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467A -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467A
KR20090109467A KR1020090007789A KR20090007789A KR20090109467A KR 20090109467 A KR20090109467 A KR 20090109467A KR 1020090007789 A KR1020090007789 A KR 1020090007789A KR 20090007789 A KR20090007789 A KR 20090007789A KR 20090109467 A KR20090109467 A KR 20090109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ng body
fixing
main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규
Original Assignee
양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규 filed Critical 양승규
Priority to KR102009000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467A/ko
Publication of KR2009010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467A/ko
Priority to US13/146,325 priority patent/US20110278485A1/en
Priority to JP2011547805A priority patent/JP5864265B2/ja
Priority to CN2010800060464A priority patent/CN102301183B/zh
Priority to EP10736055.4A priority patent/EP2392856A4/en
Priority to PCT/KR2010/000596 priority patent/WO201008766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25Flower-pot stabilisers, i.e. means to prevent flower-pots from tipping ov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의 형태와 모양에 맞추어서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분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오목한 요입부와 배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네 개의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수단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네 개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한쪽 단부가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상부면에 화분 지지홈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캐스터가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전체에 삽입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체의 저면을 관통하여 지지체의 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나사축이 형성된 보조 캐스터;
상기 지지대의 화분 지지홈에 안착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화분에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112009006198478-PAT00001
화분, 받침대, 회전, 인출

Description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지지대가 다단계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면서 회전되게 하여 많은 종류의 화분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안전하게 진열할 수 있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 받침대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는 각각의 화분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각각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주에 다수개의 화분 받침대를 설치한 것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화분은 화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밖으로 나가지 않고 배수구로 흐르도록 화분이 놓여지는 평평한 상부면의 외주에 환형상으로 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화분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일정한 시간 동안 평평한 상부면에 고여있게 되면서 얼룩이 생기거나 이끼가 서식하여 화분 받침대가 불결하게 되며, 화분과 돌출부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좁아서 소제하기가 힘이 들어서 소제를 하기 위해서는 화분 받침대에서 화분을 옮겨놓은 다음 소제를 해 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138307호 "이동이 자유로운 화분 받침대"가 알려져 있다. 상기 화분 받침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리임(900)에 다수개의 걸림홈(901)을 형성하고, 로드(902)에는 돌기(903)를 형성하여 돌기(903)를 걸림홈(901)에 삽입시킴으로써 로드(902)가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화분 받침대는 돌기(903)를 걸림홈(901)에 끼우는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돌기(903)를 지지하는 걸림홈(901)에 하중이 집중되어 이탈하거나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형태별로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되면서 각각의 형태별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화분은 장식적인 효과와 화분으로부터 발생되는 흙과 배수처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화분 받침대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화분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됨에 따라 화분 받침대도 화분의 형태와 크기별로 제작되어야 장식적인 효과를 거둘 수가 있고, 또한 화분을 안전하게 전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화분에 따라 화분 받침대를 많이 구입하여야 하 므로 화분 받침대 구입에 따르는 비용이 증가되고, 많은 화분 받침대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소를 마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회전 및 인출 가능한 지지대를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화분에 맞추어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화분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오목한 요입부와 배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적어도 3개의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수단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한쪽 단부가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상부면에 화분 지지홈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캐스터가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회전체에 상기 지지대를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전체에 삽입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대가 회전체에 가압 밀착되게 하거나, 상기 회전체의 저면을 관통하여 지지체의 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나사축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고, 바람 직하게는 상기 나사축이 보조 캐스터에 형성되어 보조 캐스터에 의하여 화분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사축을 고정하는 방법은 원형의 통공을 형성하여 정하여진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고, 또는 장공을 형성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축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화분 지지홈은 지지대의 바깥쪽 단부에 고정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분이 놓여지는 본체로부터 회전체를 회전시키거나 지지대를 인출한 다음 보조 캐스터의 나사축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다른 구조는
화분이 올려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제1고정구로 설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회전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회전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또다른 구조는
화분이 올려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제2고정구로 고정되면서 본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회전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회전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체가 본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구가 본체에 고정되면서 회전체에 형성된 장공에 안내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고정구가 회전체에 고정되면서 본체에 형성된 장공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회전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본체의 하부면과 회전체의 상부면을 결합하는 리벳(rivet)과 같은 제1고정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회전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장공을 형성하고,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장공을 관통하는 보울트와 너트와 같은 제2고정구로 이루어지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각각 상기 제2고정구를 수용하는 장공이 형성된다.
