片系统
JP2006159271A (ja) 板曲げプレスにおける板材の配置方法
CN213702647U (zh) 一种电梯型材割孔设备
JP2012197225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2010059054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