회전체는 본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구가 본체에 고정되면서 회전체에 형성된 장공에 안내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구가 회전체에 고정되면서 본체에 형성된 장공에 안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를 상기 회전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회전체에 체결되어 제1지지대를 가압하는 제3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 받침대는 물받이 상부면에 자석이 형성되어 회전체 하부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분이 놓여지는 본체로부터 회전체를 회전시키거나 회전체와 지지대를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인출한 다음 제1,제2,제3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나 지지대를 적절하게 다단계로 인출시켜서 길이를 조절하면 하나의 화분 받침대를 사용하여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화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분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화분 받침대를 각각 준비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많은 화분 받침대를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보관장소를 확보하여 화분 받침대를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지대에 형성되는 캡에 화분의 네 귀퉁이가 안착되어 외관이 단순하면서도 미려하게 되어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본체 상부의 단부가 하 분의 밑면에 밀착되면서 화분에서 나오는 물이 요입부에 머물면서 배수공으로 배출되므로 물이 바깥쪽으로 새지 않으므로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으로,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 받침대는 본체(1), 회전체(2), 지지대(3), 캡(4)으로 구성된다.
본체(1)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상단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화분(P)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오목한 요입부(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요입부(10)의 단부(11)는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화분(P)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화분(P)에서 배출되는 물이 바깥쪽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되어 있고, 중앙에는 화분(P)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에는 회전체(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고정용 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돌기(13)는 절개홈(130)과 걸림턱(131)이 형성되어 결합될 물체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회전체(2)는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단부(20)와 지지대(3)가 삽입되는 회전단부(21)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단부(20)는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돌기(13)가 삽입되는 삽입공(22)으로 이루어지는 힌지부(h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단부(21)는 지지대(3)가 삽입되는 사각홈(23)이 형성되면서 평평한 상부면(24)은 본체(1)의 단부(11)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여 화분(P)의 바닥면이 본체(1)의 단부(11)에 완전히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보조 캐스터(25)를 설치하기 위한 장공(26)이 관통되어 있다.
삽입공(22)에는 상기 본체(1)의 고정용 돌기(13)가 삽입되어 회전체(2)가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보조 캐스터(25)는 상부에 나사축(26)이 형성되어 장공(26)을 통하여 상기 지지대(3)의 너트(33)에 체결되면서 자신과 함께 지지대(3)를 회전체(2)에 고정시킨다. 즉 회전체(2)의 사각홈(23)에 삽입된 지지대(3)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또한 화분(P)의 무게에 의하여 취약해질 수 있는 강도를 보강하여 무게를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3)는 저면에 회전 가능한 캐스터(30)가 고정되며, 회전체(2)의 사각 홈(23)에 삽입되는 한쪽 단부에는 보조 캐스터(25)가 체결되는 너트(33)가 삽입되는 너트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캡(4)을 설치하기 위한 삽입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35)은 캡(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공(35)은 지지대(3)가 회전체(2)에서 인출되더라도 캡(4)이 설치되는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화분(P)이 놓여지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3)는 한쪽의 단부가 상기 회전체(2)의 사각홈(23)에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다음 보조 캐스터(25)로 고정된다.
캡(4)은 화분(P)이 놓여지는 수평부(40)의 상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화분 지지홈(41)과 캐스터(30)를 은폐시켜주기 위한 커버(42)가 형성되고, 수평부(40)의 상부면에는 지지편(43)을 설치하기 위한 삽입공(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부(70)의 저면에는 지지대(3)의 삽입공(35)에 삽입되는 고정축(45)이 형성되어 지지대(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화분 지지홈(41)은 화분(P)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화분(P) 외주면의 경사각도와 같은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캡(4)은 지지대(3)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분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이동되어 화분(P)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축(45)을 중심으로 지지대(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분(P)이 놓여질 때에 화 분(P)화분에 접촉하면서 적절하게 회전하여 화분(P)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편(43)은 상기 캡(4)의 화분 지지홈(41)과 일치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캡(4)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4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6)가 형성되어 캡(4)의 수평부(40)상에 안착된다.
이러한 지지편(43)은 화분(P)의 형상에 따라 캡(4)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키게 되는데, 화분(P)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 지지홈(41)이 화분(P) 외주면의 경사각도와 같은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물받이(5)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화분 받침대에 구비되는 것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지지대(3)의 한쪽 단부를 회전체(2)의 사각홈(23)에 삽입한 다음 화분(P)의 크기에 맞추어서 보조 캐스터(25)의 나사축(26)을 회전체(2)의 장공(26)에 삽입하여 지지대(3)의 너트 삽입홈(34)에 삽입되는 너트(33)와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되고, 특히 화분(P)이 타원형일 때에는 고정돌기(13)를 중심으로 회전체(2)를 회전시키면서 지지대(3)가 회전체(2)에서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한 다음 보조 캐스터(25)로 다시 고정하면 된다.
이때 화분(P)의 종류를 감안하여 지지편(43)을 선택적으로 캡(4)에 설치하면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다른 구조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는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체(2)와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로 구성되는 지지대(3)를 포함한다.
본체(1)에는 회전체(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2)는 사각체로 형성되면서 마주보는 두면이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대(3)가 삽입될 수 있게 되면서, 상부면에는 본체(1)에 결합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통공(20)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지지대(3)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21)이 형성되며, 물받이(5)를 설치하기 위하여 자성체로 제작되거나 저면의 일부만 자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통공(130,200)은 리벳과 같은 제1고정구(101)를 리베팅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체(2)는 통공(130,200)에 삽입되는 제1고정구(101)를 리베팅함으로서 본체(1)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대(3)는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로 형성되는데, 제2지지대(32)는 제1지지대(3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지지대(31)는 회전체(2)에 삽입되어 나사홈(210)에 체결되는 제3고정구(5)에 의하여 고정된다.
물받이(5)는 상부에 자석(50)이 고정되어 회전체(2)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자력으로 부착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또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체(2)는 사각체로 형성되면서 마주보는 두면이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대(3)가 삽입될 수 있게 되면서, 상부면에는 본체(1)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공(22)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지지대(3)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21a)이 형성되며, 물받이(5)를 설치하기 위하여 자성체로 제작되거나 저면의 일부만 자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통공(130)과 장공(22)은 리벳과 같은 제1고정구(101)를 리베팅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체(2)는 통공(130)과 장공(22)에 삽입되는 제1고정구(101)를 리베팅함으로써 본체(1)의 저면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지지대(31)는 회전체(2)에 삽입되어 나사홈(21a)에 체결되는 제3고정구(103)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2지지대(32a)는 제1지지대(31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받이(5) 또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에 자석(50)이 고정되어 회전체(2)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자력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는 화분의 형상에 따라서 회전체(2)를 적절하게 회전시킨 다음 제1고정구(101)에 안내되는 장공(22)을 이용하여 회전체(2)를 적절하게 인출시키고, 또한 회전체(2)에 삽입된 제1지지대(31)를 적절하게 인출시키거나, 제1지지대(31)에 삽입된 제2지지대(32)를 적절하게 인출시켜서 고정하면 다양한 형상의 화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에는 회전체(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장공(1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2)는 사각체로 형성되면서 마주보는 두면이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대(3)가 삽입될 수 있게 되면서, 상부면에는 본체(1)에 결합시키기 위한 통공(20)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지지대(3)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21)이 형성되며, 물받이(5)를 설치하기 위하여 자성체로 제작되거나 저면의 일부만 자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장공(14)과 통공(20b)은 리벳과 같은 제1고정구(101)를 리베팅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체(2)는 장공(14)과 통공(20b)에 삽입되는 제1고정구(101)를 리베팅함으로써 본체(1)의 저면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대(3)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로 형성되는데, 제2지지대(32)는 제1지지대(3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 동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지지대(31)는 회전체(2)에 삽입되어 나사홈(21b)에 체결되는 제3고정구(103)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2지지대(32)는 제1지지대(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받이(5) 또한 상부에 자석(50)이 고정되어 회전체(2b)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자력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는 화분의 형상에 따라서 회전체(2b)를 적절하게 회전시킨 다음 제1고정구(4b)에 안내되는 장공(14)을 이용하여 회전체(2)를 적절하게 인출시키고, 또한 회전체(2)에 삽입된 제1지지대(31)를 적절하게 인출시키거나, 제1지지대(31)에 삽입된 제2지지대(32)를 적절하게 인출시켜서 고정하면 다양한 형상의 화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에는 회전체(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통공(13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2)는 사각체로 형성되면서 마주보는 두면이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대(3)가 삽입될 수 있게 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본체(1)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공(23,24)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지지대(3)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21c)이 형성되며, 물받이(5)를 설치하기 위하여 자성체로 제작되거나 저면의 일 부만 자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통공(13c)은 보울트와 같은 제2고정구(10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체(2)는 통공(13c)과 장공(23,24)에 삽입되는 제2고정구(102)를 너트(8)로 체결함으로써 본체(1)의 저면에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대(3)는 제 1,2,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지지대(31)와 제2지지대(32)로 형성되는데, 제2지지대(32)는 제1지지대(31c)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지지대(31)는 회전체(2)에 삽입되어 나사홈(21c)에 체결되는 제3고정구(5)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2지지대(32c)는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제1고정구(77)에 간섭되지 않도록 장공(33,34)이 형성되어 제1지지대(31c)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화분의 형상에 따라서 회전체(2)를 적절하게 회전시킨 다음 제1고정구(7)에 안내되는 장공(23,24)을 이용하여 회전체(2)를 적절하게 인출시키고, 또한 회전체(2)에 삽입된 제1지지대(31)를 적절하게 인출시키거나, 제1지지대(31)에 삽입된 제2지지대(32)의 장공(33,34)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인출시켜서 고정하면 다양한 형상의 화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회전체(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회전체(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변경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의 실시예는 본체(1)의 외주면으로부터 홈(14)을 형성하고, 회전체(2)의 단부에는 상기 홈(14)에 삽입되는 돌기(27)로 이루어지는 힌지부(h2)를 형성하여 회전체(2)가 제1고정구(100)로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실시예는 본체(1)의 외주면으로부터 구면체의 돌기(15)가 형성되고, 회전체(3)에는 상기 구면체의 돌기(15)가 삽입되는 구면홈(28)으로 되는 힌지부(h3)를 형성하여 회전체(2)가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실시예는 본체(1)의 외주면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고정단(16)이 형성되고, 회전체(2)의 단부에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단(16)에 대응하는 고정단(29)에 형성되는 돌기(290)가 본체(1)의 고정단(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h4)를 형성하여 회전체(2)가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지지대를 회전체에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연결수단도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31은 이러한 연결수단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22의 실시예는 지지대(3)에 보올홈(300)을 형성하여 보올(301)과 스프링(302)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세트 스크루(303)를 체결하여 보올(301)이 스프링(302)의 탄성으로 보올홈(300) 상부로 노출되게 하고, 회전체(2)의 상부 내측면에는 요입홈(210)을 형성하여 지지대(3)가 회전체(2)에서 수평 이동되는 것이다.
도 23 실시예는 회전체(2)에 핀공(211)을 천공하고, 지지대(3c)에는 다수개의 핀공(304)을 형성하여 고정핀(400)을 상기 핀공(211,304)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체(2c)에서 수평이동된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4의 실시예는 회전체(2)의 상부 저면에 다수개의 요입홈(212)을 형성하고, 지지대(3)의 상부면에는 상기 요입홈(212)과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삽입돌기(305)를 형성하여 지지대(3)를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5의 실시예는 회전체(2)의 슬라이드홈(213)에 경사면(214)이 형성되고, 슬라이더(401)에는 상기 경사면(214)와 접촉하는 경사면(402)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213)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401)의 경사면(402)이 슬라이드홈(213)의 경사면(214)에 접촉될 때에 지지대(3e)에 가압 밀착되어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된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6의 실시예는 회전체(2)에 봉체(403)을 형성하고, 지지대(3)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반원홈(306)을 형성하여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되는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7의 실시예는 회전체(2g)에 원통체(404)를 형성하여 다단계의 요입홈(405)을 형성하고, 지지대(3)는 원통형으로 되면서 상기 요입홈(405)에 삽입되는 돌기(307)와 걸림편(308)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편(309)을 형성하여 회전편(309)을 회전시켜서 돌기(307)를 요입홈(405)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따라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되는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8의 실시예는 회전체(2)에 암나사(406)를 형성하고, 지지대(3)는 원통형으로 되면서 상기 암나사(406)에 체결되는 수나사(310)와 걸림편(31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편(312)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편(312)을 회전시켜서 수나사(310)가 암나사(406)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회전체(2)에 고정된 지지대(3)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9의 실시예는 회전체(2)에 중공상태의 원통체(407) 단부에 절개홈(408)과 수나사(409)를 형성하고, 지지대(3)는 상기 원통체(407)에 삽입되게 하면서, 상기 수나사(409)에 체결되는 암나사(313)가 형성된 체결구(314)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구(314)를 수나사(409)와 체결시킬 때 절개홈(408)이 형성된 원통체(407)의 단부가 지지대(3)에 압착되어 지지대(3)를 회전체(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0의 실시예는 회전체(2)와 지지대(3)에 각각 장공홈(315,410)이 형성되어 체결구(600)로 고정되는 것이다.
도 31의 실시예는 지지대(3)가 회전체(2)에 삽입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대(3)가 회전체(2)에 가압 밀착되는 것이다.
도 32 내지 도 40은 캡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32 및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지지대(32)의 상부면에 장공(350)을 형성하여 캡(4)의 고정축(45)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4 및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지지대(32)의 양쪽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32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320)에 안내되어 착탈 가능하게 되는 스페이서(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는 상기 가이드 돌기(320)가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60)이 양쪽에 형성되고, 화분이 안착되는 수평부(61)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320)에 의도하는 개수의 스페이서(6)를 끼워맞추게 되면 캡(4)을 이동하지 않더라도 화분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다.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4)에는 고정용 돌기(400)를 형성하고, 스페이서(6)에는 캡(4)의 고정용 돌기(400)가 삽입되는 고정홈(62)과, 이 고정홈(62)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고정용 돌기(63)를 형성하여 의도하는 개수의 스페이서(6)를 끼워맞추게 되면 캡(4)을 이동하지 않더라도 화분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지지대(32)의 양쪽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321)을 형성하고, 캡(4)은 후방이 개방되게 하면서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향하는 가이드 돌기(401)가 형성되어 캡(4)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지지대(32)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322)을 형성하고, 스페이서(6)에는 상기 삽입홈(322)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기(402)를 형성하여 의도하는 개수의 스페이서(6)를 끼워맞추게 되면 캡(4)을 이동하지 않더라도 화분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다.
도 41 및 도 42는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는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조에서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전체(2)의 삽입공(22) 상부에 요입공(220)을 형성하여 탄성부재(223)을 매설하고, 그 상부에는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돌기(224)가 형성된 원판(225)을 형성하고, 본체(1) 저면에는 원판(225)의 돌기(224)에 대응하는 홈(226)을 형성하여 회전체(2)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4 내지 도 48은 화분(P)의 형태와 크기별로 회전체(2)를 회전시키거나 지지대(3)가 인출되는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화분(P)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4와 도 45는 정사각형의 화분, 도 46은 직사각형의 화분, 도 47은 타원형의 화분, 도 48은 원형의 화분이 놓여지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종래 화분 받침대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화분 받침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ㅊ 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2 내지 도 40은 캡이 지지대에 고정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2는 도 42의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회전체와 지지대가 인출및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4는 본 발명에서 정사각형 화분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45는 본 발명에서 정사각형 화분의 다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46은 본 발명에서 직사각형 화분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47은 본 발명에서 타원형 화분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48은 본 발명에서 원형 화분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Claims (32)

  1. 화분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오목한 요입부와 배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적어도 3개의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는 본체;
    한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수단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한쪽 단부가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상부면에 화분 지지홈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캐스터가 고정되는 적어도 세 개의 지지대;
    상기 회전체에 상기 지지대를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
    상기 회전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 화분이 올려 놓여지는 본체;
    수평상의 양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제1고정구로 설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회전체(2);
    상기 회전체(2)에 삽입되어 개방된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는 캐스터가 고정되는 지지 대(3);
    상기 회전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회전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3. 화분이 올려 놓여지는 본체;
    장공(22)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제2고정구(4a)로 고정되어 본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세 개의 회전체(2a);
    상기 회전체(2a)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3a);
    상기 회전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회전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4.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체(2)의 삽입공(22) 상부에 요입공(220)을 형성하여 탄성부재(223)를 매설하고, 그 상부에는 원주상으로 다수개의 돌기(224)가 형성된 원판(225)을 형성하고, 본체(1) 저면에는 원판(225)의 돌기(224)에 대응하는 홈(226)을 형성하여 회전체(2)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5.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의 저면을 관통하여 지지체의 저면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나사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6.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의 화분 지지홈이 지지대의 바깥쪽 단부에 고정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별도로 고정되는 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7.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의 바닥면에 장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지대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보조 캐스터의 나사축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8.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절개홈(130)과 걸림턱(131)이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1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9.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본체(1)와 회전체(3)에 수평면상에서 접촉하는 돌기(500)로 되는 힌지부를 형성하여 회전체(3)가 고정핀(600)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0.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본체(1)와 회전체(3)에 구면체(501)로 접촉하는 힌지부를 형성하여 회전체(3)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1.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본체(1)와 회전체(3)가 회전 중심을 이루는 돌기(502)로 결합되는 힌지부를 형성하여 회전체(3)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2.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지지대(3)에 보올홈(300)을 형성하여 보올(301)과 스프링(302)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세트 스크루(303)를 체결하여 보올(301)이 스프링(302)의 탄성으로 보올홈(300) 상부로 노출되게 하고, 회전체(2)의 상부 내측면에는 요입홈(210)을 형성하여 지지대(3)를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3.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에 핀공(211)을 천공하고, 지지대(3)에는 다수개의 핀공(304)을 형성하여 고정핀(400)을 상기 핀공(211,304)에 삽입함으로써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된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4.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의 상부 저면에는 다수개의 요입홈(212)을 형성하고, 지지대(3)의 상부면에는 상기 요입홈(212)과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삽입돌기(305)를 형성하여 지지대(3)를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5.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의 슬라이드홈(213)에 경사면(214)이 형성되고, 슬라이더(401)에는 상기 경사면(214)와 접촉하는 경사면(402)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213)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401)의 경사면(402)이 슬라이드홈(213)의 경사면(214)에 접촉될 때에 지지대(3)에 가압 밀착되어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된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6.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에 봉체(403)을 형성하고, 지지대(3)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반원홈(306)을 형성하여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되는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7.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에 원통체(404)를 형성하여 다단계의 요입홈(405)을 형성하고, 지지대(3)는 원통형으로 되면서 상기 요입홈(405)에 삽입되는 돌기(307)와 걸림편(308)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편(309)을 형성하여 회전편(309)을 회전시켜서 돌기(307)를 요입 홈(405)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따라 회전체(2)에서 수평이동되는 지지대(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8.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에 암나사(406)를 형성하고, 지지대(3)는 원통형으로 되면서 상기 암나사(406)에 체결되는 수나사(310)와 걸림편(31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편(312)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편(312)을 회전시켜서 수나사(310)가 암나사(406)에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회전체(2)에 고정된 지지대(3)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19.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에 중공상태의 원통체(407) 단부에 절개홈(408)과 수나사(409)를 형성하고, 지지대(3i)는 상기 원통체(407)에 삽입되게 하면서, 상기 수나사(409)에 체결되는 암나사(313)가 형성된 체결구(314)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구(314)를 수나사(409)와 체결시킬 때 절개홈(408)이 형성된 원통체(407)의 단부가 지지대(3)에 압착되어 지지대(3)를 회전체(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0.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회전체(2)와 지지대(3)에 각각 장공홈(315,410)이 형성되어 체결구(60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1.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이 지지대(3)가 회전체(2)에 삽입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대(3)가 회전체(2)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2.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에 장공이 형성되어 제1고정구로 고정되는 회전체가 본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3.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체에 장공이 형성되어 제1고정구로 고정되는 회전체가 본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4.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회전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장공을 형성하고,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장공을 관통하는 보울트와 너트와 같은 제2고정구로 이루어지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각각 상기 제2고정구를 수용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5.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를 상기 회전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회전체에 체결되어 제1지지대를 가압하는 제3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6.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받이 상부면에 자석이 형성되어 회전체 하부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7.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지지대(32)의 상부면에 장공(350)을 형성하여 캡(4)의 고정축(45)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8.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지지대(32)의 양쪽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32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320)에 안내되어 착탈 가능하게 되는 스페이서(6)는 상기 가이드 돌기(320)가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60)이 양쪽에 형성되고, 화분이 안착되는 수평부(61)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320)에 의도하는 개수의 스페이서(6)를 끼워맞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29.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4)에는 고정용 돌기(400)를 형성하고, 스페이서(6)에는 캡(4)의 고정용 돌기(400)가 삽입되는 고정홈(62)과, 이 고정홈(62)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고정용 돌기(63)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30.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지지대(32)의 양쪽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321)을 형성하고, 캡(4)은 후방이 개방되게 하면서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향하는 가이드 돌기(401)가 형성되어 캡(4)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31.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지지대(32)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322)을 형성하고, 스페이서(6)에는 상기 삽입홈(322)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기(402)를 형성하여 의도하는 개수의 스페이서(6)를 끼워맞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32. 제5항에 있어서, 나사축이 보조 캐스터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1020090007789A 2008-04-15 2009-02-01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090109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789A KR20090109467A (ko) 2008-04-15 2009-02-01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US13/146,325 US20110278485A1 (en) 2009-02-01 2010-02-01 Gas regulating valve for torch
JP2011547805A JP5864265B2 (ja) 2009-02-01 2010-02-01 トーチ用ガス調節バルブ
CN2010800060464A CN102301183B (zh) 2009-02-01 2010-02-01 焊炬的气体调节阀
EP10736055.4A EP2392856A4 (en) 2009-02-01 2010-02-01 GAS CONTROL VALVE FOR A BURNER
PCT/KR2010/000596 WO2010087664A2 (ko) 2009-02-01 2010-02-01 토치용 가스 조절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36 2008-04-15
KR1020080042077 2008-05-06
KR1020090002464 2009-01-12
KR1020090003153 2009-01-14
KR1020090007789A KR20090109467A (ko) 2008-04-15 2009-02-01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67A true KR20090109467A (ko) 2009-10-20

Family

ID=4155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789A KR20090109467A (ko) 2008-04-15 2009-02-01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46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043A (ko) * 2017-11-28 2019-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장치
KR20190062045A (ko) * 2017-11-28 2019-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장치
KR20200050599A (ko) 2018-11-02 2020-05-12 유지열 각도변환부 및 이를 이용한 지지부재
KR20210156362A (ko) * 2020-06-17 2021-12-27 정성의 현수막 거치대
CN114731864A (zh) * 2022-04-22 2022-07-12 陕西科技大学 一种智能花卉远程养护装置
US20230052331A1 (en) * 2021-08-16 2023-02-16 The Ames Companies, Inc. Expandable plant caddy
CN117944747A (zh) * 2024-03-22 2024-04-30 正元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园林施工的苗木盆栽搬运装置
CN117944747B (zh) * 2024-03-22 2024-06-11 正元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园林施工的苗木盆栽搬运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043A (ko) * 2017-11-28 2019-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장치
KR20190062045A (ko) * 2017-11-28 2019-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장치
KR20200050599A (ko) 2018-11-02 2020-05-12 유지열 각도변환부 및 이를 이용한 지지부재
KR20210156362A (ko) * 2020-06-17 2021-12-27 정성의 현수막 거치대
US20230052331A1 (en) * 2021-08-16 2023-02-16 The Ames Companies, Inc. Expandable plant caddy
CN114731864A (zh) * 2022-04-22 2022-07-12 陕西科技大学 一种智能花卉远程养护装置
CN114731864B (zh) * 2022-04-22 2023-09-12 陕西科技大学 一种智能花卉远程养护装置
CN117944747A (zh) * 2024-03-22 2024-04-30 正元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园林施工的苗木盆栽搬运装置
CN117944747B (zh) * 2024-03-22 2024-06-11 正元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园林施工的苗木盆栽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9467A (ko)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US5960587A (en) Umbrella planter
US7428798B2 (en) Vertically separating plant pot
EP1174022A2 (en) Flower box
KR20140002207U (ko)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US10426101B2 (en) Plant pot with irregular bottom edge
JPH01196231A (ja) 着生植物用多孔式栽培容器
KR100653314B1 (ko) 화분
WO2024027098A1 (zh) 一种组装式仿真盆栽
CN206128132U (zh) 种植井盖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WO2019064227A1 (en) VASE APPARATUS
KR200399335Y1 (ko) 조립식 화분
KR20160074150A (ko) 다용도 화분받침
KR200442373Y1 (ko) 개량 화분받침대
KR20120028562A (ko) 지지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10107258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90474B1 (ko) 조립식 꽃기둥 및 이를 이용하여 다중연출가능한 꽃기둥 연결장치
KR2002659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CN219895531U (zh) 一种可调节置物篮的浴室架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266234Y1 (ko) 화분진열대
JP2575527Y2 (ja) パラソル固定用ベース
CN220694930U (zh) 一种插花装置
JP3127041U (ja) 縁部分と胴部分に分離でき、再結合・固定が可能な植物育成用の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